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267B1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Google Patents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6267B1 KR100896267B1 KR1020080034206A KR20080034206A KR100896267B1 KR 100896267 B1 KR100896267 B1 KR 100896267B1 KR 1020080034206 A KR1020080034206 A KR 1020080034206A KR 20080034206 A KR20080034206 A KR 20080034206A KR 100896267 B1 KR100896267 B1 KR 1008962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mber
- passage
- valve body
- volume
-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과제) 로터리 밸브를 이용한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의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를 높인다.
(해결 수단) 회전축(21)에는 제1 로터리 밸브(35) 및 제2 로터리 밸브(36)가 실린더 블록(11, 1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통내(411)에는 밸브체(42)가 제1 압력실(412)을 구획하도록 끼워 넣어져 있다. 제1 압력실(412)과 제2 압력실(491)을 나누는 구획벽판(48)에는 제1 벨로우즈(bellows:51) 및 제2 벨로우즈(52)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벨로우즈(51)는, 밸브체(4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압력실(412)에 수용되어 있고, 제2 벨로우즈(52)는, 제2 압력실(491)에 수용되어 있다. 구획벽판(48)에 관통형성된 교축 통로(53)는, 제1 벨로우즈(51) 내의 제1 용적 가변실(511)과 제2 벨로우즈(52) 내의 제2 용적 가변실(521)에 연통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 리어 하우징, 토출실, 밸브체, 양두 피스톤
(Problem)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arting shock of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using a rotary valve is increased.
(Solution means) The first rotary valve 35 and the second rotary valve 36 are formed in the rotary shaft 21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blocks 11 and 12. The valve body 42 is fitted in the cylinder 411 so as to partition the first pressure chamber 412. A first bellows 51 and a second bellows 52 are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plate 48 that divides the first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second pressure chamber 491. The 1st bellows 51 is accommodated in the 1st pressure chamber 412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valve body 42, and the 2nd bellows 52 is accommodated in the 2nd pressure chamber 491. As shown in FIG. The throttle passage 53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late 48 communicates with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511 in the first bellows 51 and the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521 in the second bellows 52. .
Cylinder block, rear housing, discharge chamber, valve body, double head pist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스톤에 의해 실린더 보어내에 구획(define)되는 압축실에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구비하여, 당해 로터리 밸브가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valve having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a suction pressure region into a compression chamber defined by a piston in a cylinder bore, whereby the rotary valve rotates integrally with a rotating shaft. 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type piston compressor.
로터리 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5를 참조)는, 리드 밸브형의 흡입 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4를 참조)에 비하여, 실린더 보어 내로 흡입 가스를 흡입할 때의 흡입 저항이 적어,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Piston type compressors using rotary valve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2 and 5) are compared to piston type compressors using reed valve type suction valves (see Patent Documents 1 and 4, for example) into the cylinder bore. Suction resistance at the time of inhaling suction gas is small, and energy efficiency is excellent.
특허 문헌 2의 단락 [000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기동(起動)시에는 가스의 압축에 따라 토크가 급격히 증대하고, 이것이 차량 엔진(내연 기관)에 부하(負荷)로서 가해진다. 그 때문에, 차량의 주행 속도가 한순간 저하하여 차량의 탑승자가 쇼크를 느낀다는 기동 쇼크(shock)가 생긴다.As described in paragraph [0006] of Patent Document 2, when the compressor starts up, the torque increases rapidly with the compression of the gas, which is applied to the vehicle engin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 load. Therefore,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decreases for a moment and a start shock occurs that the occupant of the vehicle feels shock.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 는 로터리 밸브가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로터리 밸브는, 제어압실에 공급되는 압력에 따라, 회전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바꿀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거의 모든 실린더 보어를 실린더 블록의 중심부에 대하여 형성된 흡입구에 연통(communication) 가능한 바이패스 홈(bypass groove)이 로터리 밸브에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는, 운전 정지시와 기동시에는, 바이패스 홈이 거의 모든 실린더 보어를 흡입구에 연통 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회전축의 축방향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기동시에는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 내의 가스를 압축하는 동작을 해도, 실린더 보어 내의 가스가 바이패스 홈을 경유하여 흡입구로 되돌아가 버리기 때문에, 기동 쇼크가 생기지 않는다.In the piston compressor disclosed in Patent Literature 2, a rotary valve which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is form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the rotary valve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upplied to the control pressure chamber.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in the. In addition, a bypass groove is formed in the rotary valve in which almost all cylinder bores can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The rotary valve is disposed at the position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so that the bypass groove is at a position in which almost all cylinder bores can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and at the time of starting. Therefore, even when the piston compresses the gas in the cylinder bore at the start, the gas in the cylinder bore returns to the inlet via the bypass groove, so that no starting shock occurs.
로터리 밸브의 주면(周面)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clearance)는, 이 주면을 따라 가스가 새지 않도록, 그리고 로터리 밸브가 회전할 수 있도록, 가급적으로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로터리 밸브를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서는, 로터리 밸브를 회전축의 축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하는 클리어런스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러한 클리어런스의 관리는 매우 곤란하다.The clearance in the main surface of a rotary valve should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so that gas may not leak along this main surface and a rotary valve may rotate.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ry valve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 clearance for allowing the rotary valve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s required, but management of such clearance is very difficult.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흡입실에 이르는 흡입 통로의 도중에 기동 부하 저감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기동 부하 저감 장치는, 오일 댐퍼를 구성하는 스풀 밸브(spool valve)를 구비하고, 스풀 밸브의 댐퍼부와 하우징과의 사이에 극간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밸브가 흡입 통로를 여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댐퍼실 내의 오일이 상기 극간으로부터 소량씩 중간실로 빠져나간다. 그 때문에, 스풀 밸브의 이동 속도는, 완만한 것으로 되고, 흡입 통로의 열리는 속도가 완 만해진다. 이에 따라,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In the compress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a starting load reduction device is formed in the middle of a suction passage leading to the suction chamber. The starting load reduction device includes a spool valve constituting an oil damper,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amper portion of the spool valve and the housing. When the spool valve move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suction passage, the oil in the damper chamber escapes into the intermediate chamber a small amount from the gap. Therefore, the moving speed of the spool valve becomes slow, and the opening speed of the suction passage becomes slow. As a result,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토출압과 흡입압과의 차압(differential pressure)에 의해 개폐하는 차압 감지 개폐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차압 감지 개폐 밸브는, 압축기 외부로부터 냉매를 도입하는 저압 냉매관로와, 압축기 내의 흡입실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압축기가 압력 밸런스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하면, 차압 감지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가 되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유입이 멈춰진다. 이에 따라,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In the piston compress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there is formed a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that opens and closes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 discharge pressure and a suction pressur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 pressure refrigerant channel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and the suction chamber in the compresso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is closed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with the pressure balanced. Inflow of the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to the suction chamber is stopped. As a result,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4-8806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88064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19631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19631
[특허 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39474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7-139474
[특허 문헌 4]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145629호 [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45629
[특허 문헌 5]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83835호[Patent Document 5]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6-83835
그러나,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흡입 통로가 스풀 밸브에 의해 닫혀진 상태에 있어도 흡입실에는 냉매가 남아 있어, 이 잔류 냉매가 실린더 보어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압축기에 있어서도, 차압 감지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가 되어도 흡입실에는 냉매가 남아 있어, 이 잔류 냉매가 실린더 보어에 흡입되어 압축된다. 흡입실의 용적은, 흡입 맥동(pulsation)을 억제하기 위해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차압 감지 개폐 밸브가 닫힘 상태가 된 상태, 또는 흡입 통로가 닫힌 상태에서 실린더 보어에 흡입되는 냉매량이 많아,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However, in the compress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3, even when the suction passage is closed by the spool valve, the refrigerant remains in the suction chamber, and the residual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and compressed. In addition, in the compress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eve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is closed, the refrigerant remains in the suction chamber, and the residual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and compressed. Since the volume of the suction chamber is enlarged to suppress the suction pulsation, the amount of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is large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is in a closed state or the suction passage is closed. The effect is not enough.
본 발명은,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hance the effect of mitigating shock.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의 발명은, 회전축의 주위로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 내에 피스톤이 수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회전축과 일체화된 캠체( cam body)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구획되는 압축실에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밸브는, 상기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은,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를 대상으로 하고, 청구항 1의 발명은,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연통하는 위치와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배치되는 밸브체와, 상기 연통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하는 위치로 상기 밸브체를 되돌리는 복귀 스프링과, 상기 밸브체의 위치 변위에 따라 용적을 바꾸는 제1 용적 가변실과, 용적 변화 가능한 제2 용적 가변실과, 상기 제1 용적 가변실과 상기 제2 용적 가변실을 연통하는 교축 통로(좁힘 통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용적 가변실과 상기 제2 용적 가변실에는 유체(流體)가 넣어져 있고, 상기 제1 용적 가변실이 용적 변화할 때에는, 상기 유체가 상기 교축 통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of claims 1 to 9, the piston is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ranged around the rotation shaft, the piston is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through a cam body integrated with the rotation shaft, A rotary valve having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a suction pressure region into a compression chamber partitioned in the cylinder bore by the piston, the rotary valve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ry shaft, 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through a clutch is an object, and the invention of claim 1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witching means capable of switching to a pressure sensor is provided, and the switching means includes a suction pressure in the compressor. A valve body which is switched to a position for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of the region and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a position for blocking,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valve body from the communicating position to the blocking position, and a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valve body. And a throttle passage (narrow passage) which communicates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with a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for changing the volume, a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for volume change, and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A fluid is put into the chamber and the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and when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changes in volume,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압축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을 때(회전축이 회전하고 있을 때)의 밸브체보다 하류의 도입 통로 내의 압력은, 압축기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의 도입 통로 내의 압력보다도 낮다.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밸브체는, 차단하는 위치에 있지만, 압축기의 운전이 개시되면, 밸브체보다 하류의 도입 통로 내의 압력이 저하하여, 밸브체가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시에는, 제1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변화하여, 유체가 교축 통로를 통과한다. 유체가 교축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도 변화한다. 유체가 교축 통로를 통과할 때의 통과 저항이 제1 용적 가변실 및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 변화를 늦춰, 밸브체의 이동에 제동이 걸려진다. 그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이 개시될 때에는,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출구와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환 수단이 상기 차단하는 상태에 있을 때 에 압축되는 냉매량이 적어,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가 높다.The pressure in the introduction passage downstream of the valve body when the compressor is running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ing) is lower than the pressure in the introduction passage when the compressor is not being opera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opped, the valve body is in a position to shut off, but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starts, the pressure in the downstream introduction passage is lower than the valve body, and the valve body moves from a position where the valve body shuts off. do. During this movement, the volume of the first variable volume chamber changes,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As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the volume of the second volumetric chamber also changes. The passage resistance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slows the volume change of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s braked. 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starts to operate,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interrupted,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ed when the switching means is in the interrupted state is small, and the effect of mitigating start shock is high.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면, 밸브체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복귀 스프링의 채용은, 밸브체를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있어서 간편한 구성이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opped, the valve body returns to the cut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The use of a return spring is a simple structure for returning to a position which cuts off a valve body.
매우 적합한 예로는, 상기 제1 용적 가변실은, 구획벽과, 위치 변위하는 제1 가동부를 갖는 제1실 형성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용적 가변실은, 상기 구획벽과, 위치 변위하는 제2 가동부를 갖는 제2실 형성 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교축 통로는,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용적 가변실과 상기 제2 용적 가변실에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1 용적 가변실의 용적은, 상기 제1 가동부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하고, 상기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은, 상기 제2 가동부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the first volumetric variable chamber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chamber forming member having the first movable portion that is displaced, and the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is the partition wall and the position. It is formed between the 2nd chamber formation member which has a 2nd movable part displaced, The said throttle passage penetrates the said partition wall, and communicates with the said 1st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said 2nd volume variable chamber, The volume of the 1 volume variable chamber changes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said 1st movable part, and the volume of the 2nd volume variable chamber changes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2nd movable part.
압축기의 운전이 개시되면, 밸브체보다 하류의 도입 통로 내의 압력이 저하하고, 밸브체가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이동시에는, 제1 가동부가 위치 변위하여 제1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변화하고, 유체가 교축 통로를 통과한다. 유체가 교축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제2 가동부도 위치 변위하고,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이 때의 통과 저항이 제1 용적 가변실 및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 변화를 늦춰, 밸브체의 이동에 제동이 걸려진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s started, the pressure in the introduction passage downstream from the valve body is lowered and moves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valve body is blocked to communicate with the valve body. In this movement, the first movable portion is displaced so that the volume of the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changes, and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As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the second movable portion is also displaced,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variable volume chamber changes. The passage resistance at this time slows the volume change of the 1st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2nd volume variable chamber, and the movement of a valve body is braked.
매우 적합한 예로는, 제1실 형성 부재는, 상기 구획벽에 연결된 제1 벨로우즈(bellows)이고, 제2실 형성 부재는, 상기 구획벽에 연결된 제2 벨로우즈이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the first chamber forming member is a first bellows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and the second chamber forming member is a second bellows connected to the partition wall.
벨로우즈는, 제1, 2 용적 가변실 내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회피하는데 있어 서 매우 적합하다.The bellows is very suitable for avoiding leakage of fluid from inside the first and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s.
매우 적합한 예로는, 상기 밸브체는, 상기 제1 벨로우즈의 가동단에 부착되어 있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the valve body is attached to the movable end of the first bellows.
상기 제1 벨로우즈는, 밸브체의 위치 변위에 따라 신축한다. 제1 벨로우즈가 늘어나면, 제1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증대함과 함께, 제2 벨로우즈가 축소하여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감소한다. 제1 벨로우즈가 줄어들면, 제1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감소함과 함께, 제2 용적 가변실의 용적이 증대한다.The first bellows expands and contract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valve body. As the first bellows in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volumetric variable chamber increases, while the second bellows shrinks to reduce the volume of the second volumetric variable chamber. As the first bellows decreases, the volume of the first volumetric variable chamber decreases and the volume of the second volumetric variable chamber increases.
매우 적합한 예로는, 용적 변화가 동일한 크기일 때의 제1 벨로우즈의 가동단의 이동 거리는, 제2 벨로우즈의 가동단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end of the first bellows when the volume change is the same size is larger than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able end of the second bellows.
이러한 구성은,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까지의 밸브체의 이동 거리를 버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Such a configuration is very suitable for cutting the moving distance of the valve body from the position to shut off to the position to communicate with.
매우 적합한 예로는, 상기 유체는, 액체이다.In a very suitable example, the fluid is a liquid.
액체는, 교축 통로에 있어서의 통과 저항을 늘리고 밸브체의 이동 속도를 늦추게 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Liquid is very suitable for increasing the passage resistance in the throttle passage and slowing down the moving speed of the valve body.
매우 적합한 예로는,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차단하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를 상기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된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when the switching means is in the blocking state, the valve body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blocks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입구와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환 수단이 상기 차단하는 상태에 있을 때에 압축되는 냉매량이 적어,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가 높다.Sinc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interrupted,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ed when the switching means is in the interrupted state is small,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arting shock is high.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로터리 밸브의 단면에 입구를 가짐과 함께, 상기 로터리 밸브의 주면에 출구를 갖고,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내 통로를 갖고,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는, 상기 회전축의 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축내 통로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로부터 상기 도입 통로 내를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축내 통로 내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내 통로 내를 상기 회전축선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연통하는 위치와 상기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배치되고, 상기 차단하는 위치는, 상기 밸브체가 상기 축내 통로로부터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차단하는 위치이다.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at the end face of the rotary valve, an outlet at a main surface of the rotary valve, and 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axis passag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shaft inside the rotation shaft.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penetrates through the main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to communicate with the in-axis passage, and the valve body slides in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 valve body is inserted into the valve shaft, and the valve bod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o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ng position and the blocking position, and the blocking position is such that the valve body is separated from the shaft passage. It is a position to block the exi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밸브체가 슬라이드되어 상기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도입 통로의 출구가 축내 통로로부터 차단되고, 축내 통로로부터 압축실로의 냉매 유입이 저지된다. 축내 통로의 내부에서 밸브체에 의해 도입 통로의 출구를 축내 통로로부터 차단하는 구성은, 전환 수단이 차단하는 상태에 있을 때의 냉매 압축량을 저감하는데 있어서 최적이다.When the valve body is slid and disposed at the blocking position,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is blocked from the in-axis passage, and the inflow of refrigerant from the in-axis passage to the compression chamber is prevente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blocked from the in-axis passage by the valve body inside the in-axis passage is optimal for reducing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ion when the switching means is in a state of blocking.
매우 적합한 예로는, 상기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에 리어 하우징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리어 하우징 내에는 흡입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리어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있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a rear housing is connected to a cylinder block forming the cylinder bore, a suction chamber is formed in the rear housing, and the valve body is formed in the rear housing.
본 발명은,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져온다.This invention brings the outstanding effect that the effect of a starting shock relief can be heightene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1∼도4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1st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된 한 쌍의 실린더 블록(11, 12)의 한쪽의 실린더 블록(11)에는 프론트 하우징(13)이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실린더 블록(12)에는 리어 하우징(14)이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12), 프론트 하우징(13) 및 리어 하우징(14)은,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을 구성한다. 프론트 하우징(13)에는 압축기 내의 토출압 영역으로서의 토출실(131)이 형성되어 있고, 리어 하우징(14)에는 압축기 내의 토출압 영역으로서의 토출실(141) 및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으로서의 흡입실(142)이 형성되어 있다. 압축기 내(內)란,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의 내부를 말하며, 압축기 외(外)란,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의 외부를 말한다.As shown in FIG. 1, the
실린더 블록(11)과 프론트 하우징(13)과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15), 밸브 형성 플레이트(16) 및 리테이너(retainer) 형성 플레이트(17)가 개재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2)과 리어 하우징(14)과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18), 밸브 형성 플레이트(19)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20)가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5, 18)에는 토출 포트(151, 181)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16, 19)에는 토출 밸브(161, 191)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161, 191)는, 토출 포트(151, 181)를 개폐한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 20)에는 리테이너(171, 201)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171, 201)는, 토출 밸브(161, 191)의 개도(開度)를 규제한다.A
실린더 블록(11, 12)에는 회전축(2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12)에는 축공(shaft hole;111, 12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축공(111, 121)에는 회전축(21)이 통과되어 있다. 회전축(21)의 외주면은, 축공(111, 121)의 내주면에 접해 있고, 회전축(21)은, 축공(111, 121)의 내주면을 통하여 실린더 블록(11, 12)에 의해 직접 지지되어 있다. 축공(111)에 접하는 회전축(21)의 외주면 부분은, 시일(seal) 주면(211)으로 되어 있고, 축공(121)에 접하는 회전축(21)의 외주면 부분은, 시일 주면(212)으로 되어 있다.The
회전축(21)에는 캠체로서의 사판(23)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사판(23)은, 실린더 블록(11, 12)간의 사판실(24)에 수용되어 있다. 프론트 하우징(13)과 회전축(21)과의 사이에는 립시일(lip seal) 형의 축시일 부재(22)가 개재되어 있다. 축시일 부재(22)는, 프론트 하우징(13)과 회전축(21)과의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방지한다. 프론트 하우징(13)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회전축(21)의 돌출 단부는, 전자 클러치(25)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인 차량 엔진(26)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축(21)은, 전자 클러치(25)를 통하여 차량 엔진(26)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The
도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27)가 회전축(21)의 주위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28)가 회전축(21)의 주위에 배 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후(프론트 하우징(13)측을 전측, 리어 하우징(14)을 후측으로 하고 있음)로 쌍이 되는 실린더 보어(27, 28)에는 양두(double headed) 피스톤(29)이 수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the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사판(23)의 회전 운동은 슈(30)를 통하여 양두 피스톤(29)에 전해져,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7,28) 내를 전후로 왕복 운동한다. 양두 피스톤(29)은, 실린더 보어(27, 28) 내에 압축실(271, 281)을 구획한다.As shown in FIG. 1,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회전축(21) 내에는 축내 통로(31)가 회전축(21)의 회전축선(210)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축내 통로(31)의 입구(311)는, 실린더 블록(12) 내의 회전축(21)의 단면(213)에 있어서 리어 하우징(14) 내의 흡입실(142)에 개구하고 있다. 축공(111) 내의 회전축(21)에는 축내 통로(31)의 출구(312)가 회전축(21)의 시일 주면(211)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축공(121) 내의 회전축(21)에는 축내 통로(31)의 출구(313)가 회전축(21)의 시일 주면(212)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In the
도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에는 연통로(32)가 실린더 보어(27)와 축공(111)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에는 연통로(33)가 실린더 보어(28)와 축공(121)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축내 통로(31)의 출구(312, 313)는, 연통로(32, 33)에 간헐적으로 연통한다.As shown in FIG. 2 (a), the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7)측에서 흡입 행정의 상태(양두 피스톤(29)이 도1 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2) 와 연통로(32)가 연통한다.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7)측에서 흡입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회전축(21)의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가 출구(312) 및 연통로(32)를 경유하여 실린더 보어(27)의 압축실(271)로 흡입된다.When the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7) 측에서 토출 행정의 상태(양두 피스톤(29)이 도1 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2)와 연통로(32)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7)측에서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실(271) 내의 냉매가 토출 포트(151)로부터 토출 밸브(161)를 밀어내어 토출실(131)로 토출된다. 토출실(131)로 토출된 냉매는, 통로(341)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다.When the double-headed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8)측에서 흡입 행정의 상태(양두 피스톤(29)이 도1 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3)와 연통로(33)가 연통한다.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8)측에서 흡입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회전축(21)의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가 출구(313) 및 연통로(33)를 경유하여 실린더 보어(28)의 압축실(281)로 흡입된다.When the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8) 측에서 토출 행정의 상태(양두 피스톤(29)이 도1 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행정)에 있을 때에는, 출구(313)와 연통로(33)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양두 피스톤(29)이 실린더 보어(28)측에서 토출 행정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압축실(281) 내의 냉매가 토출 포트(181)로부터 토출 밸브(191)를 밀어내어 토출실(141)로 토출된다. 토출실(141)로 토출된 냉매는, 통로(342)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다.When the double-headed
외부 냉매 회로(34) 상에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기 위한 열교환기(37), 팽창 밸브(38) 및, 주위의 열을 냉매로 옮기기 위한 열교환기(39)가 개재되어 있다. 팽창 밸브(38)는, 열교환기(39)의 출구측의 가스 온도의 변동에 따라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 냉매는, 흡입실(142)로 환류한다.On the external
회전축(21)의 시일 주면(211)의 부분은, 회전축(21)에 일체 형성된 제1 로터리 밸브(35)가 되고, 회전축(21)의 시일 주면(212)의 부분은, 회전축(21)에 일체 형성된 제2 로터리 밸브(36)가 된다. 즉, 회전축(21)은, 로터리 밸브이다. 회전축선(210)은, 로터리 밸브의 회전축선이며, 회전축(21)의 단면(213)(즉 로터리 밸브의 단면)은, 로터리 밸브의 회전축선(210)과 교차한다. 축내 통로(31) 및 출구(312, 313)는, 로터리 밸브의 도입 통로를 구성하고, 축공(111)은, 제1 로터리 밸브(35)를 수용하는 밸브 수용실이며, 축공(121)은, 제2 로터리 밸브(36)를 수용하는 밸브 수용실이다.The part of the seal
도3 및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실(142)을 형성하는 리어 하우징(14)의 단벽에는 대좌(臺座;40)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대좌(40)의 내벽면에는 원통(41)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원통(41)의 통내(411)에는 스풀 형상의 밸브체(4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밸브체(42)는, 원판 형상의 피스톤부(43)와 원통부(44)를 구비하고, 원통부(44)에는 도입구(441)가 원통부(44)의 외주면에 개구하고, 또한 원통부(44)의 통내(44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내(442)는, 밸브체(42)의 내부 통로이다. 피스톤부(43)는, 원통(41)의 통내(411)에 제1 압력실(412)을 구획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리어 하우징(14)측의 실린더 블록(12)의 단면에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통(45)이 원통(41)에 대향하도록 일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통(45)의 통내(451)는, 축내 통로(31)(도입 통로)의 입구(311)에 연통하고 있다. 가이드통(45)의 선단과 원통(41)의 선단과는 떨어져 있고, 밸브체(42)의 원통부(44)는, 가이드통(4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가이드통(45)의 내주면에는 서클립(circlip;46)이 부착되어 있고, 서클립(46)과 피스톤부(43)와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47)이 개재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47)은, 대좌(40)에 가까워지도록 밸브체(42)를 탄성 지지한다. 밸브체(42)가 대좌(40)에 가까워질수록 제1 압력실(412)의 용적이 감소한다.At the end face of the
도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입구(441)의 전체가 흡입실(142) 내에 노출하는 위치에 있고, 축내 통로(31)가 가이드통(45)의 통내(451), 원통부(44)의 통내(442) 및 도입구(441)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하고 있다. 도3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입구(441)의 전체가 통내(411)에 들어와 있는 위치에 있고, 축내 통로(31)와 흡입실(142)과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도4 는, 밸브체(42)가 축내 통로(31)와 흡입실(142)을 연통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3 은, 밸브체(42)가 축내 통로(31)와 흡입실(142)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In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도3 및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40)의 외벽면에는 오목부(401)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01)에는 구획벽으로서의 구획벽판(48)이 수용되어 있다. 대좌(40)의 외면에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덮개(49)가 나사(50)의 조임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덮개(49)는, 나사(50)의 조임에 의해 구획벽판(48)을 오목 부(401)의 바닥에 압착하고 있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recessed
오목부(401)의 바닥에는 통공(55)이 제1 압력실(412)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공(55)에 대향하는 구획벽판(48)의 내면(56)에는 제1 벨로우즈(51)가 연결되어 있다.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은, 밸브체(42)의 피스톤부(43)에 부착되어 있어, 밸브체(42)와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과는,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1 벨로우즈(51)는, 회전축(21)의 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 신축하고, 제1 벨로우즈(51)는, 제1 압력실(412) 내와 통공(55) 내에 제1 용적 가변실(511)을 구획한다. 제1실 형성 부재로서의 제1 벨로우즈(51)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용적 가변실(511)의 용적은, 제1 가동부로서의 제1 가동단(512)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 즉, 구획벽판(48)과 제1 가동단(512)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용적 가변실(511)은, 밸브체(42)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따라 용적을 바꾼다.The through
덮개(49)의 통내(491)에 있어서 구획벽판(48)의 외면(57)에는 제2 벨로우즈(52)가 연결되어 있다. 제2 벨로우즈(52)는, 회전축(21)의 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 신축하고, 제2 벨로우즈(52)는, 통내(491)에 제2 용적 가변실(521)을 구획한다. 제2 용적 가변실(521)은, 구획벽판(48)과 제2 가동단(522)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실 형성 부재로서의 제2 벨로우즈(52)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용적 가변실(521)의 용적은, 제2 가동부로서의 제2 가동단(522)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The second bellows 52 is connected to the
용적 변화가 동일 크기일 때의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의 이동 거리는, 제2 벨로우즈(52)의 제2 가동단(522)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다. 즉, 벨로우즈(51, 52)의 용적이 동일 크기만큼 증대, 또는 감소했을 때의 제1 가동단(512)의 이동 거리는, 제2 가동단(522)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다.When the volume change is the same siz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구획벽판(48)에는 교축 통로(53)가 제1 용적 가변실(511)과 제2 용적 가변실(521)에 연통하도록 관통형성되어 있다. 제1 용적 가변실(511), 제2 용적 가변실(521) 및 교축 통로(53)에는 오일(유체인 액체)이 충전되어 있다.In the
통로(55)는, 구획벽판(48)의 내면(56) 상에 형성된 홈(561) 및 대좌(40)에 형성된 통로(54)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하고 있어, 흡입실(142)의 압력이 제1 압력실(412)에 미치고 있다. 제1 압력실(412) 내의 압력은, 밸브체(42)를 통하여 통내(442)의 압력에 대항한다.The
통내(491)는, 구획벽판(48)의 외면(57) 상에 형성된 홈(571) 및 통로(54)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하고 있어, 흡입실(142)의 압력이 통내(491)에 미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통내(491)를 제2 압력실(491)로 기재한다.The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25)는, 제어 컴퓨터(C)의 여소자(magnetization and demagnetization) 제어를 받는다. 제어 컴퓨터(C)에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 실온 설정기(59) 및 실온 검출기(60)가 신호 접속되어 있다.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가 ON 상태에 있을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실온 설정기(59)에 의해 설정된 목표 실온과, 실온 검출기(60)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실온과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여소자)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 1, the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 또는,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도 높고, 그리고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와의 온도차가 허용차(許容差) 이하인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을 정지한다. 이 때에는, 전자 클러치(25)가 차단 상태가 되어, 차량 엔진(26)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21)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높고, 그리고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와의 온도차가 허용차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을 행한다. 이 때에는, 전자 클러치(25)는 연결 상태가 되어, 차량 엔진(26)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21)에 전달된다.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or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llowable difference, the control computer C determines the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는, 운전 정지 상태(전자 클러치(25)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고 한다. 이 상태에서는, 압축기 내의 압력이 밸런스 되어 있고, 밸브체(42)는,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3 에 나타내는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축내 통로(31) 내(內)의 냉매 및 통내(451, 442) 내의 냉매는, 압축실(271)(도1 참조) 및 압축실(281)로 흡입되기 때문에, 이 흡입 작용에 의해, 축내 통로(31) 내 및 통내(451, 442)의 압력은 낮아진다. 즉, 축내 통로(31) 내 및 통내(451, 442)의 압력은, 흡입실(142) 내의 압력보다도 낮아진다. 흡입실(142)의 압력은, 제1 압력실(412)과 제2 압력실(491)에 미치고 있어, 제1 압력실(412) 내의 압력 및 제2 압력실(491) 내의 압력은, 흡입실(142) 내의 압력에 상당하다. 제1 압력실(412) 내의 압력은, 밸브체(42)를 통하여 통내(451, 442)의 압력과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고 있다. 또한, 제2 압력실(491) 내의 압력은, 용적 가변실(521, 511) 내의 오일 및 밸브체(42)를 통하여 통내(451, 442)의 압력과 복귀 스프링(47) 의 스프링력에 대항하고 있다.The fixed displacement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은,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압력실(412, 491) 내의 압력과 통내(451, 442)의 압력과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에 굴복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압력실(412, 491) 내의 압력과 통내(451, 442)의 압력과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은,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밸브체(42)를 도3 에 나타내는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도4 에 나타내는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은, 밸브체(42)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고, 제1 벨로우즈(51)가 신장하여 제1 용적 가변실(511)의 용적이 증대한다. 제1 용적 가변실(511)의 용적 증대에 따라, 제2 용적 가변실(521) 내의 오일이 교축 통로(53)를 통하여 제1 용적 가변실(511) 내로 흡입된다.The spring force of the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 및 통내(451, 442) 내의 냉매가 압축실(271)(도1 참조) 및 압축실(281)로 흡입되지 않게 되어, 축내 통로(31) 내 및 통내(451, 442)의 압력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축내 통로(31) 내 및 통내(451, 442)의 압력과, 압력실(412, 491) 내의 압력이 균형되고, 밸브체(42)는,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4 에 나타내는 연통하는 위치로부터 도3 에 나타내는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한다.When operation of the fixed displacement
밸브체(42)는,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 상태와 운전 정지 상태에 대응한 도입 통로(축내 통로(31))내의 압력의 고저(高低)에 따라,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위 치와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배치된다. 밸브체(42), 복귀 스프링(47), 구획벽판(48), 제1 벨로우즈(51), 제2 벨로우즈(52) 및 교축 통로(53)는,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61)을 구성한다. 전환 수단(61)을 구성하는 밸브체(42), 제1 벨로우즈(51), 구획벽판(48) 및 제2 벨로우즈(52)는, 이 순서로 회전축(21)측으로부터 덮개(49)측으로 직렬로 배열되어 있다.The
도3 의 상태에서는, 전환 수단(61)이, 도입 통로의 출구(312)(도1 참조) 및 출구(313)와, 흡입실(142)을 차단하는 상태에 있고, 도4 의 상태에서는, 전환 수단(61)이, 도입 통로의 출구(312)(도1 참조) 및 출구(313)와, 흡입실(142)을 연통하는 상태에 있다.In the state of FIG. 3, the switching means 61 is in a state of blocking the outlet 312 (see FIG. 1), the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1)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축내 통로(31) 내 및 통내(451, 442)의 압력이 저하하여, 밸브체(42)가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밸브체(42)가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를 향하여 이동해 가면, 도입구(441)가 흡입실(142)에 노출하는 비율이 증대해 간다. 즉, 흡입실(142)과 통내(44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로 단면적이 증대해 간다.(1) When the operation of the fixed displacement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연통하는 위치로의 밸브체(42)의 이동시에는, 제1 용적 가변실(511)의 용적이 증대하여, 제2 용적 가변실(521) 내의 오일이 교축 통로(53)를 통과하여 제1 용적 가변실(511)로 유입한다. 제2 용적 가변실(521) 내의 오일이 교축 통로(53)를 통과하여 제1 용적 가변실(511)로 유입함으로써 제2 용적 가변 실(521)의 용적이 감소한다. 교축 통로(53)를 통과하는 오일은, 교축 통로(53)의 교축 작용에 의해 통과 저항을 받는다. 이 통과 저항은, 제1 용적 가변실(511) 및 제2 용적 가변실(521)의 용적 변화를 늦춰, 밸브체(42)의 이동에 제동이 걸려진다. 즉, 밸브체(42)의 이동 속도가 낮게 억제된다. 그 때문에, 흡입실(142)과 통내(44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 단면적의 증대의 변화가 낮게 억제되어, 흡입실(142)로부터 통내(442)로의 냉매 흡입이 억제된다. 그 결과,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될 때에는,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At the time of movement of the
게다가,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 내의 흡입실(142)과 도입구(441)와의 연통이 차단되고 있는(즉, 밸브체(42)가 차단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 사이에 압축되는 냉매량이 적어, 토크 변동 억제의 효과, 즉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가 높다.In addition,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ed between the
(2)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밸브체(42)가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복귀 스프링(47)의 채용은, 밸브체(42)를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있어서 간편한 구성이다.(2) When the operation of the fixed displacement
(3) 오일은, 교축 통로(53)에 있어서의 통과 저항을 증가시켜 밸브체(42)의 이동 속도를 늦추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한 유체이다.(3) The oil is a fluid which is very suitable for increasing the passage resistance in the
(4) 벨로우즈(51, 52)는, 제1 용적 가변실(511) 내 및 제2 용적 가변실(521) 내로부터의 오일 누설을 회피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4) The
(5) 밸브체(42)가 도3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도4 에 나타낸 연통하 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거리가 길수록, 흡입실(142)과 통내(442)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로 단면적의 증대의 변화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하는 거리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은,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유리하다.(5) As the distance that the
용적 변화가 동일 크기일 때의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의 이동 거리는, 제2 벨로우즈(52)의 제2 가동단(522)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덮개(49)의 소형화(회전축선(210)의 방향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밸브체(42)의 상기 이동하는 거리를 버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When the volume change is the same siz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irst
(6) 밸브체(42)의 통내(442)의 입구인 도입구(441)는, 밸브체(42)가 차단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내(411)에 들어가서 차폐되고, 밸브체(42)가 연통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내(411) 외에 있어서 흡입실(142) 내에 노출한다. 도입구(441)가 통내(411)에 대하여 출입하는 구성은, 도입구(441)를 크게 하여 도입 통로의 충분한 통로 단면적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6) When the
다음으로, 도5(a), (b) 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second embodiment of Figs. 5 (a) and 5 (b)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리어 하우징(14)에는 연락실(communication chamber:62) 및 밸브공(631)이 형성되어 있고, 연락실(62) 내에는 판 형상의 개폐 플레이트(64)가 밸브공(631)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밸브공(631)은, 연락실(62)과 흡입실(142)을 나누는 격벽(63)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축내 통로(31)의 입구(311)는, 실린더 블록(12) 내의 회전축(21)의 단면(213)에 있어서 리어 하우징(14) 내의 연락실(62)로 개구하고 있다.A
통내(411)에는 피스톤(65)이 끼워 넣어져 있고, 피스톤(65)에는 전달 로드(66)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전달 로드(66)의 선단에는 개폐 플레이트(64)가 부착되어 있다. 연결실(62)측의 격벽(63)의 면에는 평면의 밸브시트면(632)이 형성되어 있어, 개폐 플레이트(64)는, 밸브시트면(632)에 접촉 및 분리한다. 밸브시트면(632)에 접하는 개폐 플레이트(64)의 시일면(641)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 플레이트(64)가 밸브공(631)을 닫았을 때에는, 개폐 플레이트(64)의 시일면(641)이, 밸브시트면(632)에 면접촉하고 있다. 피스톤(65), 전달 로드(66) 및 개폐 플레이트(64)는, 밸브공(631)을 개폐하는 밸브체(67)를 구성하고, 밸브체(67)는, 통내(411)에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한다. 제1 용적 가변실(413)은, 교축 통로(53)를 통하여 제2 용적 가변실(521)에 연통하고 있다.The
제1실 형성 부재로서의 피스톤(65)에 의해 구획되는 제1 용적 가변실(413)의 용적은, 제1 가동부로서의 피스톤(65)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 즉, 제1 용적 가변실(413)은, 밸브체(67)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따라 용적을 바꾼다.The volume of the first
피스톤(65)과 격벽(63)과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68)이 개재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68)은, 피스톤(65)을 통내(411)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5(b) 에서는 밸브체(67)가 밸브공(631)을 열어 연락실(62)과 흡입실(142)을 연통하는 위치에 있고, 도5(a) 에서는 밸브체(67)가 밸브공(631)을 닫아 연락실(62)과 흡입실(142)과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복귀 스프링(68)은, 밸브체(67)를 상기 연통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하는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The
회전축(21)의 단면(213)에 대향하는 개폐 플레이트(64)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토퍼(stopper:64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스토퍼(642)는, 실린더 블록(12)의 단면(122)에 돌출형성된 통부(123)의 선단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다. 밸브체(67)가 도5(b) 에 나타낸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642)가 통부(123)의 선단에 맞닿아 있고, 밸브체(67)가 도5(a) 에 나타내는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스토퍼(642)가 통부(123)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다.A plurality of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가 운전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밸브체(67)가 복귀 스프링(68)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5(a)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가 연락실(62)로 유입 불가능하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 및 연락실(62) 내의 냉매는, 압축실(271)(도1 참조) 및 압축실(281)로 흡입되기 때문에, 이 흡입 작용에 의해, 축내 통로(31) 내 및 연락실(62) 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즉, 축내 통로(31) 내 및 연락실(62) 내의 압력은, 흡입실(142) 내의 압력보다도 낮아진다. 그 때문에, 밸브체(67)가 도5(b) 에 나타내는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가 밸브공(631), 연락실(62) 및 축내 통로(31)를 경유하여 압축실(271)(도1 참조) 및 압축실(281)로 유입한다.When the fixed displacement
밸브체(67), 복귀 스프링(68), 구획벽판(48), 벨로우즈(52) 및 교축 통로(53)는,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61A)을 구성한다.The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판 형 상의 개폐 플레이트(64)를 수용하는 연락실(62)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높다.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an alleviation effect of starting shock is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volume of the
다음으로, 도6, 7 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third embodiment of FIGS. 6 and 7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2nd Embodiment.
원통(41)에는 피스톤(6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고, 피스톤(69)에는 제1 벨로우즈(51)의 제1 가동단(512)이 부착되어 있다. 피스톤(69)은, 통내(411)에 제1 압력실(412)을 구획한다.The
피스톤(69)에는 전달 로드(70)가 연결되어 있다. 전달 로드(70)는, 축내 통로(31A) 내에 들어가 있다. 축내 통로(31A)는, 소경(小徑) 통로(314)와, 소경 통로(314)보다도 대경의 대경(大徑) 통로(315)를 구비하고 있다. 소경 통로(314) 내의 전달 로드(70)의 선단에는 원판(71)이 부착되어 있고, 대경 통로(315) 내의 전달 로드(70)에는 원통 형상의 원주면체(72)가 부착되어 있다.The
원판(71)은, 회전축(21)의 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소경 통로(314)에 끼워 넣어져 있고, 원통 형상의 원주면체(72)는, 회전축(21)의 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 그리고, 출구(313)를 개폐 가능하게 대경 통로(315)에 끼워 넣어져 있다. 원통 형상의 원주면체(72)의 통내는, 원판(71)과 원주면체(72)와의 사이의 축내 통로(31A)와, 축내 통로(31A)의 입구(311)와 원주면체(72)와의 사이의 축내 통로(31A)를 연통하고 있다.The
도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면체(72)가 출구(313)를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원판(71)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출구(312)보다도 상류측에 있어,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출구(312)를 통하여 압축실(271)로 유입 불가능하다. 도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면체(72)가 출구(313)를 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원판(71)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출구(312)보다도 하류측에 있어,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출구(312)를 통하여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소경 통로(314)와 대경 통로(315)와의 사이의 단차(316)와 원주면체(72)와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73)이 개재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73)은, 피스톤(69)을 통내(411)에 밀어 넣듯이 원판(71), 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의 전체를 제1 압력실(412)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A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가 운전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원판(71) 및 원주면체(72)는,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7 에 나타내는 차단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원판(71)과 축내 통로(31A)의 말단(末端)과의 사이의 공간(317)(축내 통로(31A)의 일부) 내의 냉매가 압축실(271)에 흡입되어 공간(317) 내의 압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원판(71) 및 원주면체(72)는,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7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도6 에 나타낸 연통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원판(71) 및 원주면체(72)는,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7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원판(71), 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통내(411)에 제1 압력실(412)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When the fixed displacement
당해 밸브체는,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 상태와 운전 정지 상태에 대응한 공간(317)[도입 통로(축내 통로(31A))의 일부] 내의 압력의 고저에 따라,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위치와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배치된다. 당해 밸브체, 구획벽판(48), 제1 벨로우즈(51), 제2 벨로우즈(52) 및 교축 통로(53)는,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61B)을 구성한다.The valve element is operated in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essure in the space 317 (par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원판(71) 및 원주면체(72)가 차단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압축실(271, 281)로 흡입 가능한 냉매는, 공간(317) 내, 출구(312, 313) 내 및 연통로(32, 33) 내의 냉매만이기 때문에,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는, 제1, 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높다.In 3rd Embodiment, the same effect as 2nd Embodiment is acquire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refrigerant that can be sucked into the
또한, 피스톤(69)과 전달 로드(70)와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복귀 스프링(73)과 회전축(21)과의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복귀 스프링(73)과 회전축(21)과의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에 기인하는 복귀 스프링(73) 또는 회전축(21)의 마모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는, 원주면체(72)와 복귀 스프링(73)과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Moreover, if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an rotate relatively between the
다음으로, 도8(a), (b) 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fourth embodiment of Figs. 8 (a) and 8 (b)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3rd Embodiment.
통내(411)에는 피스톤(69)이 끼워 넣어져 있고, 피스톤(69)은, 통내(411)에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한다. 제1실 형성 부재로서의 피스톤(69)에 의해 구 획되는 제1 용적 가변실(413)의 용적은, 제1 가동부로서의 피스톤(69)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A
제1 용적 가변실(413)은, 교축 통로(53)를 통하여 제2 용적 가변실(521)로 연통하고 있다. 제1 용적 가변실(413) 내의 용적 변화와 제2 용적 가변실(521) 내의 용적 변화가 동일 크기일 때의 피스톤(69)의 이동 거리는, 제2 벨로우즈(52)의 제2 가동단(522)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The first volume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가 운전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통(75)이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8(a)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통(75)이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8(a)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도8(b) 에 나타내는 연통하는 위치로 배치된다. 원판(71), 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통내(411)에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 당해 밸브체, 구획벽판(48), 벨로우즈(52) 및 교축 통로(53)는,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61C)을 구성한다.When the fixed displacement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4th Embodiment, the same effect as 3rd Embodiment is acquired.
다음으로, 도9(a), (b) 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fifth embodiment of Figs. 9 (a) and 9 (b)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4th Embodiment.
피스톤(69)에는 통(75)이 피스톤(69)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통(75)은, 축내 통로(3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통(75) 의 선단에는 단벽(752)이 형성되어 있다. 축내 통로(31A)의 막다른 곳이 되는 내단(內端)에는 각(角)핀(angular pin:76)이 부착되어 있어, 통(75)의 단벽(752)으로는 각핀(76)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통(75) 및 각핀(76)은, 회전축(2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단벽(752)에 각핀(76)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축내 통로(31A)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다. 피스톤(69) 및 통(75)은, 통내(411)에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The
통(75)은, 소경 통로(314)에 끼워 넣어진 소경 통부(77)와, 대경 통로(315)에 끼워 넣어진 대경 통부(78)를 구비한다. 흡입실(142) 내에 있어서의 대경 통부(78)에는 도입구(751)가 흡입실(142)과 통(75)의 통내(75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경 통부(77)와 대경 통부(78)와의 사이의 단차(753)와, 회전축(21)측의 단차(316)의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74)이 개재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74)은, 피스톤(69)을 통내(411)에 밀어 넣듯이 통(75)을 구획벽판(48)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The
소경 통로(314) 내에 있어서의 소경 통부(77)에는 통구(771)가 소경 통부(77) 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대경 통부(78)에는 통구(781)가 대경 통부(78) 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small-diameter
제2 압력실(491)에는 피스톤(7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79)은, 제2 압력실(491) 내에 제2 용적 가변실(492)을 구획한다. 제1실 형성 부재로서의 피스톤(79)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용적 가변실(492)의 용적은, 제2 가동부로서의 피스톤(79)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의해 변화한다. 즉, 제1 용적 가변실(413)은,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하는 상기 밸브체의 위치 변위(회전축선(210)의 방향으로의 위치 변위)에 따라 용적을 바꾼다.The
제2 용적 가변실(492)은, 교축 통로(53)를 통하여 제1 용적 가변실(413)로 연통하고 있고, 제2 압력실(491)은, 통로(80)를 통하여 흡입실(142)로 연통하고 있다. 피스톤(79)의 지름은, 피스톤(69)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용적 가변실(413) 내의 용적 변화와 제2 용적 가변실(492) 내의 용적 변화가 동일 크기일 때의 피스톤(69)의 이동 거리는, 피스톤(79)의 이동 거리보다도 크다.The second volume
통내(411)에 제1 용적 가변실(413)을 구획하는 상기 밸브체, 구획벽판(48), 교축 통로(53) 및 피스톤(79)은,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수단(61D)을 구성한다.The valve body, the
도9(b) 는, 밸브체로서의 소경 통부(77)가 출구(312)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밸브체로서의 대경 통부(78)가 출구(31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출구(312, 313)와 통(75)의 통내(750)와의 연통이 차단되어 있다. 도9(a) 는, 소경 통부(77)의 통구(771)와 출구(312)가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고, 대경 통부(78)의 통구(781)와 출구(313)가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고, 출구(312, 313)와 통내(750)가 연통되어 있다. 흡입실(142)의 냉매는, 도입구(751), 통내(750), 통구(771), 출구(312) 및 연통로(32)를 통하여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며, 흡입실(142)의 냉매는, 도입구(751), 통내(750), 통구(781), 출구(313) 및 연통로(33)를 통하여 압축실(281)로 유입 가능하다.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ll-diameter
도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75)이 출구(312, 313)를 닫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75)의 선단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출구(312)보다도 상류측에 있어,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출구(312)를 통하여 압축실(271)로 유입 불가능하다. 도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75)이 출구(312, 313)를 여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통(75)의 선단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출구(312)보다도 하류측에 있어,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출구(312)를 통하여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B, when the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가 운전 정지 상태에 있을 때에는, 통(75)이 복귀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9(b)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통(75)의 선단과 축내 통로(31A)의 말단과의 사이의 공간(317)(축내 통로(31A)의 일부) 내의 냉매가 압축실(271)에 흡입되어 공간(317) 내의 압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통(75)은, 복귀 스프링(7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9(b) 에 나타낸 차단하는 위치로부터 도9(a) 에 나타내는 연통하는 위치로 배치된다.When the fixed displacement
피스톤(69) 및 통(75)에 의해 구성되는 밸브체는,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의 운전 상태와 운전 정지 상태에 대응한 공간(317)[도입 통로(축내 통로(31A)의 일부] 내의 압력의 고저에 따라, 압축기 내의 흡입실(142)(흡입압 영역)과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312, 313)를 연통하는 위치와 차단하는 위치로 전환 배치된다.The valve body constituted by the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fourth embodiment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도10 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Next, the sixth embodiment of FIG. 10 will be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A)의 전체 하우징은, 실린더 블록(12)과 프론트 하우징(13)과 리어 하우징(14)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린더 블록(12)과 프론트 하우징(13)과의 사이의 사판실(24)에 사판(23)이 수용되어 있다. 사판(23)에 연계된 편두(single headed) 피스톤(81)은, 사판(23)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 보어(28) 내를 왕복 운동한다. 회전축(21)에는 로터리 밸브(36)가 실린더 블록(12)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리어 하우징(14)에는 밸브체(42), 구획벽판(48), 제1 벨로우즈(51) 및 제2 벨로우즈(52)가 형성되어 있다.The entire housing of the fixed displacement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sixth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스톤(69) 대신에,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로우즈(51)를 이용해도 좋다.In the fifth embodiment, the
○ 제1 로터리 밸브(35) 및 제2 로터리 밸브(36)를 회전축(21)과는 별체(別體)로 형성해도 좋다.The first
○ 구획벽이 리어 하우징과 일체이도록(리어 하우징의 일부가 구획벽을 겸하고 있도록) 해도 좋다.The partition wall may be integrated with the rear housing (a part of the rear housing also serves as the partition wall).
도1 은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ntire compressor showing a first embodiment.
도2(a) 는 도1 의 A-A선 단면도이며, 도2(b) 는 도1 의 B-B선 단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3 은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도4 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4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도5(a), (b) 는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5 (a) and 5 (b) are partial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도6 은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도7 은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도8(a), (b) 는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8 (a) and 8 (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도9(a), (b) 는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9 (a) and 9 (b) are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fth embodiment.
도10 은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Fig. 10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showing the sixth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10A : 고정 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 10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11, 12 : 실린더 블록11, 12: cylinder block
111, 121 : 밸브 수용실로서의 축공111, 121: shaft hole as a valve receiving chamber
131, 141 : 토출압 영역으로서의 토출실131 and 141: discharge chamber as discharge pressure region
14 : 리어 하우징14: rear housing
142 :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으로서의 흡입실142: suction chamber as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21 : 회전축21: rotating shaft
210 : 회전축선210: axis of rotation
211, 212 : 시일 주면211, 212: seal
213 : 단면213: cross section
23 : 캠체로서의 사판23: swash plate as a cam body
25 : 전자 클러치25: electronic clutch
26 : 외부 구동원으로서의 차량 엔진26: vehicle engine as an external drive source
27, 28 : 실린더 보어27, 28: Cylinder Bore
271, 281 : 압축실271, 281: compression chamber
29 : 양두 피스톤29: double head piston
31, 31A : 도입 통로를 구성하는 축내 통로31, 31A: In-axis passage which constitutes the introduction passage
311 : 입구311: entrance
312, 313 : 출구312, 313: exit
35 : 제1 로터리 밸브35: first rotary valve
36 : 제2 로터리 밸브36: second rotary valve
413 : 제1 용적 가변실413: first volumetric variable chamber
42, 67 : 전환 수단을 구성하는 밸브체42, 67: valve body constituting the switching means
441 : 내부 통로의 입구로서의 도입구441: Inlet port as entrance of inner passage
442 : 내부 통로로서의 통내442: inside as a passageway
47, 73, 74 : 복귀 스프링47, 73, 74: return spring
48 : 구획벽으로서의 구획벽판48: partition wall plate as partition wall
492 : 제2 용적 가변실492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51 : 제1실 형성 부재로서의 제1 벨로우즈51: first bellows as the first chamber forming member
511 : 제1 용적 가변실511: first volume variable chamber
512 : 제1 가동부로서의 제1 가동단512: first movable end as the first movable part
52 : 제2실 형성 부재로서의 제2 벨로우즈52: second bellows as second chamber forming member
521 : 제2 용적 가변실521: second volume variable chamber
522 : 제2 가동부로서의 제2 가동단522: second movable end as the second movable part
53 : 교축 통로53: throttle passage
61, 61A, 61B, 61C, 61D : 전환 수단61, 61A, 61B, 61C, 61D: switching means
71 : 밸브체를 구성하는 원판71: disc constituting the valve body
72 : 밸브체를 구성하는 원주면체72: circumferential surface constituting the valve body
75 : 밸브체를 구성하는 통75: barrel constituting the valve body
81 : 편두 피스톤81: migraine piston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131913A JP2008286109A (en) | 2007-05-17 | 2007-05-17 | Refrigerant intake structure in fixed capacity type piston type compressor |
JPJP-P-2007-00131913 | 2007-05-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1664A KR20080101664A (en) | 2008-11-21 |
KR100896267B1 true KR100896267B1 (en) | 2009-05-08 |
Family
ID=4012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4206A KR100896267B1 (en) | 2007-05-17 | 2008-04-14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129948A1 (en) |
JP (1) | JP2008286109A (en) |
KR (1) | KR100896267B1 (en) |
CN (1) | CN101307753B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862A (en) * | 2018-03-30 | 2019-10-10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 Piston compress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24558A (en) * | 2007-07-18 | 2009-02-05 | Toyota Industries Corp | Coolant suction structure of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
JP4924464B2 (en) * | 2008-02-05 | 2012-04-25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Swash plate compressor |
JP5045555B2 (en) * | 2008-05-29 | 2012-10-1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Double-hea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
KR101147167B1 (en) * | 2010-12-06 | 2012-05-25 |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 An improved pumping device and method of chemical liquids and a feeding device of chemical liquids having the same |
DE102014217897A1 (en) * | 2014-09-08 | 2016-03-10 | Pressure Wave Systems Gmbh | A compressor device, a cooling device equipped therewith,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mpressor device and the cooling device |
CN111212687B (en) * | 2017-10-24 | 2022-11-01 |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 Pulse compression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JP6977651B2 (en) * | 2018-03-30 | 2021-12-08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Piston compress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8155A (en) | 2003-09-24 | 2005-04-14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lutchless compressor |
JP2006177300A (en) | 2004-12-24 | 2006-07-06 | Toyota Industries Corp | Capacity control mechanism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06207484A (en) | 2005-01-28 | 2006-08-10 | Toyota Industries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KR20070014001A (en) * | 2005-07-27 | 2007-01-31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78212A (en) * | 1992-03-04 | 1995-12-26 | Nippondenso Co., Ltd.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JPH09228956A (en) * | 1996-02-20 | 1997-09-02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US6224348B1 (en) * | 1999-02-01 | 2001-05-01 |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2007
- 2007-05-17 JP JP2007131913A patent/JP2008286109A/en active Pending
-
2008
- 2008-04-14 KR KR1020080034206A patent/KR10089626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5-15 US US12/121,098 patent/US2009012994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5-16 CN CN2008100988241A patent/CN101307753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98155A (en) | 2003-09-24 | 2005-04-14 |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lutchless compressor |
JP2006177300A (en) | 2004-12-24 | 2006-07-06 | Toyota Industries Corp | Capacity control mechanism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JP2006207484A (en) | 2005-01-28 | 2006-08-10 | Toyota Industries Corp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KR20070014001A (en) * | 2005-07-27 | 2007-01-31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4862A (en) * | 2018-03-30 | 2019-10-10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 Piston compressor |
KR102138150B1 (en) | 2018-03-30 | 2020-07-27 |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 Piston compres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90129948A1 (en) | 2009-05-21 |
CN101307753A (en) | 2008-11-19 |
JP2008286109A (en) | 2008-11-27 |
KR20080101664A (en) | 2008-11-21 |
CN101307753B (en) | 2010-09-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6267B1 (en)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
JP6224011B2 (en) | Capacity control valve | |
KR100986943B1 (en) | Discharge valv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20060086883A (en)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US20120247140A1 (en) |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060046254A (en) |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US20090142210A1 (en) | Suction structure in piston type compressor | |
KR10208201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090031953A (en) | Compressor | |
JPH05231309A (en) | Structure for lubrication in piston type compressor | |
KR100921372B1 (en)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
KR20090009093A (en)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
JP3924713B2 (en) |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 |
KR20070106860A (en) | Variable capacity typ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JP7062698B2 (en) |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
KR20130121329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547593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CN106662087B (en) | Compressor | |
KR101843756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JP2004245197A (en) | Piston type compressor | |
WO2007086261A1 (en) | Variable displacement-type clutchless compressor | |
JP4591988B2 (en) | Swash plate compressor | |
KR20200009555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1763979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EP3896284B1 (en) | Swash plate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