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596B1 -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 Google Patents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596B1
KR100898596B1 KR1020080102009A KR20080102009A KR100898596B1 KR 100898596 B1 KR100898596 B1 KR 100898596B1 KR 1020080102009 A KR1020080102009 A KR 1020080102009A KR 20080102009 A KR20080102009 A KR 20080102009A KR 100898596 B1 KR100898596 B1 KR 100898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arts
produc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봉주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주)스타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타맵 filed Critical (주)스타맵
Priority to KR102008010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25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즈,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를 탄화하여 형성한 탄화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용매증발공정 및 압착공정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이를 압착하여 제조된 내화자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로 형성되어 내화성이 월등하고,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현저하고, 유연하고, 건조바인더를 포함하여 소수성이고, 부러지거나 찢어지지 않고, 가렵지 않은 생체친화성인 점이 월등하다
내화제품, 내화자재, 내화벽지,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질소함유 고분자, 파라아라미드, 탄화 화합물, 생체친화성, 내화성, 내열성, 건조바인더

Description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Refractory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refractory materials}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로 형성한 내화자재는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로 형성되어 가렵거나 찢어지지 않고 내화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생체친화성, 내구성이 강한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화제품은 소방복 등의 의류용, 직물, 호텔, 여관 또는 대형 건물의 실내 커튼, 카펫, 탁자, 책상 등의 가구의 덮개와 같은 인테리어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화시트, 내화벽지, 방화벽재, 또는 내화보드 등의 건축내장재, 자동차 비행기 등의 내부제품에 이용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대비하고 있다.
내화제품으로서 난연제 처리를 한 소재는 가연성 물질인 합성수지제품에 난 연제를 고착시켜 내화성을 주어 연소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내화처리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상기 난연제 처리 합성수지제품은 내화처리공정이 복잡하여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취급시 마찰 등에 의해 내화제가 이탈될 수 있으며 일정기간이 지나면 내화성이 저하되어 쉽게 연소되는 문제와 유기섬유의 연소시 유독성이 있는 가스를 방출하는 문제가 있다.
내화제품으로서 난연제 처리를 하지 않은 내화제품 소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성능, 경제성, 편리성 등에서 아직 만족할 만한 소재가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등장한 대표적인 내화제품 소재들은 탄화소재, 유리소재, 실리카 소재 등이 있다.
탄화소재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움직임이 없거나 바람이 없는 곳이거나 연소불꽃이 그리 크지 않은 현장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며 따거움이나 가려움이 없다. 그러나, 인장강도가 약하고 특히 연소불꽃에 노출된 이후에는 더욱 급격히 약해지고, 연소불꽃이 큰 경우에는 관통이 발생하며 연기 발생량이 많다.
유리소재는 가격이 가장 저렴하여 내화성능이 우수하나 공해물질인 석면의 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 기능을 상실하는 연화온도 850℃로 범용적인 내화소재로서 역할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려움 및 따거움을 동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실리카 소재는 현재 사용하는 소재중 내열성이 우수하며 열을 받은 후에도 타 소재에 비하여서도 강도 유지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비록 유리소재의 정도는 아니지만 유리소재와 마찬가지로 가려움을 수반한다. 그리고 가격이 타 소재에 비 하여 높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카-셀룰로오즈 혼합체와 사이징제를 넣어 컬러오프셋인쇄하여 형성한 도공지(일본 특개평 11-189991호)에 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도공지는 실리카로 형성되므로 여전히 가렵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남아있고, 건조용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아 친수성을 나타내므로 내화제품으로 사용하기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내화제품의 친수성의 문제점은 바인더로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한 화합물을 사용하고 부러지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은 질소함유 고분자를 사용하여 해결하고, 가려운 문제점은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를 사용하여 해결한 내화제품 조성물을 형성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로서,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용매증발공정 및 압착공정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이를 압착하여 제조된 내화자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를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또는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 인산, 또는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 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는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로 형성되어 내화성이 월등하고,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열성이 현저하고, 유연하고, 건조바인더를 포함하여 소수성이고, 부러지거나 찢어지지 않고, 가렵지 않은 생체친화성인 점이 월등하다.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로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내화제품의 내화성과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열성, 생체친화성을 위하여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로 형성된 내화제품은 내화성이 현저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1000℃의 고온에서도 용융이 일어나지 않으며, 열을 받은 후에도 타 소재에 비하여서도 강도 유지력이 우수하며, 가려움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또는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로 형성된 내화제품은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증가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아크릴로니트릴을 라디칼 중합시켜 얻는 비닐중합체인데, 주용도는 아크릴계 합성섬유이며 5% 정도의 제2성분이 혼성중합되어 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연화점이 300℃ 이상이며, 그대로 플라스틱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으나 고온에서 찌면 흑색의 내열성 반도체가 된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합성섬유로부터 만든 실 모양의 것은 1데니어당 2g 이상의 강도를 나타낸다.
폴리이미드는 내열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난연성이고, 전기 절연성이 좋고 충격 강도도 높다.
폴리아마이드는 나일론을 포함하고,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자기소화성, 난연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메타아라미드는 아라미드 중 메타형인 것으로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우수하다.
여기서 아라미드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형 수지의 총칭이다.
파라아라미드는 아라미드 중 파라형인 것으로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우수하다.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20 ~ 100 중량부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3 ~ 70 중량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에 한정 하지 않는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화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다.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적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의 함량이 적어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은 특성을 보인다.
또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즈,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를 탄화하여 형성한 탄화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상기 탄화 화합물을 함유한 상기 내화제품은 1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발화가 일어나지 않고 용융되지 않는다.
상기 탄화 화합물은 탄소를 함유한 셀룰로오즈 등의 천연화합물과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등의 합성물을 탄화하여 생성한 화합물로서 처리 온도에 따라 분자배열과 결정의 변화가 생기며 일반적으로 탄소의 육각고리가 연이어 층상격자를 형성하며 흑색이나 회색을 띤다.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크고 금속보다 가볍고, 금속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뛰어나다. 상기 탄화 화합물은 옥시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탄화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3 ~ 70 중량부와 상기 탄화 화합물 3 ~ 7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화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다.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적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은 특성을 보인다.
상기 탄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화성, 내구성, 내열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는 천연펄프, 천연솜, 또는 톱밥 등 셀룰로오즈 성분을 수화한 소듐실리케이트 또는 포타슘실리케이트 용액과 혼합한 후 3 ~ 24시간 동안 60 ~ 180 ℃에서 가열한 후 황산 또는 염산을 가하고 정제하여 형성된다.
먼저, 상기 셀룰로오즈 성분과 소듐실리케이트 산화수용액 또는 포타슘실리케이트 산화수용액을 혼합한다. 이때, 소듐실리케이트 산화수용액 또는 포타슘실리케이트 산화수용액은 소듐실리케이트 또는 포타슘실리케이트의 수용액인 물유리를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을 3 ~ 24시간 동안 60 ~ 180 ℃에서 가열하여 알칼리금속 리그닌 셀룰로오즈 고분자와 소듐실리케이트 혼합물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알칼리금속 리그닌 셀룰로오즈 고분자와 수화된 소듐실리케이트 혼합물에 황산 또는 염산을 가한 다음 정제하여 탈수반응시키면 산소로 연결되는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가 얻어진다.
하기 화학식 1에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의 화학 구조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72311499-pat00001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합성수지 바인더로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바인더는 수용액상에서 반응시켜 생성한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의 수산기(OH)들과 반응하여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를 건조시키고 소수화시킨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의 수산기(OH)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과 유사한 반응을 하여 소수성 수지를 형성한다.
상기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의 수산기(OH) 또는 에테르(-O-)기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과 유사한 반응을 하여 소수성 수지를 형성한다.
상기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의 수산기(OH) 또는 에테르(-O-)기와 반응하여 폴리우레탄과 유사한 반응을 하여 소수성 수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또는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 인산, 또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의 유기인 화합물은 연소시 폴리인산으로 변화하고, 표면에 형성된 폴리인산막이 보호막으로 작용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상기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은 연소시 폴리메타크릴산으로 변화하고, 상기 폴리메타크릴산의 탈수작용에 의해 생기는 탄소피막에 의해 산소가 차단된다.
상기 인산은 연소시 표면에 인산층을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내화 복합사를 함침할 때 균일한 함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이다.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열성 또는 내화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화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부식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범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균일한 함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유성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용매증발공정 및 압착공정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이를 압착하여 제조된 내화자재를 제공한다.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의 용매를 증발시킨 후 압착하여 제조하므로 두께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고,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형태안정성이 크고, 직물과 같이 끝부분이 풀리는 일이 없다. 또한, 어떠한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재단이 가능하고, 강도의 범위가 넓고, 보온성과, 흡수성, 단열성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사이징제를 혼합하여 형성 된 내화벽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징제는 형태안정을 위해 혼합하는 화합물로 인산, 아인산, 황산, 염산, 질산, 황산알루미늄, 알킬케텐이량체(alkyl ketene dimer, AKD), 알킬 숙신산무수물(alkyl succinic anhydride, ASA), 실릴기를 갖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 조성물에 금속박을 넣어 형성한 상기 내화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 조성물에 물, 무기화합물, 결합제, 또는 발포제를 혼합하여 형성한 상기 방화벽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 조성물에 소석고를 혼합하여 형성한 상기 내화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를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또는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 인산, 또는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내화성, 내열성, 또는 생체친화적인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내열성, 기계적 강도, 또는 유연성이 높은 질소함유 고분자를 난연제인 상기 유기인 화합물과 상기 인산과 첨가제인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의 유기인 화합물은 연소시 폴리인산으로 변화하고, 표면에 형성된 폴리인산막이 보호막으로 작용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상기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은 연소시 폴리메타크릴산으로 변화하고, 상기 폴리메타크릴산의 탈수작용에 의해 생기는 탄소피막에 의해 산소가 차단된다.
상기 인산은 연소시 표면에 인산층을 형성하여 산소를 차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내화 복합사를 함침할 때 균일한 함침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또는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이다.
여기서,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함량은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이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화성,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다.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난연성, 방염성이 적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의 함량이 적어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은 특성을 보인다.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열성 또는 내화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인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내화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부식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범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균일한 함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유성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즈,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를 탄화하여 형성한 탄화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탄화 화합물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함량은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탄화 화합물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유기 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이다.
상기 탄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내화제품의 내화성, 내구성, 내열성이 감소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화제품이 부드럽지 않다.
그 외 함량에 대한 기재는 앞의 기재를 원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90 중량부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10 중량부를 트리페닐포스페이트의 유기인화합물 10 중량부, 인산 3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2 중량부와 혼합하여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화벽지 및 그 제조방법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90 중량부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10 중량부를 트리페닐포스페이트의 유기인화합물 15 중량부, 인산 20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2 중량부를 사이징제인 알킬 숙신산무수물(alkyl succinic anhydride, ASA)와 혼합하여 건조시켜 내화벽지를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셀룰로오즈 성분을 수화한 소듐실리케이트 용액 또는 수화한 포타슘실리케이트 용액과 혼합하여 가열한 후 황산 또는 염산을 가하고 정제한 후 합성수지 바인더에 고정하여 형성한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를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20 ~ 100 중량부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3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셀룰로오즈,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를 탄화하여 형성한 탄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3 ~ 70 중량부와 상기 탄화 화합물 3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는 천연펄프, 천연솜 또는 톱밥 등 상기 셀룰로오즈 성분을 상기 수화한 소듐실리케이트 용액 또는 상기 수화한 포타슘실리케이트 용액과 혼합한 후 3 ~ 24시간 동안 60 ~ 180 ℃에서 가열한 후 상기 황산 또는 상기 염산을 가하고 정제하여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바인더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은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또는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 인산, 또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기재된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용매증발공정 및 압착공정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이를 압착하여 제조된 내화자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자재는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에 사이징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내화벽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자재.
  11.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와 질소함유 고분자를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또는 포스가드의 유기인 화합물, 인산, 또는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메타아라미드, 또는 파라아라미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질소함유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함량은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셀룰로오즈, 아크릴 섬유, 비닐론, 피치,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고분자를 탄화하여 형성한 탄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즈 실리케이트 고분자 함량은 20 ~ 100 중량부, 상기 질소함유 고분자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탄화 화합물 함량은 3 ~ 70 중량부, 상기 유기인화합물의 함량은 2 ~ 20 중량부, 인산의 함량은 5 ~ 80 중량부, 또는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0.05 ~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80102009A 2008-10-17 2008-10-17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KR100898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09A KR100898596B1 (ko) 2008-10-17 2008-10-17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09A KR100898596B1 (ko) 2008-10-17 2008-10-17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596B1 true KR100898596B1 (ko) 2009-06-16

Family

ID=4098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009A KR100898596B1 (ko) 2008-10-17 2008-10-17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5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75B1 (ko) * 2017-05-25 2018-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열 기능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8624A (zh) * 2018-03-07 2018-09-07 杭州桐阁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熟地黄饮片及丸剂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37B1 (ko) * 1987-10-28 1992-02-01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방염 및 방화성 탄소질 섬유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28714A (ko) 2003-09-19 2005-03-23 박봉국 물유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구성이 우수한 내화피복용조성물과 그 제조법
KR20060134115A (ko) * 2004-03-23 2006-12-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층상 하이 로프트 난연성 배팅, 상기 배팅을 함유하는 물품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6582A (ko) 2004-11-23 2007-08-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릿지 및 그루브를 갖는 강화 부직 방화 패브릭 및 이에의해 방화된 물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037B1 (ko) * 1987-10-28 1992-02-01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방염 및 방화성 탄소질 섬유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28714A (ko) 2003-09-19 2005-03-23 박봉국 물유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구성이 우수한 내화피복용조성물과 그 제조법
KR20060134115A (ko) * 2004-03-23 2006-12-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층상 하이 로프트 난연성 배팅, 상기 배팅을 함유하는 물품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6582A (ko) 2004-11-23 2007-08-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릿지 및 그루브를 갖는 강화 부직 방화 패브릭 및 이에의해 방화된 물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175B1 (ko) * 2017-05-25 2018-06-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열 기능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98624A (zh) * 2018-03-07 2018-09-07 杭州桐阁堂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熟地黄饮片及丸剂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ao et al. High-efficiency flame retardants of a P–N-rich polyphosphazene elastomer nanocoating on cotton fabric
Xu et al. Highly efficient flame-retardant kraft paper
US5645926A (en) Fire and heat resistant materials
Zhu et al. A phytic acid-based chelating coordination embedding structure of phosphorus–boron–nitride synergistic flame retardant to enhance durability and flame retardancy of cotton
KR101079871B1 (ko) 다용도 기능성 솜 및 이의 제조방법
Zheng et al. A reactive flame retardant ammonium salt of diethylenetriaminepenta (methylene-phosphonic acid) for enhancing flame retardancy of cotton fabrics
CA2777822C (en) Fiberglass composite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from phosphorous-contai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00053324A (ko) 할로겐이 없는 내화성 조성물, 그로부터 만들어진 내화성 얀, 및상기 얀을 포함한 내화성 방직 구조물
Gou et al. Novel phosphorus/nitrogen-rich oligomer with numerous reactive groups for durable flame-retardant cotton fabric
Li et al. Layer-by-layer self-assembly of organic-inorganic hybrid intumescent flame retardant on cotton fabrics
Ma et al. Eco-friendly, efficient and durable fireproof cotton fabric prepared by a feasible phytic acid grafting route
EP1478692A2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es and method of fabrication
KR100898596B1 (ko) 내화제품 제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내화자재
US20120315457A1 (en) Fiberglass composite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Nakhate et al. Phosphorus grafted chitosan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based nanocomposite as a novel flame-retardant material for textile and wood
DE19718876A1 (de) Textile Feuer- und Thermosperren
Zuo et al. Fabrication of durable flame retardant PAN fibers through bio-based ammonium phytate surface modification and highly efficient thermal oxidation
US5082727A (en) Flameproof product
Shi et al. Ecofriendly and durable flame-retardant cotton fabric based on alkyl/N/B/P modified meglumine with high efficiency
JP2001226894A (ja) 防炎障子紙及びその製造方法
Vroman et al. Guanidine hydrogen phosphate-based flame-retardant formulations for cotton
RU223158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ого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JP4722638B2 (ja) 粘着テープ基布織編物
CN113272486A (zh) 阻燃非织造纤维幅材
KR200371495Y1 (ko) 환경친화형 난연액으로 처리된 흡음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