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500B1 -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500B1
KR100896500B1 KR1020070140154A KR20070140154A KR100896500B1 KR 100896500 B1 KR100896500 B1 KR 100896500B1 KR 1020070140154 A KR1020070140154 A KR 1020070140154A KR 20070140154 A KR20070140154 A KR 20070140154A KR 100896500 B1 KR100896500 B1 KR 10089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ffeine
transdermal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3186A (ko
Inventor
강진양
김상일
Original Assignee
(주)코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151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65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바스 filed Critical (주)코바스
Publication of KR2008006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ⅰ) 카페인 0.1~10.0중량부; ⅱ) 녹차 추출물, 담쟁이 추출물, 바닷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과일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 0.01~10.0중량부; ⅲ)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메틸셀룰로오스,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폴리올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 및 ⅳ) 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틴산,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록사머, 디메틸설폭사이드, 도데칸올, 헥산에톡실레이트, 알코올, 유카립톨, 리모넨 옥사이드, 라우로카프람, 박하유, 알파리모넨, 올레인산, 라우린산, 페놀-4-부톡시메틸-2-메톡시-비닐부틸에테르,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흡수 촉진제 0.00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경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및 습포제는 지방 분해 물질의 체내 투과성을 향상시켜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수화 효과를 증대시키며, 피부 자극을 제거 또는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보수성, 유연성 및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다.
습포제, 경피 조성물, 카페인, 생물학적 활성물질, 점착성 고분자, 피부 흡수 촉진제

Description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 그 제조방법 {TRANSDERMAL COMPOSITION FOR REMOVING CELLULITE, CATAPLASMA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지방 분해 물질의 체내 투과성을 향상시켜 지방 분해 및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수화 효과를 증대시키고, 피부 자극을 제거 또는 최소화한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 전반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건강상의 이유로 또는 미용상의 이유로 체지방 감소에 대한 다양한 노력들이 있다. 이러한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물질로서 카페인에 대한 관심이 최근 높아지고 있다.
카페인은 커피, 홍차, 녹차, 코코아, 청량 음료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로, 의학적으로는 중추신경계 흥분, 심장 흥분, 관상혈관 및 말초혈관 확장, 뇌 혈관 수출, 골격근 흥분, 위산 분비 촉진, 이뇨 촉진 등의 작용을 나타내어, 신생아 무호흡증, 각성 유지, 중추 흥분 등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카페인(1,3,7-트리메틸크산틴)은 테오필린(theophylline) 또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과 같은 메틸크산틴계 알칼로이드에 속한다. 카페인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세포내 칼슘 이온을 증가시키거나 사이클릭 뉴클레오티드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cyclic nucleotide phosphodiesterase)를 억제시킴으로써, 세포내 cAMP를 증가시키며 아데노신 수용체를 봉쇄한다. Tmax는 15~45분이며, T1 /2는 성인을 기준으로 3~7.5시간, 평균 4.9시간이다.
이와 같이 카페인은 부신 수질로부터 카테콜라민(catecholamine)의 분비를 증가시켜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아제(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하고, cAMP 분해 효소인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phosphodiesterase, PDE)를 억제하여 지방 세포 내의 cAMP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카페인은 체지방으로부터 유리 지방산(free fatty acid, FFA)으로의 산화를 촉진하는 리포프로테인 리파아제(lipoprotein lipase, LPL)를 활성화하는 cAMP의 농도를 증가시키므로, 최근에는 카페인을 경구 투여 또는 피하 주사를 이용하여 국소 적용함으로써 체지방 감소 용도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
그러나, 카페인의 경구 투여시에는 약효 발현과 함께 전신적 부작용으로 진전, 오심, 불면, 초조 등의 증상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단 증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하 주사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의 불편 함으로 인하여 일정 약물 농도의 국소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카페인의 체지방 감소 효과를 최적으로 이용하면서 기존의 투여 방식에서 우려되는 부작용을 제거할 수 있는 카페인의 경피 투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는 실정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는 경피 투여 방식 중의 하나인 습포제(cataplasma)는 경고제(plaster)와 함께 첩부제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분말 의약품을 글리세린, 물 또는 기타 적당한 액상 물질과 혼화한 후, 정유 성분 또는 방향제 등을 가해서 균등히 혼화하여 제조되는 수중유형(O/W) 외용제이다. 습포제는 유효성분의 서방성 방출 특성을 가지며, 수용성 용매를 이용하므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반면에, 면적당 고체 도포량이 많고 효과적인 약물 전달이 어려우며 비후하여 사용이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경피용 성형 제제를 이용하는 경우, 초기 환부에 첨포 시 체온이나 땀 등에 의하여 연화되거나 고체의 일부가 피부에 달라붙어 잔류할 수 있으며, 사용 중에 경시 변화가 생겨 석고상으로 되고 완전하게 박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카페인의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켜 체지방 감소 효과를 최적으로 발휘하도록 하면서, 보수성(保水性), 유연성, 점착성 및 밀착감이 우수하며, 온도, 습도 등의 주위 환경 및 경시적 변화에 따른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경피 흡수 제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카페인을 지방 분해 약물로 함유하고, 그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는 특정 조성의 경피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카페인의 체지방 분해 효과를 최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페인, 생물학적 활성물질, 점착성 고분자 및 피부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피 조성물을 함유하여, 체지방 분해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최소화되어 그 특성이 향상된 습포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ⅰ) 카페인 0.1~10.0중량부; ⅱ) 녹차 추출물, 담쟁이 추출물, 바닷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과일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 0.01~10.0중량부; ⅲ)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메틸셀룰로오스,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폴리올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 및 ⅳ) 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틴산,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록사머, 디메틸설폭사이드, 도데칸올, 헥산에톡실레이트, 알코올, 유카립톨, 리모넨 옥사이드, 라우로카프람, 박하유, 알파리모넨, 올레인산, 라우린산, 페놀-4-부톡시메틸-2-메톡시-비닐부틸에테르,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부 흡수 촉진제 0.00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ⅰ)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를 물과 혼합한 후, 50~7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ⅱ) 카페인 0.1~10.0중량부, 생물학적 활성물질 0.01~10.0중량부 및 피부 흡수 촉진제 0.001~20.0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ⅲ) ⅰ) 단계의 혼합액과 ⅱ)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점착성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침투성 보호층, 점착성 매트릭스층 및 탈착층을 포함하는 습포제로서, 상기 점착성 매트릭스층은 상기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 분해 물질로 이용되는 카페인의 피부 투과도를 향상시켜 지방 분해 효과를 최적화하고 우수한 셀룰라이트 제거 효과를 가지며, 간 및 위장관에서 유효 약물이 분해되거나 대사되어 불활성화되는 것을 피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속도로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며, 목표 부위에만 약물을 흡수, 침투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수화 효과를 증대시키고 피부의 자극도 제거 또는 최소화되어 그 사용이 매우 용이한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피 조성물을 함유하는 습포제는 보수성, 유연성 및 피부에 대한 점착성이 우수하며, 환부의 움직임에 따라 밀착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 등의 주위 환경, 경시적 변화에 따른 높은 안정성을 갖는 향상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은 카페인, 생물학적 활성물질, 점착성 고분자 및 피부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며, 습포제용으로 이용되어 향상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카페인을 습포제 형태로 경피 적용함으로써, 간 및 위장관에서 약물이 분해되거나 대사되어 불활성화되는 간초회 통과효과(first-pass effect)를 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경구 투여나 피하 주사에 의한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제거할 수 있으며, 카페인의 지방 분해 효과를 목표 부위에 집중시킬 수 있으며 셀룰라이트 제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방 분해 약물인 카페인은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어 서방성 방출 특성을 나타내며, 그 피부 투과도가 향상되어 지방 분해 효과를 집중적으로 높일 수 있다. 카페인은 바람직하게는 0.1~10.0중량부 포함되며, 카페인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 분해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으며 오히려 카페인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담쟁이 추출물, 바닷말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과일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물질 0.01~10.0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활성물질 은 지방 분해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녹차 추출물에 포함된 카테킨은 체내의 중성지방과 노폐물을 배출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추가적인 지방 분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녹차 추출물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및 토코페롤 등이 포함되어 피부세포 건강에 도움을 주며, 피부 노화 억제에도 효능이 있다.
담쟁이 추출물은 최근 화장품 등의 원료로 이용되는 것으로 피부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바닷말 추출물은 요산을 함유하고 있어 지방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 추가적인 지방 분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칼슘 및 미네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은 혈액 순환, 혈행 개선, 간 기능 개선 및 간 세포 보호 등의 다양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과일산 추출물의 예로는 월귤(vaccinium myrtillus), 사탕수수(Saccharum officinarum), 레몬(Citrus limonum),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은단풍(Acer saccharinum)등의 추출물을 들 수 있으며, 피부 노폐물 제거 등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활성 약물은 0.01~10.0중량부로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며,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생물학적 활성 약물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녹차 추출물 0.1 내지 20.0중량부, 담쟁이 추출물 0.1~10.0중량부, 바닷말 추출물 0.1~20.0중량부, 은행잎 추출물 0.1~20.0중량부 및 과일산 추출물 0.0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메틸셀룰로오스,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및 폴리올 프레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를 포함한다. 점착성 고분자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보수성, 유연성이 저하되어, 피부 밀착성이 떨어지며, 주위 환경 및 경시 변화에 따른 안정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혼합물로 이용되는 경우,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착성 고분자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염 1~30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1~30중량부, 젤라틴 1~20.0중량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소듐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0.1~20.0중량부,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1~30중량부 및 폴리올 프레폴리머 0.1~20.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습포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지방 분해 약물인 카페인 및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피부 흡수 촉진제는 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틴산,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록사머, 디메틸설폭사이드, 도데칸올, 헥산에톡실레이트, 알코올, 유카립톨, 리모넨 옥 사이드, 라우로카프람, 박하유, 알파리모넨, 올레인산, 라우린산, 페놀-4-부톡시메틸-2-메톡시-비닐부틸에테르,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 및 라놀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흡수 촉진제는 0.001~20.0중량부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한 피부 흡수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더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피부 흡수 촉진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부 흡수 촉진제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메틸피롤리돈, 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틴산,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록사머, 디메틸설폭사이드, 도데칸올, 헥산에톡실레이트, 알코올, 유카립톨, 리모넨 옥사이드, 라우로카프람, 박하유, 알파리모넨, 올레인산, 라우린산, 페놀-4-부톡시메틸-2-메톡시-비닐부틸에테르 및 1-도데실아자사이클로헵탄-2-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 0.0001~20.0중량부 및 라놀린 0.1~10.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카페인, 생물학적 활성물질, 점착성 고분자 및 피부 흡수 촉진제와 잔량으로 물,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습포제용 경피 조성물에 함유되는 보습제, 겔형성제, 경화제, 부형제, 방부제, 증점제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ⅰ) 점착성 고분자 1.0 ~30.0중량부를 물과 혼합한 후, 50~7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ⅱ) 카페인 0.1~10.0중량부, 생물학적 활성물질 0.01~10.0중량부 및 피부 흡수 촉진제 0.001~20.0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ⅲ) ⅰ) 단계의 혼합액과 ⅱ)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점착성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ⅰ) 단계에서 점착성 고분자와 혼합되는 물은 경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의 전체 함량의 약 70~90중량부 정도이며, 물의 나머지 잔량은 ⅱ) 단계의 혼합물 제조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습포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을 점착성 매트릭스층으로 하여 적당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여 형성하고, 불침투성 보호층 및 탈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습포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포제는 유효 약물로 포함된 카페인 및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피부 투과성이 증가하여 지방 분해 등의 유효 효능의 집중적 발휘가 가능하며, 셀룰라이트 제거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부작용 및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높은 안정성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경피 조성물 제조(1)
하기 표 1의 비율(중량부)에 따라 젤라틴과 폴리비닐알코올을 전체 함량의 80중량부인 정제수에 혼합한 후, 50∼70℃ 정도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용시켜 혼합액(1)을 형성하였다. 이외의 성분들을 나머지 20중량부의 정제수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액(2)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액(1) 및 (2)를 교반하면서 혼합함으로써, 시간이 경과 되면서 점착력이 증가된 경피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경피 조성물 중에는 겔형성제인 EDTA, 경화제인 그리시날(Grycinal) 및 보습제인 글리세린이 추가적인 첨가제로 포함되었다.
조성 비율(중량부)
젤라틴 3.00
폴리비닐알코올(PVA) 3.80
EDTA 0.15
정제수 4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PAS) 5.50
그리시날(Grycinal) 0.10
글리세린 40.0
카바몰(셀룰로오스계) 1.00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45
은행잎 추출물 0.80
라우린산 0.20
녹차 추출물 2.00
오렌지(citrus aurantium) 추출물 1.50
카페인 1.50
실시예 2: 경피 조성물 제조(2)
피부 흡수 촉진제로서 메틸피롤리돈 1.5중량부를 포함하고,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염의 함량이 4.00중량부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경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비율(중량부)
젤라틴 3.00
폴리비닐알코올(PVA) 3.80
EDTA 0.15
정제수 4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PAS) 4.00
그리시날(Grycinal) 0.10
글리세린 40.0
카바몰(셀룰로오스계) 1.00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45
은행잎 추출물 0.80
라우린산 0.20
메틸피롤리돈 1.50
녹차 추출물 2.00
오렌지(citrus aurantium) 추출물 1.50
카페인 1.50
실시예 3: 경피 조성물 제조(3)
피부 흡수 촉진제로 라우린산 대신에 플록사머를 동일 함량으로 포함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경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비율(중량부)
젤라틴 3.00
폴리비닐알코올(PVA) 3.80
EDTA 0.15
정제수 4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PAS) 5.50
그리시날(Grycinal) 0.10
글리세린 40.0
카바몰(셀룰로오스계) 1.00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45
은행잎 추출물 0.80
폴록사머 0.20
녹차 추출물 2.00
오렌지(citrus aurantium) 추출물 1.50
카페인 1.50
실시예 4: 경피 조성물 제조(4)
피부 흡수 촉진제로 라우린산 대신에 올레인산을 동일 함량으로 포함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경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비율(중량부)
젤라틴 3.00
폴리비닐알코올(PVA) 3.80
EDTA 0.15
정제수 4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PAS) 5.50
그리시날(Grycinal) 0.10
글리세린 40.0
카바몰(셀룰로오스계) 1.00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45
은행잎 추출물 0.80
올레인산 0.20
녹차 추출물 2.00
오렌지(citrus aurantium) 추출물 1.50
카페인 1.50
실시예 5: 경피 조성물 제조(5)
피부 흡수 촉진제로 라우린산 대신에 리모넨 옥사이드를 동일 함량으로 포함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경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 비율(중량부)
젤라틴 3.00
폴리비닐알코올(PVA) 3.80
EDTA 0.15
정제수 40.0
폴리아크릴산나트륨염(PAS) 5.50
그리시날(Grycinal) 0.10
글리세린 40.0
카바몰(셀룰로오스계) 1.00
메톡시에틸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 0.45
은행잎 추출물 0.80
리모넨 옥사이드 0.20
녹차 추출물 2.00
오렌지(citrus aurantium) 추출물 1.50
카페인 1.50
실시예 6 내지 10: 습포제 제조(1) 내지 (5)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경피 조성물을 코팅기에 옮긴 후 5∼6mm이하의 두께로 코팅하되 도포면적은 10×7 cm2(가로×세로), 도포량을 7∼9 g 정도로 조정하여 습포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점착력 시험
제조 후 1시간 경과된 것과 1, 2, 3일간 숙성시킨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습포제에 대하여, 퀵-스틱법(Quick-Stick)(PSTC test)으로 시험을 하여 점착 정도를 알아보았다. 상기 방법은 수직 강판에 습포제를 부착한 후 180도 각도로 당겨서 하는 실험으로 부착물 폭 1inch당 g으로 표시하는데 상기 실시예 6 내지 10의 습포제 모두 5~7 g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사용목적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습포제로서의 점착력으로는 문제가 없는 결과였으며, 실험 후 강판에 잔류물이 남지 않았다.
실험예 2: 약물 투과 실험
(1) 실험 조건 및 시약
투과 시험은 변형 프란츠 셀(modified Franz cell)(11mL, pyrex)에서 하였고, pH 측정기(pH meter)는 Cyberscan pH 1000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셀룰로오즈막은 Sigma Chemical, 0.45㎛ PVDF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는 WOONG KI Science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리셉터 상(Receptor phase) 제조를 위한 포타슘 포스페이트 모노베이직(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및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과 이동이동상(mobile phase) 제조를 위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uoroacetic acid)은 Yakuri Pure Chemicals사,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및 탈이온수는 J.T. Baker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실험실 환경에 적응된 것으로 6∼8주령의 웅성 무모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동물사육조건은 온도 20∼25℃, 습도는 60±5중량부, 명암교대 시간은 12시간을 유지하였다. 실험 중을 제외하고는 물과 먹이를 충분히 공급하였고 실험 24시간 전에는 절식하였다.
(2) 약물 방출 실험
변형 프란츠 확산 셀(Modified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습포제로부터 카페인의 방출량을 구하였다. 실시예의 습포제 4㎠를 무모 마우스 피부 위에 부착시키고, 리셉터 상으로는 실험 전 미리 37℃로 가온하여 준비한 pH 5.8 인산 완충액을 사용하였다. 셀의 부피는 11 mL, 실험 중 온도는 37±0.5℃, 교반 속도는 600 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험을 진행하면서 0.25, 0.5, 0.75, 1, 2, 3, 4, 5, 6, 7, 8시간 간격으로 리셉터 측에서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1mL씩 정확히 채취한 후, 0.45 ㎛ PVDF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하여 HPLC로 분석하였고, 매회 채취 후 리셉터 측에 인산 완충액 용액을 동량 보충하여 주었다.
(3) HPLC 분석 조건
정량분석 기기는 Shiseido Co.의 Shiseido Nanospace SI-2 3001 Pump, Shiseido Nanospace SI-2 3002 Detector, Shiseido Nanospace SI-2 3004 Column oven로 구성된 HPLC를 사용하였으며 Donam Instrument Inc.(Korea)의 ds CHROM2000(PI) 으로 제어하였다. 분석조건으로 컬럼은 Xterra C18(5 ㎛, Size 3.9×150 mm, Waters), 이동상은 아세토니트릴 : 0.05중량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3 : 87), 유량(flow rate)은 500μL/min, UV 검출기(detector)는 254nm에서, 온도는 35℃, 주입량(injection volume)은 20㎕으로 분석하였다.
(4) Data 분석
습포제로부터의 카페인의 피부 투과도는 변형 픽 식(modified Fick's equation)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112007094454827-pat00001
J = 정상상태 유속(steady-state flux)(㎍/㎠/hr)
dc/dt = 평형상태에서 단위 시간당 피부를 통과하는 약물농도
V = 리셉터 컴파트먼트(receptor compartment)의 부피(㎤)
A = 약물의 투과가 일어나는 피부의 면적(㎠)
즉, 시간(t)에 따르는 단위 면적당 피부를 통과하는 카페인(Q)의 양을 플로팅하고, 이 플롯의 직선 부분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피부 투과 속도를 계산하였으며, 특정 시간에서 피부를 투과하는 약물의 양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되었다.
Figure 112007094454827-pat00002
Q : 시간 t에서 피부를 투과하는 약물의 양
D : 확산계수(㎠/sec)
K : 피부내 약물의 분배계수
A : 피부의 유효 표면적(effective surface area)
h : 피부의 두께
Cd : 도너 상(donor phase)내 약물 농도
TL : 지연 시간(lag-time)(hr)
또한, 투과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우선 특정시간에서의 피부투과 약물의 양을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였고,
Figure 112007094454827-pat00003
만약, 리셉터 상 싱크(recepetor phase sink) 상태가 유지된다면,
Figure 112007094454827-pat00004
으로, 이로부터 투과계수를 위의 식으로 이용하여 구하였다.
(5) 결과
실시예 6 내지 10에서 제조한 습포제로부터 무모 마우스 피부를 투과한 카페 인의 양을 피부 흡수 촉진제 함량에 따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n=3, ±S.E.M.).
시간
0 15 30 45 60 120 180 240 300 360 420 480
양 (㎍) 실시예 6 0 0.40 ± 0.42 1.20± 0.21 2.86 ± 0.01 3.78 ± 1.92 11.01 ± 1.71 20.48 ± 1.56 29.01 ± 1.37 39.25 ± 1.01 48.32 ± 1.86 58.22 ± 2.22 60.05 ± 2.62
실시예 7 0 0.38 ± 0.85 1.42 ± 1.69 3.01 ± 1.24 3.95 ± 1.37 14.11 ± 1.65 20.18 ± 2.22 31.73 ± 1.92 40.25 ± 2.44 50.61 ± 1.89 60.67 ± 1.47 61.25 ± 2.12
실시예 8 0 0.25 ± 0.26 0.82 ± 1.57 2.01 ± 1.78 2.82 ± 1.11 9.18 ± 1.01 17.42 ± 0.48 29.1 ± 3.32 35.67 ± 1.14 42.33 ± 1.59 50.25 ± 1.36 56.75 ± 2.45
실시예 9 0 0.38 ± 2.04 1.58 ± 1.53 3.10 ± 0.86 3.92 ± 1.54 10.08 ± 1.29 20.28 ± 3.02 30.63 ± 1.67 41.85 ± 1.91 48.25 ± 1.35 53.46 ± 1.73 62.02 ± 2.13
실시예 10 0 0.16 ± 1.31 1.28 ± 1.93 2.82 ± 2.25 3.02 ± 1.32 7.57 ± 1.35 16.72 ± 1.36 25.76 ± 3.45 37.13 ± 1.62 44.01 ± 2.11 48.52 ± 1.21 55.78 ± 1.87
전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조성물 및 습포제는 특정 중량부의 구성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카페인 및 생물학적 활성물질의 피부 투과성이 향상되어 목적 부위에 집중적으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점착성, 밀착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게 향상되며, 보수성 및 유연성에 있어서도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7)

  1. ⅰ) 카페인 0.1~10.0중량부;
    ⅱ) 녹차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과일산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0.01~10.0중량부;
    ⅲ)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및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 및
    ⅳ) 메틸피롤리돈 0.5~2.0중량부를 포함하는
    카페인의 피부 흡수 촉진 및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및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인의 피부 흡수 촉진 및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보습제, 겔형성제, 경화제, 부형제, 방부제, 증점제 및 pH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카페인의 피부 흡수 촉진 및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4. ⅰ)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비닐알코올, 젤라틴 및 메톡시에틸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점착성 고분자 1.0~30.0중량부를 물과 혼합한 후, 50~7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ⅱ) 카페인 0.1~10.0중량부; 녹차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과일산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0.01~10.0중량부; 및 메틸피롤리돈 0.5~2.0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
    ⅲ) ⅰ) 단계의 혼합액과 ⅱ) 단계의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점착성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페인의 피부 흡수 촉진 및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의 제조방법.
  5. 불침투성 보호층, 점착성 매트릭스층 및 탈착층을 포함하는 습포제로서, 상기 점착성 매트릭스층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페인의 피부 흡수 촉진 및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포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40154A 2006-12-28 2007-12-28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그 제조방법 KR100896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6389 2006-12-28
KR1020060136389 2006-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186A KR20080063186A (ko) 2008-07-03
KR100896500B1 true KR100896500B1 (ko) 2009-05-08

Family

ID=398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154A KR100896500B1 (ko) 2006-12-28 2007-12-28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6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16B1 (ko) 2010-12-29 2011-05-11 주식회사 하나스포츠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458B1 (ko) * 2010-08-12 2013-06-11 주식회사 잼 권선형 슬리밍 밴드
BRPI1004030A8 (pt) * 2010-10-05 2023-04-25 Amazonia Brasileira Comercio De Produtos Naturais Ltda Epp Emprego do dmso na destruição de adipócitos, eliminação da celulite e adiposidades
RU2627586C1 (ru) * 2016-04-03 2017-08-09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сибхимфарм" Антицеллюлитный пластырь
RU2629392C1 (ru) * 2016-04-03 2017-08-29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овосибхимфарм" Антицеллюлитный пластырь с экстрактом перца
CN115737463B (zh) * 2022-09-30 2024-05-14 泉后(广州)生物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消脂塑型霜及其制备方法、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51A (ko) * 2002-10-25 2002-11-29 정일광 다이어트에 유용한 첩부용 조성물 및 첩부제
KR2004009253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태평양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12989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51A (ko) * 2002-10-25 2002-11-29 정일광 다이어트에 유용한 첩부용 조성물 및 첩부제
KR20040092538A (ko) * 2003-04-24 2004-11-04 주식회사 태평양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129890A (ko) * 2005-06-13 2006-12-1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16B1 (ko) 2010-12-29 2011-05-11 주식회사 하나스포츠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WO2012091372A2 (ko) * 2010-12-29 2012-07-05 Jeong Bo Seong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WO2012091372A3 (ko) * 2010-12-29 2012-10-18 Jeong Bo Seong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186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500B1 (ko) 셀룰라이트 제거용 경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습포제 및그 제조방법
DE69825116T2 (de) Transdermale verabreichung basischer wirkstoffe unter verwendung unpolarer haftsysteme und saurer lösungsvermittler
EP1613297B1 (en) Therapeutic patch with polysiloxane matrix comprising capsaicin
TW200800223A (en) Transdermal delivery of meptazinol
AU2008260774B2 (en) Matrix-type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383252B1 (ko) 부프레놀핀을함유하는경피투여조성물및이를포함하는패취
TW200800173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US20090042950A1 (en) Transdermal topical composition and its uses
Heard et al. In vitro transdermal delivery of caffeine, theobromine, theophylline and catechin from extract of Guarana, Paullinia Cupana
RU2733743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орм берберина
EP0662819B1 (en) An antivirally active pharmaceutical oil-in-water emulsion containing 9-[(2-hydroxyethoxy)methyl]guanine (acyclovir) or a salt or ester thereof
JP2011507904A5 (ko)
CN101618030B (zh) 一种雷公藤内酯醇透皮贴剂及其制备方法
AU633207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ytotoxic agent and permeation enhancers
ES2394313T3 (es) Formulación transdérmica que comprende un analgésico opioide y una composición de aloe
KR100866979B1 (ko) 이트라코나졸을 함유한 마이크로이멀젼계 하이드로겔 및이의 제조방법
KR100306847B1 (ko) 전신용화장료조성물
JP2002029979A (ja) ヒスタミンh2受容体拮抗剤及び皮膚外用剤
US20230391825A1 (en) Enhanced skin permeation of a novel peptide via structural modification, chemical enhancement, and microneedles
JP6566707B2 (ja) 経皮唾液腺投与用の唾液分泌促進剤
Wongpayapkul et al. Effect of single and combined permeation enhancers on the skin permeation of ketoprofen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CN110464713B (zh) 奇壬醇抗风湿关节炎的透皮贴剂制备方法
ES2309107T3 (es) Dispositivo y metodos transdermicos para felodipina.
KR100212972B1 (ko) 인도메타신의 경피흡수제제
TWI422399B (zh) 促進第五型磷酸二酯酶抑制劑經皮吸收的醫藥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