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886B1 -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 - Google Patents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886B1
KR100895886B1 KR1020080100240A KR20080100240A KR100895886B1 KR 100895886 B1 KR100895886 B1 KR 100895886B1 KR 1020080100240 A KR1020080100240 A KR 1020080100240A KR 20080100240 A KR20080100240 A KR 20080100240A KR 100895886 B1 KR100895886 B1 KR 10089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and
pass fil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봉
고진호
조상현
이재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칩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3Multimode operation in different systems which transmit time stamped messages, e.g. GPS/GLON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5Constructional details or 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 G01S19/37Hardware or software details of the signal processing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이용하여 위성으로부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는 저잡음 증폭기, 제1 대역 통과 필터, 제2 대역 통과 필터, 제1 고주파 증폭기, 제2 고주파 증폭기, 제1 하향 변환기, 제2 하향 변환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제1 AD 컨버터, 제2 AD 컨버터 및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신호 수신기 회로의 복잡도를 개선하고, 또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GPS, GALILEO, LNA, MIXER, PLL-VCO

Description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A DUAL BAND GPS/GALILEO SATELLITE RECEIVER}
본 발명은 위성 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와 갈릴레오 시스템(Galileo System)의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위치 탐색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는 지구상에서 위치를 판독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써 우주 부분, 사용자 부분, 통제 부분으로 구성된다. 우주 부분은 GPS 시스템의 가장 핵심부로서 미 국방성 소속의 인공위성이 높이가 약 20,200㎞인 6개의 궤도 평면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부분은 위성으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아 현 위치를 계산하고 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이용한다. 통제 부분은 MCS(Master Control Station)와 MS(Monitor Station)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위성 신호를 분석하고, 위성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태를 확인한다.
GPS 위성들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신호로 변조된 L1대역(fL1=1575.42MHz) 및 L2 대역(fL2=1227.6MHz) 신호를 송신하며, 추후 GPS 현대화 계획에 의해 L5대역(fL5=1176.45MHz)신호를 송신할 예정이다.
이러한 GPS는 초창기 미국에서 주도한 것으로, 이에 따른 미국의 독점적인 지위를 방지하기 위해 유럽에서는 갈릴레오 시스템을 추진하고 있다. 갈릴레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상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GPS보다 더욱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갈릴레오 시스템은 고도 2만 3600 km에 30개의 위성을 운영하여, 위치 정보가 1m이내로 오차를 갖는 정밀도를 제공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GPS는 L1, L2, L5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갈릴레오 시스템은L1F ,E1, E2, E5a, E5b, E6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중 GPS의 L1, L5 주파수 대역은 각각 갈릴레오 시스템의 L1F 대역(1575.42 MHz), E5a 대역(1176.45 MHz)과 동일하므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수신하는 경우, 동시에 GPS와 갈릴레오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 GPS와 갈릴레오 시스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이중 대역 수신기가 제안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특허(P2007-0115088)에서도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이중 대역 수신기 구조에서의 주파수 플랜은 L1/L1F 대역 영역과 L5/E5a 대역 영역에 각각 하나씩 위성 고정 루프-전압 조정 발진기(Phase Locked Loop-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PLL-VCO) 블록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각 이중 대역의 위성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2개의 PLL-VCO를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수신기 구조는 각 대역의 위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2개의 PLL-VCO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므로, 복잡도 및 소모 전류가 높아 구현상 어려움이 있다. 향후 위성 신호 수신기는 점점 소형화가 되어 가며, 전력을 보다 적게 소비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복잡도 및 소모 전류를 낮출 수 있는 위성 신호 수신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위성 신호 수신기의 회로 복잡도를 개선하고, 또한 전력 소모를 절감하는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로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2328배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1/(1.5)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주파수 분주기; 및 1/2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분주기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4fo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로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4656배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1/3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주파수 분주기; 및 1/4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분주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4fo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로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1550배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1/4의 분주율로 주파수 분주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1162.5fo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혼합기(Mixer)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0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5fo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1/48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 및 상기 제2 AD 컨버터에 제공하는 제3 주파수 분주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1/96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 및 상기 제2 AD 컨버터에 제공하는 제3 주파수 분주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신호 수신기 회로의 복잡도를 개선하고, 또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IF회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를 정의한다.
기본 주파수(f0)는 1.023 MHz이고, L1/L1F(이하,"제1 고주파 대역 신호")는 1540fo(1575.42MHz)이고, L5/E5a(이하," 제2 고주파 대역 신호")는 1150fo(1176.45MHz)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성 신호 수신기(100)는 저잡음 증폭기(LNA; 110), 제1 대역 통과 필터(BPF; 111), 제1 고주파 증폭기(RFA; 112), 제1 하향 변환기(113),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PF; 115), 제1 AD 컨버터(ADC; 117), 제2 대역 통과 필터(BPF; 121), 제2 고주파 증폭기(RFA; 122), 제2 하향 변환기(123), 제2 저대역 통과 필터(LPF; 125), 제2 AD 컨버터(ADC; 127) 및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PLL-VCO; 130)를 포함한다.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1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의 잡음지수를 최소화하여 증폭한다.
제1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111)는 저잡음 증폭기(110)로부터 주파수 대역 별로 수신된 증폭 신호에 대해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고주파 증폭기(RFA; Radio Frequency Amplifier)(112)는 제1 대역 통과 필터(111)로부터 입력된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한다.
제1 하향 변환기(113)는 제1 고주파 증폭기(112)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LO; Local Oscillator)주파수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제1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대역 신호로 하향변환 시킨다. 여기서, 제1 중간 주파수 대역은 12fo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PF; Low Pass Filter)(115)는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한다.
제2 대역 통과 필터(121)는 저잡음 증폭기(110)로부터 주파수 대역 별로 수신된 증폭 신호에 대해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제2 고주파 증폭기(122)는 제2 대역 통과 필터(121)로부터 입력된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한다.
제2 하향 변환기(123)는 제2 고주파 증폭기(122)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을 수행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변환 시킨다. 여기서, 제2 중간 주파수 대역은 4fo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대역 통과 필터(125)는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한다.
제1 AD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117)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으로부터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수신하고, 제1 저대역 통과 필터(115)에서 필터링된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를 출력한다.
제2 AD 컨버터(127)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125)에서 필터링된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5a)를 출력한다.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PLL-VCO)(130)는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1 하향 변환기(113)로 전달하고,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하향 변환기(123)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신호 수신기(100)는 하나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를 이용하여 제1 AD 컨버터(117) 및 제2 AD 컨버터(127)로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수정 발진기(TCXO)를 통해 제1 하향 변환기(113)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고, 제2 하향 변환기(123)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따라서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의 주파수 계획이 중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제1 하향 변환기(113)에 1552fo의 제1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12fo의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2 하향 변환기(123)에 1164fo의 제2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14fo의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제1 AD 컨버터(117) 및 제2 AD 컨버터(127)에 48.5fo의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제1 하향 변환기(113), 제2 하향 변환기(123),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Fractional N PLL)(131), 전압 조정 발진기(135), 제1 주파수 분주기(137), 제2 주파수 분주기(138), 및 제3 주파수 분주기(139)를 포함한다.
제1 하향 변환기(113)는 제1 주파수 분주기(137)에서 출력된 1552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를 12fo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킨다.
제2 하향 변환기(123)는 제2 주파수 분주기(138)에서 출력된 1164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5a)를 14fo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킨다.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131)는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 및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5a)를 분수로 나눈다. 또한,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고, 필요한 전압을 전압 조정 발진기(135)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131)는 주파수 합성기(Frequency Synthes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조정 발진기(135)는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131)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2328fo의 출력 주파수를 생성한다.
제1 주파수 분주기(137)는 전압 조정 발진기(135)로부터 입력된 2328fo의 출 력 주파수를 1/(1.5)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1552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출력한다.
제2 주파수 분주기(138)는 전압 조정 발진기(135)로부터 입력된 2328fo의 출력 주파수를 1/2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1164fo의 국진 발진 주파수를 출력한다.
제3 주파수 분주기(139)는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를 1/48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1 AD 컨버터(117)로 전송한다. 또한,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4a)를 1/48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2 AD 컨버터(127)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12fo의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 및 14fo의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와 유사한 대역의 주파수를 출력한다.
기본적으로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5a)의 주파수 대역폭(Band Width)은 20MHz 정도이다. 따라서, 제2 고주파 대역 신호의 경우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는 최소한 10MHz 이상이 되어야 한다. 반면,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의 주파수 대역 대역폭은 2MHz 정도이므로,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는 최소한 2MHz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고주파 대역 신호 및 제2 고주파 대역 신호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대역 폭이 유사하므로, 양 대역의 중간 주파수 관련 구성을 단일의 회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이용한 주파수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면부호(301)는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율이고, 도면부호(303) 및 도면 부호(305)는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의 주파수 분주율에 따른 국부 발진 주파수이고, 도면부호(307) 및 도면부호(309)는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4a)의 주파수 분주율에 따른 국부 발진 주파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 및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4a)의 RF 입력 주파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고정된다. 따라서, 국부 발진 주파수를 한 개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를 이용하여 조정하기 위해서는 공통된 주파수 분주율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율(301)을 0.5배식 증가시키면서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 및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4a)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의 주파수 분주율(2328fo)을 탐색하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면부호(311)와 같이, 1.5 및 2의 주파수 분주율이 제1 고주파 대역 신호(L1/L1F) 및 제2 고주파 대역 신호(L5/E4a)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분주기(137)는 1/(1.5)의 분주율, 제2 주파수 분주기(138)는 1/48의 분주율, 및 제3 주파수 분주기(139)는 1/2의 분주율이 적용된다. 그러나,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율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제1 하향 변환기(113)에 1552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12fo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하고, 제2 하향 변환기(123)에 1164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14fo의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제1 AD 컨버터(117) 및 제2 AD 컨버터(127)에 48.5fo의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한다.
전압 조정 발진기(435)는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431)로부터 입력된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4656fo의 출력 주파수를 생성한다.
제1 주파수 분주기(437)는 전압 조정 발진기(435)의 출력신호인 2328fo를 1/3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1552fo로 변환시킨다.
제2 주파수 분주기(438)는 전압 조정 발진기(435)의 출력신호 2328fo를 1/4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1552fo로 변환시킨다.
제3 주파수 분주기(439)는 전압 조정 발진기(435)의 출력신호 2328fo를 1/96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고, 상기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제1 AD 컨버터(117) 및 제2 AD 컨버터(127)에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율을 달리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전압 조정 발진기(435)의 출력 주파수를 2배로 높이고, 주파수 분주기의 분주율을 1/2 배로 낮춤으로써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실시예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 기(130)는 전압 조정 발진기(435)의 출력 주파수에 대해 제1 주파수 분주기(437) 및 제2 주파수 분주기(438)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하향 변환기(113, 123)에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제3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주파수 분주기 및 혼합기(Mixer)를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별로 하향 변환기에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10fo 대역의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하고, 12.5fo 대역의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는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531), 전압 조정 발진기(535), 주파수 분주기(537) 및 혼합기(Mixer)(539)를 포함한다.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531)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한다.
전압 조정 발진기(535)는 프랙셔널 위상 고정 루프(531)의 생성 주파수를 이용하여 1550fo의 출력 주파수를 제1 하향 변환기(113)에 제공한다. 또한, 전압 조정 발진기(535)는 주파수 분주기(537) 및 혼합기(539)의 출력 주파수를 제2 하향 변환기(123)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파수 분주기(537)는 전압 조정 발진기(535)의 출력 주파수(1550fo)를 1/4의 분주율로 분주하여 387fo의 주파수로 출력한다. 다음 으로, 혼합기(539)는 상기 출력된 387fo의 주파수 및 전압 조정 발진기(535)의 출력 주파수 1550fo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을 하여 1162.5f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생성한다. 따라서, 단일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를 이용하여 제1 하향 변환기(113) 및 제2 하향 변환기(123)에 국부 발진 주파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130)가 복수의 주파수 분주기에서 입력된 주파수를 처리함으로써 두 개의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사용하는 수신기보다 전류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소자를 감소시켜 회로의 복잡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이용한 주파수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110 :저잡음 증폭기, 121 :제2 대역 통과 필터
111 :제1 대역 통과 필터, 122 :제2 고주파 증폭기
112 :제1 고주파 증폭기, 123 :제2 하향 변환기
113 :제1 하향 변환기, 125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115 :제1 저대역 통과 필터, 127 :제2 AD 컨버터
117 :제1 AD 컨버터, 130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

Claims (6)

  1.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2328배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1/(1.5)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주파수 분주기; 및
    1/2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분주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4fo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2.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4656배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1/3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주파수 분주기; 및
    1/4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주파수 분주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4fo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3.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L1/L1F 및 L5/E5a 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잡음지수를 최소화하면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1/L1F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1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증폭된 신호에 대해 상기 L5/E5a 항법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이외의 신호를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여 제2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1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2 대역 신호를 증폭하는 제2 고주파 증폭기;
    상기 제1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1 하향 변환기;
    상기 제2 고주파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시키는 제2 하향 변환기;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1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 LPF);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에 대하여 이득 제어 및 필터링하는 제2 저대역 통과 필터;
    상기 제1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 ADC);
    상기 제2 저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컨버터; 및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하향 변환기로 전달하는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수정 발진기에 의해 발생된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소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위상 고정 루프;
    상기 위상 고정 루프의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본 주파수(fo)의 1550배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조정 발진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1/4의 분주율로 주파수 분주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분주기;
    상기 제1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의 출력 신호를 시간 영역에서 곱셈 연산하여 1162.5fo의 주파수를 갖는 상기 제2 국부 발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혼합기(Mixer)
    를 포함하며,
    상기 기본 주파수(fo)는 1.023MHz이고,
    상기 제1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0fo이고,
    상기 제2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12.5fo인,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1/48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 및 상기 제2 AD 컨버터에 제공하는 제3 주파수 분주기를 더 포함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고정 루프 전압 조정 발진기는,
    1/96의 분주율을 가지며, 상기 전압 조정 발진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샘플링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제1 AD 컨버터 및 상기 제2 AD 컨버터에 제공하는 제3 주파수 분주기를 더 포함하는,
    이중 대역 위성 신호 수신기.
  6. 삭제
KR1020080100240A 2008-05-08 2008-10-13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 KR10089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761 2008-05-08
KR20080042761 2008-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886B1 true KR100895886B1 (ko) 2009-05-04

Family

ID=4086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240A KR100895886B1 (ko) 2008-05-08 2008-10-13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88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532B1 (ko) 2009-07-23 2010-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밴드 방송 수신기
KR101012176B1 (ko) 2008-10-13 2011-02-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위치인식용 gnss의 고감도와 고정밀을 고려한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2346253A (zh) * 2010-07-09 2012-02-08 英特尔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混合卫星定位接收器
KR101193337B1 (ko) 2010-04-14 2012-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위상 고정 루프 및 이를 이용한 서브 샘플링 트랜시버
KR101310533B1 (ko) 2009-06-24 2013-09-23 인텔 코오퍼레이션 튜너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45574B1 (ko) * 2020-12-21 2021-04-27 한화시스템(주) 항공기용 gps 신호 분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411300B2 (en) 2018-09-28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lurality of antenna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705A (en) * 1986-08-07 1992-10-2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Frequency synthesizer circuit
US6675003B1 (en) 2000-12-07 2004-01-06 Sirf Technology, Inc. L1/L2 GPS receiver
KR20050041366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기위치정보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수신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용 rf 수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705A (en) * 1986-08-07 1992-10-27 International Mobile Machines Corporation Frequency synthesizer circuit
US6675003B1 (en) 2000-12-07 2004-01-06 Sirf Technology, Inc. L1/L2 GPS receiver
KR20050041366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기위치정보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수신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단말기용 rf 수신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76B1 (ko) 2008-10-13 2011-02-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차량 위치인식용 gnss의 고감도와 고정밀을 고려한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0533B1 (ko) 2009-06-24 2013-09-23 인텔 코오퍼레이션 튜너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90532B1 (ko) 2009-07-23 2010-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밴드 방송 수신기
KR101193337B1 (ko) 2010-04-14 2012-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위상 고정 루프 및 이를 이용한 서브 샘플링 트랜시버
CN102346253A (zh) * 2010-07-09 2012-02-08 英特尔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混合卫星定位接收器
KR101331430B1 (ko) * 2010-07-09 2013-11-21 인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스 게엠베하 이동 위성 포지셔닝 수신기
US8681045B2 (en) 2010-07-09 2014-03-25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Hybrid satellite positioning receiver
US11411300B2 (en) 2018-09-28 2022-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lurality of antennas
KR102245574B1 (ko) * 2020-12-21 2021-04-27 한화시스템(주) 항공기용 gps 신호 분할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86B1 (ko) 이중 대역 gps/galileo 위성 신호 수신기
EP1783512B1 (en) Multiband receiver f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signals
US20100048155A1 (en) Multi-band rf receiver
US6856794B1 (en) Monolithic GPS RF front end integrated circuit
CN102016630B (zh) 双模卫星信号接收机及其方法
RU2487364C2 (ru) Приемник с многочастотным диапазоном
US20080159198A1 (en) Boc signal acquisition and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8128791A (ja) 周波数変換回路及び衛星測位信号受信装置
US20160370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Dual Mod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W200815781A (en) BOC signal acquisition and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9791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urposing of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 for receiving low-earth orbit communication satellite signals
WO2011113540A2 (en) A flexible gnss receiver rf frontend
KR101222223B1 (ko) 노이즈가 감소된 무선 주파수 송수신 장치
CN104237910A (zh) 多通道导航射频接收机
US7953383B2 (en) Dual band receiver
US10228469B2 (en) Reception device
US201600258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detection utilizing low-earth orbit satellite signals
US6345177B1 (en) Signal analog processing circuit for satellite positioning receiver
JPH1093469A (ja) 無線通信装置の周波数発生器と周波数変換方法
KR100980673B1 (ko) L1/l2c이중 대역 지피에스 수신기
KR100539604B1 (ko) 이중 대역 지피에스 수신기
JP2014179763A (ja) 受信回路、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11169276B2 (en) Satellite signal receiving circuit and satellite signal receiving method
US20130187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mbedded And Hosted Architecture For A Medium Earth Orbit Satellite And Low Earth Orbit Satellite Positioning Engine
Kim et al. L1/L2 dual-band CMOS GPS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