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012B1 -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012B1
KR100895012B1 KR1020077008367A KR20077008367A KR100895012B1 KR 100895012 B1 KR100895012 B1 KR 100895012B1 KR 1020077008367 A KR1020077008367 A KR 1020077008367A KR 20077008367 A KR20077008367 A KR 20077008367A KR 100895012 B1 KR100895012 B1 KR 10089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keys
network
preview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374A (ko
Inventor
페카 라티넨
카리나 테레코호바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4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22Arrangements for preventing the taking of data from a data transmission channel without author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0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entitlement messages, e.g. Entitlement Control Message [ECM] o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M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콘텐츠 아이템들 또는 콘텐츠 아이템들의 부분들은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프리뷰 용으로 제공된다. 어떤 기술들에서, 콘텐츠 아이템들의 지정된 부분들은 평문 형식으로 전송되고 나머지 부분들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다른 기술들에서, 전체 콘텐츠 아이템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콘텐츠 아이템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콘텐츠 키들은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소정 부분들에 대해 평문 형식으로 전송되고 그리고 나머지 부분들에 대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콘텐츠 아이템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콘텐츠 아이템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콘텐츠 키들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프리뷰 권한 키들은 전송될 수 있다. 이런 권한 키들은 그들의 사용을 제한하는 관련된 사용규칙들을 갖는다.

Description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previews of payable broadcasts}
본 국제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Preview of Payable Broadcasts」이고 2004년 9월 15일자 출원된 미국출원 제10/940,631호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며, 상기 미국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 명세서에 참조 병합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들과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료 전송들의 프리뷰를 전달하는 기술들에 관련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들에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스트리밍 콘텐츠는 사용자들에게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런 콘텐츠를 보기 위해, 사용자들은 그렇게 하기 위한 권한을 사야 한다. 그 대신에, 지불하는 사용자들은 수신한 콘텐츠를 암호 해제하는 1개 이상의 키들을 수신한다.
이런 시스템들의 예는 소정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암호화된 형식으로 방송될 수 있고 납부시 볼 수 있는 DVB-T 와 DVB-C 네트워크들과 같은 DVB(다이렉트 비디오 방송) 시스템을 포함한다. CA(조건부 액세스)라는 용어는 종종 암호화/암호 해제 해결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해결책은 전형적으로 사용자들의 자 택 내에서 벤더 특정(vendor - specific) CA 모듈을 구비한 STB(셋톱 박스)를 포함한다. 이 CA 모듈은 키들을 저장하고 암호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
DVB-H(디지털 비디오 방송 - 핸드헬드) 네트워크상에 IPDC(IP 데이터캐스트)는 DVB 전송 시스템들을 통한 IP(인터넷 프로토콜) 전송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방송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이다. DVB-H 네트워크는 전체 용량이 고정되어 있다. 채널의 정확한 용량은 사용된 모듈레이션 파라미터들에 의존한다. DVB-H의 경우, 용량은 전형적으로 이동 및 실내 고정 수신시 초당 5 내지 15 메가비트들(Mbps)이다. DVB-H에서, 이런 전체 대역폭은 이동성 및 핸드오버를 쉽게 하기 위해 각각 정적(static) 비트 율을 가지는 많은 시간 분할 채널들로 나누어진다.
스트리밍 콘텐츠의 제공자(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브로드캐스터들)은 종종 잠재적인 사용자들에게 콘텐츠의 프리뷰들을 제공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전체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단지 지불시에만 볼 수 있는 반면에, 프로그램의 짧은 프리뷰들은 무료로 볼 수 있다.
이런 프리뷰들을 제공하는 것은 이런 콘텐츠 스트림들이 전형적으로 암호화되어 방송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일이다. 현 기술의 도전들은 요구된 방송 대역폭을 복제하지 않고 암호화되지 않은(또는 평문) 콘텐츠 스트림을 방송하는 것과 사용자들에게 자유롭게 프리뷰 시간을 고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반면 프리뷰를 짧은 시간 동안으로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상에 의한, 시스템과 방법은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고,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고, 평문 형식으로 1 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암호화된 형식으로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 의한 방법 및 시스템은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고,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암호화된 형식으로 콘텐츠 아이템을 전송하고,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함이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평문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 의한 방법 및 시스템은 콘텐츠 아이템을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고,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제1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함이며,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2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암호화 형식의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가입자 권한 키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암호화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프리뷰 권한 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장치들을 제공한다. 그 중한 단말기 장치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평문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암호화된 형식으로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추가의 단말기 장치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평문 형식으로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1개 이상의 키들은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대응한다.
추가의 단말기 장치는 암호화된 형식으로 콘텐츠 아이템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암호화된 형식으로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는 수단, 및 제2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프리뷰 권한 키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서버들을 갖는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2개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그 중 한 시스템에서, 제1 서버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한다. 제2 서버는 평문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제공하고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나머지 부분들을 제공한다.
다른한 시스템은 3개의 서버들을 포함한다. 이런 시스템에서, 제1 서버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한다. 제2 서버는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한다. 제3 서버는 평문 형식으로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제공하고 암호화된 형식으로 1개 이상의 키들을 제공한다. 평문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암호 해제를 위해 있고 암호화된 형식의 1 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위해 있다.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통신 자원들과 대역폭을 이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의 콘텐츠 프리뷰들의 전달에 대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기능적으로 유사한, 그리고/ 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표시한다. 구성요소가 최초로 나타나는 도면은 참조번호의 맨 좌측 숫자(들)로 표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동작 환경의 도면.
도 2는 시간 분할 기술의 도면.
도 3은 평문 및 암호화된 스트리밍 콘텐츠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병렬로 방송된 평문 및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동작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권한 객체의 프리뷰 규칙들을 통한 전송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동작의 흐름도.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대표적인 전송 스킴들의 도면들.
도 11은 대표적인 단말기 장치 아키텍처의 도면.
도 12는 대표적인 단말기 장치 구현의 도면.
도 13은 대표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도면.
I. 동작 환경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방송 환경의 도면이다. 이 환경은 다중 패킷 기반 네트워크(102) 및 방송 네트워크(104)를 포함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102)은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통하여 IP(인터넷 프로토콜) 패킷들과 같은 패킷들의 교환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들(102)은 다양한 유형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환경은 인터넷인 패킷 기반 네트워크(102a)와 이더넷(Ethernet)과 같은 LAN(local area network)인 패킷 기반 네트워크(102b)를 포함한다.
방송 네트워크(104)는 방송 전송 매체를 통해 포인트 투 멀티포인트(point-to-multipoint) 유형 통신을 제공한다. 각각의 방송 네트워크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DVB-H 네트워크로서 방송 네트워크(104)를 도시한다. 그러나, 방송 네트워크(104)는 DVB-T 네트워크, 닥시스(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 DOCSIS) 네트워크와 같은 케이블 네트워크 또는 그와 같은 다른 것들일 수 있다.
도 1의 환경은 1개 이상의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102)에 연결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버들(M-SRVs)(106)을 포함한다. 서버들(106)은 오디오, 비디오, 및/ 또는 텍스트와 같은 콘텐츠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들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특정 서버(106)는 다중 오디오 채널들을 통해 다중 오디오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이 서버는 대응하는 오디오 스트림들과 동기화되는 비디오 스트림들 및/ 또는 텍스트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추가로, 도 1의 환경은 ESG 정보를 네트워크(104) 내의 단말기들로 제공하는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 서버(ESG-SRV)(108)를 포함한다. ESG는 방송 서비스가 제공하는 "프로그램들", 세션들, 서비스들 및 다른 정보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메타데이터의 세트이다. ESG는 장치 사용자들에게 예를 들어, 프로그램들, 서비스들, 비용들 및 그와 같은 다른 것들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장치가 상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도록 ESG는 또한 상기 장치에 정보를 제공한다.
도 1은 또한 권한 객체들을 단말기 장치들에게 제공하는 권한 객체 서버(RO_SRV)(110)를 또한 포함한다. 이런 권한 객체들은 키들(여기서는 권한 키들로서 언급됨)처럼 콘텐츠의 키들의 암호 해제를 허용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런 콘텐츠 키들의 암호 해제로 M-SRV들(106)과 같은 소스(sources)들로부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스트림들과 같은 콘텐츠 아이템들이 사용된다. 권한 키들 외에도, 권한 객체들은 권한 키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는 규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여러 다른 유형의 권한 객체들(예를 들어 프리뷰 RO들 또는 가입자 RO들)은 단말기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서버들(106) 각각은 스트림들을 1개 이상의 목적지로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102)을 통해 분배할 수 있다. 이런 분배는 IP 멀티캐스팅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서버에 의해 생성된 모든 스트림들의 결합된 비트 율은 전형적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 실시 예들에서, 이런 변화들은 평균하면 대략 고정된 변화들이다.
도 1은 각각 1개 이상의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102)에 연결된 다중 IPE들(IP 캡슐화들)(110)을 도시한다. IPE들(110)은 서버들에 의해 생성된 패킷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패킷 기반 네트워크들(102) 및 방송 네트워크(104) 사이에서 게이트웨이들로 동작한다. 특히 IPE들(110)은 수신된 패킷 스트림들을 방송 네트워크 전송 스트림들(즉 DVB-H 전송 스트림들)로 변환시킨다.
방송 네트워크(104)를 위해, 도 1은 MUX(멀티플렉서)(112), MOD(변조기), 및 TX(송신기)(116)를 도시한다. MUX(112)는 각각의 IPE(110)에 연결되고 MOD(114)는 MUX(112)와 TX(116) 사이에 연결된다.
MUX(112)는 (상이한 IPE들 (110)처럼) 1개 이상의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전송 스트림들을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결합한다. 이런 하나의 스트림은 MOD(114)로 전송되고, 상기 MOD(114)는 디지털 표현의 전송스트림을 RF(라디오 주파수) 신호로 변환시킨다. TX(116)은 RF 신호를 증폭하고 그 신호를 안테나(117)를 통해 방송 네트워크(104) 내의 장치들로 전송( 또는 방송)한다.
도 1은 방송 네트워크(104)가 여기서는 또한 단말기 장치들로 언급되는 1개 이상의 수신기들(RX들)(120)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런 장치들은 TX들(116)에 의해 전송된 RF 신호들을 수신 및 처리한다. 이것은 장치들이 RF 신호들에 의해 그것의 최종 사용자들에게 전달된 서비스들(예를 들어 스트림들)을 제시하는 것을 허용한다. 장치들(120)은 텔레비전들, 셋톱 박스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들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핸드헬드 장치들(예를 들어 무선 전화기들 및 PD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도 1은 무선 네트워크(122)를 도시한다. 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단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단거리 통신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불루투스, WLAN들(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서버들은 네트워크(122)를 통해 정보를 단말기 장치들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런 정보의 예들은 RO-SRV(11)로부터의 권한 객체들 및/또는 권한 키들 및 ESG-SRV(108)로부터의 ESG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DVB-H(즉 디지털 비디오 방송-핸드핼드 장치들)를 통한 IPDC(IP 데이터캐스트)를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다른 시스템들 또한 포함한다.
도 2는 DVB-H 네트워크들과 같은 방송 시스템들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간분할 기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시간 슬롯들(202)은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스트리밍 비디오 프로그램(예컨대, 아이스하키 게임)같이 서비스는 이런 시간 슬롯들 동안에 전송된다. 특히, 도 2는 시간 슬롯 (2021)에서 스트림을 시작하고 시간 슬롯(2029)에서 끝나는 서비스를 도시한다.
서비스 스트림은 시간 분할 기술에 따라 전송된다. 즉, 서비스 스트림은 시간 슬롯들(202)의 특정 부분에서 일어나는 버스트(burst) 전송들(또는 패킷들)(204)로 분리된다. 이런 특정 부분들은 시간 분할들로 지칭된다. 특히, 도 2는 각각 슬롯들 (2021 내지 2028)의 특정 시간 분할들 내에서 일어나는 버스트들 (2041 내지 2048)을 도시한다.
몇몇 실시 예에서, 각각의 버스트(204)는 고정된 지속 시간을 갖는다. 또한 연속적인 버스트들(204)은 시간에 대하여 고정된 간격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추가의 실시 예에서 한 버스트의 지속시간 및/또는 버스트들 사이의 간격들은 변화할 수 있다. 버스트들이 단말기 장치들에 의해 수신될 수 있도록 이런 변화들에 대한 정보는 이런 버스트들 내에서 신호 전송, 또는 시그널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단말기 장치들이 버스트들(204)을 수신 한다. 수신시, 각각의 장치는 이런 버스트들을 버퍼링 및 처리(예를 들어, 암호 해제, 에러 정정, 등등)한다. 결과로서, 장치 사용자들이 비디오 및/ 또는 오디오와 같은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주소들은 시간 분할들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개의 시간 분할에 1개 이상인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이 할당될 수 있다.
II. 분배 규약들 및 표기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상들은 콘텐츠 스트림들의 전송을 포함한다. 콘텐츠 프로그램은 2개 이상의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별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대표적인 스트림들에 대한 설명이 지금부터 제공된다.
S가 IP 패킷들의 스트림을 표시하는 것이라고 하자. 이 스트림은 여러 부분들로 전송(예를 들어 방송)될 수 있다. 이 부분들은 또한 여기서는 배치(batch)들로 나타나있다. 각각의 배치는 일련의 콘텐츠 키들 중 대응하는 키로 암호화된다. i 인덱스(index)는 여기서는 이런 각각의 콘텐츠 키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런 배치들을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츠 키들은 여기서는 CKi(예를 들어, CK1, CK2 등등)로 지칭된다.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 배치들은 여기서는 CKi(S)(예를 들어, CK1(S), CK2(S) 등등)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특정 스트림을 위한 콘텐츠 키는 대응하는 프로그램의 지속 시간 동안 바뀌는 것이 전형적이다.
스트림(S)을 암호 해제하고, 이것의 대응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단말기는 콘텐츠 키들을 입수해야 한다. 이런 콘텐츠 키들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단말기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키들은 권한 키 (RK)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고 단말기로 전송(예를 들어 방송)될 수 있다.
권한 키는 만약 바뀐다면 콘텐츠 키들보다 덜 자주 바뀐다. 사실, 권한 키는 다중 프로그램들 및 채널들에 흔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스트림(S)을 위해, 단말기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의 스트림을 수신한다. 인덱스 값들(i)의 범위에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은 여기서 CKi(S)로 표시되고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의 스트림들은 여기서 RK(CKi)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 스킴에 따라, 단말기는 권한 키(RK)를 입수하고, 콘텐츠 키들 (CKi)을 암호 해제한 다음에 콘텐츠 스트림(S)을 암호 해제할 필요가 있다.
III. ESG에 의해 조정된 평문 및 암호화된 스트리밍 콘텐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은 평문 및 통상적인 암호화된 형식 모두로 콘텐츠를 동시에 전송함이 없이 프로그램 프리뷰들을 전달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들을 제공한다. 이런 접근 방식들 중의 하나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일반적으로는 스트리밍 콘텐츠 채널) 동안 평문과 암호화된 방송 간의 스위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파일의 처음 5분 또는 각각의 프로그램의 처음 5분처럼) 하나 이상의 소정 시간 간격은 프리뷰 기간들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런 지정들에 기초를 두고, ESG는 사용자들(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특정 콘텐츠에 대응하는 지정된 프리뷰 기간들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ESG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런 ESG들은 특정 콘텐츠를 구입하지 않는 사용자들이 대상일 수 있다. 이런 사용자들은 여기서 프리뷰어(previewer)들이라고 지칭된다.
반대로 콘텐츠를 볼 권한을 구입한 사용자들(여기서 가입자들로 지칭됨) 콘텐츠를 완벽하게 사용할 수(예를 들어, 볼 수)할 수 있다. 따라서, ESG 내의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서, 가입자들의 단말기는 콘텐츠의 평문 프리뷰 부분들을 디코딩하는 것과 나머지 암호화된 부분들을 디코딩하는 것들 간에 결절되지 않게 스위칭할 수 있다.
이런 접근 방식의 한 양상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프리뷰 채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채널들은 상이한 채널들의 프리뷰 기간들을 계속되는 “채널 호핑(hopping)" 프리뷰 프로그램으로 결합시킨다. 이런 프리뷰 채널은 ESG 내에서 광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터가 6개의 유료 채널들을 사용자들에게 공급한다고 가정한다. 각각 30분 동안, 각각의 채널은 상이한 시간대에서 5분의 고정된 프리뷰 기간을 가진다. ESG는 이때 상이한 채널들의 프리뷰 기간들을 합쳐서 계속적인 프로그램이 되게 하는 프리뷰 채널(상기 유료 채널들 자체 외의)을 설명하는데, 이 경우 상기 프리뷰 채널 자체는 5분 간격으로 변한다.
도 3은 이런 접근 방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시간 축 (300)을 따라 다중 채널들을 통한 전송들을 도시한다. 이 채널들은 콘텐츠 채널(302), 권한 키(RK) 채널(304), 그리고 ESG 채널(306)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또는 파일과 같은 콘텐츠는 콘텐츠 채널(302)을 통해 전송된다. 권한 키로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은 콘텐츠 채널(304)을 통해 전송된다. ESG 채 널(306)은 지정된 프리뷰 기간들 및 그것들의 대응하는 채널들과 같은 가이드(guide) 정보를 전달한다.
몇몇 시간 간격들(310)은 시간 축(300)을 따라 존재한다. 간격(310a)은 프리뷰 간격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이 간격 동안, 프리뷰어들이 콘텐츠를 입수할 수 있도록 콘텐츠(S)는 평문 형식으로 전송된다. 추가로 가입자들은 이 콘텐츠를 전술한 암호해제 입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은 콘텐츠(S)가 간격들 (301b 내지 301d)에서 콘텐츠 키들 (CKi)에 의해 암호화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런 콘텐츠 키들을 갖는 가입자들만이 이런 간격들 동안 콘텐츠를 입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동작은 콘텐츠 서버 및 ESG 서버와 같은 1개 이상의 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동작은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이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단계(402)를 포함한다. 단계(404)에서,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가 발생된다. 이 ESG는 설명 텍스트 및 채널 정보와 같은 콘텐츠 아이템에 관한 다른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이 채널 정보는 네트워크 주소 및 포트(por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6)에서, ESG는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네트워크는 DVB-H 네트워크(104)일 수 있다. 도 4는 단계(408)에서 1 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이 평문(즉 암호화되지 않은)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단계(410)에서,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프리뷰어들이 평문 형식으로 전송된 부분들을 사용할 수 있 고, 가입자들만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 부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IV. 병렬로 방송되는 평문 및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접근 방식은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RK(CKi))과 병렬로 평문 콘텐츠 키들(CKi)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S)는 항상 콘텐츠 키들 (CKi(S))에 의해 암호화되어 송신된다 그러나, 1개 이상의 소정 프리뷰 시간 간격들 동안, 콘텐츠 키들은 가입자들을 위해 권한 키(즉 RK(CKi))로 암호화된 형식 그리고 프리뷰어들을 위해 평문 (즉 CKi)으로 암호화된 형식과 같은 2가지 다른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런 소정 간격(들) 외의 시간들 동안, 평문 콘텐츠 키들(CKi)은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시간들에서, 가입자들만이 계속해서 콘텐츠를 입수할 수 있다.
소정 시간 간격의 하나의 예는 특정 콘텐츠 키 CKi에 대응하는 콘텐츠 부분에 한하여 콘텐츠 전송의 시작을 포함한다 .
이런 접근 방식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1개 이상의 프리뷰 채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채널들은 상이한 콘텐츠 채널들의 프리뷰 기간들을 계속되는“채널 호핑”프리뷰 프로그램이 되도록 결합한다. 이런 프리뷰 채널은 ESG 내에서 광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터가 6개 유료 채널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각각 30분 동안, 각각의 채널은 상이한 고정된 5분의 프리뷰 기간을 가진다. ESG는 이때 상이한 채널들의 프리뷰 기간들을 합쳐서 계속적인 프로그램이 되게 하는 (상기 유료 채널들 자체 외의) 프리뷰 채널을 설명하는데, 이 경우 상기 프리뷰 채널 자체는 5분 간격으로 변한다.
도 5는 이런 접근 방식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5는 시간축(500)을 따라 다중 채널을 통한 전송들을 도시한다. 이런 채널들은 콘텐츠 채널(502), 콘텐츠 키(CK) 채널 (504), 권한 키(RK) 채널 (506)과 ESG 채널 (508)을 포함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의 시간 간격들(510)은 시간 축(500)을 따라 존재한다. 이들 중 간격들(501a, 510b, 510c)은 프리뷰 간격들로 지정된다. 그러나 간격(510d) (나머지 간격)은 가입자들만을 위해 지정된다. 따라서, 이 지정된 프리뷰 간격 동안, 콘텐츠 키 채널(504)은 대응하는 콘텐츠 키들( CKi)을 전달한다. 그러나 간격(501d) 동안, 콘텐츠 키는 콘텐츠 키 채널(504)을 통해 전송되지 않는다.
도 5는 또한 모든 시간 간격들 (510)동안 콘텐츠 키들이 (권한 키(RK)로 암호화된) 암호화된 형식으로 권한 키 채널(506)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다. 가입자들은 이런 키들을 암호 해제할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시간 간격들에서 채널(502)을 통해 콘텐츠 전송을 암호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동작에서와 같이 도 6의 동작은 콘텐츠 서버 및/또는 ESG 서버와 같은 1개 이상의 서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동작은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이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단계(602)를 포함한다. 단계(604)에서,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ESG가 발생한다. 이런 ESG는 설명 텍스트 및 채널 정보와 같은 콘텐츠 아이템 에 관한 다른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런 채널 정보는 네트워크 주소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ESG는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1개 이상의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런 네트워크(들)는 도 1의 DVB-H 네트워크(104)와 같은 방송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606)에서, 콘텐츠 아이템은 암호화된 형식으로 이런 네트워크(들)를 통해 전송된다.
도 6은 단계(608)에서 복수의 콘텐츠 키들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런 콘텐츠 키들의 각각은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610)에서 (단계 608에서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평문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런 평문 형식의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런 평문 키들을 갖고, 프리뷰어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부분들을 암호 해제할 수 있다.
V. 권한 객체 내의 프리뷰 규칙들
(OMA DRM RO들과 같은)권한 객체들은 다양한 규칙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런 규칙들은 몇 번이나 대응하는 권한 키가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느정도의 지속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근 방식들에서, 프리뷰어들은 프리뷰 규칙들을 갖는 프리뷰 RO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프리뷰 규칙들은, 예를 들어, 이 RO들과 함께 전달된 권한 키들이 각각의 횟수가 최대 지속 시간을 갖는 최대 횟수 동안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예를 들어 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정할 수 있다. 이런 규칙들의 예는 한번에 5분 동안 10번이다. 따라서 이런 규칙 기반 접근 방식은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프리뷰 기간들을 제공한다.
이런 접근 방식의 구현을 위한 대표적인 기술은 2개의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의 시퀀스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런 콘텐츠 키 시퀀스들 중 최초의 콘텐츠 키 시퀀스는 프리뷰 권한 키(RKp)에 의해 암호화되고 RKp(CKi)로 표시된다. RKp는 대응하는 프리뷰 RO내에서 프리뷰어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런콘텐츠 키 시퀀스들 중 두 번째 콘텐츠 키 시퀀스는 가입자들에게 제공되는“일반적인”권한 키(RKs)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런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의 시퀀스는 여기서는 RKs(CKi)로 표기된다. 따라서 (하나의 텔레비전 채널을 위한) 전체방송은 다음과 같다.
도 7a는 이런 접근 방식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7a는 시간 축(700)을 따라 다중 채널들을 통한 전송들을 도시한다. 이 채널들은 콘텐츠 채널(702), 프리뷰 권한 키 채널(704), 가입자 권한 키 채널(706), 및 ESG 채널(708)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또는 파일과 같은 콘텐츠는 암호화된 형식으로 콘텐츠 채널(702)을 통해 전송된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시간 간격들(710)이 존재한다. 이 시간 간격들의 각각 동안, 전송된 콘텐츠는 대응하는 콘텐츠 키 CKi로 암호화된다. 이 콘텐츠 키들은 채널들(704,706)을 통해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채널(704)을 통해 전송된 콘텐츠 키들은 프리뷰 권한 키(RKp)로 암호화되고 채 널(706)을 통해 전송된 콘텐츠 키들은 가입자 권한 키(RKs)로 암호화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프리뷰 권한 키는 퓨리뷰어들이 콘텐츠를 프리뷰할 수 있는 방식을 통제하는 1개 이상의 사용 규칙들을 갖는 RO 내에서 단말기 장치들로 전달된다.
변형적으로, 가입자들에게 주어지는 보통의 일반 권한 키는 프리뷰 키가되는 방식으로 제한될 수 있다. "사용 권한”은 RKs와 RKp에 대해 상이한 반면 (RO 내에 포함된)암호 번호는 RKs와 RKp 양쪽 모두에 대해 같기 때문에 이는 콘텐츠 패키지들이 단지 한 번만 암호화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런 접근 방식들에서, 프리뷰 키(RKp)는 한 채널에 전용되고 슬라이딩 윈도우 내의 다중 채널에 적용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몇몇 실시 예들에서, 가입자 권한 키들(RKs)이 채널에 전용인 반면, 프리뷰 권한 키(RKp)는 다중 채널들(예를 들어 다중 텔레비전 채널들)에 공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접근 방식의 이점은 프리뷰 권한 키들(RKp)이 다중 채널들에 공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의 실시 예들에서, 각각의 RO는 다중 프리뷰 권한 키들(RKp1, RKp2, ..., RKp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프리뷰 권한 키들이 같은 규칙들에 의해 통제될 수 있게 한다.
이런 접근 방식은 단말기들이 프리뷰 규칙들을 따르는 한 제한된 프리뷰를 제공한다. OMA DRM 환경에서 단말기들은 이런 점에서 신뢰성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런 접근 방식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프리뷰 권한 키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의 전반부처럼 소정 시간 간격들 동안에만 전송될 수 있다. 이런 특징의 예는 도 7b에 도시된다.
도 7b는 채널들(702 내지 708)을 통한 전송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전송들은 도 7a에 도시된 것들과 비슷하다. 그러나 도 7b에서 프리뷰 권한 키 채널(704)을 통한 전송들은 시간 간격들(710a, 710b, 710c)을 포함하는 프리뷰 기간 동안에만 일어난다.
따라서, 이런 접근 방식은 유연성 있게 키 안정성 및 프리뷰 기간들의 자유로운 선택성 사이의 균형들을 제공한다. 추가의 실시 예들에서, 프리뷰 RO들은“무효”로 되며(즉 소용없게 되며) 및/ 또는 새로운 것들로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뷰 권한 키는 새로운 것들이 효력을 발휘할 수 있게끔 단순히 중지될 수 있다. 이런 변경들은 가입자들이 가입자들 권한 키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입자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른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6의 동작에서와 같이, 이 동작들은, 예를 들어, 콘텐츠 및 ESG 서버들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의 동작은 콘텐츠 아이템이 암호화된 형식으로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802)를 포함한다. 이 1개 이상의 네트워크들은 DVB-H 네트워크(104)와 같은 방송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4)에서, 복수의 콘텐츠 키들이 제1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이 키들 각각은 단계(802)에서 전송된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함이다. 단계(806)에서, 이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제2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된다.
도 8의 동작은 가입자 권한 키가 전송되는 단계(808)를 포함한다. 이 키는 제1암호화된 형식의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810)에서, 제2암호화된 형식의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프리뷰 권한 키가 전송된다. 따라서 프리뷰 권한 키들을 프리뷰어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프리뷰 시간들의 선택에 있어서 융통성이 제공된다.
VI. 안전한 전송
위에서 설명된 프리뷰들을 제공하기 위한 접근 방식들은 콘텐츠 및 다양한 키들과 같은 암호화된 정보의 전송을 포함한다. 이런 정보의 전송을 위한 대표적인 구현들이 지금부터 설명된다.
상기 접근 방식들은 IPsec ESP와 같은 콘텐츠 암호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프로토콜 내에서, 콘텐츠 키(CK)로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S)의 각각의 패킷은 [said, CKsaid(S)]로 축약될 수 있는데, 이때 said는 SA(security association) 식별자를 표시하고, CKsaid(S)는 콘텐츠 키(CKsaid)로 암호화된 콘텐츠(S)를 표시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CKsaid는 단말기 내의 IPsec 스택에 [said, CKsaid]로 축약될 수 있는 정보를 갖는 SA(security association)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콘텐츠 스트림의 패킷들이 수신 되는대로 단말기의 IPsec 스택은 자동으로 콘텐츠(S)를 적당한 콘텐츠 키로 암호 해제하기 위해 said를 사용한다.
콘텐츠 아이템들은 다중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별개의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텔레비 전 프로그램은 여기서 [S,S] = [오디오, 비디오] = [A, V]로 표기된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이런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은 상이한 포트들에 같은 IP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목적지 IP 주소는 IPsec 스택 계층 위에 암호화된 패킷들로서 SA(security association)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PDC 구현들에서, SA들이 콘텐츠와 같은 IPDC 버스트로 방송될 수 있도록 다음 상위 IP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런 SA들은 [said, rkid, RKrkid(CKsaid)]로 축약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 축약 내에서, rkid는 평문의 권한 키(RKrkid)의 식별자이다. RKrkid(CKsaid)는 RKrkid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 키(CKsaid)이다. 콘텐츠 키들이 평문으로 전송되는 접근 방식들에서, 대응하는 SA들은 [said, "none", CKsaid]로 전송된다. 여기서 설명된 예들을 참조하면, CKsaid는 CKi의 인스턴스 생성(instantiation)이다.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을 사용하는 접근 방식들에서, 단말기들은 CKsaid를 RK로 암호 해제할 수 있고 이때 SA를 컴퓨터 처리할 수 있다.
단말기 장치들은 SA들을 그들의 IPsec 스택에 오디오 스트림(A) 및 비디오 스트림(V)와 같은 콘텐츠 스트림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SA 패킷들은 IPsec 위에서 암호화될 수 있다. 이것은 SA 패킷들이 IPsec 스택 관점으로는 평문이고, DRM 메커니즘에 의해 암호 해제됨을 의미한다.
단말기가 권한 키(RK)를 “식별”할 때, 암호화된 콘텐츠 키(RK(CKi))로부터 콘텐츠 키(CKi)를 컴퓨터 처리할 수 있다. 단말기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권한 키들(RK들)을 입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대로, 권한 키들은 다양한 규칙들과 함께 권한 객체들(RO들)에서 입수될 수 있다.
OMA DRM 2.0과 같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들은 그런 RO 분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RO들이 전자 상거래들(e-commerce transactions)을 통해 입수되는 것을 허용하는 RO 구입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들은 DRM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라이언트 범위 내에서(그리고 다른 어느 곳에서도) 단말기들은 RO들을 수신한다. RO들은 권한 키 식별자 및 대응하는 권한 키([rkid, RKrkid])로서 표시됨)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RM 클라이언트는 RKrkid를 절대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SA(즉, [ ..., rkid, RKrkid(CKsaid)])를 위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제시받았을 때, DRM 클라이언트는 내부적으로 rkid에 매칭시키고 RKrkid를 CKsaid를 암호 해제하기 위해 사용한다. DRM 클라이언트는 CKsaid를 단말기의 나머지 부분(예를 들어, 단말기의 소프트웨어)에 제공할 수 있게 한다.
VII.전송 예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프리뷰들을 포함하는 전송들의 추가의 예들을 도시한다. 이런 예들에서, 콘텐츠 키는 15분 간격들에서 동시에 변화한다. 예를 들어, 도 9는 시간 축(900)을 따라 위치한 이런 시간 간격들(910)을 도시한다. 도 9는 추가로 서브채널들(901,902,903) 내의 채널(chl)에 관련된 전송들을 도시한다. 이런 서브채널들은 각각 IP 주소 및 포트에 의해 지정된다. 그러나 다른 지정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12:00에서 13:00 사이로 도시된) 채널(chl)의 한 시간 동안,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IP 주소들(이를테면 1 및 2) 및 포트들(이를테면 오디오에 대해 1, 비디오에 대해 2, 및 콘텐츠 키들에 대해 3)로의 방송을 갖는다.
따라서 채널(chl)은 평문 형식으로 그것의 오디오 스트림(Achl) 및 그것의 비디오 스트림(Vchl)을 처음 15분 동안 송신한다. 그러나 후속의 오디오 및 비디오 전송들은 콘텐츠 키들로 암호화된다. 3개의 이런 콘텐츠 키들은 도 9에서 CK2chl, CK3chl, 및 CK4chl로 도시된다.
사용자들은 처음 15분이 고정된 프리뷰 기간을 구성한다는 통지를 받는다. 이는 ESG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 12:00과 13:00 사이의 채널(chl)(또는 이를통한 현재의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이런 ESG의 예는 하기 표 1에서 제공된다.
채널=ch1 시간 = 12:00내지 12:15 오디오: IP=1 포트=1 평문
비디오: IP=1 포트=2 평문
시간 = 12:15내지 13:00 오디오: IP=1 포트=1 IP=2 포트=3 상의 키들
비디오: IP=1 포트=2 IP=2 포트=3 상의 키들
RKchl들을 포함하는 RO를 갖는 가입자는 chl(또는 이를 통한 프로그램)을 ESG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이런 선택으로 단말기는 오디오 및 비디오를 주어진 IP 주소 및 포트들로부터 수신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12:00부터 12:15분까지, 단말기는 콘텐츠 키들을 chl 전송들을 수신하는데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12:15에, 단말기는 자동적으로 서브채널(903)로부터 콘텐츠 키들을 또한 수신하기 위해 스위칭한다. 이런 자동적 스위칭은 ESG 내에 수신된 정보에 기초를 두고 있다.
수신된 콘텐츠 키들은 단말기 내에서 DRM 클라이언트에 의해 암호 해제되고 단말기의 IPsec 스택으로 건네진다. IPsec 스택은 서브채널들(901, 902)의 오디오 및 비디오의 스트림을 암호해제한다.
그 사이에 프리뷰어들은 채널(chl)을 12:00부터 12:15분까지 프리뷰할 수 있다. 그 당시에 프리뷰어들의 단말기는 RKchls(CK2chl)을 암호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RKchls을 갖지 않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는 프리뷰어가 보는 것을 계속하기 위해 채널에 가입할 것을 제안할 것이다.
따라서 요약하면, 도 9는 프리뷰 윈도우가 콘텐츠 스트림 내에 존재하는 방법으로 서버 엔드가 콘텐츠 보호를 정의하는 예를 제공한다. 이 프리뷰 윈도우 동안, 가입자들 및 프리뷰어 모두는 콘텐츠를 암호화되지 않은 평문 형식으로 그들의 단말기들에서 수신한다.
이 프리뷰 윈도우가 끝난 후에, 프리뷰어들은 더 이상 어느 콘텐츠도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가입자 단말기들은(ESG로부터의 정보에 기초를 두고) 콘텐츠의 암호화된 부분을 수신하고 그것을 단말기에서 사용가능한 권한 키로 암호 해제를 시작한다.
도 10은 각각의 개별 채널이 각각이 매시간의 15분 동안, 상이한 시간들에서 볼 수 있게 되는 방식으로 프리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채널들은 모두 채널 자체가 정당히 15분 간격으로 변하는 프리뷰 채널을 구성한다. 도 10은 시간 축(1000)을 따라 위치한 15분 시간 간격들(1020)을 도시한다. 이 간격들은 12:00 및 13:00 사이의 시간에서 생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ch2)은 서브채널들(1001, 1002, 1003)을 포함하고, 채널(ch3) 서브채널들(1004, 1005, 1006)을 포함하고, 채널(ch4)은 서브채널들(1007, 1008, 1009)을 포함하고, 채널(ch5)은 서브채널들(1010, 1011, 1012)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채널들( ch2 내지 ch5)이 각각 3개의 서브채널들을 포함한다. 이런 서브채널들은 IP 주소 및 포트에 의해 각각 지정된다. 그러나 다른 지정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각각의 채널의 경우, 콘텐츠 키들은 평문으로 15분의 프리뷰 기간들 동안 방송된다. 이 프리뷰 기간들은 채널(ch2)에 대해 12:00부터 12:15까지, 채널(ch3)에 대해 12:15부터 12:30까지, 채널(ch4)에 대해 12:30부터 12:45까지, 그리고 채널(ch5)에 대해 12:45부터 13:00까지이다. 프리뷰어들은 프리뷰 기간 외에 특정 채널을 프리뷰 할 수 없다. 그러나 권한 키들을 갖고 있는 가입자들은 특정 채널을 프리뷰할 수 있다.
도 10의 프리뷰 특징들을 설명하는 ESG는 하기 표 2에 제공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 = ch2 시간 = 12:00 에서 13:00까지 오디오: IP=3 포트=1 IP=4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3 포트=2 IP=4 포트=3상의 키들
채널 = ch3 시간 = 12:00 에서 13:00까지 오디오: IP=5 포트=1 IP=6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5 포트=2 IP=6 포트=3상의 키들
채널 = ch4 시간 = 12:00 에서 13:00까지 오디오: IP=7 포트=1 IP=8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7 포트=2 IP=8 포트=3상의 키들
채널 = ch5 시간 = 12:00 에서 13:00까지 오디오: IP=9 포트=1 IP=10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IP=9 포트=2 IP=10 포트=3상의 키들
채널 = 프리뷰 시간 = 12:00 에서 12:15까지 오디오: IP=3 포트=1 IP=4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3 포트=2 IP=4 포트=3상의 키들
시간 = 12:15 에서 12:30까지 오디오: IP=5 포트=1 IP=6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5 포트=2 IP=6 포트=3상의 키들
시간 = 12:30 에서 12:45까지 오디오: IP=7 포트=1 IP=8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7 포트=2 IP=8 포트=3상의 키들
시간 = 12:45 에서 13:00까지 오디오: IP=9 포트=1 IP=10 포트=3상의 키들
비디오: IP=9 포트=2 IP=10 포트=3상의 키들
도 10 및 표 2는 채널들(ch2 내지 ch5)이 가입자들을 위해 1시간 동안 어떤 수신 변경들도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에서 도시된 채널 프리뷰 기간들 당 15분에 추가해서, 표 2는 프리뷰어들을 위한 계속적인 프리뷰 채널을 설명한다. 하나의 채널의 비암호화된 콘텐츠 키가 기간 만료되고 다른 채널의 비암호화된 콘텐츠 키가 유용해질 때, 그러한 프리뷰 채널은 하나의 채널의 IP 주소들로부터 다른 하나의 IP 주소들로 호핑함으로써 수신된다.
따라서, 단말기들로 방송되는 표 2에서 윤곽이 그려진 ESG는 별개의 채널들을 통해 각각 방송되는 5개의 TV 서비스들을 설명한다. DVB-H 네트워크들에서, 이런 별개의 채널들은 상이한 시간분할들에서 전송될 수 있다. 추가로, ESG는 물리적 요소(entity)보다 논리적 요소(entity)인 “프리뷰 TV" 서비스를 설명한다. 이는 이 서비스가 그 자신의 전용 채널(예를 들어 전용 DVB-H 시간분할)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에, 이 서비스는 5개의 기존 채널들 각각으로부터 추출된다.
도 10b는 프리뷰어 단말기들의 DRM 클라이언트들이 프리뷰 권한 키들에 관한 규칙들을 갖는 RO들을 수신하는 대표적인 전송 스킴을 도시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DRM 클라이언트들은 권한 키 식별자와 대응하는 권한 키를 포함하는 SA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프리뷰어 단말기들은 [p, RKp, "5분동안 10번“]으로 표기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RO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표기에서, p는 프리뷰 권한 식별자이고, RKp는 대응하는 프리뷰 권한 키이며 "5분 동안 10번"은 프리뷰 권한 키를 위한 사용규칙이다. 따라서 프리뷰 권한 키(RKp)는 단지 10번만 사용될 수 있고, 한번에 5분을 초과하지 못한다.
프리뷰어들은 요구에 따르는 것처럼, 폴리시(polish)에 따라 새로운 프리뷰 RO들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부여 제한들이 한 주에 단지 한 번과 같이 부과될 수 있다. 이런 폴리시들은 각각의 프리뷰 RO 내의 추가의 정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전송 스킴은 도 10a에 도시된 전송 스킴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10b에서 위에서 설명된 고정 프리뷰 기간들은 채널들(ch2,..., ch5)의 방송 업그레이드들을 통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프리뷰 기간들로 보완된다. 특히, 프리뷰 권한 키들로 암호 해제될 수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이 전송된다. 이런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은 도 10b에 RKp(CKichn)(예를 들어 RKp(CK4ch5))로 도시된다. 따라서 프리뷰 RO의 보유자(holder)들의 단말기들이 프리뷰 규칙에 구속된 권한 키(RKp)를 사용할 수 있는, 프리뷰 RO의 보유자들은 채널들(ch2, ch3)에서는 언제라도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프리뷰 기간들을 얻을 수 있으나, 채널들 ch4 및 ch5에서는 처음 30분 동안만 선택가능한 프리뷰 기간들을 얻을 수 있다.
VIII. 단말기 장치
도 11은 단말기 장치들(120)과 같은 단말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아키텍처는 호스트(1102), 제어 인터페이스(1104), 제어기(controller)(1106), 보안 모듈(1107), DVB-H 라디오(1108), 셀룰러 라디오(1110) 및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를 포함한다.
호스트(1102)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과 상위 프로토콜 계층들을 포함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런 애플리케이션들 및 프로토콜 계층들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방송들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렌더링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1102)는 정보를 제어 인터페이스(1104)를 통해 제어기(1106)와 교환한다. 이 정보는 호스트(1102)로부터 수신한 명령들 및 호스트(1102)로 전송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1104)는 정보의 이런 교환을 제공하는 메시지들의 세트를 정의한다.
제어기(1106)는 설정, 보안, 및 제어에 관련된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런 기능들은 (블루투스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Bluetooth link manager protocol)과 같은) 1개 이상의 프로토콜들에 따라 원격 장치들과 통신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런 프로토콜들은 또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PDUs)이라고 지칭되는 메시지들을 제공한다. 제어기(1106)는 이 PDU들을 원격 장치들의 대응하는 제어기들과 교환한다. 추가로 제어기(1106)는 다른 메시(mesh) 네트워크 노드들로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버퍼링 및 스케줄링한다.
도 11은 제어기(1106)가 DVB-H 라디오(1108), 셀룰러 라디오(1110), 및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 모두와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다. 이 라디오들은 하위 계층 통신 프로토콜들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DVB-H 라디오(1108)는 DVB-H 네트워크들을 통한 정보 방송의 수신 기능을 수행하고 셀룰러 라디오(1110)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통해 원격 장치들과의 정보(예를 들어 텔레포니(telephony), 메시징, 그리고 데이터 트래픽(traffic))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는 단거리 네트워크들을 통해 원격 장치들과 정보를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1은 DVB-H 라디오(1108)가 링크 제어기(1112), DVB-H 수신기(1114), 및 안테나(1116)를 포함한다. 링크 제어기(1112)는 제어기(1106)와 트랜시버(1114)사이의 매개체로서 동작한다. 링크 제어기(1112)는 또한 에러 정정 암호 해제처럼 수신된 DVB-H 전송들을 위한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한다.
DVB-H 수신기(1114)는 안테나(1116)에 연결된다. 수신기(1114)는 (안테나(1116)에 결합된) 도 11의 장치 아키텍처가 원격 장치들에 의해 전송된 무선 광대역 DVB-H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한다. 이런 전자기기는 변조기들, 복조기들, 증폭기들, 및 필터들을 포함한다.
도 11은 셀룰러 라디오(1110)가 링크 제어기(1118), 셀룰러 트랜시버(1120), 및 안테나(1122)를 포함함을 도시한다. 링크 제어기(1118)는 제어기(1106) 및 셀룰러 트랜시버(1120) 사이의 매개체로서 동작한다. 링크 제어기(1118)는 또한 셀룰러 전송들을 위한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는 예컨대 에러 정정 암호화 및 암호 해제, GSM 시분할 다중 액세스 프레임(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rame)들과의 동기화, 그리고 패킷들의 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트랜시버(1120)는 안테나(1122)에 연결된다. 셀룰러 트랜시버(1120)는 변조기들, 복조기들, 증폭기들, 및 필터들과 같은 전자 기기들을 포함한다. 이런 전자기기들은 안테나(1122)에 결합된 도 11의 장치가 무선 셀룰러 신호들을 원격 장치들과 교환(즉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런 신호들은 GSM과 같은 다양한 셀룰러 표준들에 따를 수 있다.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는 IEEE 802.11 WLAN들(wireless local area networks) 및/ 또는 블루투스 네트워크들과 같은 한 유형 이상의 단거리 네트워크들을 통한 통신을 제공한다. 추가로,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들과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는 링크 제어기(1126), 단거리 트랜시버(1128), 및 안테나(1130)를 포함한다. 링크 제어기(1126)는 제어기(1106) 및 트랜시버(1114) 사이의 매개체로서 동작한다. 링크 제어기(1112)는 또한 에러 정정 암호화 및 암호해제처럼 단거리 통신들을 위한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한다.
단거리 트랜시버(1128)는 안테나(1130)에 연결된다. 트랜시버(1114)는(안테나(1116)에 연결됨) 도 11의 장치 아키텍처가 원격 장치들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들을 교환하는 것을 허용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이런 전자기기들은 변조기들, 복조기들, 증폭기들 및,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안 모듈(1107)은 제어기(1106)에 연결된다. 보안모듈(1107)은 키들, 권한 객체들, 및/ 또는 사용규칙들처럼 암호화와 관련된 자료(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이런 정보는 단말기 장치의 다른 부분들에 액세스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보안 모듈(1107)은 DRM(예를 들어 OMA DRM) 클라이언트 같은 보안 모듈일 수 있다. 보안 모듈(1107)에 포함된 정보(예컨대 OMA DRM RO들)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정보는 라디오(1120) 및 제어기(1106)를 통해 셀룰러 또는 이동 전화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정보는 WLAN 및 블루투스와 같은 단거리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는 원격 장치들에의 단거리 인카운터(encounter)(키오스크 및/또는 AP(access point)들로부터 다운 로드될 수 있다.
도 11의 아키텍처처럼 장치 아키텍처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구현의 하나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 구현들은 프로세서(1210), 메모리(12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를 포함한다. 추가로, 도 12의 구현은 블루투스 트랜시버(1114), 안테나(1116), UWB 트랜시버(1120), 안테나(1122), 단거리 트랜시버(1128), 및 안테나(1130)를 포함한다. 이 구성 요소들은 도 1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도 12의 구현은 다른 무선 기술들을 지원하는 상이한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장치 동작을 제어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프로세서(1210)는 수신기(1114) 및 트랜시버들(1120, 1128)과 연결된다.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12)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각각 실행할 수 있는 1개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는 모듈들로 지칭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형식으로 정보를 저장한다. 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들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21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12)는 수신기(1114), 트랜시버(1120) 및 트랜시버(1128)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12)는 링크 제어기들(1112, 1118, 1126) 뿐만 아니라 호스트(1102), 제어 인터페이스(1104), 제어기(1106), 보안 모듈(1107)의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메모리(12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를 통한 정보의 교환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는 프로세서(1210)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는 사용자와의 정보의 교환을 쉽게 한다. 도 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가 사용자 입력 부(1216) 및 사용자 출력 부(1218)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 입력 부(1216)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1개 이상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장치들의 예들은 키패드들, 터치 스크린들, 및 마이크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출력 부(1218)를 사용자가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사용자 출력 부(1218)는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들(예를 들어, 스테레오 스피커들) 및 스피커들을 조정하기 위한 오디오 프로세서 및/ 또는 증폭기와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디스플레이들은 컬러 LCD들( liquid crystal displays), 및 컬러 비디오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한다.
도 12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기술 중의 하나는 한 개 이상의 버스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수신기(1114), 트랜시버들(1120, 1128), 프로세서(1210), 메모리(12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214)를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로 이 구성요소들 각각은 분리형/ 및 재충전용 배터리 팩(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전원에 연결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장치들처럼 단말기 장치들은 여기서 설명된 기술들에 따라 전송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아키텍처에 따라 구현된 단말기 장치들은 DVB-H 라디오(1108)를 통해서 콘텐츠 아이템들을 수신할 수 있다. ESG들, 권한 키들, 및 RO들은 라디오들(1108, 1110, 112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 예들에서, 권한 키들, 및 RO들은 (예를 들어 RO 서버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통해 단말기 장치(들)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런 전송들은 셀룰러 라디오(1110)를 통하여 수신된다. 또한 이런 정보(즉 RO들 및/또는 권한 키들)의 입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상거래처럼 셀룰러 라디오(1110)를 포함한 통신들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단거리 무선 라디오(1124)를 포함하는 유사한 통신들이 단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IX. 컴퓨터 시스템
본 발명의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들은 콘텐츠 및 ESG 서버들에 의해 사용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301)의 예는 도 13에 도시된다. 컴퓨터 시스템(1301)은 어떤 하나의 또는 다중 프로세서 컴퓨터를 나타낸다. 싱글쓰레드(single-threaded) 및 다중스레드(multiple-threaded) 컴퓨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일의 또는 분산된 메모리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301)은 프로세서(1304)와 같은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한 개 이상의 프로세서들(1304)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1304)는 통신 기반구조(1302)(예를 들어 통신 버스, 크로스바(cross-bar),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다양한 소프트웨어 실시 예들이 이러한 대표적인 컴퓨터 시스템에 관련하여 설명되어 있다. 이 명세서를 읽은 후에, 다른 컴퓨터 시스템들 및/ 또는 컴퓨터 아키텍처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어떻게 구현하는가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1301)은 RAM(random access memory)인 것이 바람직한 메인 메모리(1307)를 또한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1301)은 또한 제2 메모리(13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1308)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310) 및/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드라이브, 옵티컬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나타내는 분리형 스토리지 드라이브(131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스토리지 드라이브(1312)는 주지된 방법으로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14)으로부터 읽거나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14)에 쓸 수 있다. 분리형 스토리지 드라이브(1312)에 의해 읽히고 쓰일 수 있는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14)은 플로피 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옵티컬 디스크 등을 나타낸다. 이해되는 것처럼,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14)은 내부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를 갖는 컴퓨터 사용가능 스토리지 매체를 포함한다.
대안의 실시 예들에서, 제2 메모리(1308)는 컴퓨터 프로그램들 또는 다른 명령어들이 컴퓨터 시스템(1301)으로 로드(load)되는 것을 허용하는 다른 비슷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수단은 예를 들어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22) 및 인터페이스(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들은 (비디오 게임 장치들 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프로그램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 인터페이스, (EPROM, 또는 PROM과 같은) 분리형 메모리 칩 및 관련된 소켓, 그리고 다른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들(1322) 및 소프트웨어와 데이터가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1322)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301)으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하는 인터페이스들(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301)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2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24)는 통신 패스(1327)를 경유하여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1301) 및 외부 장치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27)의 예들은 모뎀, (이더넷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신 포트 등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27)를 경유하여 전송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통신 패스(1327)를 경유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2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전자, 전자기, 광학 신호들인 신호들(1328)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통신 인터페이스(1324)는 컴퓨터 시스템(1301)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 13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러닝(running)(즉 실행)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분리형 스토리지 유닛들(1314, 1322),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310) 내에 설치된 하드 디스크, 또는 통신 패스(1327)(무선 링크 또는 케이블)를 통한 통신 인터페이스(1324)로의 신호 운반 소프트웨어(signal carrying software)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컴퓨터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또는 다른 기록가능한 매체, 또는 캐리어 (carrier) 웨이브 또는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들은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시스템(1301)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컴퓨터 제어 논리로 지칭되는)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메인 메모리(1307) 및/ 또는 제2 메모리(13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24)를 경유하여 수신될 수 있다. 이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실행됐을 때, 컴퓨터 시스템(1301)이 여기서 논의된 본 발명의 특징들을 수행하 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실행됐을 때 프로세서(1304)가 본 발명의 특징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런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시스템(1301)의 제어기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다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하나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내에 저장될 수 있고 분리형 스토리지 드라이브(1312), 하드 드라이브(1310), 또는 인터페이스(1320)를 사용하여 컴퓨터 시스템(1301)으로 로드(load)될 수 있다. 대안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은 통신 패스(1327)를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1301)으로 다운 로드될 수 있다. 제어 논리(소프트웨어)는 1개 이상의 프로세서들(1304)에 의해 실행됐을 때 프로세서(들)(1304)가 여기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 하나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펌웨어 및/또는 예를 들어,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하드웨어 내에서 주로 구현된다. 여기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하드웨어 상태 기계의 구현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X. 결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제한이 아니라 단지 예로써 제시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VB-H 기술들을 포함하는 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다른 통신 기술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형태과 세부사항들에서 다양한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 예들 중 어느하나에 의해서 제한되서는 안 되고 단지 하기 청구 범위들과 그들의 동등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29)

  1.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신기로 단방향(one-way)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a1) 프리뷰를 위해 1개 이상의 콘텐츠 아이템 부분들을 지정하는 단계;
    (b)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제1 채널에서 제1 간격들로 평문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상기 제1 채널에서 제2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e)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을 제2 채널에서 상기 제2 간격들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연관된 권한 키들을 제3 채널에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키들 및 상기 권한 키들은 연속적인 간격들에서 변화하는, 전송 단계; 그리고
    (f) 1개 이상의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1개 이상의 규칙들은 사용자 제한들을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a)는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시간 간격은 정기적으로 생기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DVB-H(디지털 비디오 방송 - 핸드헬드)네트워크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SG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신기로 단방향(one-way)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a1)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는 단계;
    (b)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ESG(el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d)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것이고, 제3 채널에서 연관된 권한 키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
    (e)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평문 형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복수의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단계; 및
    (f)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콘텐츠 키들 중의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시간 간격은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DVB-H(디지털 비디오 방송-핸드헬드) 네트워크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SG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신기로 단방향(one-way) 연결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a1)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b)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제1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것인 단계;
    (c)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사용자 권한 키를 제3 채널에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전송하며, 상기 권한 키들은 동일한 상기 간격 내의 콘텐츠 키와 연관이 있고, 상기 콘텐츠 키들 및 연관된 권한키들은 연속적인 간격들에서 변화하는, 전송하는 단계;
    (e) 프리뷰 권한 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전송하는 단계; 및
    (f)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프리뷰 권한 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이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과 대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시간 간격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시간 간격은 정기적으로 일어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DVB-H(디지털 비디오 방송- 핸드헬드)네트워크인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ESG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삭제
  18.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제1 채널에서 제1 간격들로 평문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상기 제1 채널에서 제2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을 제2 채널에서 상기 제2 간격들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
    제2 채널의 콘텐츠키와 동일한 간격으로 연관된 권한 키를 제3 채널에서 전송하는 수단;
    온라인 ESG로부터의 콘텐츠 선택을 기반으로 전자상거래(e-commerce) 소스로부터 콘텐츠 권한을 획득하는 수단;
    1개 이상의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규칙들은 사용자 제한들을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두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9.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신기로 단방향(one-way) 연결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프리뷰를 위해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ESG(elctronic services guide)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제2 채널에서 상기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것인 수단;
    콘텐츠 키와 연관된 권한 키들을 제3 채널에서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평문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수단; 및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0.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콘텐츠 및 다른 정보를 수신기로 단방향(one-way) 연결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제1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것인 수단;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2암호화된 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가입자 권한 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프리뷰 권한 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프리뷰 권한 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1.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장치로서,
    콘텐츠를 단방향 연결을 통해 서버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오퍼레이션을 위한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제1 채널에서 제1 간격들로 평문 형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상기 제1 채널에서 제2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을 제2 채널에서 상기 제2 간격들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1개 이상의 규칙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규칙들은 사용자 제한들을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두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2.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장치로서,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갖는, 온라인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평문 형식으로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에 대응하는 수단;
    제3 채널에서 연관된 콘텐츠 키와 동일한 간격으로 권한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수단들을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단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5.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 장치로서,
    콘텐츠 아이템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콘텐츠 키들을 암호화된 형식으로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키들 각각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대응하는 부분을 암호해제 하기 위한 것인 수단;
    프리뷰 권한키를 상기 제2암호화된 형식인 상기 1개 이상의 콘테츠 키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프리뷰 권한 키에 사용 제한들을 두는 수단을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권한 키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권한 키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단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28.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서버로서, 상기 ESG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버; 및
    제 1채널에서 제1 간격들로 평문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채널에서 제2 간격들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2 채널에서 상기 제2 간격들로 암호화된 콘텐츠 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버는 1개 이상의 규칙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규칙들은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사용제한을 두는 시스템.
  29.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ESG(electronic services guide)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서버로서, 상기 ESG는 프리뷰를 위해 지정된 콘텐츠 아이템 및 사용자에 의한 전자상거래 소스로부터의 획득하는 콘텐츠의 1개 이상의 부분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버;
    제1 채널에서 여러 간격으로 암호화된 형식으로 상기 콘텐츠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서버; 및
    제2 채널에서 상기 여러 간격으로 평문 형식의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과 암호화된 형식의 1개 이상의 키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3 서버를 포함하고,
    평문 형식인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상기 1개 이상의 지정된 부분들을 암호 해제하기 위한 것이고, 암호화된 형식의 상기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은 상기 콘텐츠 아이템의 나머지 부분들을 위한 것이고,
    제3 채널에서 연관된 콘텐츠 키와 동일한 간격으로 권한 키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버는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1개 이상의 프리뷰 규칙들은 상기 콘텐츠 키들 중 1개 이상의 콘텐츠 키들에 사용 제한을 두는 시스템.
KR1020077008367A 2004-09-15 2005-08-25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95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40,631 US7620185B2 (en) 2004-09-15 2004-09-15 Preview of payable broadcasts
US10/940,631 2004-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374A KR20070047374A (ko) 2007-05-04
KR100895012B1 true KR100895012B1 (ko) 2009-04-24

Family

ID=360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367A KR100895012B1 (ko) 2004-09-15 2005-08-25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20185B2 (ko)
EP (1) EP1790098A1 (ko)
JP (1) JP2008512915A (ko)
KR (1) KR100895012B1 (ko)
CN (1) CN101027861A (ko)
AU (1) AU2005283877A1 (ko)
WO (1) WO2006030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3360A1 (en) * 2002-10-28 2004-04-29 Rod Walsh System and method for partially-encrypt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20060205449A1 (en) * 2005-03-08 2006-09-14 Broadcom Corporation Mechanism for improved interoperability when content protection is used with an audio stream
US8239902B2 (en) * 2005-06-29 2012-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width optimization of a content on demand service
EP1742473A1 (fr) * 2005-07-06 2007-01-10 Nagra France Sarl Méthode de transmission d'un flux de données numériques et de messages de contrôle associés audit flux à destination d'équipements mobiles
JP2007053461A (ja) * 2005-08-16 2007-03-01 Sony Corp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316132B2 (en) * 2005-09-08 2012-11-20 Nokia Corpor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a service guide
US8893302B2 (en) * 2005-11-09 2014-11-18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keys utilized by media devices in a local area network
US8448212B2 (en) * 2005-12-02 2013-05-21 Nokia Corporation Combined receiver for DVB-H and DVB-T transmission
US20080316973A1 (en) * 2006-01-12 2008-12-25 Jong-Hoon An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Handover Using an Interactive Channel in a Dvb-H Cbms System
CN100454921C (zh) * 2006-03-29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版权保护方法及系统
WO2007132840A1 (ja) * 2006-05-16 2007-11-22 Kyocera Corporation ストリーム生成方法、放送受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059343B2 (ja) * 2006-05-16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ストリーム生成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JP5698425B2 (ja) * 2006-05-16 2015-04-08 日本放送協会 復号装置
WO2007132895A1 (ja) * 2006-05-16 2007-11-22 Kddi Corporation 暗号化装置、復号装置、ライセンス発行装置、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方法
JP5184757B2 (ja) * 2006-05-16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7324636A (ja) * 2006-05-30 2007-1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受信装置
US20080092188A1 (en) * 2006-09-28 2008-04-17 Ahmadreza Rofougara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able Modem And DVB-H Receiver And/Or Transmitter
KR20080063610A (ko) * 2007-01-02 2008-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US8611810B2 (en) * 2008-03-26 2013-12-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FM recording
DE102008020832B3 (de) * 2008-04-25 2009-11-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onzept zur effizienten Verteilung einer Zugangsberechtigungsinformation
US20100180011A1 (en) * 2009-01-12 2010-07-15 Microsoft Corporation Url based retrieval of portions of media content
KR101036191B1 (ko) * 2009-01-13 2011-05-23 주식회사 씨. 아이. 테크 다중화모듈을 이용하여 광대역 이더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데이터 송수신방법
EP2280544A1 (en) * 2009-07-07 2011-02-02 Irdeto Access B.V. Secure transmition and recording of a content
CN101860725B (zh) * 2010-06-02 2012-07-11 北京惠信博思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付费频道预览及订购的方法和系统
EP2487904A1 (en) * 2011-02-10 2012-08-1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xcerpt licensing
US9646141B2 (en) * 2011-06-22 2017-05-09 Netflix, Inc. Fast start of streaming digital media playback with deferred license retrieval
US11349699B2 (en) * 2012-08-14 2022-05-31 Netflix, Inc. Speculative pre-authorization of encrypted data streams
US9942213B2 (en) * 2013-03-15 2018-04-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WO2017054843A1 (en) * 2015-09-29 2017-04-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geo-encrypted message
US20190191219A1 (en) * 2017-12-19 2019-06-20 Sling Media L.L.C. Management of content segments generated by an authorized subscriber device for sharing with non-subscriber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1979A (ko) * 1999-05-19 2001-07-31 이데이 노부유끼 방송장치 및 방법, 수신장치와 방법 및 매체
KR20010079975A (ko) * 1998-10-02 2001-08-22 제임스 알. 라라미 캐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 및 수동적 액세스 제공시스템
KR20010101710A (ko) * 1999-01-26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영상 정보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및 정보 기록 매체
US20020172366A1 (en) * 2000-10-26 2002-11-21 General Instrument, Inc. Initial viewing period for scalable authorization of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794A (en) 1994-10-18 1997-01-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Of Delaware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 previews of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EP1247227A4 (en) 1999-12-29 2003-06-25 Pitney Bowes Inc SELLING A PRODUCT WITH DIGITAL CONTENT IN AN ONLINE TRANSACTION
US8001490B2 (en) * 2001-07-10 2011-08-16 Nvidia International,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content publisher for wireless devices
US7343487B2 (en) * 2001-10-10 2008-03-11 Nokia Corporation Datacast distribution system
ATE443970T1 (de) * 2001-12-11 2009-10-15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e des rechtmanagements für strömende media
US7167560B2 (en) * 2002-08-08 2007-0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rtial encryption of stream-formatted media
JP4077689B2 (ja) 2002-08-28 2008-04-16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送信方法、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54647B1 (ko) * 2002-09-1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텔레비전 영상신호 표시장치 및 방법
US7239705B2 (en) * 2003-12-10 2007-07-0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roadcast servic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975A (ko) * 1998-10-02 2001-08-22 제임스 알. 라라미 캐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 및 수동적 액세스 제공시스템
KR20010101710A (ko) * 1999-01-26 2001-11-14 이데이 노부유끼 영상 정보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장치 및 송수신 방법 및 송수신 시스템 및 정보 기록 매체
KR20010071979A (ko) * 1999-05-19 2001-07-31 이데이 노부유끼 방송장치 및 방법, 수신장치와 방법 및 매체
US20020172366A1 (en) * 2000-10-26 2002-11-21 General Instrument, Inc. Initial viewing period for scalable authorization of streaming multimedia content
KR20030060923A (ko) * 2000-10-26 2003-07-16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콘텐츠 권리 및 조건의 시행 방법
KR20030094216A (ko) * 2000-10-26 2003-12-11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복수의 클라이언트로의 프로그램 콘텐츠 다중방송 방법 및그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 코드 또는 명령을 갖는 컴퓨터판독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0264A1 (en) 2006-03-23
US7620185B2 (en) 2009-11-17
KR20070047374A (ko) 2007-05-04
JP2008512915A (ja) 2008-04-24
EP1790098A1 (en) 2007-05-30
CN101027861A (zh) 2007-08-29
AU2005283877A1 (en) 2006-03-23
US20060059090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012B1 (ko) 유료 방송들의 프리뷰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627119B2 (en) Fine grain rights management of streaming content
US108553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multimedia using plural wireless network connections
US7698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RM to control conditional access to broadband digital content
US7706534B2 (en) Pay per minute for DVB-H services
AU20042883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RM to control conditional access to broadband digital content
US20060293077A1 (en) System,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cating memory for storage of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