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529B1 -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529B1
KR100899529B1 KR1020020036382A KR20020036382A KR100899529B1 KR 100899529 B1 KR100899529 B1 KR 100899529B1 KR 1020020036382 A KR1020020036382 A KR 1020020036382A KR 20020036382 A KR20020036382 A KR 20020036382A KR 100899529 B1 KR100899529 B1 KR 10089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ath
signal
switching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246A (ko
Inventor
이승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5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2Melt-blow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송수신장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의 경로를 보호/절체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주 경로와 보호 경로로 나누어 송신하기 위한 광분배수단; 상기 두 경로를 통해 각각 전송된 상기 광신호를 절체하기 위한 광스위칭수단; 및 상기 광분배수단에 의해 이원화된 두 경로로부터 수신된 광신호의 상태를 시간별 저장 기록한 후, 트래픽의 특성에 무관하게 광 경로를 안정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칭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은, 트래픽이 연속적이든 불연속적이든 상관없이 광 전송 경로 이원화를 용이하면서 안정하게 해줌으로써, 망의 경제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Traffic-characteristics Independent Optical Layer Protection Scheme and Applications}
도 1은 일반적인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비복귀형 스위치 제어회로의 구성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원화된 광 경로 길이 차이로 인한 불연속적인 광신호 검출 오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복귀형 경로 선택을 위한 광 스위치 제어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동 광 통신망의 구성도.
본 발명은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선로 이상 발생시에는 그 즉시 정상선로로 자동 절체되도록 광경로를 이원화함에 있어, 불연속적인 트래픽의 전달 시에도 안정적으로 경로를 교체할 수 있는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송장치가 대용량화 되어가면서 전송의 신뢰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 측면에서 경제성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망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예비의 전송 시스템을 가동하여 서비스가 중단되는 것을 최소화하려고 애써왔다.
즉, 비동기식 전송 시스템은 1:N 또는 1:1 자동 보호/절체(APS :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등의 방식을 사용하고, 동기식 전송시스템은 1:1 또는 1+1 보호/절체 시스템을 사용하여, 한 개의 전송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비의 전송 시스템을 가동함으로써 서비스의 중단을 방지한다.
한편, 전송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경로를 이원화하여 예비 선로를 확보하는 방법이 있다. 즉, 한개의 전송로가 사고로 인해 절단될 경우, 우회 전송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한다.
특히, 동기식 전송 시스템은 예비 전송 시스템으로서 1+1 보호/절체 시스템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원화 경로를 사용할 수도 있어, 망에서의 신뢰성이 높으나, 통신 사업자 입장에서는 통신 요금은 점점 더 저렴해지는 반면 투자비는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더구나, 최근 급증하는 트래픽의 대부분이 데이터/ 인터넷 트래픽으로서, 이를 처리하는 스위치 및 라우터 시스템은 1+1 보호/절체 시스템 이원화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스위치 및 라우터로 구성된 데이터망을 좀 더 신뢰성 있도록 경로 이원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인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송신단에는 광송신기(10), 광분배기(20)가, 수신단에는 광 스위치(30), 스위치 제어회 로(60), 광수신기(11)가 사용되고, 경로는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로 구성된다.
수신단에서는 광 스위치(30)에 의해 상기 두 경로 중 하나의 경로가 선택되는데, 이때 선택의 기준은 스위치 제어회로(60)에 의해서 결정되고, 이원화된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로 각각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는 탭(50)을 이용하여 일정량을 분기하고, 이 분기된 신호를 통해 광경로의 사고 여부를 스위치 제어회로(60)가 판단한다.
특히, 스위치 제어회로(60)는 주 경로(40)가 사고시 보호 경로(41)로 절체되었다가, 주 경로(40)가 복구되면 신호의 전송이 자동적으로 다시 주 경로(40)로 절체되는 복귀형 스위치 제어회로와, 일단 신호가 보호 경로(41)로 절체되면 인위적으로 복귀시켜주기 전까지는 다시 주 경로(40)로 절체되지 않는 비복귀형 스위치 제어회로가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종래의 비복귀형 스위치 제어회로(60)는 신호가 나뉘어 들어오는 보호 경로(41)와 주 경로(40)는 2×1 광 스위치(30)에 연결되어 있다. 각 경로의 광신호는 90:10 정도의 탭(tap)(50)을 이용하여 제어회로로 분기되어 해당 경로의 광검출기(23, 24)로 입력되어 전기신호로 바뀌게된다.
이들 전기신호는 증폭기(25, 26)를 통해 각각 적절한 크기(∼5V)로 증폭되어 다음 단의 두 개의 앤드(AND) 게이트(27, 28)의 입력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주 경로의 신호(m)는 증폭단에서 반전된 신호로 앤드 게이트(28)에 입력되도록 한다. 또 하나의 앤드 게이트(27)에는 D 플립플릅(21)의 출력 신호와 보호 경로의 신호 P가 함께 입력된다. 앤드게이트(27, 28)의 출력은 오아(OR) 게이트(29)를 통해 더해져 클럭 CLK에 제어 받는 D 플립플릅(21)의 입력 신호로 사용되고, 마지막으로 D 플립플릅(21)의 출력신호는 2×1 광 스위치(30)를 제어한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스위치 제어회로(60)는 기가비트 이더넷이나 수동 광 통신망 같이 불연속적으로 트래픽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원화된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의 길이 차이가 두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간 전송 소요 시간의 차이를 유발하며, 이는 결국 두 경로를 통해서 수신단에 입력되는 신호의 검출 시점이 달라져서 스위치 제어회로(60)가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위치 제어회로(60)의 동기화된 클럭의 Up(또는 Down) 시를 기점(t)으로 하여, 클럭의 주기 T 동안 입력된 신호 모두가 t 시간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때, 두 경로를 통해 전송된 신호의 도착 시점이 스위치 제어회로(60)의 클럭의 Up 시의 기준(t)으로 하나는 t 이전에, 다른 하나는 t 이후라면 두 신호의 검출 시점은 t-T 와 t로 서로 달라진다.
따라서, 스위치 제어회로(60)는 t-T 시점에는 하나의 경로에서만 트래픽이 검출되어 정상 상태로 판단하였다가, t 시점에는 반대로 다른 경로에서만 트래픽이 검출되어 새로이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러한 오류를 설명하기 위해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와 도 3b는 이원화된 광 경로 길이 차이로 인한 불연속적인 광신호 검출 오류 예시도로서, 도 3a는 주 경로로부터 전송된 광신호가 검출된 시간을, 도 3b는 보호경로로부터 전송된 광신호가 검출된 시간을 도시한다.
즉, 주 경로(40) 및 예비 경로(41)를 통해 전송된 불연속적인 광신호(100)가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의 길이 차이에 의해 수신단의 스위치 제어회로(60)에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스위치 제어회로(60)의 동기화된 클럭이 두 경로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검출 타이밍을 갈라 놓고, 트래픽 또한 불연속적으로 입력된다면, 스위치 제어회로(60)는 불필요하게 스위치를 반복적으로 On/Off 동작 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경로를 이원화 구성함에 있어, 두 경로를 통해 전송된 불연속적인 광신호가 두 경로의 길이 차이로 인해 수신단에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지므로, 시간별 광신호의 상태를 저장하여 광 경로를 안정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불연속적인 트래픽의 전달 시에도 안정적으로 경로를 교체할 수 있는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송수신장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의 경로를 보호/절체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주 경로와 보호 경로로 나누어 송신하기 위한 광분배수단; 상기 두 경로를 통해 각각 전송된 상기 광신호를 절체하기 위한 광스위칭수단; 및 상기 광분배수단에 의해 이원화된 두 경로로부터 수신된 광신호의 상태를 시간별 저장 기록한 후, 트래픽의 특성에 무관하게 광 경로를 안정 적으로 선택하는 스위칭 제어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전송 장치의 전송경로를 이원화하고, 광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신된 두 경로의 광 신호 중 한 개만을 선택하는 기술로서, 비복귀형 스위칭 알고리즘에 따라 광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스위칭 제어회로를 전자회로 소자들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송신단에는 광송신기(10), 광분배기(20)가, 수신단에는 광 스위치(30), 스위치 제어회로(60), 광수신기(11)가 사용되고, 경로는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를 구비한다.
특히, 불연속 광신호가 두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 광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회로(60)의 동작 원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 제어회로(60)는 기준 시간(t)에 있어서 주 경로의 신호가 없고 보호경로의 신호가 있을 때는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주 경로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이고, 두 번째는 주 경로 및 보호경로의 길이 차로 인한 검출 시점의 차이가 발생한 경우이다. 따라서, 주 경로를 통해서 t-T 및 t+T 시점에 신호가 검출되었는 지를 파악하고, 만일 검출되지 않았다면 주 경로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결정한 후 보호 경로로 절체하고, 신호가 검출된다면 검출 타이밍에 차이가 발생한 것이어서 사고가 아니므로 이전 시점인 t-T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클럭 주기(T)는 두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시간차가 T를 넘지 않게 조절한다. 예를 들어, 두 경로의 차가 20km라고 한다면,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속도가 200,000km/sec 임을 감안하면 0.1 msec이므로 T는 이보다 크게 정한다.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주 경로를 통해 신호가 검출되면 A, 그렇지 않으면 A'로 표시하고, 예비 경로를 통해 신호가 검출되면 B, 그렇지 않으면 B'로 표시하기로 한다.
Q는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데, Q는 ON 상태로서 주 경로를 선택한 경우이고, Q'는 OFF 상태로서 예비 경로를 선택한 경우이다. 여기서, 프라임(') 표시의 유/무에 따라서 각각 ON/OFF를 나타낸다.
시각 t 또는 t'는 기준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t-T 또는 t'-T는 기준 시점보다 T시간 전을 나타내고, t+T 또는 t'+T는 기준 시점보다 T시간 후를 나타낸다.
Q(t')의 ON/OFF 여부는 A(t-T), A(t), A(t+T), B(t-T), B(t), B(t+T), Q(t'-T)에 대한 상태로부터 판별되고, 경우의 수가 27=128 인데,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Q(t')가 ON인 경우만을 고려하여 설명하면,
A(t)' & B(t)' & Q(t'-T) 는 전 선택 경로가 주 경로이고, 두 경로 모두 신호가 없을 때는 주 경로 유지,
A(t) & B(t) & Q(t'-T) 는 전 선택 경로가 주 경로이고, 두 경로 모두 신호 가 있을 때는 주 경로 유지,
A(t+T) & B(t) & Q(t'-T)는 전 선택 경로가 주 경로이고, 예비 경로에는 신호가 있고 비록 주 경로에는 신호가 없으나, t+T 시간에는 주 경로에도 신호가 있으므로 주 경로 유지,
A(t-T) & B(t) & Q(t'-T) 는 전 선택 경로가 주 경로이고, 예비 경로에는 신호가 있고 비록 주 경로에는 신호가 없으나, t-T 시간에는 주 경로에도 신호가 있으므로 주 경로 유지,
A(t) & B(t)' & Q(t'-T) 는 전 선택 경로가 주 경로이고, 예비 경로에는 신호가 없고 주 경로에는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주 경로 유지,
A(t) & B(t-T)' & B(t)' & B(t+T)' & Q(t'-T)는 전 선택 경로가 예비 경로이고 예비 경로에는 t-T, t, t+T 시간에 신호가 없으나 주 경로에는신호가 있는 경우로 주 경로로 전환.
이와같이, 두 개의 경로가 모두 정상이면 현재 사용중인 경로를 계속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두 개의 경로 중 하나만 정상이면 정상인 경로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경우의 수를 논리식으로 정리한 후 표현하면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Q(t') = A(t)·B(t-T)'·B(t)'·B(t+T)'·Q(t'-T)
+ Q(t'-T)·[B(t)·{A(t-T)+A(t)+A(t+T)}+B(t)']
상기 수학식 1은 첨부된 도 4과 같은 디지털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가 나뉘어 들어오는 주 경로(40)와 보호경로(41)는 광 스위치(30)에 연결되어 있고, 각 경로를 통해 전송된 광 신호는 95:5 정도의 탭(50)을 이용하여 스위치 제어회로(60)로 분기된다. 각 경로를 통해 들어오는 광신호는 각 광 검출기(210a, 210b)로 입력되어 전기 신호로 전환된다.
이들 전기 신호는 증폭기(220a, 220b)를 통해 각각 적절한 크기(~5V)로 증폭되어 다음 단의 디지털 논리회로(500)의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디지털 논리회로(500)는 D 플립플릅(230a, 230b, 230c, 230d, 230e), 오아게이트(240a, 240b, 240c), 앤드게이트(250a, 250b, 250c), 컨버터(260)로 구성되며, D 플립플릅(230a, 230b, 230c, 230d, 230e)은 각각 클럭 CLK에 의해 제어된다.
D 플립플릅(230a)은 상기 증폭기(400a)로부터 증폭된 주 경로의 신호(m)를 입력으로 하고, D 플립플릅(230b)은 상기 증폭기(400b)로부터 증폭된 보호 경로의 신호(p)를 입력으로 하며, D 플립플릅(230c)은 D 플립플릅(230a)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D 플립플릅(230d)은 D 플립플릅(230b)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한다.
오아게이트(240a)는 주 경로의 신호(m)와 D 플립플릅(230a, 230b)로부터 출력된 두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논리 연산을 한 후 출력하고, 그 출력된 신호와 D 플립플릅(230c)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앤드게이트(250a)에서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그 출력된 신호와 D 플립플릅(230c)의 반전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오아게이트(240b)가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그 출력된 신호와 광 스위치(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앤드게이트(250b)를 통해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출력한다.
앤드게이트(250C)는 D 플립플릅(230a, 230c, 230d, 230e)의 출력신호와 보호 경로의 신호(P)를 반전시킨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그 출력 신호는 오아게이트(240c)의 입력으로 들어간다.
오아게이트(240c)는 앤드게이트(250C)의 출력 신호와 앤드게이트(250b)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논리 연산을 수행하여 출력하고, 그 출력 신호와 클럭 CLK 신호를 D 플립플릅(230e)의 입력으로 한다. D 플립플릅(230e)의 출력은 2:1 광 스위치(30)를 제어함으로써, 전송 속도, 연속이든 불연속이든 상관없이 광 경로를 안정하게 선택한다.
이와 같이 구현된 스위치 제어회로(60)는 불연속적인 트래픽이 발생되더라도, 두 경로의 광신호의 상태를 시간별(t-T, t, t+T)로 체크하여, 보호경로로 절체함으로써, 트래픽이 연속이든 불연속이든 상관없이 광경로를 안정하게 선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적인 트래픽을 전달하는 수동 광 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광 통신망은 광 송수신기(100), 광 스위치(30), 스위치 제어회로(60), 광 분배기(20), 주 경로(40), 보호경로(41)를 구비한다.
상향 노드에서는 1:2 광 스위치(30)가, 하향 노드에서는 2:N 광분배기(20)가 위치하여, 상향 노드에서 경로 선택을 한다. 이때, 광 분배기(20)는 1:N 광 분배기를 사용하든, 2:N 광 분배기를 사용하든 상관없이 상향 신호에 대한 손실은 똑같으 므로, 전체적인 망에 대한 광 전력 계산에는 영향이 없다.
다만, 송신단에서 1:2 광 스위치(30) 사용에 따른 입력 손실(1dB 이하)만 고려해 주면 되므로, 일반적인 수동 광 통신망에 광 경로 보호/절체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동 광 통신망 전송장치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Waveplength Division Multiplex ;WDM) 전송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응용, 예를들어, 상기한 비복귀형 스위칭 외에 복귀형 스위칭 구조, 이원화된 두 광경로의 정상 혹은 사고 상태를 표시 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등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은, 트래픽이 연속적이든 불연속적이든 상관없이 광 전송 경로 이원화를 용이하면서 안정하게 해줌으로써, 망의 경제성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 광 통신망 및 파장 분할 다중 전송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하나의 송수신장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송수신 장치로의 경로를 보호/절체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주 경로와 보호 경로로 나누어 송신하기 위한 광분배수단;
    상기 두 경로를 통해 각각 전송된 상기 광신호를 절체하기 위한 광스위칭수단; 및
    상기 광분배수단에 의해 이원화된 두 경로로부터 수신된 광신호의 상태를 시간별 저장 기록한 후, 트래픽의 특성에 무관하게 광 경로를 안정적으로 선택하는 광 스위칭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 스위칭 제어수단은
    상기 보호 경로 및 상기 주 경로의 광신호를 각각 분기하는 제 1및 제 2탭(TAP);
    상기 각각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광검출기;
    상기 두 경로의 광신호에 해당하는 각각의 전기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증폭기; 및
    상기 보호 경로의 광신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 및 상기 주 경로의 광신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D 플립플릅을 구비하여, 상기 D 플립플릅의 출력을 조합하여 출력함으로써 트래픽 특성에 상관없이 상기 광 스위치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두 경로 신호와 클럭(clk)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D 플립플릅;
    상기 D 플립플릅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을 조합하여 논리연산을 하는 조합부; 및
    상기 조합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클럭(clk)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광 스위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 발생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스위칭 제어수단은,
    수동 광 통신망 및 파장 분할 다중 방식에 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KR1020020036382A 2002-06-27 2002-06-27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KR10089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82A KR100899529B1 (ko) 2002-06-27 2002-06-27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82A KR100899529B1 (ko) 2002-06-27 2002-06-27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46A KR20040001246A (ko) 2004-01-07
KR100899529B1 true KR100899529B1 (ko) 2009-05-27

Family

ID=3731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82A KR100899529B1 (ko) 2002-06-27 2002-06-27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80B1 (ko) * 2009-01-19 2011-04-07 주식회사 케이티 광선로 루트 이원화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1697372B1 (ko) * 2010-12-23 2017-0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보호그룹의 보호절체를 수행하는 보호절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0A (ko) * 1998-08-20 2000-03-15 이계철 전송 경로를 보호/절환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
JP2000174701A (ja) * 1998-12-04 2000-06-23 Nec Corp 光切替回路
KR20010019294A (ko) * 1999-08-26 2001-03-15 윤종용 파장분할 다중화장치와 광전송장치간 광신호 보호 구현을 위한광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0A (ko) * 1998-08-20 2000-03-15 이계철 전송 경로를 보호/절환하기 위한 광전송 시스템
JP2000174701A (ja) * 1998-12-04 2000-06-23 Nec Corp 光切替回路
KR20010019294A (ko) * 1999-08-26 2001-03-15 윤종용 파장분할 다중화장치와 광전송장치간 광신호 보호 구현을 위한광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46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5562B1 (en) Path switching method, path switching apparatus and nodes of UPSR
US5933258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6567194B1 (e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tection methods
US6317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protection in a switching network
EP0548648B1 (en) 1:N Ring-type signal protection apparatus
JP3976771B2 (ja) 伝送ルート切替制御方法および光伝送装置
CA2266227C (e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optical restoration
US5680546A (en) Passive optical network structure with high fault tolerance
CN100454785C (zh) 一种分组光通道共享保护的方法及装置
EP1724972B1 (en) A service rerouting triggering method
KR100899529B1 (ko) 트래픽 특성에 무관한 광 경로 보호/절체 시스템
US6658017B2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node device used therei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8619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paths in a wavelength-multiplexing network
US20020044319A1 (en) Optical path switching device
JP2988440B2 (ja) 端局装置
US20020097461A1 (en) Bi-directional wavelength switched ring optical protection switching protocol
CN1328863C (zh) 利用双光数据总线构建的环网
US6741812B2 (en) Synchronous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
US7221687B2 (en) Reference timing architecture
CN100495979C (zh) 预置保护圈的保护倒换方法
EA003797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связи
JP7106016B2 (ja) 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通信方法
JP2002261782A (ja) ラベルスイッチネットワークのプロテクション
JP7249929B2 (ja) 電力変換装置
KR100304724B1 (ko) 광전송장치에서의채널교차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