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620B1 -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620B1
KR100898620B1 KR1020080091471A KR20080091471A KR100898620B1 KR 100898620 B1 KR100898620 B1 KR 100898620B1 KR 1020080091471 A KR1020080091471 A KR 1020080091471A KR 20080091471 A KR20080091471 A KR 20080091471A KR 100898620 B1 KR100898620 B1 KR 10089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drive
driving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흥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기공
Priority to KR102008009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3Cleaning the external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공냉 응축부의 정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된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부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공냉 응축부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사다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모듈을 Y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응축기의 세척작업을 자동으로 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단축되었고, 고압의 세청수로 인해 이물질을 좀더 깨끗하게 제거하여 응축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냉 응축기, 구동부, 구동롤러, 구동모터, 세척모듈

Description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The pin tube auto cleaning device of the air cooled conednser}
본 발명은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빈에서 배기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설비로 열교환을 하도록 설치된 핀과 튜브를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오는 고온고압의 냉매증기를 냉각, 액화시키는 열교환기로, 냉동사이클 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종류로는 냉각매체에 따라 수냉식, 공냉식, 증발식(Evaporative condenser → Eva-Con)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수냉식 응축기(water cooled type condenser)는 냉각수의 현열을 이용하여 냉매가스를 냉각·액화하는 것으로 물을 강제로 유동시켜 냉각효과를 올리는 것과 물을 높은 장소에 올려서 냉각관 외면에 냉각수를 흘려 냉각하는 것이 있다.
또한 증발식 응축기는 냉각수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냉각·액화하는 것으로, 육상 대형 냉동설비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내부에 냉매가스 가 통하는 나관을 코일모양으로 만들고, 그 위에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살포하는 형식이다.
또한 공냉식 응축기(air cooled type condenser)은 대기의 현열을 이용해서 냉각·액화시키는 것으로, 공기의 자연 대류로써 냉각하는 것과 전동팬에 의해 강제 통풍하여 냉각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응축기 중에서 본 발명은 현재 큰 발전소에 사용되는 공냉식 응축기에 관련된 것이다.
도 1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공냉 응축기(2)는 증기터빈(10)의 전력 생산을 위해 전기 발전기(13)와 연결된 출력축(12)을 구비한다.
터빈(10)은 보일러(15)로부터 연결된 라인(11)에서 받은 증기에 의해 구동된다. 배출 증기는 라인(14)를 통해 터빈(10)을 빠져나가 소위 A-튜브 응축기라는 응축부(2)에 들어간다. 이 응축부(2)는 공통헤드(3)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과 연결된 우측레그(5)와 좌측레그(6)에는 튜브와 핀 어셈블리가 구성된다.
우측레그(5)와 좌측레그(6)는 보일러(15)에 공급하는 응축액 귀환라인(16)과 병렬로 연결된 헤더(9)에서 끝난다.
도시된 1개 이상의 냉각공기 팬(7)은 응축부(2)의 우측레그(5)와 좌측레그(6) 사이에 위치하며, 이곳을 통해 공기가 구동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우측레그와 좌측레그에 형성된 튜브와 핀 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주위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공냉 응축기의 상기 우측레그(5)와 좌측 레 그(6)에 형성된 튜브와 핀 어셈블리 사이에 죽은 곤충 및 조류 분료 또는 대기 먼지 및 그외 이물질이 형성되어 오염 및 부식되고, 이와 같이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해 이용률이 저하되면서 또 다른 오염이 초래한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우측레그(5)와 좌측 레그(6)가 오염되는 현상으로 공냉 응축기의 수명이 예상 수명보다 훨씬 적어지며, 어떤 제조사는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우측레그(5)와 좌측레그(6)의 형성된 핀과 튜브를 강철 핀 또는 뜨거운 아연 용액에 침지 도금하여 강철 튜브를 만들어 사용 하거나, 고가의 내식성을 위한 코팅을 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냉식 응축기의 우측레그(5)와 좌측레그(6)에 형성된 튜브와 핀 어셈블리가 오염 및 부식되는 현상을 좀더 보안하기 위해 기간을 정해 정기적으로 물 청소를 하고 있다.
이때 현재는 분사 압력이 낮은 장치를 사용하여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핀과 튜브 사이에 형성된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할 수 없었고, 원수를 그대로 분사하여 투입함으로써 2차 오염이 따랐으며,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시간이 장기화 되어 인적 비용 및 작업자의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대형 응축기의 세척작업을 자동으로 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단축되었고, 고압의 세청수로 인해 이물질을 좀더 깨끗하게 제거하여 응축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는 공냉 응축부의 정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된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부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공냉 응축부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사다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모듈을 Y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사다리부의 어느 한 곳에 고정되어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전환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사다리부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와,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구동 롤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구동 롤러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시 구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부가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는 감속비가 동일한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제 3 구동부는 상기 사다리부의 하부 이면에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서 전환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어 및 상기 캠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캠 기어로부터 받은 동력을 직선으로 왕복 운동하는 타이밍 벨트가 포함되어 이루지고, 상기 세척 모듈은 세로바와 가로바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로바 이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된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과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이면이 고정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이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지지부를 타고 구동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일측 상부에는 상기 타이밍 벨트가 구동할 때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폭은 상기 사다리의 좌우측 지지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레일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구동 롤러가 구동시 구간을 한정하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응축기의 세척작업을 자동으로 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단축되었고, 고압의 세청수로 인해 이물질을 좀더 깨끗하게 제거하여 응축기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는 사다리부(20)와, 제 1 구동부(100) 및 제 2 구동부(200)와, 제 3 구동부(300)와, 세척모듈(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다리부(20)는 공냉 응축기(2)에 형성된 레그부(5) 정면에 대응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또한 좌우측에 한 쌍의 지지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 사이로 다수개의 환봉이 등간격으로 균일하게 구비된다.
상기 사다리부(20) 상측에 설치된 제 1 구동부(100)는 제 1 구동모터(103)와, 제 1 구동롤러(105)와, 제 1 받침부재(101) 및 제 1 레일부(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구동모터(103)는 상기 사다리부(20)의 좌/우측 어느 한 곳에 고정설치되며,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구동롤러(105)는 상기 제 1 구동모터(103)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전환된 동력을 받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구동롤러(105)는 좌/우측 한 쌍으로 구비되고, 풀리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한 쪽의 롤러가 상기 제 1 구동모터(103)와 연결되어 구동되고, 다른 한 쪽의 롤러는 연동되어 구동된다.
상기 제 1 받침부재(101)는 상기 사다리부(20)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저면에는 상기 제 1 구동롤러(105)가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 1 레일부(107)는 상기 제 1 구동롤러(105)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냉 응축기(1)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길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롤러(105)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레일부(107)는 상기 공냉 응축기(1)의 상측에 형성되며, 단면이 "D"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받침부재(101)와, 상기 제 1 받침부재(10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구동롤러(105)가 상기 제 1 레일부(107)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구동되며, 상기 제 1 받침부재(101)는 상기 제 1 구동롤러(105)가 상기 제 1 레일부(107)를 따라 구동될 때 제 1 레일부(107)를 이탈하지 않고 정확히 구동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다리부(20)의 하측 저면에 설치된 상기 제 2 구동부(200)는 제 2 구동모터(205)와, 제 2 구동롤러(207)와, 제 2 받침부재(201) 및 제 2 레일부(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구동모터(205)와, 상기 제 2 구동롤러(207)의 연결 상태 및 구동 방법은 상기 제 1 구동모터(103)와, 상기 제 1 구동롤러(105)와 동일하다.
상기 제 2 받침부재(201)는 상기 사다리부(20)의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연장된 상기 제 2 받침부재(201)의 저면에는 상기 제 2 구동 롤 러(207)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레일부(203)는 상기 제 2 구동롤러(207)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일부(107)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구동롤러(207)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레일부(203)는 상기 공냉 응축기(1) 하부에 형성되고, 단면이 "I"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받침부재(201)도 상기 제 1 받침부재(101)와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다리부(2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제 1 구동부(100)와 하부에 구비된 상기 제 2 구동부(200)의 감속비가 동일한 상태로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구동됨으로써 길이가 긴 상기 사다리부(20)를 안전하게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다리부(20)의 지지부(21)를 따라 승강하는 세척모듈(400)은 도 5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가이드부(407)와, 구동롤러(403)와, 세척부(406)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407)는 단면이 "ㄷ"형태로 중간부가 일정 높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후설할 제 3 구동부(300)의 타이밍 벨트(301)의 일단과 고정되며, 정면 상측 끝부분에 상기 타이밍 벨트(301)가 지나갈 수 있도록 홈부(405)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롤러(409)는 상기 가이드부(407)의 대향되는 내측벽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부(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부(21)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짝수개로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21)와 교지함으로써 안전하게 상기 지지부(21)를 따라 상기 사다리부(20)의 길이만큼 Y축으로 구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1)는 상기 사다리부(20)의 발판 역할을 하는 환봉을 지지하고, 상기 세척모듈(400)의 상기 구동롤러(409)가 구동될 때 이동 구간을 안내하는 레일로 활용한다.
상기 세척부(406)는 세로바(402)와, 가로바(401) 및 노즐(4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로바(401)는 상기 가이드부(407)의 상부에 한 쌍이 상/하로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노즐(403)은 상기 가로바(401) 이면에 등각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노즐(403)에 의해 분출되는 고압의 세정수에 의해 상기 공냉 응축기(1)의 레그부(5)를 좀더 세밀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세로바(402)는 상기 가이드(401)의 정면에 고정되고, 좌/우측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로바(401)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이면에 형성된 고정홈부(405)와 나사로 연결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기 가로바(401)의 중간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또는 상기 가로바(40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구동부(200)에 형성된 제 2 레일부(203)의 양 끝단부와 상 기 사다리부(20)의 상측 끝단부에는 상기 제 2 구동롤러(207)와 상기 세척모듈(400)이 구동될 때 구간을 한정하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감지하는 감지센서(500, 501)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센서(500, 501)는 적외선을 이용한 적외선 감지센서 또는 이면에 스위치와 같은 터치했을 때 감지하는 터치식 감지 센서 등이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구동부(300)는 상부 캠 기어(305) 및 하부 캠기어(307)와, 타이밍벨트(301)와, 제 3 구동 모터(3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캠 기어는 사다리부(20)의 저면에 위치하고, 상부 캠 기어와 하부 캠 기어로 형성된다.
상기 타이밍 벨트(301)는 상기 상부 캠 기어와 하부 캠 기어 사이에 치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밍 벨트의 일부분은 상기 세척 모듈의 가이부 중앙부에 별도의 플레이트로 볼팅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 3 구동모터는 상기 사다리부 하부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캠 기어를 구동한다.
여기서 제 3 구동 모터는 상기 하부 캠 기어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하부 캠 기어가 구동되고, 상부 하부 캠 기어와 상기 상부 캠 기어 사이에 서로 치합되어 형성된 상기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함으로써 상기 세척 모듈을 승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3 구동부에 구비된 상기 상,하부에 캠 기어와 상기 타이밍 벨트는 원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데 설치된 구동 수단 이외에 본 작동 상태와 유사한 여러 구동 수단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다리부(2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세척 모듈(400)의 구동을 한정할 수 있도록 감지 센서(50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3 구동부(300)와 상기 지지부(21)에 교지된 상기 구동롤러(409)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세척 모듈(400)을 Y축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다리부(2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제 1 구동부(100)와 제 2 구동부(200)에 각각 구비된 제 1 구동 롤러(105)와 제 2 구동 롤러(207)가 제 1 구동 모터(103)와 제 2 구동 모터(205)에 의해 구동되면 공냉 응축기(2)의 길이만큼 형성된 제 1 레일부(107)와 제 2 레일부(203)를 따라 구동하여 일정 구간만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3 구동부(300)는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캠 기어(305, 307)와 상기 캠 기어 사이에 치합되어 구비된 타이밍 벨트(301)가 제 3 구동 모터(309)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타이밍 벨트(301)와 고정된 세척 모듈(400)이 상기 사다리부(20)의 좌우측에 형성된 지지부(21)에 교지된 구동 롤러(409)와 동시에 구동되어 상기 세척 모듈(400)을 Y축 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한다.
이때 X축의 레일부에 구비된 제 1 감지센서(500)와 Y축에 구비된 제 2 감지센서(501)에 의해 구동 구간을 이탈하지 않도록 감지하고, 구동시 움직이는 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부(100)와, 제 2 구동부(200)와, 제 3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세척 모듈(400) 또는 상기 사다리부(20)가 이동될 때 상기 세척 모듈(4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노즐(403)에서는 분사 압력이 강한 세정수가 분사된다.
이와 같이 상하좌우를 자유자재로 구동하면서 동시에 강한 세정수를 분사하여 공냉 응축기의 표면에 형성된 핀과 튜브를 세밀히 세척함으로써 대형 공냉 응축기의 세척 작업을 자동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세척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작업시간 및 작업 비용을 감소할 수 있으며, 고가의 응축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냉 응축기에 본 발명이 설치된 형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2: 공냉 응축기
20: 사다리부 100: 제 1 구동부
101: 제 1 받침부재 103: 제 1 구동모터
105: 제 1 구동롤러 107: 제 1 레일부
200: 제 2 구동부 201: 제 2 받침부재
203: 제 2 레일부 205: 제 2 구동모터
207: 제 2 구동롤러 300: 제 3 구동부
301: 타이밍 벨트 305: 상부 캠 기어
307: 하부 캠 기어 309: 제 3 구동모터
400: 세척모듈 401: 가로바
402: 세로바 403: 노즐
405: 홈부 406: 세척부
407: 가이드부 409: 구동롤러
500: 제 1 감지센서 501: 제 2 감지센서

Claims (8)

  1. 공냉 응축부의 정면과 대응되도록 구비된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사다리부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와;
    상기 사다리부를 따라 승강하며, 상기 공냉 응축부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되, 세로바와 가로바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가로바 이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된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일측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부분과 타이밍 벨트의 이면이 고정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이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지지부를 타고 구동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가 포함되는 세정 모듈 및;
    상기 사다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정모듈을 Y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되, 상기 사다리부의 하부 이면에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서 전환된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캠 기어 및; 상기 캠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사다리부의 중앙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캠 기어로부터 받은 동력을 직선으로 왕복 운동하는 타이밍 벨트가 포함되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사다리부의 상,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전환시키는 제 1,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2 구동 모터와 각각 연결되어 전환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사다리부를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 1, 2 구동 롤러와;
    상기 사다리부의 상부에 수직하고 하부에 수평으로 일체 고정되어 상기 제 1, 2 구동 롤러를 각각 지지하는 제 1, 2 받침부재 및;
    상기 제 1, 2 구동 롤러가 각각 접촉되어 구동시 구동 방향을 안내하는 제 1, 2 레일부가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 및 제 2 구동부는 감속비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일측 상부에는 상기 타이밍 벨트가 구동할 때 지나갈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의 폭은 상기 사다리의 좌우측 지지부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8. 삭제
KR1020080091471A 2008-09-18 2008-09-18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KR10089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71A KR100898620B1 (ko) 2008-09-18 2008-09-18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471A KR100898620B1 (ko) 2008-09-18 2008-09-18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620B1 true KR100898620B1 (ko) 2009-05-21

Family

ID=40862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471A KR100898620B1 (ko) 2008-09-18 2008-09-18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6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247B1 (ko) 2010-12-30 2012-06-13 (주)지코코리아 응축기의 이물질 세척장치
KR101856096B1 (ko) * 2016-12-09 2018-05-09 주식회사 선우티에스 에어핀 쿨러 클리너
KR20190003873A (ko) * 2017-06-30 2019-01-10 유윤석 열교환기용 에어팬쿨러 핀 튜브 클리닝장치
CN114279261A (zh) * 2022-01-04 2022-04-05 国家能源集团国源电力有限公司 一种空冷表面式换热器清洗系统及清洗方法
CN114345803A (zh) * 2021-12-30 2022-04-15 沈阳仪表科学研究院有限公司 冷却塔清洗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5894A (ja) * 1987-06-19 1988-12-2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熱交換器の作業装置
JPH09296998A (ja) * 1996-05-02 1997-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移動式バンドル洗浄装置
KR20040078704A (ko) * 2003-03-04 2004-09-13 정아라 폐열 회수기와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15894A (ja) * 1987-06-19 1988-12-2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熱交換器の作業装置
JPH09296998A (ja) * 1996-05-02 1997-11-18 Mitsubishi Heavy Ind Ltd 移動式バンドル洗浄装置
KR20040078704A (ko) * 2003-03-04 2004-09-13 정아라 폐열 회수기와 세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247B1 (ko) 2010-12-30 2012-06-13 (주)지코코리아 응축기의 이물질 세척장치
KR101856096B1 (ko) * 2016-12-09 2018-05-09 주식회사 선우티에스 에어핀 쿨러 클리너
KR20190003873A (ko) * 2017-06-30 2019-01-10 유윤석 열교환기용 에어팬쿨러 핀 튜브 클리닝장치
KR102050413B1 (ko) * 2017-06-30 2019-11-29 유윤석 열교환기용 에어팬쿨러 핀 튜브 클리닝장치
CN114345803A (zh) * 2021-12-30 2022-04-15 沈阳仪表科学研究院有限公司 冷却塔清洗装置
CN114279261A (zh) * 2022-01-04 2022-04-05 国家能源集团国源电力有限公司 一种空冷表面式换热器清洗系统及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620B1 (ko) 공냉 응축기의 핀 튜브 자동 세척장치
CN110088552B (zh) 直接空冷凝汽器温度在线监测系统和方法
CN109099724A (zh) 一种节能混合型冷却塔
CN105449986A (zh) 一种轨道交通牵引变流器用走行风冷式水冷系统
CN112371582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光伏组件自动清洗装置
CN111800994B (zh) 一种带有水冷结构的高压变频器及其工作方法
CN116241528A (zh) 一种工程钻机液压油循环冷却装置及其冷却方法
CN218089689U (zh) 一种热处理淬火油油温控制系统
CN110857775B (zh) 一种喷淋式吹灰器
CN111786274A (zh) 一种用于电力工程的减震散热电力柜
CN204064037U (zh) 一种管式干湿联合空冷器
KR20100035838A (ko) 하이브리드형 냉각탑
CN115116704A (zh) 一种油浸式变压器冷却器自动清洗装置
CN204752808U (zh) 正火退火炉内的钢管冷却装置
KR101177433B1 (ko)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CN220893030U (zh) 一种空冷岛喷淋降温装置
CN220507446U (zh) 一种冷却水循环机构
CN220869783U (zh) 一种气缸用水冷装置
CN219977148U (zh) 一种闭式冷却塔防冻装置
CN215725431U (zh) 一种空冷岛鳍片高压水冲洗装置
CN210568548U (zh) 一种空预器及ggh蓄热元件在线和离线电动机械冲洗设备
CN215064020U (zh) 一种新型空气预热器在线自动冲洗装置
KR101169909B1 (ko)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튜브 시트 상부 세정 장치
CN113465404B (zh) 空冷单元导流装置
CN214767285U (zh) 一种间冷塔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