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72B1 -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 Google Patents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72B1
KR100921372B1 KR1020080028224A KR20080028224A KR100921372B1 KR 100921372 B1 KR100921372 B1 KR 100921372B1 KR 1020080028224 A KR1020080028224 A KR 1020080028224A KR 20080028224 A KR20080028224 A KR 20080028224A KR 100921372 B1 KR100921372 B1 KR 10092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mpressor
valve
pass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88446A (en
Inventor
시아오리앙 왕
노부아키 호시노
마사키 오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4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40691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8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48722A/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8008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45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9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로터리밸브(35, 36)의 도입 통로(31)는, 흡입압 영역(142)으로부터 각각의 압축실(271, 281)로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312, 313)를 갖는다. 차단 상태의 절환부(switch portion)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142)을, 도입 통로(31)의 출구(312, 313)로부터 차단한다. 절환부는, 밸브체(42), 작동압실(412) 및, 작동압 부여부(48)를 갖는다. 작동압실(412)은, 연통(communication) 위치에 밸브체(42)를 배치하기 위해 밸브체(42)에 작용시키기 위한 작동압을 도입한다. 흡입압 영역(142)의 압력은, 밸브체(42)를 통하여, 작동압실(412)의 압력에 대항한다.

Figure R1020080028224

냉매 흡입, 밸브체, 작동압 부여부

The introduction passages 31 of the rotary valves 35 and 36 have outlets 312 and 313 for deliver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142 to the respective compression chambers 271 and 281. The switch portion in the shut-off state blocks the portion 142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from the outlets 312 and 313 of the introduction passage 31. 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valve body 42, a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a working pressure applying unit 48.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troduces an operating pressure for acting on the valve body 42 to arrange the valve body 42 in a communication positio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pressure region 142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via the valve body 42.

Figure R1020080028224

Refrigerant suction, valve body, working pressure

Description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체 및,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본 발명은, 로터리밸브를 구비하는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피스톤은, 실린더보어 내에 압축실을 구획(define)한다. 로터리밸브는,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압축실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다. 로터리밸브는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provided with a rotary valve. The piston defines a compression chamber in the cylinder bore. The rotary valve has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to the compression chamber. The rotary valve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Moreover,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19631호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83835호는, 로터리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를 개시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4-88064호와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145629호는, 리드밸브형(reed valve type)의 흡입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를 개시한다. 로터리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는, 리드밸브형의 흡입밸브를 이용한 피스톤식 압축기에 비하여, 실린더보어 내로 흡입 가스 를 흡입할 때의 흡입 저항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JP-A-7-119631 and JP-A-2006-83835 disclose a piston compressor using a rotary valve. JP-A-64-88064 and JP-A-2000-145629 disclose a piston compressor using a suction valve of a reed valve type. The piston compressor using a rotary valve has less suction resistance and superior energy efficiency when suction gas is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than a piston compressor using a reed valve type suction valv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19631호는, 압축기의 기동(起動)시에 생길 수 있는 기동 쇼크(shock)를 개시한다. 압축기의 기동시에, 가스의 압축에 수반하여 토크가 급격히 증대하면, 부하가 차량 엔진으로서의 내연 기관에 가해지는 결과,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순간 저하될 수 있다. 그 경우, 차량 탑승자가 쇼크를 느낀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19631 discloses a start shock that may occur at the start of a compressor. At the time of startup of the compressor, if the torque sharply increases along with the compression of the gas, the load is applied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the vehicle engine, and as a result,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may decrease for a moment. In that case, the vehicle occupant feels shock.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19631호의 로터리밸브는, 제어압실의 압력에 따라,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압축기는, 실린더블록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흡입압 영역으로서의 흡입구를 갖는다. 로터리밸브는, 실린더보어를 흡입구에 연통(communication) 가능한 바이패스홈(bypass groove)을 갖는다. 압축기 운전 정지시와 압축기 기동시에 바이패스홈이 거의 모든 실린더보어를 흡입구에 연통하도록, 로터리밸브는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압축기 기동시에 피스톤이 실린더보어 내의 가스를 압축하는 동작을 해도, 실린더보어 내의 가스는, 바이패스홈을 경유하여 흡입구로 흐른다. 그 결과, 기동 쇼크는 억제된다.The rotary valve of Unexamined-Japanese-Patent No. 7-119631 can move to the axial direction of a rotating shaft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a control pressure chamber. The compressor has a suction port as a suction pressure reg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The rotary valve has a bypass groove that can communicate the cylinder bore to the suction port. The rotary valve moves axially so that the bypass groove communicates almost all of the cylinder bores to the inlet port at the compressor shutdown and at compressor startup. Therefore, even when the piston compresses the gas in the cylinder bore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the gas in the cylinder bore flows to the suction port via the bypass groove. As a result, starting shock is suppressed.

로터리밸브의 주면(周面)에 있어서의 클리어런스(clearance)는, 가급적 작게 할 필요가 있다. 로터리밸브의 주면을 따라 가스가 새지 않도록, 그리고, 로터리밸브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클리어런스는, 로터리밸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클리어런스의 관리는 매우 곤란하다.The clearance in the main surface of a rotary valve should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This is to prevent gas leakage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valve and to allow the rotary valve to rotate. The clearance also needs to allow the rotary valve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However, managing such clearances is very difficult.

일본공개특허공보 2000-145629호의 피스톤식 압축기는, 토출압과 흡입압 사이의 차압(differential pressure)에 의해 개폐하는 차압감지 개폐밸브를 갖는다. 차압감지 개폐밸브는, 압축기 외부로부터 압축기로 냉매를 도입하는 저압 냉매 관로와, 압축기 내에 위치하는 흡입실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압축기가 압력 밸런스 상태로부터 기동하면, 차압감지 개폐밸브는 닫힘 상태가 되어, 압축기 외부로부터 흡입실로의 냉매의 유입을 막는다. 그 결과, 기동 쇼크를 완화한다.The piston compressor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45629 has a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that opens and closes by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 discharge pressure and a suction pressur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pening / closing valve is disposed between a low pressure refrigerant channel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to the compressor and a suction chamber located in the compressor. When the compressor is started from the pressure balanced stat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on / off valve is closed and prevents the refrigerant from flowing into the suction chamber from outside the compressor. As a result,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그러나, 차압감지 개폐밸브가 닫힘 상태가 되어도, 흡입실에는 냉매가 남아, 이 잔류 냉매는 실린더보어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흡입실의 용적은, 압축기의 흡입 맥동(pulsation)을 억제하기 위해 크게 해두고 있기 때문에, 차압감지 개폐밸브가 닫힘 상태가 된 상태에서 실린더보어로 흡입되는 냉매량은 많다. 따라서, 차압감지 개폐밸브에 의한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However, even when the differential pressure detecting switching valve is closed, the refrigerant remains in the suction chamber, and the residual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and compressed. Since the volume of the suction chamber is made large to suppress the suction pulsation of the compressor, the amount of refrigerant sucked into the cylinder bore is large in the state where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switching valve is closed. Therefore, the effect of the starting shock relief by a differential pressure sensing switching valve is not enough.

본 발명은,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ect of mitigating shock.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가 제공된다.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를 구비한다. 복수의 실린더보어는, 회전 샤프트의 주위에 배열된다. 복수의 피스톤은, 실린더보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실린더보어에 각각 압축실을 구획한다. 캠체(cam body)는, 회전 샤프트와 일체화된다. 캠체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각각의 피스톤에 연동시킨다. 로터리밸브는,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압축실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다. 로터리밸브는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흡입압 영역은,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는다. 도입 통로는, 각각의 압축실을 향하여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는다. 냉매 흡입 구조는,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switch) 가능한 절환부를 갖는다. 연통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절환부는, 연통 위치와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한 밸브체를 갖는다. 연통 위치의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위치의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작동압 실(working pressure chamber)은, 연통 위치에 밸브체를 배치하기 위해 밸브체에 작용시키기 위한 작동압을 도입한다. 작동압 부여부는, 작동압실에 작동압을 부여한다. 흡입압 영역의 압력은, 밸브체를 통하여, 작동압실의 압력에 대항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is provided. The compressor has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through a clutch. The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e arranged around the rotating shaft. The plurality of pistons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bores, thereby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s into the respective cylinder bores. The cam body is integrated with the rotating shaft. The cam body interlocks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with each piston. The rotary valve has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a refrigerant from each suction pressure region into each compression chamber. The rotary valve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s a portion in the compressor. 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outlet for delivering the coolant toward each compression chamber. The refrigerant intake structure has a switching portion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communicating and interrupted states. The switch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in the cutoff state cuts off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has a valve body which can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ng position and the cutoff position and arranged.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valve body in the cutoff position cuts off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introduces a working pressure for acting on the valve body to position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The operating pressure applying unit applies the operating pressure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e pressure in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valve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가 제공된다. 냉매 흡입 구조는,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갖는다. 연통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절환부는, 연통 위치와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한 밸브체를 갖는다. 연통 위치의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위치의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전자(電磁) 구동부는, 밸브체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is provided. The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has a switching section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communicating and interrupted states. The switch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in the cutoff state cuts off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has a valve body which can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ng position and the cutoff position and arranged.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valve body in the cutoff position cuts off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drives the valve body by an electromagnetic force.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운전 제어 방법은,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통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절환부는 밸브체, 작동압실 및, 작동압 부여부를 구비한다.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와,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 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다. 작동압실은, 연통 위치에 밸브체를 배치하기 위해 밸브체에 작용시키는 작동압을 도입한다. 작동압 부여부는 작동압실에 작동압을 부여한다. 작동압 부여부는, 토출압 영역의 냉매를, 작동압실에 공급 가능한 제1 상태와 공급 불능한 제2 상태로 절환하여 배치되는 절환밸브를 구비한다. 운전 제어 방법은,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절환밸브를 제2 상태로 한 후에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하는 것을 구비한다. 운전 제어 방법은,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후에, 절환밸브를 제1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control method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ncludes preparing a switch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to a communicating state and a disconnected state. The switch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in the cutoff state cuts off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valve body, a working pressure chamber, and a working pressure applying section. The valve element can be disposed by switching between a communication position allow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and a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D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introduces a working pressure acting on the valve body to arrange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The operating pressure imparting unit imparts the working pressure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e operating pressure applying unit includes a switching valve arranged to switch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a first state capable of supplying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and a second state in which it cannot supply.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s equipped with putting a clutch into a connected state after changing a switching valve to a 2nd state, when switching a clutch from a shut-off state to a connected state.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ncludes switching the switching valve to the first state after the clutch is in the connected state.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운전 제어 방법은,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준비하는 것을 구비한다. 연통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한다. 차단 상태의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한다. 절환부는 밸브체와 전자 구동부를 구비한다. 밸브체는,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와, 압축기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다. 전자 구동부는 밸브체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 가능하다. 전자 구동부는, 밸브체를 연통 위치에 배치하는 제1 상태와, 밸브체를 차단 위치에 배치하는 제2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 운전 제어 방법은,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전자 구동부를 제2 상태로 한 후에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하는 것을 구비한다. 운전 제어 방법은,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후에, 전자 구동 부를 제1 상태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control method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An operation control method is equipped with the switching part which can be switched to a communication state and a interruption state. The switch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part in the cutoff state cuts off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valve body and an electromagnetic drive section. The valve element can be disposed by switching between a communication position allow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a cutoff position for block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Do.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can drive the valve body by an electromagnetic force.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can be switched to a first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a second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is arranged in the shutoff position. The driving control method includes providing the clutch in the connected state after switching the clutch from the shutoff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after setting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to the second state. The driving control method includes putting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in the first state after the clutch is in the connected sta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부수되는 도면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xplain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본 발명의 신규라고 생각되는 특징은, 특히,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분명하다. 목적과 이익을 수반하는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현 시점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The features considered to be novel of this invention are especially clear in the attached Claim.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objects and benefits, will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at the present time described below.

도1∼도6 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를 나타낸다.1 to 6 show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front) 실린더블록(11)은 리어(rear) 실린더블록(12)에 연결된다. 프런트 실린더블록(11)에는 프런트 하우징(13)이 연결되고, 리어 실린더블록(12)에는 리어 하우징(14)이 연결된다. 프런트 실린더블록(11), 리어 실린더블록(12), 프런트 하우징(13) 및, 리어 하우징(14)은,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front cylinder block 11 is connected to the rear cylinder block 12. As shown in FIG. The front housing 13 is connected to the front cylinder block 11, and the rear housing 14 is connected to the rear cylinder block 12. The front cylinder block 11, the rear cylinder block 12, the front housing 13, and the rear housing 14 constitute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

프런트 하우징(13)에는 프런트 토출실(131)이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14)에는, 리어 토출실(141)과 흡입실(142)이 형성된다. 프런트 토출실(131)과 리어 토출실(141)은, 각각 압축기(10) 내의 토출압 영역의 부분이다. 흡입실(142)은,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다. 압축기 내(內)란, 압축기(10)의 전체 하 우징의 내부를 말하며, 압축기 외(外)란,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의 외부를 말한다.The front discharge chamber 131 is formed in the front housing 13.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are formed in the rear housing 14. The front discharge chamber 131 and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are portions of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respectively. The suction chamber 142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The inside of a compressor means the inside of the whol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outside of a compressor means the outside of the whol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 As shown in FIG.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실린더블록(11)과 프런트 하우징(13)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15), 밸브 형성 플레이트(16) 및, 리테이너(retainer) 형성 플레이트(17)가 배치된다. 리어 실린더블록(12)과 리어 하우징(14)의 사이에는, 밸브 플레이트(18), 밸브 형성 플레이트(19)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20)가 배치된다. 밸브 플레이트(15, 18)에는 각각 토출포트(151, 181)가 형성되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16, 19)에는 토출밸브(161, 191)가 형성된다. 토출밸브(161, 191)는, 각각 토출포트(151, 181)를 개폐한다.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 20)에는, 각각 리테이너(171, 201)가 형성된다. 리테이너(171, 201)는, 토출밸브(161, 191)의 개도(opening degree)를 규제한다.As shown in FIG. 1, between the front cylinder block 11 and the front housing 13, the valve plate 15, the valve formation plate 16, and the retainer formation plate 17 are arrange | positioned. The valve plate 18, the valve forming plate 19, and the retainer forming plate 20 are disposed between the rear cylinder block 12 and the rear housing 14. Discharge ports 151 and 181 are formed in the valve plates 15 and 18, respectively, and discharge valves 161 and 191 are formed in the valve forming plates 16 and 19. The discharge valves 161 and 191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s 151 and 181, respectively. Retainers 171 and 201 are formed in the retainer forming plates 17 and 20, respectively. The retainers 171 and 201 regulate the opening degree of the discharge valves 161 and 191.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실린더블록(11)과 리어 실린더블록(12)에는 회전 샤프트(2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런트 실린더블록(11)과 리어 실린더블록(12)에는 프런트 축공(shaft hole;111)과 리어 축공(121)이 관통 형성되고, 프런트 축공(111)과 리어 축공(121)에는 회전 샤프트(21)가 끼워진다.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은, 프런트 축공(111)과 리어 축공(121)의 내주면에 접하고, 회전 샤프트(21)는, 프런트 축공(111)과 리어 축공(121)의 내주면을 통하여 프런트 실린더블록(11)과 리어 실린더블록(12)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 프런트 축공(111)에 접하는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 부분은, 프런트 시일(seal) 주면(周面)(211)이고, 리어 축공(121)에 접하는 회전 샤프트(21)의 외주면 부분은, 리어 시일 주 면(212)이다.As shown in FIG. 1, the rotating shaft 2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ront cylinder block 11 and the rear cylinder block 12. As shown in FIG. A front shaft hole 111 and a rear shaft hole 121 are formed through the front cylinder block 11 and the rear cylinder block 12, and a rotating shaft 21 is formed in the front shaft hole 111 and the rear shaft hole 121. Is fitt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2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shaft hole 111 and the rear shaft hole 121, and the rotary shaft 21 is the front cylinder block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shaft hole 111 and the rear shaft hole 121. Directly supported by 11 and rear cylinder block 1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rotary shaft 21 in contact with the front shaft hole 111 is the front seal main surface 21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rotary shaft 21 in contact with the rear shaft hole 121 is rear. Seal principal face 212.

회전 샤프트(21)에는 캠체로서의 사판(23)이 고착된다. 사판(23)은, 프런트 실린더블록(11)과 리어 실린더블록(12)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사판실(24)에 수용된다. 프런트 하우징(13)과 회전 샤프트(21)의 사이에는, 립시일(lip seal)형의 축 시일 부재(22)가 배치된다. 축 시일 부재(22)는, 프런트 하우징(13)과 회전 샤프트(21)의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방지한다. 프런트 하우징(13)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회전 샤프트(21)의 돌출 단부는, 전자 클러치(25)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인 차량 엔진(26)에 접속된다. 회전 샤프트(21)는, 전자 클러치(25)를 통하여 차량 엔진(26)으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얻는다.The swash plate 23 as a cam body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21. The swash plate 23 is accommodated in the swash plate chamber 24 formed by the front cylinder block 11 and the rear cylinder block 12. A lip seal type shaft seal member 22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housing 13 and the rotary shaft 21. The shaft seal member 22 prevents gas leakage from between the front housing 13 and the rotary shaft 21. The protruding end of the rotating shaft 21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front housing 1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engine 26 which is an external drive source via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rotary shaft 21 obtains a rotation driving force from the vehicle engine 26 via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도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실린더블록(11)에는 복수의 프런트 실린더보어(27)가, 회전 샤프트(21)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도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린더블록(12)에는 복수의 리어 실린더보어(28)가, 회전 샤프트(21)의 주위에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전후에서 쌍이 되는 프런트 실린더보어(27)와 리어 실린더보어(28)에는, 각각 양두(double headed) 피스톤(29)이 수용된다.As shown in FIG. 2A, the front cylinder block 11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front cylinder bores 27 are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21. As shown in FIG. 2B, a plurality of rear cylinder bores 28 are formed in the rear cylinder block 12 so as to be arranged around the rotation shaft 21. The double headed piston 29 is accommodated in the front cylinder bore 27 and the rear cylinder bore 28 which are paired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사판(23)의 회전 운동은, 슈(30)를 통하여 양두 피스톤(29)에 전달되어, 양두 피스톤(29)이 프런트 실린더보어(27)와 리어 실린더보어(28) 내를 전후로 왕복운동한다. 양두 피스톤(29)은, 프런트 실린더보어(27) 내에 프런트 압축실(271)을 구획하고, 리어 실린더보어(28) 내에 리어 압축실(281)을 구획한다.As shown in FIG. 1,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wash plate 23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ry shaft 21 is transmitted to the double head piston 29 via the shoe 30, so that the double head piston 29 is moved to the front cylinder. The inside of the bore 27 and the rear cylinder bore 28 reciprocate back and forth. The double head piston 29 partitions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in the front cylinder bore 27 and partitions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in the rear cylinder bore 28.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의 내부는,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축선(210)을 따라 연장하는 축내 통로(31)를 갖는다. 축내 통로(31)의 입구(311)는, 회전 샤프트(21)의 리어 단면에 위치하고, 흡입실(142)로 개구한다. 축내 통로(31)는,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를 갖는다. 프런트 출구(312)는, 회전 샤프트(21)의 프런트 시일 주면(211)으로 개구한다. 리어 출구(313)는 리어 시일 주면(212)으로 개구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side of the rotary shaft 21 has an in-axis passage 31 extending along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ry shaft 21. The inlet 311 of the in-axis passage 31 is located i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1, and opens in the suction chamber 142. As shown in FIG. The in-axis passageway 31 has a front outlet 312 and a rear outlet 313. The front outlet 312 opens to the front seal main surface 211 of the rotary shaft 21. The rear outlet 313 opens to the rear seal main surface 212.

도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실린더블록(11)은, 프런트 실린더보어(27)와 동수(同數)의 프런트 연통로(communication passage;32)를 갖는다. 각각의 프런트 연통로(32)는, 각각의 프런트 실린더보어(27)를, 프런트 축공(111)에 연통한다. 도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린더블록(12)은, 리어 실린더보어(28)와 동수의 리어 연통로(33)를 갖는다. 각각의 리어 연통로(33)는, 각각의 리어 실린더보어(28)를 리어 축공(121)에 연통한다.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는 각각의 프런트 연통로(32)에 간헐적으로 연통하고, 리어 출구(313)는 각각의 리어 연통로(33)에 간헐적으로 연통한다.As shown in FIG. 2A, the front cylinder block 11 has a front communication passage 32 equal in number to the front cylinder bore 27. Each front communication path 32 communicates each front cylinder bore 27 with the front shaft hole 111. As shown in FIG. 2B, the rear cylinder block 12 has the same number of rear communication paths 33 as the rear cylinder bores 28. Each rear communication path 33 communicates each rear cylinder bore 28 with the rear shaft hole 121.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 the front outlet 312 of the in-axis passage 31 intermittently communicates with each front communication path 32, and the rear outlet 313 is each rear communication path 33. Intermittently).

도1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29)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행정(行程)의 경우, 즉, 양두 피스톤(29)이 어떤 프런트 실린더보어(27)를 흡입 행정으로 하는 상태의 경우, 프런트 출구(312)는, 대응하는 프런트 연통로(32)에 연통한다. 그 결과, 회전 샤프트(21)의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는, 프런트 출구(312)와, 대응하는 프런트 연통로(32)를 경유하여, 대응하는 프런트 압축실(271)로 흡입된다.1, in the case of a stroke in which the double-headed piston 29 moves from left to righ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uble-headed piston 29 makes a certain front cylinder bore 27 a suction stroke, the front outlet 312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front communication path 32. As a result, the refrigerant in the shaft passage 31 of the rotary shaft 21 is sucked into the corresponding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via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corresponding front communication path 32.

도1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29)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행정의 경우, 즉, 양두 피스톤(29)이 어떤 프런트 실린더보어(27)를 토출 행정으로 하는 상태의 경우, 프런트 시일 주면(211)은, 프런트 출구(312)를, 대응하는 프런트 연통로(32)로부터 차단한다. 그 결과, 프런트 압축실(271) 내의 냉매는, 토출포트(151)로부터 토출밸브(161)를 밀어내어, 프런트 토출실(131)로 토출된다. 프런트 토출실(131)로 토출된 냉매는, 토출 통로(341)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다.1, in the case of a strok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oves from right to lef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akes a certain front cylinder bore 27 as a discharge stroke, the front seal main surface 211 ) Blocks the front outlet 312 from the corresponding front communication path 32. As a result, the refrigerant in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pushes the discharge valve 161 out of the discharge port 151 and is discharged to the front discharge chamber 131.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front discharge chamber 131 flows out to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341.

도1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29)이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행정의 경우, 즉, 양두 피스톤(29)이 어떤 리어 실린더보어(28)를 흡입 행정으로 하는 상태의 경우, 리어 출구(313)는, 대응하는 리어 연통로(33)에 연통한다. 그 결과, 회전 샤프트(21)의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는, 리어 출구(313)와, 대응하는 리어 연통로(33)를 경유하여, 대응하는 리어 압축실(281)로 흡입된다.1, in the case of a strok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oves from right to lef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akes a certain rear cylinder bore 28 a suction stroke, the rear outlet 313 Communicates with the corresponding rear communication path 33. As a result, the refrigerant in the in-axis passage 31 of the rotary shaft 21 is sucked into the corresponding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via the rear outlet 313 and the corresponding rear communication path 33.

도1 에 있어서, 양두 피스톤(29)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행정의 경우, 즉, 양두 피스톤(29)이 어떤 리어 실린더보어(28)를 토출 행정으로 하는 상태의 경우, 리어 시일 주면(212)은, 리어 출구(313)를, 대응하는 리어 연통로(33)로부터 차단한다. 그 결과, 리어 압축실(281) 내의 냉매는, 토출포트(181)로부터 토출밸브(191)를 밀어내어, 리어 토출실(141)로 토출된다. 리어 토출실(141)로 토출된 냉매는, 토출 통로(343)를 통하여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다.1, in the case of a strok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oves from left to righ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double head piston 29 makes a certain rear cylinder bore 28 a discharge stroke, the rear seal main surface 212 ) Blocks the rear outlet 313 from the corresponding rear communication path 33. As a result, the refrigerant in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pushes the discharge valve 191 out of the discharge port 181 and is discharged to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The refrigerant discharged to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flows out to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343.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냉매 회로(34)에는, 열교환기(37), 팽창밸 브(38) 및, 열교환기(39)가 배치된다. 열교환기(37)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는다. 팽창밸브(38)는, 열교환기(39)의 출구에서 계측하는 가스 온도의 변동에 따라,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열교환기(39)는, 주위의 열을 냉매로 옮긴다. 외부 냉매 회로(34)로 유출한 냉매는, 흡입실(142)로 환류한다.As shown in FIG. 1, a heat exchanger 37, an expansion valve 38, and a heat exchanger 39 are disposed in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The heat exchanger 37 takes heat from the refrigerant. The expansion valve 38 controls the refrigerant flow rate in accordance with the fluctuation of the gas temperature measured at the outlet of the heat exchanger 39. The heat exchanger 39 transfers the surrounding heat to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flowing out to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is returned to the suction chamber 142.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의 프런트 시일 주면(211)의 부분은, 제1 로터리밸브(35)로서 기능한다. 회전 샤프트(21)의 리어 시일 주면(212)의 부분은, 제2 로터리밸브(36)로서 기능한다. 즉, 회전 샤프트(21)는 로터리밸브이다. 제1 로터리밸브(35)와 제2 로터리밸브(36)는, 각각 회전 샤프트(21)에 일체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축선(210)은, 제1 로터리밸브(35)의 회전 축선이고, 제2 로터리밸브(36)의 회전 축선이기도 하다.As shown in FIG. 1, the part of the front seal main surface 211 of the rotating shaft 21 functions as the 1st rotary valve 35. As shown in FIG. A portion of the rear seal main surface 212 of the rotary shaft 21 functions as the second rotary valve 36. That is, the rotating shaft 21 is a rotary valve. It can be said that the 1st rotary valve 35 and the 2nd rotary valve 36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21, respectively.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tion shaft 21 i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tary valve 35 and is als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ary valve 36.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의 리어 단면(end surface), 즉 제2 로터리밸브(36)의 리어 단면은, 로터리밸브의 회전 축선(210)과 교차한다. 축내 통로(31)와 프런트 출구(312)는, 제1 로터리밸브(35)의 도입 통로를 구성한다. 축내 통로(31)와 리어 출구(313)는, 제2 로터리밸브(36)의 도입 통로를 구성한다. 프런트 축공(111)은, 제1 로터리밸브(35)를 수용하는 제1 밸브 수용실이다. 리어 축공(121)은, 제2 로터리밸브(36)를 수용하는 제2 밸브 수용실이다.As shown in FIG. 1, the rear end surface of the rotary shaft 21, that is, the rear end surface of the second rotary valve 36 intersects with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ry valve.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front outlet 312 constitute an introduction passage of the first rotary valve 35.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rear outlet 313 constitute an introduction passage of the second rotary valve 36. The front shaft hole 111 is a 1st valve accommodation chamber which accommodates the 1st rotary valve 35. The rear shaft hole 121 is a second valve accommodation chamber that accommodates the second rotary valve 36.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4)은, 흡입실(142)을 형성하는 단벽(end wall;40)을 갖는다. 단벽(40)의 내면에는, 원통(41)이 일체 형성된다. 원통(41)의 통내를, 작동압실 형성 오목부로서의 작동압 오목부(411)라고 칭한다. 작동압 오목부(411)에는, 스풀(spool) 형상의 밸브체(42)가 슬라이드 가능 하게 끼워 넣어진다. 밸브체(42)는, 원판 형상의 피스톤부(43)와, 원통부(44)를 구비한다. 피스톤부(43)는,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을 구획한다. 흡입실(142) 내의 압력, 즉 흡입압은, 밸브체(42)를 통하여,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에 대항한다. 원통부(44)의 주벽(peripheral wall)은, 도입구(441)를 갖는다. 즉 도입구(441)는, 원통부(44)의 외주면으로 개구하고, 그리고 원통부(44)의 통내(cylinder interior;442)에 연통한다. 통내(442)는, 밸브체(42)의 내부 통로이다.As shown in FIG.3 and FIG.4, the rear housing 14 has the end wall 40 which forms the suction chamber 142. As shown in FIG. The cylinder 4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wall 40. The inside of the cylinder 41 is called the working pressure recessed part 411 as a working pressure chamber formation recessed part. A spool-shaped valve body 42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The valve body 42 includes a disk-shaped piston portion 43 and a cylindrical portion 44. The piston portion 43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that is, the suction pressure,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rough the valve body 42. The peripheral wall of the cylindrical part 44 has an inlet 441. That is, the inlet 441 open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4 and communicates with a cylinder interior 442 of the cylindrical portion 44. The cylinder 442 is an internal passage of the valve body 42.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실린더블록(12)의 단면에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통(45)이, 원통(41)에 대향하도록 일체 형성된다. 가이드통(45)의 통내(451)는, 도입 통로로서의 축내(軸內) 통로(31)의 입구(311)에 연통한다. 가이드통(45)의 선단은, 원통(41)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밸브체(42)의 원통부(44)는, 가이드통(4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가이드통(45)의 내주면에는, 서클립(circlip;46)이 부착되고, 서클립(46)과 피스톤부(43)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47)이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47)은, 밸브체(42)를, 리어 하우징(14)의 단벽(40)에 가까이 대도록 탄성 지지한다. 밸브체(42)가 단벽(40)에 접근할수록, 작동압실(412)의 용적이 감소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cylindrical guide cylinder 45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rear cylinder block 12 so that it may oppose the cylinder 41. As shown in FIG. The cylinder 451 of the guide cylinder 45 communicates with the inlet 311 of the shaft passage 31 as an introduction passage. The tip of the guide cylinder 45 is separated from the tip of the cylinder 41.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42 is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cylinder 45. A circlip 46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cylinder 45, and a first return spring 47 is disposed between the circlip 46 and the piston portion 43. The first return spring 47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42 so as to be close to the end wall 40 of the rear housing 14. As the valve body 42 approaches the end wall 40, the volume of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decreases.

도3 은, 축내 통로(31)가 흡입실(142)에 연통하는 것을 밸브체(42)가 허용하도록, 밸브체(42)가 연통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4 는, 밸브체(42)가 축내 통로(31)로부터 흡입실(142)을 차단하도록,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3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밸브체(42)의 도입구(441)의 전 체가, 흡입실(142) 내로 노출한다. 축내 통로(31)는, 가이드통(45)의 통내(451), 원통부(44)의 통내(442) 및, 도입구(441)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한다. 도4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입구(441)의 전체가, 작동압 오목부(recess)(411) 내로 깊숙이 들어가 있다. 그 결과, 밸브체(42)의 원통부(44)는, 축내 통로(31)를 흡입실(142)로부터 차단한다.3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42 is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so that the valve body 42 allows the in-axis passage 31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42 is in the shut off position such that the valve body 42 shuts off the suction chamber 142 from the in-axis passage 31. Tha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3, the entire inlet 441 of the valve body 42 is exposed into the suction chamber 142. The shaft passage 3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via the cylinder 451 of the guide cylinder 45, the cylinder 442 of the cylindrical portion 44, and the introduction port 441. In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entire inlet 441 deeply enters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As a result,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42 blocks the in-axis passage 31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14)의 단벽(40)에는, 연통구(communication port;401)가 관통 형성된다. 연통구(401)는, 작동압실(412) 내로 개구한다. 연통구(401)에는, 전자 3방밸브(electromagnetic 3-way valve;48)의 공급포트(481)가, 관로(63)를 통하여 연통된다. 전자 3방밸브(48)는, 작동압 부여부(application portion)를 구성하는 절환밸브로서 기능한다.3 and 4, a communication port 401 is formed through the end wall 40 of the rear housing 14. The communication port 401 opens in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e communication port 401 communicates with a supply port 481 of an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via a conduit 63.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functions as a switching valve constituting an operating pressure application portion.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3방밸브(48)는, 통 형상의 밸브 하우징(49)을 갖는다. 밸브 하우징(49)은, 소경(小徑) 통부(491)와 대경(大徑) 통부(492)를 구비하고, 소경 통부(491) 내에는 고정철심(50)이 고정하여 수용된다. 소경 통부(491) 내에는, 가동철심(5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가동철심(51)은, 대경 통부(492)에 위치하는 플랜지(511)를 갖는다. 소경 통부(491)와 대경 통부(492)의 사이의 단차(493)와, 플랜지(511)와의 사이에는, 탄성 지지 스프링(52)이 배치된다. 탄성 지지 스프링(52)은, 가동철심(51)을, 고정철심(5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소경 통부(491)의 주위에는, 고정철심(50)과 가동철심(51)의 양쪽에 걸치도록, 코일(53)이 권회되어 있다. 코일(53)이 전류 공급되면, 고정철심(50)은 여자(勵磁)되어, 가동철심(51)을, 탄성 지지 스 프링(5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끌어당긴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has a cylindrical valve housing 49. The valve housing 49 includes a small diameter cylinder portion 491 and a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492, and the fixed iron core 50 is fixed and accommodated in the small diameter cylinder portion 491. In the small diameter cylinder portion 491, the movable iron core 51 is slidably fitted. The movable iron core 51 has a flange 511 located at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492. An elastic support spring 52 is disposed between the step 493 between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491 and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492 and the flange 511. The elastic support spring 52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iron core 51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iron core 50. The coil 53 is wound around the small diameter cylindrical part 491 so that the fixed iron core 50 and the movable iron core 51 may be extended. When the coil 53 is supplied with current, the fixed iron core 50 is excited to attract the movable iron core 51 to resist the spr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spring 52.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51)은, 내부에 제1 밸브체(54)를 수용한다. 제1 밸브체(54)는 고정철심(50)에 대향하고, 그리고 고정철심(50)에 접촉 및 이탈이 가능하다. 가동철심(51)에 대향하는 고정철심(50)의 단면에는, 밸브 시트(valve seat;501)가 일체 형성된다. 탄성 지지 스프링(55)은, 제1 밸브체(54)를, 밸브 시트(501)를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고정철심(50)은, 내부에 통로(56)를 갖는다. 통로(56)는, 밸브 시트(501)를 관통한다. 통로(56)의 입구(561)는, 관로(57)를 통하여 리어 토출실(141)에 연통된다.As shown in FIG.3 and FIG.4, the movable core 51 accommodates the 1st valve body 54 inside. The first valve body 54 faces the fixed iron core 50 and can be contact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xed iron core 50. A valve seat 501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face of the fixed iron core 50 opposite to the movable iron core 51. The elastic support spring 55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valve body 54 toward the valve seat 501. The fixed iron core 50 has a passage 56 therein. The passage 56 penetrates the valve seat 501. The inlet 561 of the passage 56 communicates with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through the conduit 57.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49)의 대경 통부(492)에는, 덮개(58)가 끼워 맞춰진다. 덮개(58)에 대향하는 가동철심(51)의 단면에는, 제2 밸브체(60)가 장착된다. 제2 밸브체(60)는, 덮개(58)에 접촉 및 이탈이 가능하다. 덮개(58)에는 배출포트(581)가 관통 형성된다. 제2 밸브체(60)는 덮개(58)에 접하는 경우, 배출포트(581)를, 대경 통부(492)의 통내(494)로부터 차단한다. 배출포트(581)는, 관로(59)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된다.As shown in FIG.3 and FIG.4, the cover 58 is fitted in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art 492 of the valve housing 49. As shown in FIG. The second valve body 60 is attached to the end face of the movable iron core 51 opposite to the lid 58. The second valve body 60 can be contacted to and detached from the lid 58. The cover 58 has a discharge port 581 formed therethrough. When the 2nd valve body 60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58, the discharge port 581 is interrupted | blocked from the cylinder 494 of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art 492. The discharge port 58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rough the pipeline 59.

도3 과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철심(51)의 주면에는, 홈(61)이 형성된다. 홈(61)은, 고정철심(50)과 가동철심(51)의 사이의 공간(62)에 연통한다. 대경 통부(492)의 통내(494)는, 홈(61)을 통하여 공간(62)에 연통된다. 대경 통부(492)의 통내(494)는, 대경 통부(492)에 관통 형성된 공급포트(481)와, 관로(63)를 통하여, 작동압실(412)에 연통된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the groove 61 is formed in the main surface of the movable iron core 51. As shown in FIG. The groove 61 communicates with the space 62 between the fixed iron core 50 and the movable iron core 51. The cylinder 494 of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492 communicates with the space 62 through the groove 61. The cylinder 494 of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492 communicates with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rough the supply port 481 formed through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492 and the conduit 63.

도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와 전자 클 러치(25)를, 각각 여소자(勵消磁; magnetization and demagnetization) 제어한다. 제어 컴퓨터(C)에는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64), 실온설정기(65) 및 실온검출기(66)가 신호 접속된다. 실온설정기(65)는 목표 실온을 설정하고, 실온검출기(66)는 실온을 검출한다.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64)가 ON 상태의 경우, 제어 컴퓨터(C)는, 목표 실온과 검출 실온의 사이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전자 3방밸브(48) 및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 즉 여소자를 제어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computer C controls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respectively, by magnetization and demagnetizatio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operation switch 64, the room temperature setter 65, and the room temperature detector 66 are signal-connected to the control computer C. As shown in FIG. The room temperature setter 65 sets the target room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detector 66 detects the room temperature.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ing switch 64 is in the ON state, the control computer C supplies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room temperature and the detected room temperature. In other words, the control element is controlled.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 또는,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높고 그리고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의 사이의 온도차가 허용차 이하인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로의 전류 공급을 정지한다. 이 경우, 전자 클러치(25)는 차단 상태로 되고, 차량 엔진(26)의 회전 구동력은, 회전 샤프트(21)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검출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도 높고, 그리고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의 사이의 온도차가 허용차를 넘는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에 전류 공급한다. 이 경우, 전자 클러치(25)는 연결 상태로 되고, 차량 엔진(26)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 샤프트(21)에 전달된다.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or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llowable difference, the control computer C stops supplying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do.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cut off, and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engine 26 is not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shaft 21. In addition, when the detection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ion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exceeds the allowable difference, the control computer C supplies a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brought into a connected state, and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engine 26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21.

도6 의 타이밍 차트는, 클러치 파형(K1), 3방밸브 파형(V) 및, 토크 파형(T1)을 나타낸다. 클러치 파형(K1)은,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낸다. 클러치 파형(K1)은,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개시하는 타이밍인 클러치 개시 타이밍(t1)과,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종료하는 타이밍인 클러치 종료 타이밍(t2)을 나타낸다. 3방밸브 파형(V)은, 전자 3방밸브(48)로의 전류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낸다. 3방밸브 파형(V)은, 클러치 개시 타이밍(t1)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제1 통전 기간부(V1)와, 클러치 종료 타이밍(t2)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제2 통전 기간부(V2)를 갖는다. 제1 통전 기간부(V1)의 개시 타이밍(t3)은, 클러치 개시 타이밍(t1)보다도 전(前)이고, 제1 통전 기간부(V1)의 종료 타이밍(t4)은, 클러치 개시 타이밍(t1)보다도 후(後)이다. 즉,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을 개시할 때에는, 우선 전자 3방밸브(48)에 대하여 전류 공급을 행하고, 그 후에 전자 클러치(25)에 대하여 전류 공급을 행한다. 제2 통전 기간부(V2)의 개시 타이밍(t5)은, 클러치 종료 타이밍(t2)보다도 전이며, 제2 통전 기간부(V2)의 종료 타이밍(t4)은, 클러치 종료 타이밍(t2)과 동일하다.The timing chart of FIG. 6 shows the clutch waveform K1, the three-way valve waveform V, and the torque waveform T1. The clutch waveform K1 indicates the timing of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clutch waveform K1 shows the clutch start timing t1 which is a timing at which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and the clutch end timing t2 which is a timing at which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terminated. The three-way valve waveform V indicates the timing of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The three-way valve waveform V includes the first energization period V1 set corresponding to the clutch start timing t1 and the second energization period V2 set corresponding to the clutch end timing t2. Have The starting timing t3 of the first energizing period part V1 is before the clutch starting timing t1, and the ending timing t4 of the first energizing period part V1 is the clutch starting timing t1. It is later than). In other words, when the control computer C starts to supply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control computer C first supplies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and then supplies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Do it. The starting timing t5 of the second energizing period portion V2 is before the clutch ending timing t2, and the ending timing t4 of the second energizing period portion V2 is the same as the clutch ending timing t2. Do.

도5 는, 압축기(1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서, 제어 컴퓨터(C)는,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압축기(10)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압축기(10)의 운전 제어를 설명한다.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The control computer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based on the operation control program shown in the flowchar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mpressor 10 will be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program shown in the flowchart.

압축기(10)는, 운전 정지 상태(전자 클러치(25)가 차단되는 상태)에 있으며, 전자 3방밸브(48)는, 소자(demagnetization) 상태(통전 정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전자 3방밸브(48)가 소자되는 상태에서는,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체(54)가 밸브 시트(501)로부터 떨어지고, 그리고 제2 밸브체(60)가 배출포트(581)를 닫는다. 작동압실(412) 내가 토출압 상당의 압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체(42)가 도3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있지만, 작동압실(412) 내가 흡입압 상당의 압력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밸브체(42)가 도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있다.The compressor 10 is in an operation stop state (state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cut off), and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in an element demagnetization state (energization stop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elementary, as shown in FIG. 3, the first valve body 54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501, and the second valve body 60 is the discharge port 581. To close it. Whe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at a pressure equivalent to the discharge pressure, the valve body 42 is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3, but whe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at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ressure, the valve The sieve 42 is in the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스텝(S1)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압축기 운전 개시 모드(전자 클러치(25)로 통전 개시하는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1)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압축기 운전 개시 모드인 경우, 스텝(S2)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로 통전을 개시한다. 전자 3방밸브(48)에 대하여 전류 공급이 행해지면, 도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체(54)가 밸브 시트(501)에 접하여 통로(56)가 닫히고, 그리고 제2 밸브체(60)가 덮개(58)로부터 떨어져 배출포트(581)가 열린다. 이 상태에서는, 작동압실(412)이, 연통구(401), 관로(63), 공급포트(481), 통내(494), 배출포트(581) 및, 관로(59)로 이루어지는 방출 통로를 통하여 흡입실(142)과 연통한다. 따라서, 작동압실(412) 내는, 흡입실(142) 내와 동일한 압력 영역으로 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42)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되어, 도입구(441)와 흡입실(142)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된다.In step S1, the control computer C judges whether or not the compressor operation start mode (mode to start energization with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In step S1, in the case of YES, that is, in the compressor operation start mode, in step S2, the control computer C starts to energiz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When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as shown in FIG. 4, the first valve body 54 contacts the valve seat 501, the passage 56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body ( 60 is removed from the lid 58 and the discharge port 581 is opened. In this state,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passes through a discharge passage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401, a pipe 63, a supply port 481, a cylinder 494, a discharge port 581, and a pipe 59.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erefore, the inside of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becomes the same pressure area as the inside of the suction chamber 142. Therefore, the valve body 42 is reliab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terruption |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4 by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47,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let 44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is interrupted | blocked. do.

스텝(S3)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a)〔도6 에 예시한 경우에는 (t1-t3)=ta〕이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S3)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a)이 경과한 경우, 스텝(S4)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로 통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전자 클러치(25)가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이행하고, 회전 샤프트(21) 및 사판(23)이 회전을 개시한다.In step S3, the control computer C determines whether the time ta from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has elapsed (t1-t3 = ta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6). Judge. In the case of YES in step S3, that is, when time ta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the control computer C in step S4 passes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Start energization. As a result,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shifts from the blocked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and the rotation shaft 21 and the swash plate 23 start rotation.

스텝(S5)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b)〔도6 에 예시한 경우에는 (t4-t1)=tb〕이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 한다. 스텝(S5)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b)이 경과한 경우, 스텝(S6)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전자 3방밸브(48)에 대하여 전류 공급이 정지되면, 도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밸브체(54)가 밸브 시트(501)로부터 떨어져 통로(56)가 열리고, 그리고 제2 밸브체(60)가 덮개(58)에 접하여 배출포트(581)가 닫힌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실(142)과 작동압실(412)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된다. 작동압실(412)은, 연통구(401), 관로(63), 공급포트(481), 통내(494), 홈(61), 공간(62), 통로(56) 및, 관로(57)로 이루어지는 공급 통로를 통하여 리어 토출실(141)에 연통한다. 이에 따라, 리어 토출실(141) 내의 냉매 압력(토출압)이 작동압실(412)로 도입되어, 작동압실(412) 내가 리어 토출실(141) 내와 동일한 압력 영역으로 된다. 연통구(401) 및 관로(63)는, 작동압실(412)을 전자 3방밸브(48)에 접속하는 공통 통로이다.In step S5, the control computer C determines whether or not time tb ((t4-t1) = tb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6) has elapsed from the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do. In the case of YES in step S5, that is, when time tb has elapsed from the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n step S6, the control computer C moves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Stop energization. When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stopped, as shown in FIG. 3, the passage 56 is opened away from the valve seat 501, and the second valve body ( 60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58, the discharge port 581 is closed. In this s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blocke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401, the conduit 63, the supply port 481, the cylinder 494, the groove 61, the space 62, the passage 56, and the conduit 57. It communicates with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through the supply passage which is made. Thereby, the refrigerant pressure (discharge pressure) in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is introduced in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becomes the same pressure area | region as the inside of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FIG. The communication port 401 and the conduit 63 are common passages connecting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리어 토출실(141) 내의 냉매의 압력(작동압)은, 통내(442) 내의 압력보다도 높아,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은, 통내(442)의 압력과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밸브체(42)를 도3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도입구(441)가 흡입실(142) 내로 노출하여, 도입구(441)가 흡입실(142)에 연통한다. 따라서, 흡입실(142) 내의 냉매는, 도입구(441)를 통하여 축내 통로(31)로 유입한다.The pressure (operating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is higher than the pressure in the cylinder 442, and the pressure in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412 is the pressure of the cylinder 442 and the spring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Resisting the force,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inlet 441 is exposed into the suction chamber 142 so that the inlet 44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erefore,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flows into the in-axis passageway 31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 441.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을 정지한 후, 스텝(S7)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압축기 운전 정지 모드(전자 클 러치(25)로의 통전을 정지하는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7)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압축기 운전 정지 모드인 경우, 스텝(S8)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로 통전을 개시한다.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이 개시되면, 작동압실(412)과 리어 토출실(141)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고, 그리고, 작동압실(412)은 흡입실(142)에 연통된다. 즉, 작동압실(412) 내의 토출압 상당의 작동압은, 흡입실(142)로 방출된다. 환언하면, 작동압실(412) 내의 작동압이 빠진다.After stopping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n step S7, the control computer C starts the compressor operation stop mode (electromagnetic clutch 25)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Mode to stop the power supply to the furnace). In step S7, in the case of YES, that is, in the compressor operation stop mode, in step S8, the control computer C starts to energiz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star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is cut off, an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at is, the operating pressure equivalent to the discharg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142. In other words, the working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released.

스텝(S9)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c)〔도6 에 예시한 경우에는 (t2-t5)=tc〕이 경과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S9)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c)이 경과한 경우, 스텝(S10)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3방밸브(48) 및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스텝(S10)의 처리 후, 제어 컴퓨터(C)는, 스텝(S1)으로 이행한다.In step S9, the control computer C determines whether the time tc ((2-2-5) = tc in the case illustrated in Fig. 6) has elapsed from the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Judge. In the case of YES in step S9, that is, when time tc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the control computer C in step S10 controls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And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re stopped. After the process of step S10, the control computer C shifts to step S1.

도6 에 있어서의 토크 파형(T1)은, 토크 변동의 일 예이다. 전자 클러치(25)로 통전이 개시된 경우, 토크가 변동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할 때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 전에 전자 3방밸브(48)에 통전하고,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을 개시한 후에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 결과,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이 개시됐을 때의 급격한 토크 변동〔토크 파형(T1)에 있어서의 변동부(T11)〕이 억제된다. 또한,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정지됐을 때에도, 토크가 변동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정지할 때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정지하기 전에 전 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을 행한다. 그 결과,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정지됐을 때의 급격한 토크 변동이 억제된다.The torque waveform T1 in FIG. 6 is an example of torque fluctuations. When energization is started by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torque fluctuates. In this embodiment, when starting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t energizes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before starting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nd after energiz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t is an electromagnetic three way. The energization to the valve 48 is stopped. As a result, the sudden torque fluctuation (variation part T11 in the torque waveform T1) when the energization is start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uppressed. Further, even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the torque fluctuat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performed before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As a result, sudden torque fluctuations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are suppressed.

전자 3방밸브(48), 작동압실(412) 및, 밸브체(42)는, 절환부(switch portion)를 구성한다. 절환부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인 흡입실(142)을, 도입 통로인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 도1 과 도3 에서는, 전자 3방밸브(48)가, 토출압 영역인 리어 토출실(141)의 냉매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가능한 제1 상태(소자 상태)에 있다. 도4 에서는, 전자 3방밸브(48)가, 토출압 영역인 리어 토출실(141)의 냉매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불능한 제2 상태(여자 상태)에 있다.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valve body 42 constitute a switch portion. The switching unit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axis passage 31, which is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state of blocking. Can be switched to 1 and 3,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in a first state (element state) capable of supplying the refrigerant in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which is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FIG. In FIG. 4,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in a second state (excitation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in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which is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cannot be suppli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제1 실시 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1st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작동압인 리어 토출실(141) 내의 압력이 작동압실(412)에 도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체(42)가 도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면,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인 흡입실(142)은, 도입구(441)로부터 차단된다.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될 때(회전 샤프트(21)의 회전이 개시될 때)에는, 미리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된 후에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이 개시되기 때문에, 흡입실(142)로부터 통내(442) 및 축내 통로(31)로의 냉매 유입이 없다. 그 때문에, 급격한 토크 변동이 억제되어,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 게다가, 압축기(10) 내의 흡입실(142)과 도입구(441)의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프런트 압축실(271)이나 리 어 압축실(281)에서 압축되는 냉매량은 적다. 따라서, 토크 변동 억제의 효과, 즉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가 향상한다.(1)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in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which is the operating pressure is not introduced in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at the shutoff position shown in FIG. When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in the shutoff position,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is cut off from the inlet 441.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arted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 is started), since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 is started after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in the blocking position in advance, There is no refrigerant inflow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into the cylinder 442 and the shaft passage 31. Therefore, sudden torque fluctuation is suppressed and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In addition, si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inlet 441 in the compressor 10 is blocked,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or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ed in 281) is small. Therefore, the effect of suppressing torque fluctuation, that is, the effect of mitigating shock is improved.

(2) 작동압실(412) 내의 작동압이 빠지면, 밸브체(42)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차단 위치로 복귀한다. 제1 복귀 스프링(47)의 채용은, 밸브체(42)를 차단 위치로 복귀시키는 데 있어 간편한 구성이다.(2) When the working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released, the valve body 42 returns to the shutoff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Adoption of the 1st return spring 47 is a simple structure for returning the valve body 42 to a interruption position.

(3) 밸브체(42)의 통내(442)의 입구인 도입구(441)는,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압 오목부(411) 내로 깊숙이 들어가서 차폐되고, 밸브체(42)가 연통 위치에 있는 경우, 작동압 오목부(411) 외에 있어 흡입실(142) 내로 노출한다. 도입구(441)가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대하여 출입하는 구성은, 도입구(441)를 크게 하여 도입 통로의 충분한 통로 단면적을 확보하는 데 있어 매우 적합하다.(3) The inlet 441, which is the inlet of the cylinder 442 of the valve body 42, enters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deeply and is shielded when the valve body 42 is in the shutoff position. When 42 is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it is exposed outside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into the suction chamber 142.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roduction port 441 enters and leaves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is very suitable for increasing the introduction port 441 to secure a sufficient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roduction passage.

도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7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장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클러치 파형(K2)에 있어서의 통전 개시부(K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을 개시할 때의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공급 전류치가 최대가 된 후,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이러한 통전 개시에 의해, 토크 변동을 나타내는 토크 파형(T2)에 있어서의 변동부(T21)의 변동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억제된다.Although the apparatus structure in 2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case of 1st Embodiment, when starting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s shown by the electricity supply start part K21 in clutch waveform K2. The point of gradually increasing the energization amount of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fter the supply current value reaches maximum,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stopped. By this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fluctuation part T21 in the torque waveform T2 which shows a torque fluctuation is suppressed rather than the case of 1st Embodiment.

예를 들면, 절환부가 없는 종래의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기동시의 토크가 크다, 즉 전자 클러치(25)로의 부하가 크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압축기에서,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면, 전자 클러치(25)에 있어서 미끄럼이 생긴다. 그 때문에,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전자 클러치(25)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without a switching part, the torque at the start is large, that is, the load 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large.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compressor, when the energization amount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slip occurs i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ompressor,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본 실시 형태는, 기동시의 토크가 작기 때문에, 즉 전자 클러치(25)로의 부하가 작기 때문에,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는 운전 제어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torque at the start is small, that is, the loa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mall, the operation control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energizat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possible.

도8 과 도9 는,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8 and 9 describe a third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도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37)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에는 체크밸브(check valve;68)가 배치되고,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은, 작동압실(412)에, 연통구(401) 및 유입 통로(L)에 의해 접속된다. 체크밸브(68)는,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과 유입 통로(L)와의 사이의 접속부보다도 하류에 있어서, 부분(34A)에 형성된다.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 내는, 토출압 영역이다. 유입 통로(L)에는 전자 개폐밸브(67)가 배치된다. 전자 개폐밸브(67) 및 체크밸브(68)는, 작동압 부여부를 구성한다. 절환밸브로서의 전자 개폐밸브(67)는, 제어 컴퓨터(C)의 여소자 제어를 받는다. 도8 에서, 전자 개폐밸브(67)는, 여자 상태에 있으며, 전자 개폐밸브(67)는, 유입 통로(L)를 연 열림 상태에 있다. 전자 개폐밸브(67)가 여자 상태에 있는 경우,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부분에 있어서의 냉매(토출 냉매)는, 작동압실(412)로 유입 가능하다. 도9a 에서, 전자 개폐밸브(67)는 소자 상태에 있으며, 전자 개폐밸브(67)는, 유입 통로(L)를 차단한 닫힘 상태에 있다. 전자 개폐밸브(67)는, 비통전 상태(소자 상태)에서는 닫히는 상폐형(normally closed type)의 전자 개폐밸브이지만, 전자 개폐밸브(67)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에도, 약간의 가스 누출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a check valve 68 is disposed at a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upstream of the heat exchanger 37, and an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upstream of the check valve 68. The portion 34A of 34 is connect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by the communication port 401 and the inflow passage L. As shown in FIG. The check valve 68 is formed in the portion 34A downstream from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and the inflow passage L.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is a discharge pressure region. An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disposed in the inflow passage L. The electromagnetic on-off valve 67 and the check valve 68 constitute a working pressure applying unit. The solenoid on-off valve 67 as a switching valve is subjected to excitation control of the control computer C. In Fig. 8,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in an excited state, and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inflow passage L is open. When the solenoid valve 67 is in the excited state, the refrigerant (discharge refrigerant) in the portion of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upstream from the check valve 68 is transferr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flow is possible. In Fig. 9A, the solenoid on-off valve 67 is in the element state, and the solenoid on-off valve 67 is in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inflow passage L is blocked. The solenoid valve 67 is a normally closed solenoid valve that is closed in a non-energized state (element state). However, even when the solenoid valve 67 is in the closed state, some gas leakage is possible. Formed.

도9b 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파형(W1)은, 전자 개폐밸브(67)에 대한 전류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낸다. 전자 개폐밸브(67)에 대한 통전은,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보다도 후〔예를 들면 1초 후이며, 도시의 예에서는 (t6-t1) 후〕에 개시되고, 전자 개폐밸브(67)에 대한 통전 후의 통전 정지는,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종료 타이밍〔도9b 의 예에서는 클러치 종료 타이밍(t2)에서 통전 정지〕과 동일하다.The waveform W1 in the timing chart of FIG. 9B shows the timing of supply of current to the solenoid valve 67. The energization of the solenoid on-off valve 67 is started after the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for example, one second later, and (t6-t1) later in the example), and the solenoid on-off valve 67 The energization stop after energization with respect to) is the same as the termination timing (the energization stop at the clutch termination timing t2 in the example of FIG. 9B) for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정지되는 경우, 전자 개폐밸브(67)에 대한 통전도 동시에 정지되어, 전자 개폐밸브(67)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즉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냉매의 토출이 없어지기 때문에, 체크밸브(68)가 닫힌다. 이에 따라, 압축기(10) 내의 압력의 균형화가 신속하게 진행된다.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on-off valve 67 is also stopped simultaneously, and the electromagnetic on-off valve 67 shift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opped, that is,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s lost, so the check valve 68 is closed. As a result, the pressure balancing in the compressor 10 proceeds quickly.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는 경우, 전자 개폐밸브(67)가 닫힘 상태에 있지만, 전자 개폐밸브(67)에서는 약간의 가스 누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압실(412) 내 및 연통구(401)와 전자 개폐밸브(67)의 사이의 유입 통로(L)의 부분 내에 잔류 하는 토출압 상당의 냉매는, 전자 개폐밸브(67)를 경유하여,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으로 새어나간다. 그 때문에,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의 균형화도 진행된다. 따라서, 다음에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개시되는 시점〔도9b 의 예에서는 시각(t1)〕까지는, 밸브체(42)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9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the solenoid on-off valve 67 is in a closed state, but since some gas leakage is possible at the solenoid on-off valve 67,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communication port 401 ) And the refrigeran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ressure remaining in the portion of the inflow passage L between the solenoid on / off valve 67 via the solenoid on / off valve 67,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upstream of the check valve 68 ( Leak to portion 34A of FIG. Therefore, the pressure balancing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lso advances. Therefore, until the next time when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in the example of FIG. 9B, time t1), the valve body 42 is connected to FIG. 9A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It is arranged in the blocking position indicating.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개시되기 전에는, 전자 개폐밸브(67)가 소자 상태(닫힘 상태)에 있으며,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보다도 후에 전자 개폐밸브(67)로의 통전이 개시된다. 그 때문에,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약간 동안은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가 축내 통로(31)로 유입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압축기(10)의 기동시의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Before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in an element state (closed state), and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started after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Therefore, the valve body 42 is in the shut off position for a while from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nd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does not flow into the in-axis passage 31. Thereby, starting shock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10 is alleviated.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개시된 후, 전자 개폐밸브(67)에 통전이 개시되면, 전자 개폐밸브(67)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이행하여,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은, 작동압실(412)에 연통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 후(즉, 압축기(10)가 운전 개시된 후)에는, 냉매의 토출에 의해 체크밸브(68)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토출 냉매가 외부 냉매 회로(34)를 경유하여 흡입실(142)로 환류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계속되는 상태(즉, 압축기(10)가 운전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 개폐밸브(67)가 열림 상태로 유지되고,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에 있어서의 냉매 압력(토출압)이, 유입 통로(L)와 전자 개폐밸브(67)를 통하여, 작동압실(412)로 파급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42)가 도8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After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when energization is started to the solenoid valve 67, the solenoid valve 67 shift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upstream of the check valve 68. The part 34A of 34 communicates with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fter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at is, after the compressor 10 has started to operate), the check valve 68 is kept open by discharging the coolant so that the discharge coolant discharges the external coolant circuit 34. It is refluxed to the suction chamber 142 via. In the state wher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continued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s kept open and an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upstream of the check valve 68. The refrigerant pressure (discharge pressure) in the portion 34A of 34 propagates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via the inflow passage L and the solenoid valve 67. Thereby, the valve body 4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체크밸브(68), 전자 개폐밸브(67), 작동압실(412) 및, 밸브체(42)는, 절환부를 구성한다. 절환부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인 흡입실(142)을, 도입 통로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흡입실(142)을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 도8 에서, 전자 개폐밸브(67)는, 토출압 영역인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냉매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가능한 제1 상태(여자 상태)에 있다. 도9a 에서, 전자 개폐밸브(67)는,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냉매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불능한 제2 상태(소자 상태)에 있다.The check valve 68, the solenoid valve 67,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valve body 42 constitute a switching unit. The switching section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suction chamber 142 with the front outlet. It is switchable to the interruption state which cuts off from 312 and the rear outlet 313. In Fig. 8, the solenoid valve 67 is in a first state (excitation state) capable of supplying the refrigerant of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which is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Fig. 9A, the solenoid valve 67 is in a second state (element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of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cannot be suppli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제3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third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advantage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도10∼도11b 는,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0-11B, 4th Embodiment is described.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3rd Embodiment.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폐형의 전자 개폐밸브(67) 대신에, 상개형(normaylly open type)의 전자 개폐밸브(67A)가 이용된다. 상개형의 전자 개폐밸브(67A)는, 비통전 상태에서 열리고, 통전 상태에서 닫히는 것이다. 도10 에서, 절환밸브로서의 전자 개폐밸브(67A)는, 비통전 상태에서 유입 통로(L)를 열고, 도11A 에서, 전자 개폐밸브(67A)는, 통전 상태에서 유입 통로(L)를 닫는다. 전자 개폐밸브(67A) 및 체크밸브(68)는, 작동압 부여부를 구성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instead of the normally closed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 in the third embodiment, an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 67A of a normally open type is used. The upper type solenoid valve 67A opens in the non-energized state and closes in the energized state. In Fig. 10, the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 67A as the switching valve opens the inflow passage L in the non-energized state, and in Fig. 11A the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 67A closes the inflow passage L in the energized state. The electromagnetic open / close valve 67A and the check valve 68 constitute a working pressure applying unit.

도11b 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파형(W2)은, 전자 개폐밸브(67A)에 대한 전류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낸다.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개시될 때에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도시의 예에서는 시각(t1)〕보다도 전에 전자 개폐 밸브(67A)에 대한 통전이 개시〔도시의 예에서는 시각(t3)〕되고,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한 후에는 전자 개폐밸브(67A)에 대한 통전이 정지된다〔(도시의 예에서는 시각(t4)〕.The waveform W2 in the timing chart of FIG. 11B shows the timing of supply of current to the solenoid valve 67A. When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 67A starts before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ime t1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starts [time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3)], and after the energ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the energization of the solenoid on-off valve 67A is stopped (time t4 in the example of the figure).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면, 냉매의 토출이 없어지기 때문에, 체크밸브(68)가 닫힌다. 이에 따라, 압축기(10) 내의 압력의 균형화가 신속하게 진행된다.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되는 경우, 전자 개폐밸브(67A)가 열림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작동압실(412) 내와, 연통구(401)와 전자 개폐밸브(67A)의 사이의 유입 통로(L)의 부분 내에 잔류하는 토출압 상당의 냉매는, 전자 개폐밸브(67A)를 경유하여, 체크밸브(68)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으로 새어나간다. 그 때문에,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의 균형화도 신속하게 진행된다. 따라서, 다음에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이 개시되는 시점까지는, 밸브체(42)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11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의 전〔도시의 예에서는 (t1-t3)전〕부터 통전 개시 후〔도시의 예에서는 (t4-t1)후〕에 걸쳐서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가 축내 통로(31)로 유입되는 일은 없다. 이에 따라, 압축기(10)의 기동시의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s lost, so the check valve 68 is closed. As a result, the pressure balancing in the compressor 10 proceeds quickly.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the solenoid on-off valve 67A is in an open state, so that the inflow passage between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communication port 401 and the solenoid on-off valve 67A ( The refrigerant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ressure remaining in the portion L) leaks to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upstream from the check valve 68 via the solenoid valve 67A. For this reason, the pressure balancing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lso proceeds quickly. Therefore, the valve body 42 is arrange | position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47 by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47 until the next time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tarted. The valve body 42 is in the shut off position from before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before (t1-t3)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o after the start of energization (after (t4-t1)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does not flow into the shaft passage 31. Thereby, starting shock at the start of the compressor 10 is alleviated.

체크밸브(68), 전자 개폐밸브(67A), 작동압실(412) 및, 밸브체(42)는, 절환부를 구성한다. 절환부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인 흡입실(142)을,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상태와, 차단하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 도10 에서는, 전자 개폐밸브(67A)는, 토출압 영역인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냉매 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가능한 제1 상태(소자 상태)에 있다. 도11a 에서, 전자 개폐밸브(67)는,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냉매를 작동압실(412)에 공급 불능한 제2 상태(여자 상태)에 있다.The check valve 68, the solenoid valve 67A,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valve body 42 constitute a switching unit. The switching section is switchable in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in a state of blocking. In Fig. 10, the electromagnetic on / off valve 67A is in a first state (element state) capable of supplying the refrigerant of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which is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Fig. 11A, the solenoid valve 67 is in a second state (excitation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of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cannot be suppli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제4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fourth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advantage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도12a 와 도12b 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2A and 12B describe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밸브체(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추는 가이드통(45A)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리어 실린더블록(12)이나 회전 샤프트(21) 등과는 별체(別體)로 형성된다. 가이드통(45A)의 저벽(bottom wall)은 리어 실린더블록(12)의 단면(122)에 접한다. 가이드통(45A)은, 회전 샤프트(21)에 대하여 회전 샤프트(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도록, 밸브체(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춰진다. 가이드통(45A)의 저벽에는 연통구(452)가, 가이드통(45A)의 통내(451)를 축내 통로(31)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통(45A)의 저벽과 피스톤부(43)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47)이 배치된다. 도12a 에서는 밸브체(42)가 연통 위치에 배치되고, 도12b 에서는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 전자 3방밸브(48)의 여소자 타이밍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45 A of guide cylinders fitted to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42 are cylindrical with a bottom, and are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ar cylinder block 12, the rotating shaft 21, etc. .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abuts the end surface 122 of the rear cylinder block 12. The guide cylinder 45A is fit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42 so as to allow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21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21. The communication port 452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so that the inner cylinder 451 of the guide cylinder 45A may communicate with the in-axis passage 31. The first return spring 47 is disposed between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and the piston portion 43. In FIG. 12A,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in FIG. 12B,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in the shutoff position. The excitation element timing of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가령,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밸브체(42)와 원통(41)의 사이로부터나, 밸브체(42)와 가이드통의 사이로부터 냉매가 샌다고 가정하면,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저하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olant leaks from between the valve body 42 and the cylinder 41 or between the valve body 42 and the guide cylinder when the valve body 42 is in the shut-off position, The mitigating effect is lowered.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통(45A)은, 회전 샤프트(21)에 대하여 회전 샤프트(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도록, 밸브체(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문에, 작동압 오목부(411)의 축심(413)은, 가이드통(45A)의 축심(453)에 일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42)의 원통부(44)와 원통(41)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나, 밸브체(42)의 원통부(44)와 가이드통(45A)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할 수 있어, 밸브체(42)의 원통부(44)의 주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45 A of guide cylinders of this embodiment are fitted with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42 so that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21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21 is permitted. For this reason, it is permissible that the shaft center 413 of the working pressure recessed part 411 matches the shaft center 453 of 45 A of guide cylinders. Therefore,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42 and the cylinder 41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42 and the guide cylinder 45A can be made small. Therefore, leakage of the refrigerant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42 can be prevented.

도13 과 도14 는,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3 and 14 describe a six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원통(41)에는 피스톤(6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피스톤(69)에는 전달 로드(transmission rod;70)가 연결된다. 피스톤(69)은,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을 구획한다. 전달 로드(70)는, 축내 통로(31A) 내로 깊숙이 들어가 있다. 축내 통로(31A)는, 소경 통로(314)와, 소경 통로(314)보다도 대경의 대경 통로(315)를 구비한다. 소경 통로(314) 내에 위치하는 전달 로드(70)의 부분에는, 원통 형상의 소(小)원주면체(71)가 장착된다. 대경 통로(315) 내에 위치하는 전달 로드(70)의 부분에는, 원통 형상의 대(大)원주면체(72)가 장착된다. 원통 형상의 소원주면체(71)는,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축선(2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리고 프런트 출구(312)를 개폐 가능하게 소경 통로(314)에 끼워 넣어지고, 원통 형상의 대원주면체(72)는,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축선(2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리고 리어 출구(313)를 개폐 가능하게 대경 통로(315)에 끼워 넣어진다. 원통 형상의 대원주면체(72)의 통내는, 소원주면체(71) 와 대원주면체(72)의 사이의 축내 통로(31A)의 부분을, 축내 통로(31A)의 입구(311)와 대원주면체(72)와의 사이의 축내 통로(31A)의 부분에, 연통한다.A cylinder 69 is slidably fitted into the cylinder 41, and a transmission rod 70 is connected to the piston 69. The piston 69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The transmission rod 70 deeply enters into the in-axis passageway 31A. The in-axis passage 31A includes a small diameter passage 314 and a larger diameter passage 315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diameter passage 314. In the portion of the transmission rod 70 located in the small-diameter passage 314, a cylindrical small cylindrical body 71 is mounted. The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72 is attached to the part of the transmission rod 70 located in the large diameter passageway 315. The cylindrical prismatic body 71 is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ry shaft 21, and is fitted into the small diameter passage 314 so that the front outlet 312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large cylindrical body 72 of the shape is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ry shaft 21, and is fitted into the large diameter passage 315 so that the rear outlet 313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cylindrical main body 72 has a part of the in-axis passage 31A between the main cylindrical body 71 and the large cylindrical body 72, and the entrance 311 and the member of the intra-axial passage 31A. It communicates with the part of the in-axis passageway 31A between the main surface 72.

소경 통로(314)와 대경 통로(315)의 사이의 단차(段差;316)와 대원주면체(72)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73)이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73)은, 피스톤(69)을 작동압 오목부(411)에 밀어넣도록 소원주면체(71), 대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의 전체를 작동압실(412)을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소원주면체(71), 대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을 구획하는 밸브체(42)를 구성한다.The first return spring 73 is disposed between the step 316 between the small-diameter passage 314 and the large-diameter passage 315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surface 72. The first return spring 73 has a small main body 71, a large main body 72, a transfer rod 70, and a piston 69 to push the piston 69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e major circumferential body 71,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the transmission rod 70, and the piston 69 constitute a valve body 42 that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do.

도14 는, 소원주면체(71)가 프런트 출구(312)를 닫고,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축내 통로(31A)로부터 차단된다. 도13 은, 소원주면체(71)가 프런트 출구(312)를 열고,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연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축내 통로(31A)에 연통된다. 전자 3방밸브(48)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소원주면체(71)와 대원주면체(72)는,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13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1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 전자 3방밸브(48)의 여소자 타이밍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Fig. 14 shows a state where the main circumferential body 71 closes the front exit 312, and the major circumferential body 72 closes the rear exit 313, and the front exit 312 and the rear exit 313 are: It is blocked from the in-axis passageway 31A. Fig. 13 shows a state where the main circumferential body 71 opens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major circumferential body 72 opens the rear outlet 313, and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are It communicates with 31 A of in-axis passages. When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performed, the small circumferential body 71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are moved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13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73. It is arranged in the blocking position shown in. The excitation element timing of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소원주면체(71)와 대원주면체(7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프런트 압축실(271)과 리어 압축실(281)로 유입 가능한 냉매는, 프런트 출구(312) 내, 리어 출구(313) 내, 프런트 연통로(32) 내 및, 리어 연통로(33) 내의 냉매뿐이기 때 문에,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 높다.6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 as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sixth embodiment, the refrigerant that can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when the main circumferential body 71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are in the blocking position is the front outlet 312. ), Only the refrigerant in the rear outlet 313, the inside of the front communication path 32, and the inside of the rear communication path 33 has a higher relaxation effect tha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피스톤(69)은, 전달 로드(7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제1 복귀 스프링(73)과 회전 샤프트(21)의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복귀 스프링(73)과 회전 샤프트(21)의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에 기인하는 제1 복귀 스프링(73) 또는 회전 샤프트(21)의 마모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는, 대원주면체(72)를, 제1 복귀 스프링(7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69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rod 70, the piston 69 can prevent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return spring 73 and the rotation shaft 21. Therefore, abrasion damage of the 1st return spring 73 or the rotation shaft 21 resulting from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1st return spring 73 and the rotating shaft 21 can be avoided. Alternatively, the large columnar body 72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turn spring 73.

도15a 와 도15b 는,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5A and 15B describe the sev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6th Embodiment.

전달 로드(70)의 선단에는, 원판 형상의 원판(74)이 장착된다. 도1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원판(74)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프런트 출구(312)보다도 상류에 있으며,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프런트 출구(312)를 통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로 유입 불능하다. 도1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여는 위치에 있는 경우, 원판(74)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프런트 출구(312)보다도 하류에 있으며,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프런트 출구(312)를 통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다. 전자 3방밸브(48)〔도14 참조〕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원판(74)은,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15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15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 원판(74), 대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 을 구획하는 밸브체(42)를 구성한다.At the distal end of the transfer rod 70, a disc-shaped disc 74 is mounted. As shown in Fig. 15A, when the large columnar body 72 is in a position to close the rear outlet 313, the disc 74 is located upstream than the front outlet 312 in the in-axis passage 31A, and the in-axis The refrigerant in the passage 31A cannot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through the front outlet 312. As shown in FIG. 15B, when the large columnar body 72 is in a position to open the rear outlet 313, the disc 74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front outlet 312 in the in-axis passage 31A, and in-axis The refrigerant in the passage 31A can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through the front outlet 312. When energization is performed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see Fig. 14), the disc 74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15B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73, and shown in Fig. 15A. Is placed into position. The disc 74, the large cylindrical surface 72, the transmission rod 70, and the piston 69 constitute the valve body 42 which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As shown in FIG.

제7 실시 형태는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seven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sixth embodiment.

도16a 와 도16b 는,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6A and 16B describe an eigh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6th Embodiment.

피스톤(69)에는 통(75)이 피스톤(69)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통(75)은, 축내 통로(3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통(75)의 선단에는 단벽(752)이 형성된다. 축내 통로(31A)의 막다른 곳이 되는 내단에는 각(角)핀(angular pin;76)이 장착되고, 통(75)의 단벽(752)에는 각핀(76)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통과된다. 통(75) 및 각핀(76)은, 회전 샤프트(2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단벽(752)에 각핀(76)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축내 통로(31A)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다.A cylinder 75 is connected to the piston 69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iston 69. The cylinder 75 is slidably fitted into the in-axis passageway 31A. An end wall 752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ylinder 75. An angular pin 76 is mounted at the inner end of the shaft passage 31A, and the pin 75 is relatively slidably inserted into the end wall 752 of the barrel 75. do. The cylinder 75 and the square pin 76 are integrally rotated with the rotary shaft 21 and can slide in the shaft shaft passage 31A in a state where the square pin 76 is inserted through the end wall 752.

통(75)은, 소경 통로(314)에 끼워 넣어진 소경 통부(77)와, 대경 통로(315)에 끼워 넣어진 대경 통부(78)를 구비한다. 흡입실(142) 내에 위치하는 대경 통부(78)의 부분에는, 도입구(751)가, 흡입실(142)을 통(75)의 통내(750)에 연통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cylinder 75 is equipped with the small diameter cylinder part 77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passage 314, and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art 78 fitted into the large diameter passage 315. As shown in FIG. An introduction port 751 is formed in the part of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art 78 located in the suction chamber 142 so that the suction chamber 142 can communicate with the cylinder 750 of the cylinder 75.

소경 통로(314) 내에 있어서의 소경 통부(77)의 부분에는, 연통구(771)가, 소경 통부(77) 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대경 통부(78)에는 연통구(781)가, 대경 통부(78) 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The communication port 771 is formed in the small diameter cylinder part 77 in the small diameter passage part 314 so that the small diameter cylinder part 77 may communicate. A communication port 781 is formed in the large diameter barrel portion 78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large diameter cylinder portion 78.

소경 통부(77)와 대경 통부(78)의 사이의 단차(753)와, 회전 샤프트(21)의 단차(316)와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73)이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73) 은, 피스톤(69)을 작동압 오목부(411)에 밀어넣듯이, 통(75)을 작동압실(412)을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피스톤(69) 및 통(75)은,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The 1st return spring 7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tep | step 753 between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art 77 and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art 78, and the step | step 316 of the rotating shaft 21. As shown in FIG. The first return spring 73 elastically supports the cylinder 75 towar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s if the piston 69 is pushed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The piston 69 and the cylinder 75 comprise the valve body which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도16b 는, 밸브체로서의 소경 통부(77)가 프런트 출구(312)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밸브체로서의 대경 통부(78)가 리어 출구(31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통(75)의 통내(750)로부터 차단된다. 도16a 는, 소경 통부(77)의 연통구(771)가, 프런트 출구(312)에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고, 대경 통부(78)의 연통구(781)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통내(750)에 연통된다. 흡입실(142)의 냉매는, 도입구(751), 통내(750), 연통구(771), 프런트 출구(312) 및, 프런트 연통로(32)를 통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며, 흡입실(142)의 냉매는, 도입구(751), 통내(750), 연통구(781), 리어 출구(313) 및, 리어 연통로(33)를 통하여 리어 압축실(281)로 유입 가능하다. 전자 3방밸브(48)〔도14 참조〕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통(75)은,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16a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16b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 전자 3방밸브(48)의 여소자 타이밍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1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77 as the valve body closes the front outlet 312, and a state in which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78 as the valve body closes the rear outlet 313. As a result,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are cut off from the cylinder 750 of the cylinder 75. 1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port 771 of the small-diameter cylindrical portion 77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communication port 781 of the large-diameter cylindrical portion 78 communicates with the rear outlet 313.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communicate with the cylinder 750 in the state.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can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 751, the cylinder 750, the communication port 771,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front communication path 32.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introduced into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 751, the cylinder 750, the communication port 781, the rear outlet 313, and the rear communication path 33. Inflow is possible. When energization is performed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see FIG. 14), the cylinder 75 is block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73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Is placed into position. The excitation element timing of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제8 실시 형태는, 제6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eigh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sixth embodiment.

도17∼도18b 는, 제9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7 to 18B describe a ni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5th Embodiment.

도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37)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 로(34)의 부분(34A)에는, 체크밸브 내장형의 오일 세퍼레이터(79)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7, in the part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upstream from the heat exchanger 37, the oil separator 79 with a built-in check valve is arrange | positioned.

도18a, 1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일 세퍼레이터(79)를 구성하는 하우징(80) 내에는, 냉매 선회용 통(refrigerant swirling cylinder;81)이 끼워 맞춰져 고정된다. 냉매 선회용 통(81)은, 하우징(80) 내를 유(油)분리실(82)과 밸브 수용실(83)로 구획한다. 유분리실(82)은, 오일 세퍼레이터(79)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에 연통하고,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의 냉매는, 유분리실(82) 내로 유입한다.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으로부터 유분리실(82) 내로 유입한 냉매는, 냉매 선회용 통(81)의 주위를 선회한다. 냉매 선회용 통(81)의 주위를 선회한 냉매는, 유분리실(82)에 면한 냉매 선회용 통(81)의 연통구(811)로부터, 통내(812)로 유입한다.As shown in FIGS. 18A and 18B, a refrigerant swirling cylinder 81 is fitted into and fixed in the housing 80 constituting the oil separator 79. The coolant swing cylinder 81 partitions the inside of the housing 80 into an oil separation chamber 82 and a valve accommodating chamber 83.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communicates with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upstream from the oil separator 79, and the refrigerant in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is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Flows into.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from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coolant circuit 34 rotates around the coolant turning cylinder 81. The refrigerant that has rotated around the refrigerant swirling cylinder 81 flows into the cylinder 812 from the communication port 811 of the refrigerant swinging cylinder 81 facing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밸브 수용실(83)에는, 밸브체(85)가 수용된다. 밸브체(85)는, 냉매 선회용 통(81)의 다른 한쪽의 연통구(813)를 개폐 가능하다. 밸브체(85)는, 압축 스프링(86)에 의해 연통구(813)를 닫는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된다. 통내(812) 내의 냉매의 압력이 압축 스프링(86)의 스프링력을 극복하면, 통내(812)의 냉매가 밸브체(85)를 밀어내고 밸브 수용실(83)로 유출한다. 냉매 선회용 통(81), 밸브체(85) 및, 압축 스프링(86)은, 체크밸브(87)를 구성한다. 밸브 수용실(83)의 냉매는, 열교환기(37)로 유입한다.The valve body 85 is accommodated in the valve accommodation chamber 83. The valve body 85 can open and close the other communication port 813 of the refrigerant turning cylinder 81. The valve body 85 is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position which closes the communication port 813 by the compression spring 86. As shown in FIG.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n the cylinder 812 overcomes the sp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6, the refrigerant in the cylinder 812 pushes the valve body 85 and flows out into the valve accommodation chamber 83. The coolant swing cylinder 81, the valve body 85, and the compression spring 86 constitute a check valve 87. The refrigerant in the valve storage chamber 83 flows into the heat exchanger 37.

단벽(40)에는 좁힘 구멍(constriction hole;402)이 관통 형성된다. 좁아짐으로서의 좁힘 구멍(402)은, 작동압실(412)과 관로(84)를 연통한다. 유분리실(82)은, 관로(84) 및 좁힘 구멍(402)을 통하여 작동압실(412)에 연통된다. 유분리 실(82) 내의 압력(토출 압력)은, 관로(84) 및 좁힘 구멍(402)을 통하여 작동압실(412)로 파급한다. 좁힘 구멍(402)과 관로(84)는, 오일 세퍼레이터(79)보다도 하류의 유입 통로의 부분을 구성한다.A narrow hole 40 is formed through the end wall 40. The narrowing hole 402 as narrowing communicate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nd the conduit 84.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communicates with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rough the conduit 84 and the narrow hole 402. The pressure (discharge pressure) in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propagates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hrough the conduit 84 and the narrowing hole 402. The narrowing hole 402 and the conduit 84 constitute a part of the inflow passage downstream from the oil separator 79.

압축기(10) 및 외부 냉매 회로(34)로 이루어지는 회로 내에는 오일이 넣어지고, 이 오일은, 냉매와 함께 유동한다. Oil is put into the circuit which consists of the compressor 10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and this oil flows with a refrigerant | coolant.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으로부터 유분리실(82)로 유입한 냉매는, 냉매 선회용 통(81)의 주위를 선회하고, 냉매와 함께 유동하는 미스트(mist) 형상의 오일은, 유분리실(82) 내에서 분리된다. 냉매 선회용 통(81)의 주위를 선회한 냉매는, 통내(812)로 유입하고, 냉매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관로(84)와 좁힘 구멍(402)을 경유하여, 작동압실(412)로 유입 가능하다. 관로(84)와 좁힘 구멍(402)은, 작동압실(412)로부터, 토출압 영역인 외부 냉매 회로(34)의 부분(34A)에 이르는 유입 통로를 구성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from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rotates around the refrigerant swirling cylinder 81, and mist-shaped oil flowing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is Separation is carried out in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The refrigerant that has rotated around the refrigerant turning cylinder 81 flows into the cylinder 812, and the oil separated from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via the conduit 84 and the narrowing hole 402. Inflow is possible. The conduit 84 and the narrow hole 402 constitute an inflow passage from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to the portion 34A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34 serving as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하고 있고 압축기(10) 내의 압력이 밸런스를 이루고 있는 경우, 밸브체(42)는,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18b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유지된다.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는 경우, 흡입실(142)로부터 축내 통로(31)로의 냉매 유입이 없기 때문에,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opped and the pressure in the compressor 10 is balanced, the valve body 42 is held at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18B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do.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starts, since there is no refrigerant inflow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into the in-axis passage 31,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압축기(10)의 운전의 개시에 수반하여 유분리실(82) 내의 압력이 상승해오면,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도 상승하고, 밸브체(42)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18a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 좁힘 구멍(402)은, 관로(84)와 작동압실(412)의 사이의 통로 단면적을 좁히기 때문에, 프런트 토출 실(131)과 리어 토출실(141) 내의 압력이 상승해도,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이 급상승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오일 세퍼레이터(79)에서 분리된 오일이 좁힘 구멍(402)으로 깊숙이 들어가기 때문에, 좁힘 구멍(402)으로 깊숙이 들어간 오일이 통로 저항이 되어,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의 급상승의 억제에 기여한다. 작동압실(412) 내의 압력의 급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에, 밸브체(42)는, 차단 위치로부터 연통 위치로 순식간에 이동해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높아진다.When the pressure in the oil separation chamber 82 rises with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also rises, and the valve body 42 acts as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18A against resisting. Since the narrowing hole 402 narrow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assage between the conduit 84 an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even if the pressure in the front discharge chamber 131 and the rear discharge chamber 141 rise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ternal pressure does not rise suddenly. In addition, since the oil separated from the oil separator 79 enters the narrow hole 402 deeply, the oil deep into the narrow hole 402 becomes a passage resistance, contributing to suppression of the sudden rise of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do. Since the sudden rise of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s suppressed, the valve body 42 does not move instantly from the shutoff position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Therefore, the mitigation effect of starting shock becomes high.

제9 실시 형태는, 전자 3방밸브(48)나 전자 개폐밸브(67)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5 실시 형태에 비하여 비용적으로 유리하다.Since the ninth embodiment does not use the solenoid three-way valve 48 or the solenoid on-off valve 67, it is advantageous in cost as compared with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도19a 와 도19b 는, 제10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19A and 19B describe a t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리어 하우징(14)에는 연락실(88) 및 밸브공(891)이 형성되고, 연락실(88) 내에는 판 형상의 개폐 플레이트(90)가 밸브공(891)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된다. 밸브공(891)은, 연락실(88)과 흡입실(142)의 사이를 떼어 놓는 격벽(partition wall;89)에 관통 형성된다. 축내 통로(31)의 입구(311)는, 리어 실린더블록(12) 내의 회전 샤프트(21)의 단면에 위치하고, 리어 하우징(14) 내의 연락실(88)로 개구한다.A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a valve hole 891 are formed in the rear housing 14, and a plate-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90 is accommodated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so as to open and close the valve hole 891. The valve hole 891 is formed through a partition wall 89 separating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The inlet 311 of the in-axis passage 31 is located in the end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1 in the rear cylinder block 12, and opens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in the rear housing 14. As shown in FIG.

작동압 오목부(411)에는 피스톤(91)이 끼워 넣어지고, 피스톤(91)에는 전달 로드(92)가 일체 형성된다. 전달 로드(92)의 선단에는 개폐 플레이트(90)가 장착된다. 연락실(88)을 향하는 격벽(89)의 면에는, 평면의 밸브 시트면(valve seat surface;892)이 형성된다. 개폐 플레이트(90)는, 밸브 시트면(892)에 접촉 및 이탈한다. 밸브 시트면(892)에 접하는 개폐 플레이트(90)의 시일면(901)은, 평면에 형성된다. 즉, 개폐 플레이트(90)가 밸브공(891)을 닫은 경우, 개폐 플레이트(90)의 시일면(901)은, 밸브 시트면(892)에 면접촉한다. 피스톤(91), 전달 로드(92) 및, 개폐 플레이트(90)는, 작동압 오목부(411) 내에 작동압실(412)을 구획하고, 그리고 밸브공(891)을 개폐하는 밸브체(93)를 구성한다.The piston 91 is fitted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and the transmission rod 9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iston 91.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90 is mounted at the tip of the transfer rod 92.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89 facing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 flat valve seat surface 892 is formed.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comes into contact with and detaches from the valve seat surface 892. The seal surface 90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in contact with the valve seat surface 892 is formed in a plane. That is, when the open / close plate 90 closes the valve hole 891, the seal surface 901 of the open / close plate 9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surface 892. The piston 91, the transmission rod 92, and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partitio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411, and the valve body 93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hole 891. Configure

피스톤(91)과 격벽(89)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94)이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94)은, 피스톤(91)을 작동압 오목부(411)에 밀어 넣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도19b 의 밸브체(93)는, 밸브공(891)을 열음으로써 연락실(88)을 흡입실(142)에 연통하는 연통 위치에 있으며, 도19a 의 밸브체(93)는, 밸브공(891)을 닫음으로써 연락실(88)을 흡입실(142)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치에 있다. 제1 복귀 스프링(94)은, 밸브체(93)를 상기 연통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The first return spring 94 is disposed between the piston 91 and the partition wall 89. The 1st return spring 94 elastically supports in the direction which pushes the piston 91 to the working-pressure recessed part 411. The valve body 93 in Fig. 19B is in a communication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by opening the valve hole 891, and the valve body 93 in Fig. 19A is a valve hole ( By closing 891, it is in the blocking position which isolate | connects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As shown in FIG. The 1st return spring 94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93 toward the said interruption position from the said communication position.

회전 샤프트(21)의 단면에 대향하는 개폐 플레이트(90)의 배면에는, 복수의 스톱퍼(stopper;902)가 돌출 형성된다. 스톱퍼(902)는, 리어 실린더블록(12)의 단면(122)에 돌출 형성된 통부(123)의 선단에, 접촉 및 이탈이 가능하다. 밸브체(93)가 도19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에서는, 스톱퍼(902)가 통부(123)의 선단에 맞닿고, 밸브체(93)가 도19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에서는, 스톱퍼(902)가 통부(123)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진다.A plurality of stoppers 902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opposite to the end face of the rotary shaft 21. The stopper 902 is capable of contacting and detaching from the tip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3 protruding from the end face 122 of the rear cylinder block 12. In the state where the valve body 93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19B, in the state where the stopper 902 abuts against the tip of the cylinder portion 123, and the valve body 93 is disposed in the shutoff position shown in FIG. 19A. , The stopper 902 is separated from the tip of the barrel 123.

전자 3방밸브(48)가 여자된 상태에서는, 밸브체(93)가 도19a 에 나타내는 차 단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는 연락실(88)로 유입 불능하다. 전자 3방밸브(48)가 소자된 상태에서는, 밸브체(93)가 도19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되어, 흡입실(142) 내의 냉매는, 밸브공(891), 연락실(88) 및, 축내 통로(31)를 경유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도1 참조) 및 리어 압축실(281)로 유입 가능하다.In the state wher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excited, the valve body 93 is disposed at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19A, and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cannot flow into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elementary, the valve body 93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19B, and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provided with the valve hole 891,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the like. And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see FIG. 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can be introduced via the in-axis passage 31.

전자 3방밸브(48)의 여소자 타이밍은,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0 실시 형태도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판 형상의 개폐 플레이트(90)를 수용하는 연락실(88)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높다.The excitation element timing of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tenth embodiment also obtains a relaxation effect of the starting shock. Moreover, since the volume of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which accommodates the plate-shaped opening-and-closing plate 90 can be made small, similar to the case of 1st Embodiment, the relaxation effect of starting shock is high.

도20 은,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10A)를 나타낸다. 압축기(10A)는 복수의 편두 피스톤(95)을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20 shows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10A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The compressor 10A has a plurality of migraine pistons 95.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st Embodiment.

압축기(10A)의 전체 하우징은, 실린더블록(12)과, 프런트 하우징(13)과, 리어 하우징(14)으로 구성된다. 실린더블록(12)과 프런트 하우징(13)의 사이에 구획 형성되는 사판실(24)에, 사판(23)이 수용된다. 사판(23)에 연계된 편두 피스톤(95)은, 사판(23)의 회전에 수반하여 실린더보어(28) 내를 왕복운동한다. 회전 샤프트(21)에는 로터리밸브(36)가, 실린더블록(1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14)에는 밸브체(42)가, 작동압실(412)을 구획하도록 형성된다.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A includes the cylinder block 12, the front housing 13, and the rear housing 14. The swash plate 23 is accommodated in the swash plate chamber 24 partition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12 and the front housing 13. The migraine piston 95 associated with the swash plate 23 reciprocates in the cylinder bore 28 with the rotation of the swash plate 23. The rotary valve 21 is provided with a rotary valve 36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block 12. The valve body 42 is formed in the rear housing 14 so as to partitio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제11 실시 형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eleventh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first embodiment.

도21∼도26 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21 to 26 show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샤프트(21) 내에는 축내 통로(31)가 회전 샤프트(21)의 회전 축선(210)을 따라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14)에는 연락실(communication chamber;88) 및 밸브공(891)이 형성되고, 연락실(88) 내에는 판 형상의 개폐 플레이트(90)가 밸브공(891)을 개폐 가능하게 수용된다. 밸브공(891)은, 연락실(88)과 흡입실(142)의 사이를 떼어 놓는 격벽(89)에 관통 형성된다. 축내 통로(31)의 입구(311)는, 리어 실린더블록(12) 내의 회전 샤프트(21)의 단면에 위치하고, 리어 하우징(14) 내의 연락실(88)로 개구한다.As shown in FIG. 21, in the rotation shaft 21, the in-axis passage 31 is formed along the rotation axis 210 of the rotation shaft 21. As shown in FIG. In the rear housing 14, a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a valve hole 891 are formed, and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 plate-shaped opening and closing plate 90 accommodates the valve hole 891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do. The valve hole 891 is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89 separating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the suction chamber 142. The inlet 311 of the in-axis passage 31 is located in the end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21 in the rear cylinder block 12, and opens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in the rear housing 14. As shown in FIG.

도23 과 도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입실(142)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제의 리어 하우징(14)의 단벽(40)에는, 전자 구동부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부착된다. 단벽(40)의 외면에는, 장착 오목부(404)가 움푹 패여 형성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는, 고정철심(250), 가동철심(251), 제2 복귀 스프링(252) 및, 코일(25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3 and FIG. 24,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as an electromagnetic drive part is attached to the end wall 40 of the aluminum rear housing 14 which forms the suction chamber 142. As shown in FI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40, the mounting recessed portion 404 is formed in a depressio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ncludes a fixed iron core 250, a movable iron core 251, a second return spring 252, and a coil 253.

고정철심(250)은 장착 오목부(404)에 끼워 맞춰지고, 고정철심(250)에는 코일(253)이 매입(embed)된다. 장착 오목부(404)는 흡입실(142)에 이어져 있다. 고정철심(250)에는, 압력실 형성 오목부로서의 압력 오목부(260)가, 움푹 패여 형성된다. 압력 오목부(260)는, 흡입실(142)을 향하여 개구한다. 압력 오목부(260)에는, 가동철심(25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가동철심(251)은, 압력 오목부(260) 내에 압력실(262)을 구획 형성한다. 가동철심(251)의 주면(peripheral surface)에는, 홈(254)이 형성된다. 홈(254)은, 압력 오목부(260)를 흡입실(142)에 연통한다. 따라서, 압력실(262) 내의 압력은, 흡입실(142) 내의 압력 상당이다. 흡입실(142)의 압력 즉 흡입압은, 압력실(262)의 압력에, 가동철심(251)을 통하여 대항한다. 단벽(40)의 외면에 장착된 덮개(258)는, 고정철심(250)과 코일(253)을, 장착 오목부(404) 내로 유지한다.The fixed iron core 250 is fitted to the mounting recess 404, and the coil 253 is embedded in the fixed iron core 250. The mounting recess 404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142. In the fixed iron core 250, the pressure recess 260 as a pressure chamber formation recess is recessed and formed. The pressure recess 260 opens toward the suction chamber 142. The movable iron core 251 is slidably fitted into the pressure recess 260. The movable core 251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262 in the pressure recess 260. The groove 254 is formed i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iron core 251. The groove 254 communicates the pressure recess 260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erefore,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262 corresponds to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142, that is, the suction pressure, oppose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chamber 262 via the movable iron core 251. The cover 258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nd wall 40 holds the fixed iron core 250 and the coil 253 into the mounting recess 404.

가동철심(251)은, 관통공으로서의 부착공(255)을 갖는다. 부착공(255)은, 압력 오목부(260)로부터 흡입실(142)에 이어지도록, 가동철심(251)을 관통한다. 부착공(255)에는 전달 로드(92)가, 흡입실(142)을 향하는 부착공(255)의 개구로부터 눌러 끼워져, 고정된다. 전달 로드(92)의 선단에는, 개폐 플레이트(90)가 장착된다.The movable iron core 251 has an attachment hole 255 as a through hole. The attachment hole 255 penetrates through the movable iron core 251 so as to extend from the pressure recess 260 to the suction chamber 142. The transmission rod 92 is pressed into the attachment hole 255 from the opening of the attachment hole 255 toward the suction chamber 142, and is fixed. At the distal end of the transfer rod 92,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90 is mounted.

가동철심(251), 전달 로드(92) 및, 개폐 플레이트(90)는, 밸브공(891)을 개폐하는 밸브체(242)를 구성한다. 밸브체(242)는, 압력 오목부(260) 내에, 압력실(262)을 구획한다.The movable iron core 251, the transfer rod 92, and the open / close plate 90 constitute a valve body 242 that opens and closes the valve hole 891. The valve body 242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262 in the pressure recess 260.

전달 로드(92)와 압력 오목부(260)의 바닥(261)과의 사이에는, 제2 복귀 스프링(252)이 배치된다. 제2 복귀 스프링(252)은, 전달 로드(92)를, 바닥(261)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즉, 가동철심(251)은,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압력 오목부(260)로부터 흡입실(142)을 향하여 튀어나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 밸브체(242) 및, 제2 복귀 스프링(252)은, 절환부를 구성한다. 절환부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인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흡입실(142)을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A second return spring 252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rod 92 and the bottom 261 of the pressure recess 260.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elastically supports the transfer rod 9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ttom 261. That is, the movable iron core 251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which protrudes from the pressure recessed part 260 toward the suction chamber 142 by the spring force of the 2nd return spring 252. As shown in FIG.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the valve body 242, and the 2nd return spring 252 comprise a switching part. The switching section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Can be switched to a blocking state for blocking the front exit 312 and the rear exit 313.

도23 에서, 밸브체(242)는, 밸브공(891)을 열음으로써 연락실(88)을 흡입실(142)에 연통하는 연통 위치에 있다. 도24 에서 밸브체(242)는, 밸브공(891)을 닫음으로써 연락실(88)을 흡입실(142)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치에 있다. 제2 복귀 스프링(252)은, 밸브체(242)를 차단 위치로부터 연통 위치를 향하여 탄성 지지한다. 즉, 절환부는,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시키는 연통 상태〔도23 에 나타내는 상태〕와,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상태〔도24 에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In Fig. 23, the valve body 242 is in a communication posi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by opening the valve hole 891. In FIG. In Fig. 24, the valve body 242 is in a shutoff position that closes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by closing the valve hole 891.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242 from the blocking position toward the communication position. That is, the switching unit has a communication state (state shown in Fig. 23)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142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is in-axis.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shutoff state (state shown in Fig. 24) to cut off from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passage 31.

전류가 코일(253)에 공급되면, 고정철심(250)은,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가동철심(251)을 끌어당긴다. 즉, 코일(253)로의 통전에 의해 생기는 전자력은, 연통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를 향하여 밸브체(242)를 구동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는, 소자됨으로써 밸브체(242)를 연통 위치에 배치하는 제1 상태와, 여자됨으로써 밸브체(242)를 차단 위치에 배치하는 제2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When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il 253, the fixed iron core 250 resists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and pulls the movable iron core 251. That is,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energization of the coil 253 drives the valve body 242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toward the cutoff positio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can be switched to the first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by being an element, and the second state in which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d in the shutoff position by being excited.

전자 솔레노이드(248) 및 전자 클러치(25)는, 제어 컴퓨터(C)의 여소자 제어를 받는다.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re subjected to the excitation control of the control computer C. As shown in FIG.

도26 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의 밸브 파형(VV)은, 전자 솔레노이드(248)에 대한 전류의 공급 타이밍을 나타낸다. 밸브 파형(VV) 중의 제1 통전 기간부(V1)는, 클러치 개시 타이밍(t1)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제1 통전 기간부(V1)의 개시 타이밍(t3)은, 클러치 개시 타이밍(t1)보다도 전이며, 제1 통전 기간부(V1)의 종료 타이밍(t4)은, 클러치 개시 타이밍(t1)보다도 후이다. 즉,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전류 공급을 개시할 때에는, 우선 전자 솔레노이드(248)에 전류 공급을 행하고, 그 후에 전자 클러치(25)에 전류 공급을 행한다.The valve waveform VV in the timing chart of FIG. 26 indicates the supply timing of the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The 1st electricity supply period part V1 in the valve waveform VV is set corresponding to the clutch start timing t1. The starting timing t3 of the first energizing period part V1 is before the clutch starting timing t1, and the ending timing t4 of the first energizing period part V1 is later than the clutch starting timing t1. to be. That is, when starting supply of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control computer C first supplies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and then supplies electric curren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FIG.

도25 는, 압축기(10)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서, 제어 컴퓨터(C)는,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압축기(10)의 운전을 제어한다. 이하, 플로우 차트에서 나타내는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압축기(10)의 운전 제어를 설명한다. 도25 는, 스텝(S1∼S7 및 S18)을 갖는다. 스텝(S1∼S7)은, 전자 3방밸브(48)가 전자 솔레노이드(248)로 교체된 것 이외에는, 도5 의 경우와 동일하다.2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The control computer C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based on the operation control program shown in the flowchart.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mpressor 10 will be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control program shown in the flowchart. 25 has steps S1 to S7 and S18. Steps S1 to S7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5 except that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is replaced with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압축기(10)가 운전 정지 상태에 있고,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소자 상태에 있으면, 밸브체(242)는,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23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compressor 10 is in the stopped state and the solenoid 248 is in the element state, the valve body 242 is dispos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23 by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do.

도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텝(S1)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압축기 운전 개시 모드인 경우, 스텝(S2)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솔레노이드(248)로 통전을 개시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전류 공급되면, 밸브체(242)는,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도2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되어, 밸브공(891)이 닫힌다. 이에 따라, 흡입실(142)은 연락실(88)로부터 차단된다.As shown in Fig. 23, in step S1, in the case of YES, that is, in the compressor operation start mode, in step S2, the control computer C starts to energize the solenoid 248.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supplied with electric current, the valve body 242 is disposed at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24 against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and the valve hole 891 is closed. As a result, the suction chamber 142 is blocked from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스텝(S3)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a)이 경과한 경우, 스텝(S4)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 치(25)로 통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전자 클러치(25)가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이행하고, 회전 샤프트(21) 및 사판(23)이 회전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YES in step S3, that is, when time ta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the control computer C is energiz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n step S4. Initiate. As a result,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shifts from the blocked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and the rotation shaft 21 and the swash plate 23 start rotation.

스텝(S5)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 개시로부터 시간(tb)이 경과한 경우, 스텝(S6)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면, 밸브체(242)는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2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부터, 도23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밸브공(891)이 열리고, 연락실(88)이 흡입실(142)에 연통한다. 따라서, 흡입실(142) 내의 냉매는, 밸브공(891) 및 연락실(88)을 경유하여, 축내 통로(31)로 유입한다.In the case of YES in step S5, that is, when time tb has elapsed from the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n step S6, the control computer C energizes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Stop. When the current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stopped, the valve body 242 is disposed from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24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23 by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Thereby, the valve hole 891 is opened and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Therefore,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flows into the in-axis passage 31 via the valve hole 891 and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통전을 정지한 후, 스텝(S7)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검출 온도와 목표 온도와의 비교에 기초하여, 압축기 운전 정지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7)에 있어서 YES의 경우, 즉 압축기 운전 정지 모드인 경우, 스텝(S18)에 있어서 제어 컴퓨터(C)는, 전자 클러치(25)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스텝(S18)의 처리 후, 제어 컴퓨터(C)는, 스텝(S1)으로 이행한다.After stopping the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n step S7, the control computer C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mpressor operation stop mode i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etected temperature and the target temperature. In step S7, in the case of YES, that is, in the compressor operation stop mode, in step S18, the control computer C stops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fter the process of step S18, the control computer C shifts to step S1.

도26 에 있어서의 토크 파형(T1)은, 토크 변동의 일 예이다. 전자 클러치(25)로 통전이 개시된 경우, 토크가 변동한다. 그러나,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을 개시할 때에는, 이 개시 전에 전자 솔레노이드(248)에 통전을 하고,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을 개시한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이 개시됐을 때의 급격한 토크 변동〔토크 파형(T1)에 있어서의 변동부(T11)〕이 억제된다.The torque waveform T1 in FIG. 26 is an example of torque fluctuations. When energization is started by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torque fluctuates. However, when starting the energ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energized before this start, and after energiz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stopped, The sudden torque fluctuation (variation part T11 in the torque waveform T1) when the energization of the clutch 25 is started is suppressed.

제12 실시 형태는, 이하의 이점을 갖는다.12th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2-1)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여자된 상태에서는, 밸브체(242)가 도24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배치된다. 밸브체(2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면,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인 흡입실(142)은, 연락실(88)로부터 차단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될 때, 즉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이 개시될 때는, 미리 밸브체(2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된 후에, 회전 샤프트(21)의 회전이 개시된다. 이 때문에, 흡입실(142)로부터 연락실(88) 및 축내 통로(31)로의 냉매 유입이 없다. 그 때문에, 급격한 토크 변동이 억제되어 기동 쇼크가 완화된다.(2-1) In the state where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excited,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terruption |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When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terruption position,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the suction pressure area | region in the compressor 10 is cut off from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s shown in FIG.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arted, that is,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 is started,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 is started after the valve body 242 has been disposed in advance in the blocking position. . For this reason, there is no inflow of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to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the in-axis passageway 31. Therefore, sudden torque fluctuation is suppressed and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2-2) 압축기(10) 내의 흡입실(142)을, 연락실(88)로부터 차단하기 위한 개폐 플레이트(90)는, 판(plate) 형상이다. 따라서, 개폐 플레이트(90)를 수용하는 연락실(88)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밸브체(24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프런트 압축실(271)이나 리어 압축실(281)에서 압축되는 냉매량이 적다. 그 결과, 토크 변동 억제의 효과, 즉 기동 쇼크 완화의 효과가 높다.(2-2)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for blocking the suction chamber 142 in the compressor 10 from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has a plate shape. Therefore, the volume of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which accommodates the opening-closing plate 90 can be made small. Therefore, the amount of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or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when the valve body 242 is in the shutoff position is small. As a resul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torque fluctuation, that i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arting shock is high.

(2-3)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소자되면, 밸브체(242)는,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연통 위치로 복귀한다.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채용은, 밸브체(242)를 연통 위치로 복귀시키는 데 있어 간편한 구성이다.(2-3)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demagnetized, the valve body 242 returns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The us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is a simple configuration for returning the valve body 242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2-4) 가령, 전자 솔레노이드(248)를 여자할 수 없게 됐을 경우, 밸브체(242)는, 압력실(262) 내의 제2 복귀 스프링(252)의 스프링력에 의해, 연통 위치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10)가 운전 개시되면, 흡입실(142) 내의 냉매는, 연락실(88) 및 축내 통로(31)를 경유하여, 프런트 압축실(271)과 리어 압축실(281) 로 유입한다. 즉, 전자 솔레노이드(248)를 여자할 수 없게 됐을 경우에도, 냉방은 정상으로 행해진다.(2-4) For example,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cannot be excited, the valve body 242 is maintain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second return spring 252 in the pressure chamber 262. do. For this reason, when the compressor 10 starts to operate,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nd the shaft passage 31 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Inflow. That is, even when the electronic solenoid 248 cannot be excited, cooling is performed normally.

(2-5) 밸브체(242)가 밸브공(891)을 닫을 때, 가령, 흡입실(142)로부터 밸브공(891)을 통하여 연락실(88)로 냉매가 새면,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저하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 개폐 플레이트(90)의 평면의 시일면(901)이, 평면의 밸브 시트면(892)에 면접촉한 상태에서는, 연락실(88)이 흡입실(142)로부터 확실하게 차단된다. 따라서, 밸브체(242)가 밸브공(891)을 닫을 때에, 흡입실(142)로부터 밸브공(891)을 통하여 연락실(88)로 냉매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2-5) When the valve body 242 closes the valve hole 891, for example, when the refrigerant leaks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to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through the valve hole 891, the starting shock is alleviated. Falls. However, in this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flat sealing surface 901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at valve seat surface 892,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is reliably shut off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do. Therefore, when the valve body 242 closes the valve hole 891, the refrigerant is prevented from leaking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to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through the valve hole 891.

도27 은, 제1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장치 구성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27 describes a thirteenth embodiment. The devic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 구성이,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클러치 파형(K2)에 있어서의 통전 개시부(K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25)에 통전을 개시할 때의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는 점이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다르다. 전자 클러치(25)로의 공급 전류치가 최대가 된 후, 전자 솔레노이드(248)로의 통전이 정지된다. 전자 클러치(25)로의 이러한 통전 개시에 의해, 토크 변동을 나타내는 토크 파형(T2)에 있어서의 변동부(T21)의 변동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억제된다.In the thirteenth embodiment, the devic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but when the energization is start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as indicated by the energization start section K21 in the clutch waveform K2. The point of gradually increasing the amount of energized to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welfth embodiment. After the supply current value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becomes maximum,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stopped. By such energization star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 fluctuation | variation of the fluctuation part T21 in the torque waveform T2 which shows a torque fluctuation is suppressed rather than the case of 12th Embodiment.

예를 들면, 절환부가 없는 종래의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서는, 기동시의 토크가 크다, 즉 전자 클러치(25)의 부하가 크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면, 전자 클러치(25)에 있어서 미끄럼이 생긴 다. 그 때문에, 전자 클러치(25)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without a switching part, the torque at the start is large, that is, the load 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large. For this reason, if the amount of energization gradually increases similarly to the present embodiment, slippage occurs i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동시의 토크가 작다, 즉 전자 클러치(25)로의 부하가 작다. 이 때문에, 전자 클러치(25)에 대한 통전량을 서서히 늘려가는 운전 제어가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torque at the start is small, that is, the load 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small. For this reason, operation control which gradually increases the energizat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25 is possible.

도28a 와 도28b 는, 제1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28A and 28B describe a four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2th Embodiment.

밸브체(242A)는, 개폐 플레이트(90), 가동철심(251A) 및, 전달 로드(92)를 구비한다. 가동철심(251A)은, 압력 오목부(26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전달 로드(92)는, 가동철심(251A)에 일체 형성된다. 가동철심(251A)은, 압력 오목부(260) 내에 압력실(262)을 구획한다. 가동철심(251A)과 격벽(89)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94)이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94)은, 가동철심(251A)을 압력 오목부(260) 내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밸브체(242A)를 탄성 지지한다.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여자되면, 전자 솔레노이드(248)의 전자 구동력은, 가동철심(251A)을 압력 오목부(260) 내로 밀어 넣는 방향으로 밸브체(242A)를 구동한다. 제1 복귀 스프링(94)은, 밸브체(242A)를 차단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The valve body 242A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plate 90, a movable iron core 251A, and a transfer rod 92. The movable iron core 251A is slidably fitted into the pressure recess 260. The transfer rod 9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able iron core 251A. The movable iron core 251A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262 in the pressure recess 260. The first return spring 94 is disposed between the movable iron core 251A and the partition wall 89. The first return spring 94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242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iron core 251A is pushed into the pressure recess 260.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excited, the electromagnetic driv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drives the valve body 242A in the direction to push the movable core 251A into the pressure recess 260. The first return spring 94 functions as a holding spring that holds the valve body 242A in the shut off position.

도28a 에서는, 밸브체(242A)가 밸브공(891)을 닫은 차단 위치에 있고, 도28b 에서는, 밸브체(242A)가 밸브공(891)을 연 연통 위치에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여자 상태에 있는 경우, 밸브체(242A)는, 전자 솔레노이드(248)의 전자력에 의해 도28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여자되 는 타이밍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밸브체(242A)는,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28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유지된다.In FIG. 28A, the valve body 242A is in the shutoff position in which the valve hole 891 is closed, and in FIG. 28B, the valve body 242A is in a communication position connecting the valve hole 891.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in an excited state, the valve body 242A is in the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8A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The timing at which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excited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in the stopped state, the valve body 242A is held at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28A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94.

압축기(10)가 운전 개시되기 전에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여자되고, 그 후에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밸브체(242A)가 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기동 쇼크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완화된다.If the solenoid 248 is energized before the compressor 10 starts to operate,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starts, since the valve body 242A is in the cutoff position, the starting shock is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Are equally relaxed.

압축기(10)의 운전의 개시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소자되면, 밸브체(242A)는, 전자 솔레노이드(248)의 전자력으로부터 해방된다.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 및 연락실(88) 내의 냉매는, 프런트 압축실(271)(도21 참조) 및 리어 압축실(281)로 흡입되기 때문에, 이 흡입 작용에 의해, 흡입실(142) 내의 압력과 연락실(88) 내의 압력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개폐 플레이트(90)는,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밸브 시트면(892)으로부터 떨어진다. 개폐 플레이트(90)가 밸브 시트면(892)으로부터 떨어지면, 흡입실(142) 내의 냉매도, 밸브공(891)을 경유하여 연락실(88)로 흡입된다. 따라서, 흡입실(142) 내의 압력은, 압력실(262) 내의 압력보다도 낮아진다. 즉, 흡입실(142) 내의 압력과 압력실(262) 내의 압력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When the solenoid 248 is demagnetiz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started, the valve body 242A is released from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248. Since the refrigerant in the shaft passage 31 and the refrigerant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are sucked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see FIG. 2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the suction chamber 142 by this suction action. Differences occur between the pressure in the c) and the pressure in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Therefore, the opening / closing plate 90 resists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94 and falls off from the valve seat surface 892. When the open / close plate 90 is separated from the valve seat surface 892, the refrigerant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also sucked into the communication chamber 88 via the valve hole 891. Therefore,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lower tha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262. That is,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262.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은,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흡입실(142) 내의 압력과 압력실(262) 내의 압력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에 의해, 제1 복귀 스프링(94)이 수축하게 될 크기로 설정된다. 즉,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은, 상기 차압에 의해 항복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흡입실(142) 내의 압력과 압력실(262) 내의 압력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은,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밸브체(242A)를 도28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 유지한다.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94 is the first return spring 94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262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It is set to the size that will shrink. That is,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94 is set so that it may yield by the said differential pressure. 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262 overcomes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94 and the valve body 242A. ) Is maintain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28B.

제14 실시 형태는,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2-1)항 및 (2-4)항과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전자 솔레노이드(248)를 여자하면, 밸브체(242A)를 차단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복귀 스프링(94)의 스프링력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전자 솔레노이드(248)가 소자 상태에 있으면, 압축기(10)가 운전되는 경우 밸브체(242A)가 연통 위치에 배치되고, 냉방이 확실하게 행해진다.14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 as (2-1) and (2-4) in 12th Embodiment.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excited, the valve body 242A can be reliably held in the cutoff position.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94,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248 is in the element state,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the valve body 242A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the cooling is assuredly. Is done.

도29a 와 도29b 는, 제1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29A and 29B describe a fif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2th Embodiment.

리어 하우징(14)의 단벽(40)에 있어서, 원통(41)의 통내인 압력 오목부(611)에는, 스풀(spool) 형상의 밸브체(34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밸브체(342)는, 원판 형상의 피스톤부(43), 원통부(44) 및, 가동철심부(345)를 구비한다. 통내(442)는, 밸브체(342)의 내부 통로이다. 피스톤부(43)는, 압력 오목부(611) 내에 압력실(612)을 구획한다.In the end wall 40 of the rear housing 14, the spool-shaped valve body 342 is slidably fitted in the pressure recess 611 which is in the cylinder of the cylinder 41. As shown in FIG. The valve body 342 includes a disk-shaped piston portion 43, a cylindrical portion 44, and a movable iron core portion 345. The cylinder 442 is an internal passage of the valve body 342. The piston portion 43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612 in the pressure recess 611.

원통부(44)의 외주면에는, 홈(443)이, 흡입실(142)을 압력실(612)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압력실(612)의 압력은, 흡입실(142)의 압력에 상당하며, 흡입실(142)의 압력(흡입압)은, 압력실(612)의 압력에, 밸브체(342)를 통하여 대항한다. 단벽(40)에는 끼워맞춤 구멍(403)이 관통 형성되고, 끼워맞춤 구멍(403)에는 수용통(accommodation cylinder;346)이 끼워 맞춰진다. 수용통(346) 내에는 고정 철심(364)이 수용된다. 가동철심부(345)는, 고정철심(364)에 대향하도록 수용통(346) 내에 끼워 넣어진다. 수용통(346)의 외주면에는 코일(365)이 배치된다. 코일(365)이 통전되면, 가동철심부(345)가 고정철심(364)으로 끌어당겨진다. 고정철심(364), 가동철심부(345) 및, 코일(365)은, 전자 구동부로서의 전자 솔레노이드(347)를 구성한다.The groove 443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art 44 so that the suction chamber 142 may communicate with the pressure chamber 612.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612 corresponds to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suction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612 via the valve body 342. do. An fitting hole 403 is formed through the end wall 40, and an accommodation cylinder 346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403. The fixed iron core 364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barrel 346. The movable iron core portion 345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cylinder 346 so as to face the fixed iron core 364. The coil 365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cylinder 346. When the coil 365 is energized, the movable iron core 345 is attracted to the fixed iron core 364. The fixed iron core 364, the movable iron core 345, and the coil 365 constitute an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as an electromagnetic drive unit.

가이드통(45)은, 회전 축선(210)을 포위한다. 밸브체(342)가 단벽(40)에 가까워지면, 압력실(612)의 용적이 감소한다. 전자 솔레노이드(347), 밸브체(342) 및, 제1 복귀 스프링(47)은, 절환부를 구성한다. 절환부는, 압축기(10) 내의 흡입압 영역의 부분인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하는 연통 상태와, 흡입실(142)을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 제1 복귀 스프링(47)은, 밸브체(342)를 차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The guide cylinder 45 surrounds the rotation axis 210. When the valve body 342 approaches the end wall 40, the volume of the pressure chamber 612 decreases.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the valve body 342, and the 1st return spring 47 comprise a switching part. The switching section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which i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10, in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Can be switched to a blocking state for blocking the front exit 312 and the rear exit 313. The first return spring 47 functions as a retaining spring that holds the valve body 342 in the shut off position.

도29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입구(441)의 전체가 흡입실(142) 내로 노출하는 위치에 있으며, 축내 통로(31)가 가이드통(45)의 통내(451), 원통부(44)의 통내(442) 및, 도입구(441)를 통하여 흡입실(142)에 연통한다. 도29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도입구(441)의 전체가 압력 오목부(611) 내로 깊숙이 들어가 있는 위치에 있어, 축내 통로(31)는 흡입실(142)로부터 차단된다. 도29b 는, 밸브체(342)가 축내 통로(31)와 흡입실(142)에 연통하는 연통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29a 는, 밸브체(342)가 축내 통로(31)와 흡입실(142)을 차단하는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9B, the entire inlet 441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exposed to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shaft passage 31 of the cylinder 451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guide cylinder 45 is positioned. It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chamber 142 via the cylinder 442 and the inlet 441. In the state shown in FIG. 29A, the entire inlet 441 is in a position deep into the pressure recess 611, and the in-axis passage 31 is blocked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Fig. 29B shows a state where the valve body 342 is in a communication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and Fig. 29A shows the valve body 342 with the in-axis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The state in the blocking position which blocks 142 is shown.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여자 상태에 있는 경우, 밸브체(342)는, 전자 솔레노이드(347)의 전자력에 의해 도29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여자되는 타이밍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압축기(10)의 운전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밸브체(342)는,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29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에 유지된다. 즉, 절환부는,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하는 연통 상태〔도29b 에 나타내는 상태〕와, 흡입실(142)을 축내 통로(31)의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상태〔도29a 에 나타내는 상태〕로 절환 가능하다.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is in an excited state, the valve body 342 is in the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29A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The timing with which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is excited is the same as that of the twelfth embodiment.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s in the stopped state, the valve body 342 is held at the cutoff position shown in Fig. 29A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That is, the switching unit has a communication state (state shown in FIG. 29B)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142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in-cylinder passage 31, and the suction chamber 142 is in the shaft.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 shutoff state (state shown in Fig. 29A) which cuts off from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of the passage 31.

압축기(10)가 운전 개시되기 전에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여자되고, 그 후에 압축기(10)의 운전이 개시되면, 밸브체(342)가 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기동 쇼크가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완화된다.If the solenoid 347 is energized before the compressor 10 starts to operate,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starts, the starting shock is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because the valve body 342 is in the shut off position. Are equally relaxed.

압축기(10)의 운전의 개시 후에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소자되면, 밸브체(342)는, 전자 솔레노이드(347)의 전자력으로부터 해방된다. 통내(451) 및 축내 통로(31) 내의 냉매는, 프런트 압축실(271)(도21 참조) 및 리어 압축실(281)로 흡입되기 때문에, 이 흡입 작용에 의해, 흡입실(142)의 압력과 압력실(612)의 압력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은,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흡입실(142) 내의 압력과 압력실(612) 내의 압력의 사이에 생기는 차압에 의해, 제1 복귀 스프링(47)이 수축하게 될 크기로 설정된다. 따라서, 압축기(10)를 운전했을 때에 흡입실(142)의 압력과 압력실(612)의 압력과의 사이에 생 기는 차압은, 제1 복귀 스프링(47)의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밸브체(342)를 도29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 유지한다.When the solenoid 347 is demagnetiz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starts, the valve body 342 is released from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olenoid 347. Since the refrigerant in the cylinder 451 and the shaft passage 31 is sucked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see FIG. 2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is caused by this suction action.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612.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is the first return spring 47 due to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612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It is set to the size that will shrink. Therefore, when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the differential pressure generated between the pressure in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612 overcomes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47 and the valve body. 342 is maintain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29B.

제15 실시 형태는,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fifteen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twelfth embodiment.

도30a 와 도30b 는, 제1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5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30A and 30B describe the six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5th Embodiment.

밸브체(3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통(45A)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리어 실린더블록(12)이나 회전 샤프트(21) 등과는 별체로 형성된다. 가이드통(45A)의 저벽은, 리어 실린더블록(12)의 단면(122)에 접하고, 가이드통(45A)은, 회전 샤프트(21)에 대하여 회전 샤프트(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도록 밸브체(3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춰진다. 가이드통(45A)의 저벽에는 연통구(452)가 가이드통(45A)의 통내(451)와 축내 통로(31)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통(45A)의 저벽과 피스톤부(43)의 사이에는 제1 복귀 스프링(47)이 배치된다. 도30a 에서는 밸브체(3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고, 도30b 에서는 밸브체(342)가 연통 위치에 배치된다.The guide cylinder 45A fit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342 has a bottomed cylindrical shape and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ar cylinder block 12, the rotary shaft 21, and the like.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is in contact with the end face 122 of the rear cylinder block 12, and the guide cylinder 45A is allowed to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21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21. It fits into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342. A communication port 452 is formed in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451 of the guide cylinder 45A and the shaft passage 31, and the bottom wall of the guide cylinder 45A and the piston 43 The first return spring 47 is disposed therebetween. In FIG. 30A, the valve body 342 is disposed in the shut off position, and in FIG. 30B, the valve body 342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ng position.

가령, 밸브체(34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밸브체(342)와 원통(41)의 사이로부터나, 밸브체(342)와 가이드통(45A)의 사이로부터 냉매가 새면,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가 저하한다.For example, when the coolant leaks from between the valve body 342 and the cylinder 41 or between the valve body 342 and the guide cylinder 45A when the valve body 342 is in the shut-off position, The mitigating effect is lowered.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 가이드통(45A)은, 회전 샤프트(21)에 대하여 회전 샤프트(2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도록, 밸브체(342)의 원통부(44)에 끼워 맞춰진다. 이 때문에, 압력 오목부(611)의 축심(413)은, 가이드통(45A)의 축 심(453)에 일치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때문에, 밸브체(342)의 원통부(44)와 원통(41)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나, 밸브체(342)의 원통부(44)와 가이드통(45A)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할 수 있어, 밸브체(342)의 원통부(44)의 주면을 따른 냉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cylinder 45A is fit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342 so as to allow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21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21. . For this reason, the shaft core 413 of the pressure recess 611 is matched with the shaft core 453 of the guide cylinder 45A. Therefore,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44 of the valve body 342 and the cylinder 41 and the clearance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44 and the guide cylinder 45A of the valve body 342 can be made small. Therefore, leakage of the refrigerant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4 of the valve body 342 can be prevented.

도31a 와 도31b 는, 제1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5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31A and 31B describe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5th Embodiment.

원통(41)에는 피스톤(69)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고, 피스톤(69)에는 가동철심부(345)가 일체 형성된다. 피스톤(69)은, 압력 오목부(611) 내에 압력실(612)을 구획한다. 피스톤(69)에는 전달 로드(70)가 연결된다.A piston 69 is slidably fitted in the cylinder 41, and a movable iron core 345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iston 69. The piston 69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612 in the pressure recess 611. The transfer rod 70 is connected to the piston 69.

소원주면체(71), 대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압력 오목부(611) 내에 압력실(612)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The small circumferential body 71,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the transmission rod 70, and the piston 69 constitute a valve body that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612 in the pressure recess 611.

도31a 는, 소원주면체(71)가 프런트 출구(312)를 닫고, 그리고,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축내 통로(31A)로부터 차단된다. 도31b 는, 소원주면체(71)가 프런트 출구(312)를 열고, 그리고,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연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축내 통로(31A)에 연통된다.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통전되면, 소원주면체(71)와 대원주면체(72)는,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31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31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 제1 복귀 스프링(73)은, 소원주면체(71)와 대원주면체(72)를 차단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FIG. 31A shows a state where the main columnar body 71 closes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major columnar body 72 closes the rear outlet 313.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are shown in FIG. Is blocked from the in-axis passageway 31A. 3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wish columnar body 71 opens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major columnar body 72 opens the rear outlet 313, and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are shown. Communicates with the in-axis passageway 31A.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is energized, the small circumferential body 71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are block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73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31B and shown in FIG. 31A. Is placed. The 1st return spring 73 functions as a holding | maintenance spring which hold | maintains the small circumferential body 71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in a interruption position.

제17 실시 형태는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소원주면체(71)와 대원주면체(72)가 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 프런트 압축실(271)과 리어 압축실(281)로 유입 가능한 냉매는,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 내 및 프런트 연통로(32)와 리어 연통로(33) 내의 냉매뿐이기 때문에, 기동 쇼크의 완화 효과는, 제12 실시 형태의 경우보다도 높다.The seventeen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twelfth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refrigerant that can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and the rear compression chamber 281 when the main circumferential body 71 and the large circumferential body 72 are in the blocking position is the front outlet 312. ) And only the refrigerant in the rear outlet 313 and in the front communication path 32 and the rear communication path 33, the relaxation effect of the starting shock is higher than in the case of the twelfth embodiment.

또한, 피스톤(69)을 전달 로드(7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면, 제1 복귀 스프링(73)이 회전 샤프트(21)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복귀 스프링(73)과 회전 샤프트(21)의 사이에서의 상대 회전에 기인하는, 제1 복귀 스프링(73) 또는 회전 샤프트(21)의 마모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는, 대원주면체(72)를, 제1 복귀 스프링(7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piston 69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rod 70, the first return spring 7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21. Therefore, wear damage of the first return spring 73 or the rotary shaft 21 due to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first return spring 73 and the rotary shaft 21 can be avoided. Alternatively, the large columnar body 72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return spring 73.

도32a 와 도32b 는, 제1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7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32A and 32B describe an eigh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7th Embodiment.

도3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닫는 위치에 있는 경우, 원판(74)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프런트 출구(312)보다도 상류에 있다. 따라서,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프런트 출구(312)를 통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로 유입 불능하다. 도3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원주면체(72)가 리어 출구(313)를 여는 위치에 있는 경우, 원판(74)은, 축내 통로(31A) 내에 있어서 프런트 출구(312)보다도 하류에 있다. 따라서, 축내 통로(31A)의 냉매가 프런트 출구(312)를 통하여 프런트 압축실(271)로 유입 가능하다. 전자 솔레노이 드(347)로의 통전이 행해지면, 통(75)이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32b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32a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 원판(74), 대원주면체(72), 전달 로드(70) 및, 피스톤(69)은, 압력 오목부(611) 내에 압력실(612)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As shown in FIG. 32A, when the large columnar body 72 is in a position to close the rear outlet 313, the disc 74 is located upstream of the front outlet 312 in the in-axis passage 31A. Therefore, the refrigerant in the shaft passage 31A cannot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through the front outlet 312. As shown in FIG. 32B, when the large columnar body 72 is in a position to open the rear outlet 313, the disc 74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front outlet 312 in the in-axis passage 31A. Therefore, the refrigerant in the shaft passage 31A can flow into the front compression chamber 271 through the front outlet 312. When energization to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is performed, the cylinder 75 is arrange | position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73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32B to the interruption | b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32A. The disc 74, the large cylindrical surface 72, the transfer rod 70, and the piston 69 constitute a valve body that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612 in the pressure recess 611.

제18 실시 형태는 제1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The eighteen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s as the seventeenth embodiment.

도33a 와 도33b 는, 제19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7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다.33A and 33B describe a nineteenth embodiment.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structural part as 17th Embodiment.

통(75)의 단벽(752)에 각핀(76)을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통(75)은 축내 통로(31A)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다. 통(75)과 피스톤(69)은, 압력 오목부(611) 내에 압력실(612)을 구획하는 밸브체를 구성한다.In the state where the pin 76 was inserted into the end wall 752 of the cylinder 75, the cylinder 75 can slide in the in-axis passageway 31A. The cylinder 75 and the piston 69 comprise the valve body which partitions the pressure chamber 612 in the pressure recessed part 611. As shown in FIG.

도33b 는, 소경 통부(77)가 프런트 출구(312)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고, 대경통부(78)가 리어 출구(313)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통(75)의 통내(750)로부터 차단된다. 도33a 는, 소경 통부(77)의 연통구(771)가, 프런트 출구(312)에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고, 대경 통부(78)의 연통구(781)가 리어 출구(313)에 연통한 상태를 나타내며, 프런트 출구(312)와 리어 출구(313)는, 통내(750)에 연통된다. 전자 솔레노이드(347)가 통전되면, 통(75)은 제1 복귀 스프링(73)의 스프링력에 의해, 도33a 에 나타내는 연통 위치로부터, 도33B 에 나타내는 차단 위치로 배치된다.FIG. 3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mall-diameter barrel portion 77 closes the front outlet 312, and a state in which the large-diameter barrel portion 78 closes the rear outlet 313. As a result,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are cut off from the cylinder 750 of the cylinder 75. FIG. 33A shows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port 771 of the small-diameter tubular portion 77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communication port 781 of the large-diameter tubular portion 78 communicates with the rear outlet 313. The front outlet 312 and the rear outlet 313 communicate with the cylinder 750. When the electromagnetic solenoid 347 is energized, the cylinder 75 is arrange | positioned by the spring force of the 1st return spring 73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shown in FIG. 33A to the interruption position shown in FIG. 33B.

제19 실시 형태는, 제17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19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 as 17th Embodiment.

도34 는, 제20 실시 형태에 따른, 편두 피스톤(95)을 갖는 압축기(10A)를 나 타낸다. 리어 하우징(14)에는, 전자 솔레노이드(248) 및 밸브체(242)가 형성된다. 제20 실시 형태는, 제1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이점을 갖는다.Fig. 34 shows a compressor 10A having a migraine piston 95 according to the twentieth embodiment. The solenoid 248 and the valve body 242 are formed in the rear housing 14. 20th Embodiment has the same advantage as 12th Embodiment.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You may change the said embodiment as follows.

도3 과 도4 에 있어서, 작동압실(412)로 공급되는 토출 냉매를, 열교환기(37)보다도 상류의 외부 냉매 회로의 부분으로부터 도입해도 좋다.3 and 4, the discharge refrigerant supplied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412 may be introduced from a portion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upstream of the heat exchanger 37. As shown in FIG.

도12 와 도13 에 나타내는 전자 3방밸브(48)를, 리어 하우징(14)에 연결하여 조입(incorporate)해도 좋다.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shown in FIGS. 12 and 13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housing 14 to incorporate it.

도8∼도9a 의 전자 개폐밸브(67)와, 도10∼도11a 의 전자 개폐밸브(67A)를, 리어 하우징(14)에 연결하여 조입해도 좋다.The electromagnetic on-off valve 67 of FIGS. 8-9A and the electromagnetic on-off valve 67A of FIGS. 10-11A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housing 14, and may be joined.

도8∼도11a 의 체크밸브(68)를, 압축기(10)의 하우징에 연결하여 조입해도 좋다.The check valve 68 of FIGS. 8-11A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 and may be joined.

도17∼도18b 의 오일 세퍼레이터(79)를, 압축기(10)의 하우징에 연결하여 조입해도 좋다.The oil separator 79 of FIGS. 17-18B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compressor 10, and may be joined.

도3 과 도4 의 전자 3방밸브(48)를 여자한 경우에, 밸브체(42)가 연통 위치에 배치되고, 전자 3방밸브(48)를 소자한 경우에, 밸브체(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48 of Figs. 3 and 4 is excited, the valve body 42 is disposed at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the valve body 42 is set to the element. It may be arranged in the blocking position.

도23 과 도24 의 전자 솔레노이드(248)를 여자한 경우에, 밸브체(242)가 연통 위치에 배치되고, 전자 솔레노이드(248)를 소자한 경우에 밸브체(242)가 차단위치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solenoid 248 of FIGS. 23 and 24 is excited,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d in a communication position, and the valve body 242 is arranged in a shutoff position when the solenoid 248 is demagnetized. You may also

도29a 와 도29b 의 전자 솔레노이드(347)를 여자한 경우에 밸브체(342)가 연 통 위치에 배치되고, 전자 솔레노이드(347)를 소자한 경우에 밸브체(342)가 차단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In the case where the solenoid 347 of FIGS. 29A and 29B is excited, the valve body 342 is dispos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when the solenoid 347 is demagnetized, the valve body 342 is disposed in the shut off position. You may also

도23 과 도24 의 압력실(262)을, 흡입실(142)로부터 항상 차단해 두고, 압력실(262)을 대기(大氣)에 연통시켜도 좋다.The pressure chamber 262 of FIGS. 23 and 24 may be always cut off from the suction chamber 142, and the pressure chamber 262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tmosphere.

제1 로터리밸브(35)와 제2 로터리밸브(36)를, 각각 회전 샤프트(21)와는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You may form the 1st rotary valve 35 and the 2nd rotary valve 36 separately from the rotating shaft 21, respectively.

도1 은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n entire compressor showing a first embodiment.

도2a 는 도1 의 2A-2A선 단면도이다.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A-2A of FIG.

도2b 는 도1 의 2B-2B선 단면도이다.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B-2B of FIG.

도3 은 도1 의 부분 확대도이다.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1.

도4 는 도3 으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in which the valve body is moved from FIG. 3.

도5 는 도1 의 압축기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program of the compressor of FIG.

도6 은 도5 의 프로그램에 의한 토크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FIG. 6 is a timing chart showing torque fluctuation by the program of FIG.

도7 은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7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도8 은 제3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Fig. 8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of the third embodiment.

도9a 는 도8 로부터 전자밸브가 절환된 부분 확대도이다.9A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olenoid valve switched from FIG.

도9b 는 도8 의 압축기의 타이밍 차트이다.9B is a timing chart of the compressor of FIG.

도10 은 제4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10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fourth embodiment.

도11a는 도10 으로부터 전자밸브가 절환된 단면도이다.FIG. 11A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witched from FIG. 10. FIG.

도11b 는 도10 의 압축기의 타이밍 차트이다.11B is a timing chart of the compressor of FIG.

도12a 는 제5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12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fifth embodiment.

도12b 는 도12a 로부터 전자밸브가 절환된 단면도이다.Fig. 12B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witched from Fig. 12A.

도13 은 제6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Fig. 13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of the sixth embodiment.

도14 는 도13 으로부터 전자밸브가 절환된 단면도이다.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witched from FIG.

도15a 는 제7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Fig. 15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15b 는 도15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1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15A.

도16a 는 제8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Fig. 16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eighth embodiment.

도16b 는 도16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1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16A.

도17 은 제9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Fig. 1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of the ninth embodiment.

도18a 는 도17 의 부분 확대도이다.18A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FIG.

도18b 는 도18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FIG. 1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18A. FIG.

도19a 는 제10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Fig. 19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tenth embodiment.

도19b 는 도19a 로부터 전자밸브가 절환된 단면도이다.Fig. 1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valve switched from Fig. 19A.

도20 은 제11 실시 형태의 편두(片頭) 피스톤 압축기의 전체의 측단면도이다.2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migrating piston compressor of the eleventh embodiment.

도21 은 제12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21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of a twelfth embodiment;

도22a 는 도21 의 22A-22A선 단면도이다.FIG. 2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22A-22A in FIG.

도22b 는 도21의 22B-22B선 단면도이다.Fig. 22B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the 22B-22B line in Fig. 21;

도23 은 도21 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2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24 는 도23 으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확대도이다.24 is an enlarged view in which the valve body is moved from FIG.

도25 는 도21 의 압축기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FIG. 25 is a flow chart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program of the compressor of FIG.

도26 은 도25 의 프로그램에 의한 토크 변동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FIG. 26 is a timing chart showing torque fluctuation by the program of FIG.

도27 은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27 is a timing chart showing a thirteenth embodiment.

도28a 는 제14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28A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fourteenth embodiment.

도28b 는 도28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FIG. 28B is a sectional view in which the valve body is moved from FIG. 28A.

도29a 는 제15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29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ressor of a fifteenth embodiment.

도29b 는 도29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FIG. 29B is a 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29A; FIG.

도30a 는 제16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30A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sixteenth embodiment.

도30b 는 도30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3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30A.

도31a 는 제17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Fig. 31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도31b 는 도31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FIG. 31B is a sectional view in which the valve body is moved from FIG. 31A.

도32a 는 제18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32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eighteenth embodiment;

도32b 는 도32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3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32A.

도33a 는 제19 실시 형태의 압축기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33A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or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도33b 는 도33a 로부터 밸브체가 이동한 단면도이다.3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valve body moved from FIG. 33A.

도34 는 제20 실시 형태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3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entire compressor of the twentieth embodiment;

Claims (28)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체로서, 상기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보어와,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압축실을 구획(define)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화된 캠체(cam body)로서 상기 캠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각각의 상기 피스톤에 연동시키는 것과, 흡입압 영역과,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흡입압 영역은 상기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고, 상기 도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압축실을 향하여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고,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wherein the compressor is accommodated in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via a clut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and the cylinder bor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pistons defining a compression chamber in each of the cylinder bores, respectively, and a cam body integrated with the rotary shaft, the cam body interlocking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o each of the pistons. And a rotary valve having an intake pressure region and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refrigerant into the respective compression chambers from the intake pressure region, wherein the rotary valve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ry shaft, Has a port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introduction passages deliver refrigerant toward each of the compression chambers. Have one outlet, 상기 냉매 흡입 구조체는, 연통(communication)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switch) 가능한 절환부를 갖고,The coolant suction structure has a switching part that can be switched to a communication state and a cutoff state, 상기 연통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The switching portion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차단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로부터 차단하고,The switching unit in the shut-off state block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상기 절환부는,The switch unit, 연통 위치와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한 밸브체로서, 상기 연통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차단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것과,A valve body which can be arranged to be switched between a communication position and a shut-off position, wherein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valve body is for blocking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연통 위치에 상기 밸브체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밸브체에 작용시키기 위한 작동압을 도입하는 작동압실(working pressure chamber)과,A working pressure chamber for introducing an operating pressure for acting on the valve body for disposing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상기 작동압실에 상기 작동압을 부여하는 작동압 부여부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ressure providing unit for imparting the operating pressure 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상기 흡입압 영역의 압력은,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상기 작동압실의 압력에 대항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pressure in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valv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절환부는 작동압 오목부(recess)를 갖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작동압 오목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밸브체는 상기 작동압 오목부 내에 상기 작동압실을 구획 형성하고,The switching portion has a working pressure recess, and the valve body is slidably fitted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whereby the valve body partitions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in the working pressure recess,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의 압력은,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상기 작동압실의 압력에 대항하고,The pressure in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valve body, 상기 절환부는, 상기 연통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위치로 상기 밸브체를 되돌리기 위한 제1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first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valve body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to the shutoff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상기 절환부가 상기 차단 상태의 경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를,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으로부터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valve body is arranged to block the inlet of the inlet passage from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when the switch is in the shutoff sta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단면(end surface)에 위치하고,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주면(peripheral surface)에 위치하고,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at an end surface of the rotary valve,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at a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로터리밸브의 회전 축선은 상기 단면과 교차하고,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valve crosses the cross section, 상기 냉매 흡입 구조체는,The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상기 로터리밸브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 수용실과,A valve accommodating chamber for rotatably accommodating the rotary valve; 상기 밸브 수용실의 외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을 포위하는 가이드통을 갖고,It has a guide cylinder which surrounds the said rotating axis in the exterior of the said valve accommodation chamber, 상기 가이드통의 통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에 연통하고,The inside of the guide cylinder communicates with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가이드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가이드통의 통내에 연통하는 내부 통로를 갖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The valve body is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cylinder, the valve body has an interna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of the guide cylinder, and the inner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ve, 상기 밸브체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작동압 오목부 내로 들어감으로써 차폐되고,When the valve body is in the shutoff position, the inlet of the inner passage is shielded by entering into the working pressure recess, 상기 밸브체가 상기 연통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작동압 오목부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 내로 노출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inlet of the inner passage is exposed outside the working pressure recess to expose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when the valve body is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가이드통은, 상기 밸브체 이외의 상기 압축기의 부재와는 별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체 이외의 상기 압축기의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guide cylinder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members of the compressor other than the valve body, and is configured to allow mov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with respect to the members of the compressor other than the valve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단면에 위치하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at the end 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주면에 위치하고,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도입 통로 내로 끼워 넣어지고,The valve body is fitted into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절환부가 상기 차단 상태의 경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으로부터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valve body is arranged to block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in the inside of the introduction passage when the switching section is in the blocking stat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축내(軸內) 통로를 갖고, 상기 축내 통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하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axis passage located inside the rotation shaft, the in-axis passag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축내 통로에 연통하고,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in-axis passage through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shaft,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축내 통로 내에 끼워 넣어지고,The valve body is fitted into the in-axis passag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n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내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이동시켜짐으로써, 상기 연통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며,The valve body can be arranged to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the cutoff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n the in-axis passage, 상기 차단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내 통로에 대하여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차단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valve body in the cutoff position blocks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with respect to the in-axis passag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절환부는 평면의 밸브 시트(seat)면을 갖고, 상기 밸브체는 평면의 시일(seal)면을 갖고, 상기 시일면은, 상기 밸브체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면에 면접촉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switching portion has a flat valve seat surface, the valve body has a flat seal surface, and the seal surface is formed on the valve sea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valve body is in the shutoff position.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surface contac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압축기는 토출압 영역을 갖고,The compressor has a discharge pressure region, 상기 작동압 부여부는, 상기 토출압 영역으로부터 상기 작동압실에 이르는 유입 통로를 갖고,The operating pressure applying unit has an inflow passage from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상기 작동압실에는, 상기 토출압 영역의 냉매가, 상기 유입 통로를 통하여 도입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a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is introduced into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inflow passage.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입 통로 상에는 오일 세퍼레이터(oil seperator)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는 상기 토출압 영역 내의 냉매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고,An oil separator is formed on the inflow passage, and the oil separator separates oil from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보다도 하류의 상기 유입 통로의 부분에는 좁힘부(constriction)가 형성되고,A constric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flow passage downstream from the oil separator,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보다도 하류의 상기 유입 통로의 부분은, 상기 오일 세퍼레이터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상기 좁힘부로 유도하는 오일 통로로서 기능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 portion of the inflow passage downstream from the oil separator functions as an oil passage for guiding oil separated by the oil separator to the narrow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토출압 영역은 상기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고,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has a portion in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 내의 토출압 영역의 부분은,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에, 외부 냉매 회로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외부 냉매 회로는 토출압 영역의 부분을 갖고,A portion of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via an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and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has a portion of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상기 유입 통로는, 상기 외부 냉매 회로의 상기 토출압 영역의 부분에 접속되고,The inflow passage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상기 작동압 부여부는, 상기 유입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 개폐밸브와, 체크(check)밸브를 구비하고,The operating pressure providing unit includes an electromagnetic opening / closing valve and a chec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flow passage,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외부 냉매 회로에 있어서의 상기 토출압 영역의 부분과, 상기 유입 통로와의 사이의 접속부보다도, 하류의 상기 외부 냉매 회로의 부분에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check valve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downstream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and the inflow passage in the external refrigerant circui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작동압 부여부는 전자 3방(3-way)밸브를 구비하고,The operating pressure providing unit has an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3-way), 상기 작동압실은, 공통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전자 3방밸브에 접속되고,The working pressure chamber i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through a common passage, 상기 전자 3방밸브는, 공급 통로를 통하여 토출압 영역에 접속되고,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hrough a supply passage, 상기 전자 3방밸브는, 방출 통로를 통하여 흡입압 영역에 접속되고,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ressure region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상기 전자 3방밸브는, 상기 공통 통로를 상기 공급 통로에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공통 통로를 상기 방출 통로에 연통시키는 제2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electromagnetic three-way valve is configured to be switchable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common passag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passage, and in a second state in which the common passag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assag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압축기는,The compressor, 상기 실린더보어를 갖는 실린더블록과,A cylinder block having the cylinder bore; 상기 실린더블록에 연결되는 리어 하우징을 구비하고,And a rear housing connected to the cylinder block, 상기 리어 하우징은 내부에 흡입실을 갖고, 상기 작동압실은 상기 리어 하우징 내에 구획 형성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rear housing has a suction chamber therein, and the working pressure chamber is partitioned within the rear housing.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흡입 구조체로서, 상기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보어와,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압축실을 구획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화된 캠체로서 상기 캠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각각의 상기 피스톤에 연동시키는 것과, 흡입압 영역과,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압축실로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흡입압 영역은 상기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고, 상기 도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압축실을 향하여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를 갖고,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wherein the compressor is accommodated in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via a clut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and the cylinder bore, respectively. Thereby, a plurality of pistons respectively partitioning the compression chamber in each of the cylinder bores, the cam body integrated with the rotary shaft, the cam body interlocks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o each of the pistons, the suction pressure region, and A rotary valve having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to each of the compression chambers, the rotary valve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ry shaft,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ving a port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outlet for delivering refrigerant toward each of the compression chambers, 상기 냉매 흡입 구조체는,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갖고,The coolant suction structure has a switch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communicating state and a blocked state, 상기 연통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The switching portion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차단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로부터 차단하고,The switching unit in the shut-off state block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let passage, 상기 절환부는,The switch unit, 연통 위치와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한 밸브체로서, 상기 연통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차단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것과,A valve body which can be arranged to be switched between a communication position and a shut-off position, wherein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valve body is for blocking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밸브체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drive unit for driving the valve body by an electromagnetic forc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절환부는, 상기 연통 위치에 상기 밸브체를 복귀시키는 제2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second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valve body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상기 전자 구동부는, 상기 연통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위치를 향하여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drives the valve body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toward the blocking 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절환부는 압력 오목부를 갖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압력 오목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력 오목부 내에 압력실을 구획 형성하고,The switching portion has a pressure recess, and the valve body is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pressure recess, whereby the valve body partitions a pressure chamber in the pressure recess, 상기 압력실은,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에 연통되고,The pressure chamber communicates with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의 압력은, 상기 압력실의 압력에,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대항하고,The pressure in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valve body, 상기 제2 복귀 스프링은 상기 압력실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복귀 스프링은 상기 압력 오목부 내로부터 튀어나가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체를 탄성 지지하고,The second return spring is accommodated in the pressure chamber, the second return spring elastically supports the valve body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within the pressure recess, 상기 전자 구동부는 상기 압력 오목부 내로 밀어 넣도록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drives the valve body to push into the pressure recess.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절환부는 압력 오목부를 갖고, 상기 밸브체가 상기 압력 오목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력 오목부 내에 압력실을 구획 형성하고,The switching portion has a pressure recess, and the valve body is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pressure recess, whereby the valve body partitions a pressure chamber in the pressure recess, 상기 압력실은,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에 연통되고,The pressure chamber communicates with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의 압력은, 상기 압력실의 압력에, 상기 밸브체를 통하여 대항하고,The pressure in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is opposed to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chamber through the valve body, 상기 절환부는, 상기 밸브체를 상기 압력 오목부 내로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차단 위치에 상기 밸브체를 유지(retain)하려고 하는 유지 스프링을 구비하고,The switching section includes a holding spring which tries to retain the valve body in the shut-off position by pushing the valve body into the pressure recess, 상기 전자 구동부는, 상기 연통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위치를 향하여 상기 밸브체를 구동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drives the valve body from the communication position toward the blocking posit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상기 절환부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를,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으로부터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valve body is arranged to block the inlet of the inlet passage from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when the switch is in the shutoff state.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절환부는 평면의 밸브 시트면을 갖고, 상기 밸브체는 평면의 시일면을 갖고, 상기 시일면은, 상기 밸브체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면에 면접촉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switch portion has a flat valve seat surface, the valve body has a flat seal surface, and the seal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valve seat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valve body is in the shutoff position. .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단면에 위치하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at the end 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주면에 위치하고,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로터리밸브의 회전 축선은, 상기 단면과 교차하고,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valve crosses the cross section, 상기 냉매 흡입 구조체는,The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상기 로터리밸브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밸브 수용실과,A valve accommodating chamber for rotatably accommodating the rotary valve; 상기 밸브 수용실의 외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을 포위하는 가이드통을 갖고,It has a guide cylinder which surrounds the said rotating axis in the exterior of the said valve accommodation chamber, 상기 가이드통의 통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입구에 연통하고,The inside of the guide cylinder communicates with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가이드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가이드통의 통내에 연통하는 내부 통로를 갖고,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The valve body is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cylinder, the valve body has an interna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of the guide cylinder, and the inner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ve, 상기 밸브체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의 입구는, 상기 압력 오목부 내로 들어감으로써 차단되고, When the valve body is in the shutoff position, the inlet of the inner passage is shut off by entering into the pressure recess, 상기 밸브체가 상기 연통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의 입구는, 상기 압력 오목부의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 내로 노출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inlet of the inner passage is located outside of the pressure concave portion when the valve body is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thereby exposing it into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제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가이드통은, 상기 밸브체 이외의 상기 압축기의 부재와는 별체(別體)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체 이외의 상기 압축기의 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전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guide cylinder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 from the members of the compressor other than the valve body, so that the movement of the rotary shaft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embers of the compressor other than the valve body is permitted.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냉매를 받아들이기 위한 입구를 갖고,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단면에 위치하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let for receiving refrigerant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at the end 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로터리밸브의 주면에 위치하고,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is loca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valve,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도입 통로 내로 끼워 넣어지고,The valve body is fitted into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the in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절환부가 상기 차단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를,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으로부터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valve body is arranged to block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from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when the switching section is in the blocking state. 제2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축내 통로를 갖고, 상기 축내 통로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연장하고,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n in-axis passage located inside the rotation shaft, the in-axis passag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shaft, 상기 도입 통로의 상기 출구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축내 통로에 연통하고,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in-axis passage through the main surface of the rotary shaft, 상기 밸브체는, 상기 도입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상기 축내 통로 내에 끼워 넣어지고,The valve body is fitted into the in-axis passage so as to be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axis in the introduction passage.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내 통로 내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연통 위치와 상기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며,The valve body can be arranged to be switched to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d the cutoff position by being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n the in-axis passage, 상기 차단 위치의 상기 밸브체는, 상기 축내 통로에 대하여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를 차단하는 냉매 흡입 구조체.The valve body in the cutoff position blocks the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with respect to the in-axis passage.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상기 압축기는,The compressor, 상기 실린더보어를 갖는 실린더블록과,A cylinder block having the cylinder bore; 상기 실린더블록에 연결되는 리어 하우징을 구비하고,And a rear housing connected to the cylinder block, 상기 리어 하우징은 내부에 흡입실을 갖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리어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냉매 흡입 구조체.And the rear housing has a suction chamber therein, and the valve body is disposed in the rear housing.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으로서, As a operation control method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상기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보어와,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각각 압축실을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화된 캠체로서 상기 캠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각각의 상기 피스톤에 연동시키는 것과, 흡입압 영역과,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밸브와, 토출압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흡입압 영역은 상기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고, 상기 도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를 가지며, The compressor includes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through a clut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and the cylinder bore, respectively, to define a compression chamber in each of the cylinder bores. A plurality of pistons and a cam body integrated with the rotary shaft, the cam body interlocks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o each of the pistons, and introduces refrigerant into the respective compression chambers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and the suction pressure region. A rotary valve having an introduction passage therein, and a discharge pressure region, the rotary valve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ry shaft,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s a portion in the compressor, and the introduction passage has a respective Has an outlet for delivering refrigerant toward the compressor, 상기 운전 제어 방법은,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준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차단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절환부는 밸브체, 작동압실 및, 작동압 부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와,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며, 상기 작동압실은, 상기 연통 위치에 상기 밸브체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밸브체에 작용시키는 작동압을 도입하고, 상기 작동압 부여부는 상기 작동압 실에 상기 작동압을 부여하고, 상기 작동압 부여부는, 상기 토출압 영역의 냉매를 상기 작동압실에 공급 가능한 제1 상태와 공급 불능한 제2 상태로 절환하여 배치되는 절환밸브를 구비하는 것과,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s to prepare a switch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communicating state and a blocked state, wherein the switching unit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switching unit in the shut-off state block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valve body, an operating pressure chamber, and an operating pressure granting unit. A communication position allow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a cutoff position for block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actuating pressure chamber is actuated on the valve body to arrange the valve body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An operating pressure is introduced, the operating pressure applying unit applies the operating pressure to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and the operating pressure providing unit includes a first state capable of supplying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pressure region to the operating pressure chamber and an undeliverable agent. Having a switching valve arranged to be switched in two states; 상기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절환밸브를 상기 제2 상태로 한 후에 상기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하는 것과,When switching the clutch from the cutoff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the clutch is put into the connected state after the switching valve is set to the second state; 상기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절환밸브를 상기 제1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 제어 방법.And switching said switching valve to said first state after bringing said clutch into a connected state. 제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클러치는, 여자(magnetization)됨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를 상기 외부 구동원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가 되는 전자 클러치이며,The clutch is an electromagnetic clutch that is in a connected state connecting the rotary shaft to the external drive source by being magnetized, 상기 운전 제어 방법은,The driving control method, 상기 전자 클러치를 소자(demagnetization)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여자하기 위해 상기 전자 클러치에 공급하는 전류를 서서히 증대시켜 가는 것과,When switch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from the demagnetization state to the excited state, gradually in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to excite the electromagnetic clutch; 상기 전류의 값이 최대가 된 후에, 상기 절환밸브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 제어 방법.And switching the switching valve from the second state to the first state after the value of the current becomes maximum. 고정용량형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제어 방법으로서, As a operation control method in a fixed displacement piston compressor, 상기 압축기는,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와, 상 기 회전 샤프트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보어와, 상기 실린더보어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실린더보어 내에 각각 압축실을 구획 형성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화된 캠체로서 상기 캠체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을 각각의 상기 피스톤에 연동시키는 것과, 흡입압 영역과, 상기 흡입압 영역으로부터 각각의 상기 압축실에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 통로를 갖는 로터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밸브는 상기 회전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흡입압 영역은 상기 압축기 내의 부분을 갖고, 상기 도입 통로는, 각각의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냉매를 송출하기 위한 출구를 가지며, The compressor includes a rotary shaft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e source through a clut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ranged around the rotary shaft, and each of the cylinder bores, each of which is formed in each of the cylinder bores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cylinder bore. A plurality of pistons and a cam body integrated with the rotary shaft, the cam body interlocks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to each of the pistons, a suction pressure region, and a refrigerant in each of the compression chambers from the suction pressure region. A rotary valve having an introduction passage for introduction, the rotary valve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rotary shaft, the suction pressure region having a portion in the compressor, the introduction passage directed toward each of the compressors Has an outlet for delivering the refrigerant, 상기 운전 제어 방법은,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한 절환부를 준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통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차단 상태의 상기 절환부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절환부는 밸브체와 전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이,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에 연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연통 위치와, 상기 압축기 내의 상기 흡입압 영역의 부분을, 상기 도입 통로의 출구로부터 차단하는 차단 위치로 절환하여 배치 가능하며, 상기 전자 구동부는 상기 밸브체를 전자력에 의해 구동 가능하며, 상기 전자 구동부는, 상기 밸브체를 상기 연통 위치에 배치하는 제1 상태와, 상기 밸브체를 상기 차단 위치에 배치하는 제2 상태로 절환 가능하며,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is to prepare a switching unit that can be switched between a communicating state and a blocked state, wherein the switching unit in the communicating state allows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the switching unit in the shut-off state blocks a part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an outlet of the inlet passage, and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valve body and an electromagnetic drive unit, and the valve body includes the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a communication position allowing a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to communicate with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and a blocking position for blocking the portion of the suction pressure region in the compressor from an outlet of the introduction passage,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is capable of driving the valve body by an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raises the valve body. Can be switched to the first state, and the valve body placed in the communication position to the second state to place the blocking position, 상기 운전 제어 방법은, 상기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부터 연결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전자 구동부를 상기 제2 상태로 한 후에 상기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하는 것과,The driving control method includes, when switching the clutch from the shutoff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putting the clutch in the connected state after setting the electromagnetic drive unit to the second state; 상기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한 후에, 상기 전자 구동부를 상기 제1 상태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 제어 방법.And putting said electromagnetic drive part into said first state after bringing said clutch into a connected state. 제2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클러치는, 여자됨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를 상기 외부 구동원에 연결하는 연결 상태가 되는 전자 클러치이며,The clutch is an electromagnetic clutch that is in a connected state connecting the rotary shaft to the external drive source by being excited, 상기 운전 제어 방법은,The driving control method, 상기 전자 클러치를 소자 상태로부터 여자 상태로 절환할 때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를 여자하기 위해 상기 전자 클러치에 공급하는 전류를 서서히 증대시켜 가는 것과,When switching the electromagnetic clutch from the element state to the excited state, gradually increas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lutch to excite the electromagnetic clutch; 상기 전류의 값이 최대가 된 후에, 상기 전자 구동부를 소자하는 것을 포함하는 운전 제어 방법.And operating the electronic drive unit after the value of the current reaches a maximum.
KR1020080028224A 2007-03-28 2008-03-27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KR1009213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84792 2007-03-28
JP2007084792A JP2008240691A (en) 2007-03-28 2007-03-28 Coolant suction structure of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JP2007088327A JP2008248722A (en) 2007-03-29 2007-03-29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JPJP-P-2007-00088327 2007-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446A KR20080088446A (en) 2008-10-02
KR100921372B1 true KR100921372B1 (en) 2009-10-14

Family

ID=3956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224A KR100921372B1 (en) 2007-03-28 2008-03-27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40928A1 (en)
EP (1) EP1978251A3 (en)
KR (1) KR100921372B1 (en)
BR (1) BRPI0801398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4464B2 (en) * 2008-02-05 2012-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Swash plate compressor
JP2010196946A (en) * 2009-02-24 2010-09-09 Daikin Ind Ltd Heat pump system
JP5983539B2 (en) * 2013-06-13 2016-08-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Double-head piston type swash plate compressor
JP6115393B2 (en) * 2013-08-08 2017-04-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compressor
JP6790925B2 (en) * 2017-03-07 2020-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Hydraulic oil control valve and valve timing adjustment device using thi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239A (en) * 1992-11-19 1994-06-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Refrigerant gas suction structure in piston type compressor
KR970001129B1 (en) * 1992-08-07 1997-01-29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쇼끼 세이사꾸쇼 Swash-plate-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 rotary-type suction valve mechanism
JPH09264248A (en) * 1996-03-27 1997-10-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Starting shock reducing device for piston type compressor
JPH10153171A (en) 1996-11-22 1998-06-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Both heads piston typ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15200B2 (en) * 1987-06-30 1991-09-26 Sanden Corporation Refrigerant circuit with passageway control mechanism
JPS6488064A (en) 1987-09-30 1989-04-03 Hitachi Ltd Refrigerant circuit for water cooler and heater
US5362208A (en) * 1992-03-04 1994-11-08 Nippondenso Co., Lt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5478212A (en) * 1992-03-04 1995-12-26 Nippondenso Co., Ltd.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H07119631A (en) 1993-08-26 1995-05-09 Nippondenso Co Ltd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9324758A (en) * 1996-06-06 1997-12-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Cam plate compressor
JP2000145629A (en) 1998-11-11 2000-05-26 Tgk Co Ltd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0265949A (en) * 1999-03-18 2000-09-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JP2006083835A (en) 2004-09-17 2006-03-30 Toyota Industries Corp Piston compr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129B1 (en) * 1992-08-07 1997-01-29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우 쇼끼 세이사꾸쇼 Swash-plate-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 rotary-type suction valve mechanism
JPH06159239A (en) * 1992-11-19 1994-06-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Refrigerant gas suction structure in piston type compressor
JPH09264248A (en) * 1996-03-27 1997-10-0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Starting shock reducing device for piston type compressor
JPH10153171A (en) 1996-11-22 1998-06-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Both heads piston typ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8251A2 (en) 2008-10-08
BRPI0801398A2 (en) 2008-11-11
EP1978251A3 (en) 2009-12-30
US20080240928A1 (en) 2008-10-02
KR20080088446A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72B1 (en)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JP6224011B2 (en) Capacity control valve
KR101236593B1 (en) Fluid-working machine
JP2018040385A (en) solenoid valve
KR100896267B1 (en)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US20080006331A1 (e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KR20060046254A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042481B2 (en) Air conditioner
EP2667119A2 (en) Control valve
KR102178579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mounting structure of flow sensor
JP6109301B2 (en)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equipped with the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JP2009062834A (en) Coolant intake structure of fixed capacity type piston compressor
EP1637736A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2008240691A (en) Coolant suction structure of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CN109154285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090009093A (en)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JP2008248722A (en) Refrigerant suction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in fixed displacement type piston compressor
JP7146262B2 (en) control valve
JP2006200555A (en) Channel selector valve and air-conditioner
JP3544913B2 (en) Swash plate compressor
KR101771433B1 (en) Water pump
GB2564845A (en)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on from within a valve
KR20110081555A (en) Compression volume of regulation apparatus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2115659A (en) Gas flow passage structure of compressor
JPS5877182A (en) Variable volume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