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870B1 -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870B1
KR100895870B1 KR1020070137455A KR20070137455A KR100895870B1 KR 100895870 B1 KR100895870 B1 KR 100895870B1 KR 1020070137455 A KR1020070137455 A KR 1020070137455A KR 20070137455 A KR20070137455 A KR 20070137455A KR 100895870 B1 KR100895870 B1 KR 100895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ain body
clamp
moving par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병익
마정민
Original Assignee
마병익
마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병익, 마정민 filed Critical 마병익
Priority to KR1020070137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 1 걸림편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 1 걸림편과 대향되는 제 2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캠과 접촉되는 면에는 내부로 만곡되게 캠 삽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캠 삽입면의 상부에는 상기 캠의 일면과 접촉되는 회전 방지턱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이동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동부의 캠 삽입면에 삽입되는 캠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는 캠에 의해 신속하게 구동되는 효과 및 캠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어 캠과 작동 레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클램프, 본체, 이동부, 구동부, 제 1 걸림편, 제 2 걸림편, 이형재, 캠

Description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LAVER TYPE QUICK CLAMP FOR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삼각대 등과 같은 촬영보조기구에 부착되어 카메라가 신속하게 고정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로 촬영을 할 때에는 이미지가 뚜렷하게 촬영되게 하기 위해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촬영보조기구를 함께 사용한다. 이와 같은 촬영보조기구에는 대표적으로 삼각대가 있으며, 통상 삼각대에는 본체 상부에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헤드가 부착된다.
삼각대는 사용 목적에 따라 상부에 헤드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고, 헤드에는 쓰리웨이(3WAY) 헤드와 볼 헤드가 주로 사용되며, 상기 헤드의 상부에는 퀵 클램프(이하, 클램프라 함)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가 구비된 삼각대에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램프에 체결되는 플레이트를 카메라의 하부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카메라를 삼각대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에 카메라와 삼각대를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클램프와 플레이트가 하용되는 것은, 카메라를 삼각대에 직접 고정시키면 카메라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마모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와 같이 카메라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가 마모되면 고가인 카메라 바디를 교체해야만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카메라를 삼각대로부터 신속하게 탈/부착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삼각대를 사용한 촬영을 자주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바디의 하부에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각대에는 카메라에 부착된 플레이트에 적합한 클램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양측으로 이동되는 걸림편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편이 오므려지거나 벌려져서 카메라의 플레이트가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클램프는 걸림편이 이동되는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크류에 의해 작동되는 스크류(SCREW)형 클램프와 캠에 의해 작동되는 캠(CAM)형 클램프가 있고, 캠형 클램프는 퀵 클램프라고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크류형 클램프(10)는 좌측 단부 상측으로 걸림편(12)이 돌출되게 형성된 본체(11), 상기 본체(11)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본체(11)의 걸림편(12)에 대향되는 걸림편(14)이 우측 단부 상측에 형성된 이동부(13) 및 상기 본체(11)와 이동부(13)를 연결하는 스크류(15)와 상기 스크류(15)를 회전시키는 손잡이(1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크류형 클램프(10)의 사용법은 먼저, 카메라의 하부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본체(11)와 이동부(13)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12,14)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 스크류(15)를 회전시켜 이동부(13)가 본체(11)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동부(13)가 본체(11)를 향해 이동되면서 이동부(13) 상부의 걸림편(14)은 점차 본체(11)를 향해 이동되고, 본체(11)의 걸림편(12)과 이동부(13)의 걸림편(14) 사이에 위치된 플레이트는 양측 걸림편(12,14)들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형 클램프(10)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시의 역방향으로 스크류(15)를 회전시키면 이동부(13)가 본체(11)에서 멀어지게 되고, 양측 걸림편(12,14) 또한 멀어지면서 플레이트에 가해졌던 압착력이 해소되어 플레이트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15)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스크류형 클램프(10)는 플레이트를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해 스크류(15)와 연결된 손잡이(16)를 수 회 반복해서 회전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류(15)의 나선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나선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스크류(15)가 바르게 회전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이 경우 플레이트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았음에도 완전히 고정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으면 삼각대의 클램프(10)에 카메라가 고정된 것으로 오인한 촬영자가 삼각대만 잡고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카메라가 삼각대로부터 분리되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캠형 클램프(20)는 스크류형 클램프(10: 도 1 참조)와 동일하게 좌측 단부 상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편(22)이 형성된 본체(21), 상기 본 체(21)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우측 단부 상측으로 상기 본체(21)의 걸림편(22)과 대향되게 걸림편(24)이 형성된 이동부(23) 및 상기 본체(21)와 이동부(23)를 연결하는 구동축(25)과 상기 구동축(25)의 이동부(23) 측에 부착되는 캠(2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21), 이동부(23) 및 캠(26)으로 구성된 캠형 클램프(20)의 사용방법은 먼저, 카메라의 하부에 부착된 플레이트가 본체(21)와 이동부(23)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편(22,24) 사이에 위치되게 한다. 다음으로 이동부(23) 외부에 부착된 캠(26)과 연결된 레버(2)를 회전시켜 캠(26)이 이동부(23)를 압박하게 한다.
캠(26)은 회전되면서 이동부(23)와의 접촉면을 압박하게 되고, 이동부(23)는 상기 캠(26)에 밀려 본체(2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부(23)가 본체(21)를 향해 이동되면서 이동부(23) 상부의 걸림편(24) 역시 본체(21)를 향해 이동되고, 본체(21)의 걸림편(22)과 이동부(23)의 걸림편(24) 사이에 위치된 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편(22,24)들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캠형 클램프(20)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정시의 역방향으로 캠(26)을 회전시킨다. 캠(26)이 회전되녀서 캠(26)에 압박되어 있던 이동부(23)가 본체(21)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양측 걸림편(22,24) 역시 서로 멀어지면서 양측 걸림편(2,24) 사이에 고정되어 있던 플레이트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캠(26)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캠형 클램프(20)는 플레이트를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해 캠(26)을 회전시킴으로 도 1의 스크류형 클램프(10: 도 1 참조)보다 신속하게 작동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캠형 클램프(20)의 경우에는 플레이트가 체결되지 않았을 때 이동부(23)의 외부에 설치된 캠(26)이 본체(21)와 이동부(23)를 연결하는 구동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캠(26)이 구동축(2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클램프(20)가 이동될 때 캠(26)이 회전되면서 캠(26)과 연결된 작동 레버(2)가 주변의 물품들과 충돌되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캠형 클램프(20)의 경우 캠(26)의 회전반경에 의해 이동부(23)의 이동거리가 일정하게 정해지므로, 사용 중 캠(26)과 이동부(23)의 접촉면이 마모되었을 경우 본체(21)와 이동부(23)의 걸림편(22,24) 사이에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캠(26)과 이동부(23)가 마모되어 걸림편(22,24) 사이의 체결력이 약해지면 클램프(20)에 플레이트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경우 이동 중 플레이트가 클램프(2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가 카메라에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카메라의 무게로 인해 클램프(20)로부터 플레이트가 분리되기 용이하고, 이동 중 삼각대로부터 플레이트가 분리되면 카메라가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부(23)와 캠(26)의 접촉면이 상측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접촉면에 이물질이 침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이동부(23)와 캠(26)의 체결면에 이물질이 침입되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이동부(23)와 캠(26)의 체결면이 더욱 빠르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캠(26)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캠이 회전되어 위치가 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속하게 작동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클램프의 캠과 작동 레버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캠과 캠에 연결된 작동 레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클램프를 장시간 사용하여 이동부와 캠의 접촉면에 마모가 발생되어도 이동부와 캠에 발생된 마모를 보상할 수 있게 하여 클램프에 체결된 플레이트가 클램프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퀵 클램프는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 1 걸림편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 1 걸림편과 대향되는 제 2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캠과 접촉되는 면에는 내부로 만곡되게 캠 삽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캠 삽입면의 상부에는 상기 캠의 일면과 접촉되는 회전 방지턱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이동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동부의 캠 삽입면에 삽입되는 캠을 구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에는 캠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캠축에 삽입 고정 되며, 상기 캠축과 상기 구동축은 고정핀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하부로 개방된 너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너트 삽입공에 삽입된 조절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의 본체 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곳에는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는 합성수지 또는 러버 재질의 이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너트 삽입공에는 본체의 내부로 연장되게 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조절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삽입공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는 캠에 의해 신속하게 구동되는 효과 및 캠이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차단되어 캠과 작동 레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되어 이동부와 캠의 접촉면에 마모가 발생되어도 이동부의 위치를 본체 측으로 이동시켜 이동부와 캠에 발생된 마모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와 캠이 접촉되는 접촉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동부와 캠의 접촉면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레버형 퀵 클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체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이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동부를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동부가 체결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의 본체 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 확대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가 삼각대의 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의 작동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레버형 퀵 클램프(1: 이하, 클램프라 함)는 본체(100), 이동부(200) 및 상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2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일정 두께의 판 형상이며, 좌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제 1 걸림편(110)이 형성되고, 우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외부로 개방된 가이드 홈(120)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내부에서 하부로 개방된 너트 삽입공(1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0)의 제 1 걸림편(110)은 우측의 하측 단부에서 좌측의 상측 단부를 향해 경사면(111)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삽입공(13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20)에 이웃하는 면의 대향되는 면에 축 삽입공(1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축 삽입공(140)은 상기 가이드 홈(12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가이드 홈(120)의 양측 단부에 탄성체인 압축 스프링(153)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공(15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헤드(500)와 체결되는 헤드 체결공(152)이 형성된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200)는 우측 단부에 상기 본체(100)의 제 1 걸림편(110)의 경사면(111)과 동일한 형태로 경사면(211)이 제 1 걸림편(110)과 대향되게 형성된 제 2 걸림편(2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가이드 홈(12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20)가 좌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축 삽입공(140)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관통공(24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부(200)의 우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공(240)을 중심으로 함몰되는 캠 삽입면(2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캠 삽입면(230)의 상단에는 후술될 캠(320)의 상단면과 접하는 회전 방지턱(250)이 형성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300)는 구동축(310)과, 일측에 작동 레버(321)를 구비하는 캠(320)으로 구성된다. 먼저, 구동축(310)은 원형의 봉으로서 좌측 단부 측에는 일정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동축(31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구동축(3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절개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323)에는 상기 나사산의 바깥지름과 동일하게 이형재(312: 異形材)가 삽입된다. 상기 이형재(312)는 구동축(310)에 형성된 것과 같은 나사산이 형성되지는 않으며,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러버(RUBBER)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310)의 우측 단부에는 일정 위치에 원주방향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제 2 핀홀(3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핀홀(315)은 구동축(310)과 후술될 캠축(330)이 체결될 때 고정핀(340)이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캠(320)은 일측에 작동 레버(321)가 구비되고, 회전중심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삽입공(32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200)와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삽입공(322)을 중심으로 축회전이 가능하게 절개홈(32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300)의 구동축(310)과 캠(320)은 캠축(33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며, 체결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캠(320)의 회전중심에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공(322)에 캠축(330)을 삽입한다. 이후, 캠축(330)의 좌측에 형성된 체결공(331)에 구동축(310)의 우측을 체결한다.
상기에서 캠축(330)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제 1 핀홀(3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축(330)에 구동축(310)을 결합할 때 상기 캠축(330)의 제 1 핀홀(335)과 구동축(310)의 제 2 핀홀(315)이 일치되게 한다. 캠축(330)과 구동축(310)의 제 1 핀홀(335)과 제 2 핀홀(315)이 일치되면, 상기 제 1 핀홀(335)과 제 2 핀홀(315)을 관통해서 고정핀(340)을 삽입시킨다. 상기에서 고정핀(340)은 상기 제 1 핀홀(335)과 제 2 핀홀(315)에 억지끼움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외부에서 인위적인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핀(340)이 제 1 핀홀(35)과 제 2 핀홀(31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캠축(330)과 구동축(310)은 고정핀(340)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캠축(330)과 구동축(310)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캠축(330)과 구동축(310)이 나사에 의해 체결되기 위해서는 캠축(330)과 구동축(310)에는 서로 대응되는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나사가 암나사에 체결되어 캠축(330)과 구동축(310)이 체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동부(3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본체(100)의 우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20)에 이동부(200)의 좌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0)가 삽입되게 한다. 이때, 가이드 홈(120)의 양측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공(151)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20)가 삽입될 때 각각 압축 스프링(153)이 삽입되어야 한다.
상기 압축 스프링(153)은 본체(100)와 이동부(200) 사이에 일정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기 압축 스프링(153)에 의한 압력은 이동부(200)와 구동부(300)의 캠(320) 간에 작용되어 캠(320)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면 캠이 오픈 되었을 때 이동부(200)가 확장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본체(100)에 이동부(200)가 삽입된 뒤에는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너트 삽입공(130)에 조절 너트(350)를 삽 입한 뒤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을 이동부(200)의 관통공(240)에 삽입하고, 구동축(310)의 좌측이 상기 조절 너트(350)에 체결되게 하여 클램프(1)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에서 조절 너트(350)와 너트 삽입공(130)의 이동부(200) 측 내측면 사이에는 와셔(360)가 더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360)가 삽입되는 이유는 조절 너트(350)가 회전될 때 조절 너트(350)와 너트 삽입공(130)의 내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줄이기 위한 것과, 캠(320)을 회전시켜 클램프(1)가 잠기게 되었을 때 유격보상 및 캠(320)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에서 와셔(360)는 콘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콘 와셔를 사용하는 것은 콘 와셔의 경사면에서 탄성력이 발생되어 클램프(1)에 플레이트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1)의 사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1)는 삼각대 상부에 부착된 헤드(5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 볼트(510)와 본체(100)의 중심에 형성된 헤드 체결공(152)이 체결되어 체결된다. 이와 같이 헤드(500)에 체결된 클램프(1)는 헤드(500) 상부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어 수평이 유지된다.
상기에서 헤드(500)의 회전에 의해 클램프(1)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면 클램프(1)의 좌측에 구비된 캠(320)을 작동 레버(321)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압축 스프링(153)의 탄발력에 의해 이동부(200)가 본체(100)와 멀어지게 한다. 캠(320)이 회전되면 캠(320)과 우측의 갬 삽입면(330)이 접해 있는 이동부(200)는 캠(320)과의 접촉면이 우측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본체(100)의 제 1 걸림편(110)과 이동부(200)의 제 2 걸림편(210)은 양측으로 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걸림편(110)과 제 2 걸림편(210)이 벌려지면 그 사이에 카메라에 체결된 플레이트를 위치시킨다. 이 후 캠(320)을 작동 레버(321)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캠(320)이 회전되면 이동부(200)와 접촉되는 캠(320)의 접촉면은 점차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캠(320)의 접촉면을 따라 이동부(200) 역시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20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본체(100)의 제 1 걸림편(110)과 이동부(200)의 제 2 걸림편(210)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는 제 2 걸림편(210)에 의해 제 1 걸림편(110)과의 사이에서 압착력을 받고, 상기 압착력에 의해 클램프(1)에 고정된다.
이때, 콘 와셔는 조절 너트(350)와 본체(100)의 너트 삽입공(130) 벽면 사이에서 압착력을 받고, 압착력을 받은 콘 와셔에는 상기 압착력에 반발하는 탄발력이 발생되어 조절 너트(350)와 너트 삽입공(130)의 벽면 사이에서 스프링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클램프(1)로부터 플레이트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할 때의 역방향으로 작동 레버(321)를 회전시켜 이동부(200)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부(200)가 이동되면 제 1 걸림편(110)과 제 2 걸림편(210)이 멀어지게 되어 클램프(1)로부터 플레이트가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가 체결 및 분리되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1)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이동부(200)의 캠 삽입면(230)와 캠(320)의 접촉되는 면이 마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200)의 캠 삽입면(230)과 캠(320)과의 접촉면이 마모되어 제 1 걸림편(110)과 제 2 걸림편(210)에 충분한 체결력이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 본체(100) 하부의 너트 삽입공(130)의 구동축(310)에 체결되어 있는 조절 너트(350)를 회전시켜 구동축(310)이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와 반대로 제조사의 차이, 온도, 제조 오차로 인해 플레이트의 폭이 제 1 걸림편(110)과 제 2 걸림편(210)의 이격된 거리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조절 너트(3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2 걸림편(210)이 제 1 걸림편(11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조절 너트(350)는 구동축(310)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거나 이동 중 발생되는 진동 등에 노출되면서 점차 풀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구동부(300)의 구동축(310)에는 상기 조절 너트(350)가 체결되는 부분에 이형재(31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형재(312)에 의해 조절 너트(35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이형재(312)가 조절 너트(350)를 풀리지 않게 하는 원리는 조절 너트(35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이 구동축(310)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할 때 구동축(310)에 형성된 이형재(312)를 압박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합성수지 또는 러버재로 제작된 이형재(312)와 조절 너트(350)와의 사이에는 마찰력과 압착력이 발생되어 조절 너트(350)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동축(310)이 본체(1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200)와 캠(320)의 마모된 량을 보상할 수 있는 한편, 다시금 제 1 걸림편(110)과 제 2 걸림편(210)에 충분한 체결력이 발생되게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1)는 캠(320)의 상면이 이동부(200)의 회전 방지턱(25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구동축(310)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이로 인해 이동 중에도 작동 레버(32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캠(320)과 작동 레버(32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200)에는 캠(320)이 삽입되는 캠 삽입면(230)이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고, 캠 삽입면(230)의 상단부에 회전 방지턱(2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이동부(200)와 캠(320)의 접촉면 사이에 쉽게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류형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캠형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체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이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이동부를 배면에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구동부가 체결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의 본체 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 확대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가 삼각대의 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의 작동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램프 100: 본체
110: 제 1 걸림편 130: 너트 삽입공
200: 이동부 210: 제 2 걸림편
230: 캠 삽입면 250: 회전 방지턱
300: 구동부 310: 구동축
312: 이형재 320: 캠
330: 캠축 340: 고정핀

Claims (5)

  1. 일측 단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제 1 걸림편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제 1 걸림편과 대향되는 제 2 걸림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캠과 접촉되는 면에는 내부로 만곡되게 캠 삽입면이 형성되고, 상기 캠 삽입면의 상부에는 상기 캠의 일면과 접촉되는 회전 방지턱이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이동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동부의 캠 삽입면에 삽입되는 캠이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캠에는 캠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캠축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캠축과 상기 구동축은 고정핀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하부로 개방된 너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너트 삽입공에 삽입된 조절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본체 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곳에는 일측이 절개되어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는 합성수지 또는 러버 재질의 이형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형성된 너트 삽입공에는 본체의 내부로 연장되게 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조절 너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축 삽입공의 내/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KR1020070137455A 2007-12-26 2007-12-26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KR10089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55A KR100895870B1 (ko) 2007-12-26 2007-12-26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55A KR100895870B1 (ko) 2007-12-26 2007-12-26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870B1 true KR100895870B1 (ko) 2009-04-30

Family

ID=4075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455A KR100895870B1 (ko) 2007-12-26 2007-12-26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8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40Y1 (ko) 2010-02-04 2012-04-27 이지 카메라 삼각대의 플랫폼 안전버튼 구조
KR101160749B1 (ko) 2010-04-15 2012-06-28 정관성 카메라 결착구
CN102656399A (zh) * 2009-08-25 2012-09-05 菲利普·沃格特 光学设备用快速夹紧装置
KR101193215B1 (ko) * 2009-12-16 2012-10-19 마정민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KR101344454B1 (ko) 2012-09-13 2013-12-26 마정민 볼헤드용 u-타입 클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751U (ko) 1975-03-18 1976-09-21
JPS5244738U (ko) 1975-09-25 1977-03-30
KR100808624B1 (ko) 2006-01-27 2008-02-29 정관성 볼 헤드의 카메라 받침용 결착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16751U (ko) 1975-03-18 1976-09-21
JPS5244738U (ko) 1975-09-25 1977-03-30
KR100808624B1 (ko) 2006-01-27 2008-02-29 정관성 볼 헤드의 카메라 받침용 결착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6399A (zh) * 2009-08-25 2012-09-05 菲利普·沃格特 光学设备用快速夹紧装置
CN102656399B (zh) * 2009-08-25 2015-01-07 菲利普·沃格特 光学设备用快速夹紧装置
KR101516060B1 (ko) 2009-08-25 2015-05-04 필리페 보그트 광학 장치용 퀵 클램프 장치
KR101193215B1 (ko) * 2009-12-16 2012-10-19 마정민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KR200460040Y1 (ko) 2010-02-04 2012-04-27 이지 카메라 삼각대의 플랫폼 안전버튼 구조
KR101160749B1 (ko) 2010-04-15 2012-06-28 정관성 카메라 결착구
KR101344454B1 (ko) 2012-09-13 2013-12-26 마정민 볼헤드용 u-타입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70B1 (ko)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US6773172B1 (en) Quick-release clamp for photographic equipment
US9568281B1 (en) Quick locking system
US7077582B2 (en) Quick-release clamp for photographic equipment
US8794575B2 (en) Quick clamping apparatus for optical devices
RU2489667C2 (ru) Спусковой механизм многозарядной винтовки
US10845679B2 (en) Quick connection handle for photographic equipment and photographic equipment assembly
JP5138796B2 (ja) ネジ式クランプ機構及びその使用方法
US20110028058A1 (en) Fin
US20070044274A1 (en) Locking door stop
US7347463B2 (en) Concealed door furniture fixing method and assembly
US7882755B2 (en) Sensor attachment device, a sens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hoto-electrical sensor
US6744575B1 (en) Optical mount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101193215B1 (ko) 카메라용 레버형 퀵 클램프
KR101362478B1 (ko) 볼트 공전방지 수단을 구비한 라체트 렌치
US7401659B2 (en) Positioning structure of the transmission device of a screw fastening apparatus
KR102138866B1 (ko) 마운트 레버 잠금 클램프
JP6843795B2 (ja) 簡易式ナ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簡易式ファスナー
JP2000511625A (ja) 輪郭付きのベルト端部を保持するための連結要素
KR20140107884A (ko) 크로스바 연결기구
KR200430142Y1 (ko) 카메라 삼각대의 퀵슈
CN212005116U (zh) 稳定器手持环
KR840001647Y1 (ko) 슬라이드 파스너 조립용 슬라이더 보지장치
RU2703219C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3698798B2 (ja) クイックシュ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