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526B1 -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526B1
KR100896526B1 KR1020080113959A KR20080113959A KR100896526B1 KR 100896526 B1 KR100896526 B1 KR 100896526B1 KR 1020080113959 A KR1020080113959 A KR 1020080113959A KR 20080113959 A KR20080113959 A KR 20080113959A KR 100896526 B1 KR100896526 B1 KR 10089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oreign matter
fluid
strainer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080113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를 타고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동시에 유량계의 전단에 설치될 경우 직관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통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원형캡과 같은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외측으로 이물질이 모아지는 이물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는 격자 형태를 갖는 정류격자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거름망에 걸려 이물질 공간에 모아진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스크린을 통과한 유체는 정류격자를 통하여 안정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스크린, 스트레이너, 격자, 이물질

Description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Lattice strainer}
본 발명은 관로를 타고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동시에 유량계의 전단에 설치될 경우 직관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관로 내를 흐르는 유체는 일반적으로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게 여과된 상태로 이송되게 되나, 여과과정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 또는 유체의 이송과정에서 관로 내부의 자생 이물질의 투입으로 인하여 유체에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게 되며, 이러한 이물질은 제거해 주어야 청결한 관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로에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수밸브와는 별도로 스트레이너(Strainer)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된 스트레이너는 관로를 가로막는 스크린을 설치한 후 상기 스크린에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고, 상기 스크린에 걸러진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제수밸브 일체형 스트레이너를 등록 받은 바 있으나(등록실용 20-0383870), 상기 선 등록 실용신안에서 사용되는 스크린은 W자 형태를 갖고 유체에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관계로 이물질이 스크린에 걸러질수록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구가 스트레이너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관계로, 이물질 제거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었다.
즉, 기존의 스트레이너는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이 유체의 흐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관계로 유체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유체의 흐름 방향에 의하여 스크린에 붙어 있는 형태가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스크린에 걸린 이물질로 인하여 유체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가 있으며, 통상 맨홀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의 하측으로 설치된 제거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제거구의 설치를 위하여 맨홀을 더 깊게 설치하거나 좁은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맨홀에서 유량계의 전단에 스트레이너가 설치되게 되나, 기존의 스트레이너는 스크린을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낼 때 와류 또는 소용돌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안정화시켜 유량계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량계의 전단에 직관부를 반드시 형성시켜야 한다.
상기 직관부는 길게 형성될수록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켜 유량계에서 정확한 유량 측정이 이루어지게 되나, 스트레이너와 유량계가 모두 맨홀에 설치되는 이상 좁은 공간이 맨홀의 내부에서 직관부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며, 유체의 흐름을 안정화시켜 유량계 설치시 직관부 길이를 줄이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스크린이 원형캡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에 걸린 후 외측으로 모아져 유체의 흐름에는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고, 스크린의 후방에는 정류격자를 설치하여 스크린의 강도를 높이는 한편 유체의 흐름을 빠르게 안정화시켜 유량계 설치시에도 직관부의 길이를 줄여 밸브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몸통을 흐르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원형캡과 같은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의 외측으로 이물질이 모아지는 이물질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린의 후방에는 격자 형태를 갖는 정류격자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거름망에 걸려 이물질 공간에 모아진 후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스크린을 통과한 유체는 정류격자를 통하여 안정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원형캡과 같은 형태의 스크린에서 걸러진 후 스크린의 외측으로 모아지게 되고, 상기 스크린을 통과한 유체는 정류격자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원형캡 형태의 스크린 외측으 로 모아지게 되어 유체가 흐를 때 스크린이 방해를 하지 않게 되고, 스크린의 후방에 정류격자가 받치게 되어 스크린의 강도를 높이는 한편 유체가 정류격자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후방에 유량계를 설치할 경우 직관부의 길이를 짧게 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에 유체압이 걸린 상태에서 스크린으로 걸러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로 사이에 결합되는 몸통을 구비하되 상기 몸통의 일측으로 몸통보다 직경이 넓고 일측으로 커버가 결합되는 이물질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원형캡 형태의 스크린을 설치하며, 상기 스크린의 후방으로 격자 형태의 정류격자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크린은 원형캡 형태를 갖고 거름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게 되며, 유체는 상기 스크린을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되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스크린에 걸러진 후 스크린의 형상에 따라 스크린의 측면으로 모아지게 하고, 상기 이물질이 모아지는 곳으로 이물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은 이물질 공간으로 모아지면서 스크린에 붙어있지 않게 되며, 상기 이물질 공간에는 커버를 체결하여 필요시 커버를 벗기고 이물질 공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크린을 거름구멍이 형성되게 원형캡 형태로 제작하는 이유는 몸통의 유체 통로를 가로막은 형태로 스크린을 설치할 때 유체가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최소의 저항을 받도록 하는 한편 거름구멍으로 걸러진 이물질이 스크린의 외측 형상을 타고 이동하여 이물질 공간에 쌓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커버에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 평상시 밸브를 닫아 놓았다가, 이물질 공간에 이물질이 쌓일 경우 유체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드레인 밸브를 열어 이물질 공간에 쌓인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스크린 후방에는 격자 형태를 갖는 정류격자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서 스크린을 통과한 유체는 정류격자를 통하여 안정된 후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몸통은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밸브실 내부에서 커버를 벗기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한 위치에 커버가 위치하도록 몸통을 설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관로(1)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크린(30)이 설치되며 이물질 공간(20)이 형성된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원형캡 형태를 갖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의 내측에 끼워지고 격자 형태를 갖는 정류격자(40)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상기 몸통(10)은 양측으로 플렌지(11)(12)를 형성하여 관로(1)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는 스크린(30)의 외측으로 공간을 넓힌 이물질 공간(20)을 형성하며, 상기 이물질 공간(20)은 커버(21)를 씌움으로써, 커버(21)를 열고 이물질 공간(20)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커버(21)에는 드레인 밸브(50)를 설치하여 필요시 드레인 밸브(50)를 열어 이물질 공간(20)에 채워진 이물질을 배출시키되 이 경우 스트레이너(100)는 커버(21)가 하측을 위치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적용 가능한 것으로, 결국 커버(21)가 하부를 향한 상태로 스트레이너(100)를 설치할 경우 드레인 밸브(50)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체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30)은 원형캡 형태를 갖고 수 많은 거름구멍(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반드시 원형캡 형태일 필요는 없으나, 유체가 흐르는 통로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30)에 걸릴 경우 스크린(30)의 외측을 타고 이동하여 이물질 공간(20)에 쌓일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 스크린(30)은 선단에 몸통(10)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31)를 고정시키게 되며, 상기 스크린(30)은 이물질 공간(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결합돌기(31)가 이물질 공간(20)의 벽면에 닿아 고정되게 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스크린(30)의 돌출된 부위가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크린(30)에 걸린 후 결합돌기(31)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류격자(40)는 격자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 스크린(30)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게 되는 한편 유체가 흐르는 통로를 채우게 되어, 스크린(30)을 통과한 유체는 상기 정류격자(40)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유체의 와류나 소용돌 이 등이 발생되지 않은 안정된 유체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정류격자(40)는 몸통(10)에 고정된 상태로 스크린(30)의 배면을 골고루 받치게 되므로, 스크린(30)이 유압에 의하여 밀리게 되는 경우를 없앰으로써, 스크린(3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몸통(10)의 일측에는 플렌지 커버(15)를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스크린(30)을 설치하기 위하여 유체 통로를 넓힌 것을 좁히도록 하고, 상기 플렌지 커버(15)의 결합부위와 커버(21)의 결합우위에 가스켓을 사용하는 것은 관용의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원형캡 형태를 갖고 거름구멍(32)이 뚫린 스크린(30)의 내측으로 격자형 정류격자(40)를 끼워 넣은 후 정류격자(40)와 스크린(30)의 연결부위를 용접하여 고정시키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정류격자(40)를 먼저 이물질 공간(20)으로 밀어 넣어 정류격자(40)가 몸통(10)의 유체통로에 끼워지는 동시에 스크린(30)에 형성된 결합돌기(31)가 이물질 공간(20)에 닿을 때까지 끼워준다.
그리고 결합돌기(31)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플렌지 커버(15)를 끼워 볼트 등으로 고정시키면 조립이 완료되며, 이물질 공간(20)에는 커버(21)를 볼트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이너(100)는 관로(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쪽의 플렌지(11)(12)를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은 스크린(30)에 걸리게 된 후 스크린(30)의 형상에 따라 양측으로 몰려 이물질 공간(20)에 쌓이게 되고, 이물질 공간(20)에 쌓인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커버(21)를 열고 청 소하면 된다.
여기서 커버(21)가 하부를 향하게 설치되고 드레인 밸브(50)가 설치되는 경우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드레인 밸브(50)를 열어 이물질 공간(20)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어 깨끗한 물이 배출되면 드레인 밸브(50)를 닫아 주면 된다.
상기 스크린(30)은 이물질을 걸러낸 후 이물질이 스크린(30)의 거름구멍(32)을 막지 않고 양쪽으로 밀려있게 하므로, 유체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는 효과와 함께 스크린(30)의 후방을 정류격자(40)가 받치고 있어, 스크린(30)이 유체 압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음과 동시에 높은 유체압력을 견딜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에서 걸러진 후 이물질 공간(20)에 쌓인 이물질은 유체의 흐름을 중지시킨 후 외부에서 커버(21)를 열고 제거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의 커버(21)는 스트레이너(100)의 설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청소와 점검이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1)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스트레이너(100)를 결합시킴으로써 청소와 점검을 하는데 방향에 따른 불이익을 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100)는 정류격자(40)에 의해 유체가 와류가 소용돌이 현상 없이 안정된 형태로 흐르게 되므로, 유량계(200)의 앞단에 설치하는 경우 정확한 유량 측정을 위하여 상당한 길이를 요구하는 직관부의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어, 밸브실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스크린(30)을 통과한 유체는 정류격자(40)를 통과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흐르게 되어, 유량계(200)의 전단에서 직관부의 길이를 짧게 주어도 유량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하등 문제가 없게 되므로,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100)를 사용하는 경우 직관부의 길이를 줄여 밸브실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유량계(200)를 설치하는 경우는 스트레이너(100)를 유량계(200)의 전단에 설치하고, 상기 스트레이너(100)의 전단과 유량계(200)의 후단에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210)(220)를 설치하며, 상기 밸브(210)(220)의 전후단에는 바이패스관로(250)를 연결하되 상기 바이패스관로(250)에도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23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레이너(100)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이물질을 거르는 한편 걸러진 이물질은 양쪽으로 이동시켜 스크린(30)이 막히지 않게 하며, 정류격자(40)의 설치로 스크린(30)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편 유량계(200) 설치 시 직관부의 길이를 줄여줄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고 점검하기 위한 커버(21)를 접근과 설치가 용이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 청소와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단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린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류격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린과 정류격자 조립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유량계와 설치되는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드레인 밸브 설치상태 실시예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드레인 작동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통 11,12 : 플렌지
15 : 플렌지커버 20 : 이물질 공간
21 : 커버 30 : 스크린
31 : 결합돌기 32 : 거름구멍
40 : 정류격자 50 : 드레인밸브
100 : 스트레이너

Claims (3)

  1. 관로(1)사이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크린(30)과 정류격자(40)가 끼워져 고정되고 이물질이 모아지는 이물질 공간(20)이 형성되는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이물질 공간(20)에 체결되는 커버(21)와,
    상기 몸통(10)의 유체 통로에 끼워져 고정되고 거름구멍(32)이 형성되는 원형캡 형태의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격자 형태를 갖는 정류격자(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린(30)에는 몸통(10)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31)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3. 삭제
KR1020080113959A 2008-11-17 2008-11-17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KR10089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59A KR100896526B1 (ko) 2008-11-17 2008-11-17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959A KR100896526B1 (ko) 2008-11-17 2008-11-17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6526B1 true KR100896526B1 (ko) 2009-05-12

Family

ID=4086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959A KR100896526B1 (ko) 2008-11-17 2008-11-17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5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986U (ko) * 1995-11-21 1997-06-18 최덕호 스트레이너
KR200347814Y1 (ko) * 2003-12-08 2004-04-17 이철중 스트레이너
KR200389968Y1 (ko) 2005-02-24 2005-07-14 신재보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986U (ko) * 1995-11-21 1997-06-18 최덕호 스트레이너
KR0130576Y1 (ko) * 1995-11-21 1998-12-15 최덕호 스트레이너
KR200347814Y1 (ko) * 2003-12-08 2004-04-17 이철중 스트레이너
KR200389968Y1 (ko) 2005-02-24 2005-07-14 신재보 상수도배관용 스트레이너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1509234B1 (ko) 스트레이너 필터조립체
KR101401581B1 (ko) 공동주택의 역류 방지용 배수관 라인
JP3194719U (ja) 蒸気復水排出装置
JP2011158113A (ja) 貯湯式温水器用排水ホッパー
KR100896526B1 (ko) 정류격자형 스트레이너
KR100919816B1 (ko) 수도계량기용 스트레이너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KR101573682B1 (ko) 스트레이너장치
JP2011125792A (ja) 縦形ストレーナ
JPH07173863A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CN208448788U (zh) 一种快速排污过滤器
KR200207850Y1 (ko) 이물질 수집통이 장치된 스트레이너
KR0137780Y1 (ko) 수도미터용 앵글밸브
KR20100102467A (ko) 여과망이 형성된 유니온 패킹
KR200333645Y1 (ko) 여과망을 설치한 자력 수처리기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CN211676622U (zh) 管道拦污器
CN205530614U (zh) 地沟星盆
TWI829026B (zh) 過濾器
JP6035471B2 (ja) 排水配管
PL194246B1 (pl) Urządzenie z co najmniej jednym kanałem dla płynu
KR930002488Y1 (ko) 자동배수에 의한 세척식 여과장치
CN214209633U (zh) 一种带粗过滤器的螺旋排气集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