KR100899530B1 -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530B1
KR100899530B1 KR1020070078887A KR20070078887A KR100899530B1 KR 100899530 B1 KR100899530 B1 KR 100899530B1 KR 1020070078887 A KR1020070078887 A KR 1020070078887A KR 20070078887 A KR20070078887 A KR 20070078887A KR 100899530 B1 KR100899530 B1 KR 10089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igital data
reproduction time
output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773A (ko
Inventor
고이찌 아베
준지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3/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r the working of machines or other apparatus, other than vehicles
    • G07C3/02Registering or indicating working or idle time only
    • G07C3/04Registering or indicating working or idle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59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cont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처리 부하를 경감한다. 재생 시간 계측 회로는,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로서, 소정 주파수의 클럭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와,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디지털 데이터가 소정값에 따른 시간 재생된 것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를 구비한다.
광 픽업, DA 컨버터, 드라이버, 마이크로컴퓨터, CD-ROM, 입력 버퍼, DSP

Description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REPRODUCING TIME MEASURING CIRCUIT AND DIGITAL DATA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경유로의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의 제공 등에 수반하여, MP3(MPEG Audio Layer-3) 형식 등의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장치가 보급되기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에는, CD-DA(Compact Disk Digital Audio) 규격의 음악 CD에 기록된 데이터와는 달리,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재생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내의 위치에 의해 재생 시간을 판정할 수도 없다.
따라서,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장치에서는, PCM 형식 등으로 복호한 후의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할 때에 이용되는 클럭을 카운트함으로써,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도 6은,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장치(100)는, 입력 버퍼(110), DSP(Digital Signal Processor)(111),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 및 출력 버퍼(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버퍼(110)에는, MP3 형식 등이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압축 음성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입력 버퍼(11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는, DSP(111)에서 복호되고, 복호된 PCM 형식 등의 디지털 데이터(음성 데이터)는 출력 버퍼(113)에 저장된다.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는, 출력 버퍼(113)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의 샘플링 레이트에 따른 클럭(샘플링 클럭)을 생성한다. 출력 버퍼(113)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에 따라서,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해 간다. 또한,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은, DSP(111)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되어 있고, DSP(111)는 이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한다.
도 7은, DSP(111)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DSP(111)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에 의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출력 버퍼(113)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01). 일시 정지 등에 의해 재생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 버퍼에 디지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경우에는(S701; 아니오), DSP(111)는 재생 시간을 갱신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출력 버퍼(113)에 디지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S701: 예), DSP(111)는, 재생 개시 시에 제로로부터 개시되는 카운트 값의 변수에 1 가산한다(S702). 그리고, DSP(111)는, 카운트 값에 샘플링 클럭의 1 주기의 시간을 곱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산출하고(S703), 산출한 재생 시간을 메모리에 보존한다(S704). 그리고, DSP(111)에 서 계측된 재생 시간은, DSP(111) 외부의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출력된다.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6-50362호 공보
이와 같이, 재생 장치(100)에서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112)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의 1주기마다 DSP(111)에 대한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의 계측이 행해지고 있어, DSP(111)의 처리 부하의 증대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출력 버퍼(113)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재생 시간을 갱신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DSP(111)에의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있고, 이 인터럽트도 DSP(111)의 처리 부하를 증대시키는 한가지 원인으로 되어 있다. 금후, 저소비 전력화나 노이즈 억제를 위해 DSP(111)의 동작 주파수를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어, DSP(111)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처리 부하를 경감 가능한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재생 시간 계측 회로는,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로서, 상기 소정 주파수의 클럭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에 상 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소정값에 따른 시간 재생된 것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는, 상기 소정값이 저장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상기 기억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값과 동등한 경우에 상기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는, 소정 주파수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와,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와, 상기 출력 버퍼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고,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상기 소정값에 따른 시간 재생된 것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시간 신호 계측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재생 시간 계측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재생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에서의 상기 재생 시간 계측 회로는, 상 기 소정값이 저장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출력 버퍼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값이, 상기 기억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값과 동등한 경우에 상기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처리 부하를 경감 가능한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압축 음성 재생 장치의 구성예이다. 압축 음성 재생 장치(1)는, 광 픽업(10),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 DA 컨버터(DAC)(12), 드라이버(13), 조작부(14), 재생 시간 표시부(15), 및 마이크로컴퓨터(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CD-ROM(20)에 기록된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을 읽어내고, 스피커(21)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광 픽업(10)은, CD-ROM(20)의 기록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RF(Radio Frequency) 신호로서 출력한다.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는, 광 픽업(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복조나 에러 정정 등을 행하고,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PCM(Pulse Code Modulation)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DAC(12)에 출력한다. 그리고,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는, 재생한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한 재생 시간을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6)에 송신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는, 광 픽업(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광 픽업(10)으로부터 기록 매체(20)에의 레이저 광의 조사를 제어하기 위한 서보 처리를 행하고, 드라이버(13)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DAC(12)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PCM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21)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20)에 기록된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이 음성으로서 스피커(21)로부터 출력된다.
드라이버(13)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로부터 출력되는 FE(Focusing Error) 신호나 TE(Tracking Error) 신호 등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광 픽업(10)의 포커싱 제어나 트랙킹 제어 등을 행한다.
조작부(14)는,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나 일시 정지 등의 지시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 버튼이나 조작 다이얼 등에 의해 실현된다.
재생 시간 표시부(15)는,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 실현된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조작부(14)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나 일시 정지 등의 지시를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에 송신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6)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로부터 압축 음성(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수신하고, 수신한 재생 시간을 재생 시간 표시부(15)에 표시한다.
도 2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11)는, 서보 처리 회로(30),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복조 회로(31), CIRC(Cross-Interleaved Reed-Solomon Code) 회로(32), CD-ROM 복조 회로(33), 입력 버퍼(34), DSP(35), 출력 버퍼(36),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 및 뮤트 회로(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서보 처리 회로(30)는, 광 픽업(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에 기초하여, FE 신호나 TE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드라이버(13)에 출력한다.
EFM 복조 회로(31)는, 광 픽업(10)으로부터 출력되는 RF 신호를 2치화하여 EFM 신호로 변환하고, EFM 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CIRC 회로(32)는, EFM 복조 회로(31)로부터 출력되는 EFM 복조된 신호에 대하여 CIRC에 의한 에러 정정을 실시하여 출력한다.
CD-ROM 복조 회로(33)는, CIRC 회로(32)로부터 출력되는 에러 정정된 신호에 대하여 CD-ROM의 복조를 행하고, MP3 등의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입력 버퍼(34)는, DSP(35)에 대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 영역으로서, CD-ROM 복조 회로(33)로부터 출력되는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가 기 억된다.
DSP(35)(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입력 버퍼(34)에 저장되어 있는 MP3 등의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복조나 노이즈 캔슬 처리, 이퀄라이징 처리 등을 행하고,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PCM 신호 등의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DSP(35)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 계측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을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가산한다. 또한, DSP(35)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함으로써 각종 기능이 실현된다.
출력 버퍼(36)는, DSP(35)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일시적인 저장 영역으로서,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출력되는 샘플링 주파수의 클럭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한다.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는, 출력 버퍼(36)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샘플링 레이트에 따른 샘플링 주파수의 클럭(샘플링 클럭)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는, 출력 버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즉,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중에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의 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DSP(35)에 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즉,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는,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 경과할 때마다 인터럽트 신호(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한다. DSP(35)에서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소정 시간(예를 들면 1 초)이 가산된다. 예를 들면,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의 주파수가 44.1㎑인 경우,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는 클럭의 카운트 값이 44100으로 된 시점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 계측되는 소정 시간은 1초이며, DSP(35)에서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1초가 가산되는 것으로 된다.
뮤트 회로(39)는, DSP(39)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을 일시적으로 무음 상태로 하는 회로이다. 또한, 뮤트 회로(39)에 의해 무음 상태로 되어 있는 동안에도,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은 계속된다.
도 3은,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는,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 AND 회로(51), 클럭 카운트 회로(52), 및 비교 회로(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기억 회로)에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 카운트되는 소정값(카운트 횟수)이 설정된다. 이 소정값은,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AND 회로(51)에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출력되는 클럭과, 출력 버퍼(3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버퍼의 잔량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 버퍼(3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버퍼(36)의 잔량을 나타내는 신호는, 출력 버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H 레벨,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L 레벨인 것으로 한다. 따라서, 출력 버 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일시 정지 등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AND 회로(51)의 출력은 L 레벨인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출력 버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즉, 디지털 데이터가 재생되어 있는 경우에는, AND 회로(51)로부터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의 클럭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출력 버퍼(36)의 잔량을 나타내는 신호의 형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 유무가 판별 가능하면 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 유무에 따라서 출력 신호를 변화시키기 위한 회로를, AND 회로(51) 이외의 논리 회로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럭 카운트 회로(52)는, AND 회로(51)를 통하여 입력되는 클럭의 수를 카운트한다.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초기값은 예를 들면 제로이며, AND 회로(51)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이 예를 들면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되는 타이밍에서, 카운트 값에 1 가산한다. 또한,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은,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된 소정값까지 도달하면, 초기값(예를 들면 제로)으로 리세트된다. 즉, 클럭 카운트 회로(52)에서는, 초기값으로부터 소정값까지의 카운트가 반복되어 행해진다.
비교 회로(53)는,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값과, 클럭 카운트 회로(52)에 의한 카운트 값과의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값과, 클럭 카운트 회로(52)에 의한 카운트 값이 서로 다른 경우, 즉, 카운트 값이 소정값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 비교 회로(53)는, 한쪽의 논리 레벨(예를 들면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값과, 클럭 카운트 회로(52)에 의한 카운트 값이 동등한 경우, 즉, 카운트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 비교 회로(53)는, 다른쪽의 논리 레벨(예를 들면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카운트 값이 소정값에 도달한 경우에 비교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DSP(35)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된다. 또한, 이 인터럽트 신호를,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을 리세트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AND 회로(51) 및 클럭 카운트 회로(52)가 본 발명의 카운트 회로에 상당하고,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 및 비교 회로(53)가 본 발명의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에 상당한다.
==재생 시간 계측 처리==
다음으로, 재생 시간 계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의 예에서는,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시터(50)에 설정된 소정값은 "3"이며,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초기값은 "0"인 것으로 한다. 또한, 비교 회로(53)는, 카운트 회로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된 소정값과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서로 다른 경우에 H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동일한 경우에 L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시각 T1에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의 계측이 개시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출력 버퍼(36)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잔량이 "7"(7 샘플링 분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AND 회로(51)로부터는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의 클럭이 출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각이 진행됨에 따라서, 출력 버퍼(36)로부터 1 샘플링씩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어 출력 버퍼 잔량이 감소해 감과 함께,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1씩 증가해 간다.
그리고, 시각 T4에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된 소정값과 동등한 "3"으로 되면, 비교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변화된다. 그 후, 시각 T5에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0"으로 리세트되면, 비교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된다. 이, 시각 T4로부터 T5에 걸쳐서 비교 회로(53)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 신호가, DSP(35)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된다. 즉, DSP(35)에서는, 이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서, 클럭 카운트 회로(52)에서의 카운트 값 "3"에 따른 소정 시간이 재생 시간에 가산된다. 즉,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의 1주기의 시간을 T(초)로 하면, 재생 시간에 T×3(초)이 가산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출력 버퍼(36)로부터 1 샘플링씩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어 출력 버퍼 잔량이 감소해 감과 함께,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1씩 증가해 간다. 그리고, 시각 T8로 되면, 출력 버퍼(36)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잔량이 "0"으로 된다. 즉,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 행해지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AND 회로(5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L 레벨로 고정되며,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은 "2"인 그대로로 된다.
그리고, 시각 T9에, DSP(35)로부터 출력 버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출력되 고, 출력 버퍼(36)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잔량이 "8"로 되면,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37)로부터의 클럭이 AND 회로(51)로부터 출력되고,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3"으로 된다. 이에 의해, 비교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H 레벨로부터 L 레벨로 변화된다. 그 후, 시각 T10에 클럭 카운트 회로(52)의 카운트 값이 "0"으로 리세트되면, 비교 회로(5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된다. 이, 시각 T9로부터 T10에 걸쳐서 비교 회로(53)에 의해 생성되는 펄스 신호가, DSP(35)에 대한 인터럽트 신호로 되고, DSP(35)에서는, 카운트 값 "3"에 따른 소정 시간이 재생 시간에 가산된다.
도 5는, DSP(35)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DSP(35)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로부터의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면,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된 값(카운트 값)에 따른 소정 시간을 재생 시간에 가산한다(S501). 즉, 도 4에 도시한 예에서는, 카운트 값 "3"에 따른 소정 시간, 즉, T×3(초)이 재생 시간에 가산된다. 그리고, DSP(35)는, 산출한 재생 시간을 메모리에 보존한다(S502). 메모리에 보존된 재생 시간은,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6)에 송신되고, 재생 시간 표시부(15)에 표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를 이용함으로써, DSP(35)에 대한 인터럽트는, 샘플링 클럭의 1주기마다가 아니고,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서 계측되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마다로 된다. 즉, DSP(35)에 대한 인터럽트 횟수가 감소한다. 또한, 출력 버 퍼(36)에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DSP(35)에 대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이에 의해, DSP(35)의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그리고, 재생 시간 계측 처리를 위해 DSP(35)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스텝수가 삭감됨으로써,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메모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는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되는 소정값을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 변경함으로써, 재생 시간 계측 회로(38)에 의해 계측되는 소정 시간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압축 음성 재생 장치(1)에서 재생 시간 표시부(15)에 표시되는 재생 시간이 1초 단위이면, 1초에 따른 카운트 값을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하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압축 음성 재생 장치(1)에서 재생 시간 표시부(15)에 표시되는 재생 시간이 0.1초 단위이면, 0.1초에 따른 카운트값을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하면 된다. 즉, 예상되는 최소의 시간 단위로 항상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고, DSP(35)에 대한 인터럽트의 발생 횟수를 압축 음성 재생 장치(1)의 사양에 따른 횟수로 억제할 수가 있어, 압축 음성 재생 장치(1)의 사양에 따라서 DSP(35)의 처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50)에 설정되는 소정값을 변경한 경우에는, DSP(35)에서 가산되는 재생 시간도 소정값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기록 매체로서 CD-ROM(20)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기록 매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로서 DVD-ROM이나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재생 대상으로 되는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압축 음성 재생 장치의 구성예.
도 2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재생 시간 계측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
도 5는 DSP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압축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DSP에서의 재생 시간 계측 처리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 음성 재생 장치
10 : 광 픽업
11 :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12 : DA 컨버터(DAC)
13 : 드라이버
14 : 조작부
15 : 재생 시간 표시부
16 : 마이크로컴퓨터
20 : CD-ROM
21 : 스피커
30 : 서보 처리 회로
31 : EFM 복조 회로
32 : CIRC 회로
33 : CD-ROM 복조 회로
34 : 입력 버퍼
35 : DSP
36 : 출력 버퍼
37 : 샘플링 클럭 생성 회로
38 : 재생 시간 계측 회로
39 : 뮤트 회로
50 : 카운트 횟수 설정 레지스터
51 : AND 회로
52 : 클럭 카운트 회로
53 : 비교 회로

Claims (4)

  1.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로서,
    상기 소정 주파수의 클럭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기 카운트 값에 따른 소정 시간만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가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시간 신호 출력 회로는,
    상기 소정값이 저장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상기 기억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값과 동등한 경우에 상기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간 계측 회로.
  3. 소정 주파수의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 회로와,
    상기 소정 주파수에서 샘플링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에 따라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와,
    상기 출력 버퍼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고,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소정값으로 되면, 상기 카운트 값에 따른 소정 시간만이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에 가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재생 시간 신호 계측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재생 시간 계측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재생 시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시간 계측 회로는,
    상기 소정값이 저장되는 기억 회로와,
    상기 출력 버퍼에 상기 디지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 상기 클럭 생성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회로와,
    상기 카운트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클럭의 카운트 값이, 상기 기억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소정값과 동등한 경우에 상기 재생 시간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KR1020070078887A 2006-08-08 2007-08-07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899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15913A JP2008041193A (ja) 2006-08-08 2006-08-08 再生時間計測回路及び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JP-P-2006-00215913 200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73A KR20080013773A (ko) 2008-02-13
KR100899530B1 true KR100899530B1 (ko) 2009-05-27

Family

ID=3905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887A KR100899530B1 (ko) 2006-08-08 2007-08-07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37697A1 (ko)
JP (1) JP2008041193A (ko)
KR (1) KR100899530B1 (ko)
CN (1) CN1011231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714A (ko)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36Y2 (ja) * 1988-09-07 1995-02-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録音機能付時間計測装置
JP3591028B2 (ja) * 1995-01-25 2004-11-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714A (ko) * 2003-04-01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41193A (ja) 2008-02-21
US20080037697A1 (en) 2008-02-14
KR20080013773A (ko) 2008-02-13
CN101123106A (zh)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8021A1 (en) Replaying Digital Media
EP1282124B1 (en) Digital audi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4665990B2 (ja) メータ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メータ駆動方法
JP2011150060A (ja) 録音装置
KR100899530B1 (ko) 재생 시간 계측 회로 및 디지털 데이터 재생 장치
JP2006268936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KR101624073B1 (ko) 재생장치 및 디스크 정보 표시방법
US8032728B2 (en)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622521B1 (ko) 광 디스크 재생 장치
US20050232089A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i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duct
WO2006104164A1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US2010003035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JP2935036B2 (ja) 楽音制御装置
WO2006104163A1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US20040230422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determining vocal channel by occurrences frequency of zeros-crossing
JP2014127925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及び、ミュート制御方法
JP2010068416A (ja) 標本化周波数変換装置、および、信号再生装置
JPH0627945A (ja) 自動演奏装置
JP2010073271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音声出力装置、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8112494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並びにオーディオ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オーディオ記録装置、オーディオ記録方法
JP2013120611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20030021867A (ko) 재생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광 디스크 재생 장치 및 그의재생 정보 표시 방법
JP2002093129A (ja) 情報記録装置並びにメッセージ出力方法及び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2007133992A (ja) 車載用電子機器及び通知方法
JP2007280565A (ja) 曲間検出装置、曲間検出方法、曲間検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