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410B1 -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410B1
KR100895410B1 KR1020080097593A KR20080097593A KR100895410B1 KR 100895410 B1 KR100895410 B1 KR 100895410B1 KR 1020080097593 A KR1020080097593 A KR 1020080097593A KR 20080097593 A KR20080097593 A KR 20080097593A KR 100895410 B1 KR100895410 B1 KR 10089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ontainer
plate
coupl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의
윤기석
Original Assignee
황보의
윤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의, 윤기석 filed Critical 황보의
Priority to KR102008009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06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chest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2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 B26D1/29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with cutting member mounted in the plane of a rotating disc, e.g. for slicing b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탈피장치가 개시된다.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며, 칼날이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용기의 벽면에 형성된 제품출구와, 상기 제품출구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결합된 받침판과,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배출시 충돌하게 되는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도판과,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탈피장치가 제공된다.
피가공물, 충격흡수부재, 칼날, 회전판, 유도판

Description

탈피장치{PEELING MACHINE}
본 발명은 감자, 고구마 및 밤 등과 같이 외피를 지니고 있는 작물의 외피를 용이하게 탈피시켜주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자나, 고구마 및 밤 등과 같이 외피를 지니고 있는 작물의 경우, 그 외피를 제거하여 식용으로 사용된다. 소량의 감자를 사용할 경우 간단한 수작업으로 외피를 탈피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량으로 감자의 외피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특히, 감자의 외관은 불규칙적인 형상이어서 이의 외피를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계장치가 시중에 많지 않다. 또한, 탈피기계를 사용하더라도 손으로 작업한 것과 같은 동일한 수율로 감자의 외피를 제거하는 기술은 시중에 제공되지 않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탈피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받침판의 높이에서 용기(1)를 횡으로 절단한 평면도이다. 종래의 탈피장치(100)에는 회전판(2)이 용기(1)의 바닥에 위치한다. 회전판(2)에는 칼날(201)이 결합되어, 감자와 같은 피 가공물(1000)의 외피를 컷팅한다.
피가공물(1000)이 용기(1)의 내부에서 가공되는 동안, 제품출구는 피가공물(1000)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차단판(111)에 의하여 닫혀있다. 회전판(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칼날(201)에 의하여 피가공물(1000)의 외피가 컷팅된다.
차단판(111)이 열려지면, 제품출구(9)가 오픈되어 도 2와 같이 피가공물(1000)이 원심력에 의해서 받침판(6)으로 배출된다. 이때, 일부 피가공물은 받침판(6)의 측면벽(61)에 부딪치거나, 도 2의 피가공물(1000)과 같이 용기(1)의 내벽과 측면벽(61)이 접하는 모서리에 부딪쳐서 손상된다.
회전판(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피가공물은 다른 측면벽(62)과 용기(10)에 의해서 형성된 모서리에 부딪칠 수 있다. 감자와 같이 피가공물이 이러한 모서리에 부딪칠 경우 손상이 된다.
본 발명은 감자, 고구마 및 밤 등과 같이 외피를 지니고 있는 작물의 외피를 용이하게 탈피시켜줄 뿐만 아니라, 작물의 내부조직의 손상 없도록 작업이 이루어지는 탈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며 칼날이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용기의 벽면에 형성된 제품출구와, 상기 제품출구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결합된 받침판과,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배출시 충돌하게 되는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도판과,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탈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도판은 인접한 상기 용기의 내벽으로 휘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유도판에는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까지 연장되어,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탄성력있는 합성수지일 수 있다.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피가공물이 부양될 수 있도록 단턱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과 같이, 받침판의 측면벽에서부터 연장되어 용기의 내부로 유도판을 결합함으로써, 피가공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의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가공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부재를 유도판 및 받침판의 측면벽에 결합함으로써 피가공물이 외부로 배출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 4를 참조하면, 탈피장치(10)는 피가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11),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칼날(121)이 결합된 회전판(12), 회전판(12)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15) 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피가공물(2000)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11)는 스테인레스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11)는 원통형의 형상이 일반적이나 기능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피가공물(2000)은 감자, 고구마, 당근 등의 구근류나 밤과 같은 열매류가 될 수 있다.
용기(11)의 바닥면에는 회전판(12)이 위치한다. 회전판(12)은 금속성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경도와 내구성이 확보된다면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회전판(12)의 중심을 기준으로 칼날(121)이 여러 개 결합되어 있다. 회전판(12)은 동력장치(1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는데, 그 회전속도는 1000RPM정도로 고속이다. 회전판(12)의 상면에 위치하는 피가공물(2000)은 회전판(12)의 원심력과 돌출된 칼날(121)의 타격에 의하여 용기(11)의 내벽에 강하게 충돌된다. 또한, 회전판(12)의 상면에는 칼날(121)과 이웃하여 평행하게 단턱(122)이 형성되어 있다. 단턱(122)은 회전판(12)의 상면의 피가공물을 적당히 회전 및 부양시켜 제거되지 않은 피가공물(2000)의 외피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턱(122)도 회전함으로서 피가공물(2000)에 충격을 주어 용기의 내벽으로 피가공물(2000)이 이동하게 한다.
본 탈피장치(10)의 작동방식은 순식간에 칼날(121)로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방식(마치 검의 고수가 볏집을 순식간에 베듯이 본 실시예의 칼날은 빠른 회전으로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한다.)으로서 일정한 속도 이상의 회전판(12)의 높은 RPM은 필수적인 것이다. 이러한 높은 RPM은 피가공물과 용기(11) 내벽과의 충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한편, 외피가 제거된 피가공물(2000)을 제품출구(1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차단판(111)을 오픈시킨다. 도 3과 같이 피가공물(2000)은 원심력과 회전력에 의하여 점선과 같은 방향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받침판(16)의 측면벽(161)에서 용기(11)의 내부까지 연장된 유도판(17)이 결합되어 있어, 피가공물(2000)의 충격량을 줄여준다.
종래는 도 2와 같이, 받침판의 측면벽(61)과 용기(11의 내벽이 접하는 모서리가 직각을 이루고 있어 피가공물이 이 모서리에 충돌할 경우 심하게 손상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가 유도판(17)에 의해서 완화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판(17)과 받침판의 측면벽(161)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출된 종래의 모서리가 제거되었다.
유도판(17)은 회전판(12)의 회전방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판(1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경우 피가공물(2000)이 도3의 점선과 같이 원심력과 회전력이 합쳐진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피가공물(2000)의 충격량을 줄이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받침판(16)의 측면벽(161)에 연장되도록 유도판(17)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받침판(16)의 측면벽(161)에 연장되도록 유도판(17)을 형성하였다"라는 의미는 측면벽(161)과 용기(11)의 내벽으로 형성된 모서리를 둔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측변벽(161)이 끝나는 영역에서부터 유도판(17)이 결합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회전판(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피가공물(2000)의 운동방향을 고려하여 받침판(16)의 다른 측면벽(162)에서부터 연장되도록 유도판(17)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유도판(17)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인접한 용기(1)의 내벽으로 휘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유도판(17)은 피가공물(2000)의 충격을 흡수하는 용도 이외에도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판(12)의 가장자리로 몰린 피가공물(2000)을 회전판(12)의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이다. 유도판(17)이 적절한 형태로 인접한 용기(1)의 내벽으로 휘어지지 않으면, 피가공물(2000)을 회전판(12)의 중심으로 이동되는 역할을 상실할 수도 있다. 유도판(17)의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유도판(17)은 다양한 곡선 및 직선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유도판(17)과 받침판(16)의 측면벽(161)이 둔각으로 만날 수도 있다.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판(27)의 형태로서 받침판의 내벽(261)과 둔각을 이루도록 유도판(27)이 결합되어 있다. 둔각이 형성된 부분에는 충격흡수부재를 보다 두껍게 결합함으로써, 피가공물이 충격하더라도 충분히 완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감자, 고구마 및 밤 등이 딱딱한 재질의 용기(11)의 내벽에 부딧칠 경우 조직이 손상된다. 특히 감자의 경우 조직이 손상이 될 경우 즙이 발생하고, 이 즙은 산화되어 검푸르게 변한다. 또한, 밤은 물렁물렁하게 된다. 그 결과 피가공물의 외피가 제공되더라도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1)의 내벽에 충격흡수부재(13)를 결합하였다. 충격흡수부재(13)는 피가공물이 내벽과 충돌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서 그 충격을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피가공물의 조직은 손상되지 않게 되어 상품성이 유지된다.
충격흡수부재(13)는 합성수지를 용기(11)의 내벽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용 기(11)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는 우레탄일 수도 있고, 실리콘일 수도 있다. 즉,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면 가능하다. 용기(11)의 내벽에 결합하는 합성수지의 두께는 재질의 탄성력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충격흡수부재(13)는 합성수지 이외에도 스프링이 결합된 판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탄성이 있는 판을 용기(11)의 내벽에 결합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부재(13)는 용기의 내벽에 충돌하는 피가공물의 충격량을 줄일 수 있는 부품이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종래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판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가공물이 용기의 내벽에 강하게 충돌하지 않았다. 따라서, 충격흡수부재(13)를 용기의 내벽에 설치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용기의 내벽이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장소가 되었기 때문에 충격흡수부재를 사용할 수도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물과 함께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였다. 따라서, 물이 일종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물을 사용할 경우 폐수로 인한 정화시설이 필요하였고, 환경오염이 발생하였다.
본 실시예의 탈피장치(10)는 딱딱한 밤의 외피를 제거할 만큼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과 타격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13)를 구비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는 이러한 충격흡수부재(13)를 용기의 내벽에 결합함으로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탈피장치(10)는 충격흡수부재(13)가 피가공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완충역할을 하는 물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도판(17)에도 충격흡수부재(18)가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18)는 받침판(16)의 측면벽(161)까지 연장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 유도판 및 측면벽(161)에 결합된 충격흡수부재(18)는 피가공물(2000)이 외부로 배출시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한편, 피가공물은 커버(14)의 투입구(141)를 통하여 용기(11)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피가공물의 외피가 제거되면 외피출구(1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외피가 제거된 피가공물은 제품출구(1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동력장치(15)는 모터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구성된다. 동력장치(15)는 모터와 더불어 풀리나 기어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장치(15)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컨트롤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탈피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탈피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피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피장치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탈피장치(10) 용기(11)
칼날(121) 회전판(12)
충격흡수부재(13) 동력장치(15)
유도판(17)

Claims (6)

  1. 피가공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공간이 마련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바닥에 위치하며, 칼날이 결합된 회전판과;
    상기 용기의 벽면에 형성된 제품출구와;
    상기 제품출구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결합된 받침판과;
    상기 피가공물이 외부로 배출시 충돌하게 되는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유도판과;
    상기 회전판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은 인접한 상기 용기의 내벽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판에는 충격흡수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측면벽까지 연장되어, 상기 받침판의 측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탄성력있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피가공물이 부양될 수 있도록 단턱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피장치.
KR1020080097593A 2008-10-06 2008-10-06 탈피장치 KR10089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93A KR100895410B1 (ko) 2008-10-06 2008-10-06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93A KR100895410B1 (ko) 2008-10-06 2008-10-06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410B1 true KR100895410B1 (ko) 2009-05-06

Family

ID=4086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93A KR100895410B1 (ko) 2008-10-06 2008-10-06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34B1 (ko) * 2012-10-23 2014-06-13 (주)옹기식품농업회사법인 과채류 박피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028B1 (ko) * 1982-05-24 1984-01-28 원본미기재 통마늘 자동고속 탈피기
KR19990004102U (ko) * 1998-10-21 1999-01-25 서두원 참깨 박피기
KR200361864Y1 (ko) * 2004-06-18 2004-09-13 최병국 감자박피기
KR100849498B1 (ko) * 2007-08-23 2008-07-31 윤기석 껍질탈피장치 및 그를 이용한 껍질탈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028B1 (ko) * 1982-05-24 1984-01-28 원본미기재 통마늘 자동고속 탈피기
KR19990004102U (ko) * 1998-10-21 1999-01-25 서두원 참깨 박피기
KR200361864Y1 (ko) * 2004-06-18 2004-09-13 최병국 감자박피기
KR100849498B1 (ko) * 2007-08-23 2008-07-31 윤기석 껍질탈피장치 및 그를 이용한 껍질탈피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34B1 (ko) * 2012-10-23 2014-06-13 (주)옹기식품농업회사법인 과채류 박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0467B2 (ja) 脱皮装置
WO2009025490A1 (en) A peeling equipment
KR100905389B1 (ko) 탈피장치
KR20120117024A (ko) 은행 중과피 탈피장치
KR100895410B1 (ko) 탈피장치
KR100780677B1 (ko) 껍질탈피장치
KR20100038574A (ko) 탈피장치
KR100881590B1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20110025289A (ko) 탈피장치
CN202112268U (zh) 一种剥皮装置
KR100890705B1 (ko) 탈피장치
KR20100034539A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20100058041A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20100036425A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20100036427A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100883928B1 (ko) 탈피장치
KR20100032530A (ko) 컷팅모듈 및 이를 이용한 탈피장치
KR101029504B1 (ko) 탈피장치
KR20100038531A (ko) 탈피장치
KR100892572B1 (ko) 탈피장치
CA2245414A1 (en) Apparatus for removing barnacles from crustacean shells
KR20100032537A (ko) 탈피장치
KR20100039200A (ko) 탈피장치
KR100901658B1 (ko) 탈피장치
KR20100077106A (ko) 탈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