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708B1 -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708B1
KR100893708B1 KR1020060092907A KR20060092907A KR100893708B1 KR 100893708 B1 KR100893708 B1 KR 100893708B1 KR 1020060092907 A KR1020060092907 A KR 1020060092907A KR 20060092907 A KR20060092907 A KR 20060092907A KR 100893708 B1 KR100893708 B1 KR 10089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terminal
user
transmiss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582A (ko
Inventor
겐이치 호리오
다카시 오노
사토시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1Real tim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6Broadcast or multicas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8User-type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Abstract

복수의 이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회의실을 공유하여 동시전송 통화를 할 때에,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도 송수신 가능하게 하여,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함에 따른 통화 음성의 품질 악화를 방지하고, 또한, 한정된 통신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질 때에, 특정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한다.

Description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 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COMMUNICATION BANDWIDTH CONTROL METHOD FOR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USED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A PROGRAM}
도 1은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기본적인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관리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PTT 관리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폭의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폭의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하향 대역폭 보존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전달 데이터 보존부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다른 발언권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발언권 기록부의 내용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폭의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폭의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PTT 관리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S, 2S, 3S : 서버
100 : IP 통신부
101 : PTT 처리부
102 : 발언권 기록부
105 : 전달 데이터 보존부
106 :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
107 : 하향 대역폭 보존부
110 : PTT 관리부
310 : 사용자 관리부
1T, 1T1, 1T2, 1T3, 1T4, 1T5 : 단말 장치
2T, 2T1, 2T2, 2T3, 2T4, 2T5 : 단말 장치
3T, 3T1, 3T2, 3T3, 3T4, 3T5 : 단말 장치
200 : IP 통신부
201 : PTT 처리부
202 :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
203 : 음성 제어부
204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5 : 송신 가능 대역폭 결정부
206 : 발언권 기록부
207 : 데이터 송신권 기록부
1N, 1N1, 1N2, 1N3, 1N4 : 네트워크
2N, 2N1, 2N2, 2N3, 2N4 : 네트워크
3N, 3N1, 3N2, 3N3, 3N4 : 네트워크
본 발명은, 복수의 이용자 단말 사이에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통신을 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으로서, 특히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하나로부터 데이터 및 데이터의 송신처의 지정을 접수하여, 지정된 다른 이용자 단말로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사이에서 동시전송 통화를 할 때에 네트워크 상에 가상적으로 설치 운영되는 통신 그룹을 「회의실」이라고 부른다. 회의실은 이용자 단말로부터 지정된 통신 상대와 통신 그룹을 형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다.
최근, PoC(Push-to-Talk over Cellular)나 PoC/W(Push-to-Talk over Cellular/Wireless)라 불리는, 휴대전화 등의 이동 통신망이나 무선 LAN 등을 이용한 트랜시버 기술이 실현되고 있다. 이 트랜시버 기능은 IP 통신망 상에서 동시에 복수의 상대에 대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음성 통화를 하는 복수의 사용자는 미리 개설되어 있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개설되는 네트워크 상의 회의실을 통해 접속된다. 동일한 회의실에 접속되는 사용자 중 한사람이 발언권을 획득하여 음성을 송신하면, 동일한 회의실의 다른 사용자에게 음성이 전달된다.
이 트랜시버 기능에서는, 음성에 의한 통화를 주로 하고 있었지만, 휴대전화 기 등의 기능이 충실해짐에 따라,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취급도 가능하게 되어, 음성 이외의 데이터도 동일한 회의실 내의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휴대전화 등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은 한정되어 있어, 음성과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혼재하여 송수신하면, 음성 데이터의 지연이나 흔들림의 증가를 초래하여, 수신측의 음성 품질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그것을 피하는 방책으로서, 미리 음성과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통신 대역을 설정해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쪽의 데이터밖에 송수신되고 있지 않더라도, 각각의 데이터의 통신 대역이 고정으로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미리 결정된 대역밖에 사용되지 않고, 송신되고 있지 않은 데이터를 위한 통신 대역은 사용되지 않는 채로 되어, 통신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다지점 회의 시스템에 있어서, 발언권이 이동할 때마다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로부터 통신 레이트의 변경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한 통신 레이트의 변경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등의 부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음성 데이터와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동일한 대역을 공유하여 송수신할 때의 통신 대역 제어에 대해서는 그 기재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0-244490호 공보
복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회의실을 공유하여 동시전송 통화를 할 때 에,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도 송수신 가능하게 하여,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의 송수신을 함에 따른 통화 음성의 품질 악화를 방지하고, 또한, 한정된 통신 대역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는, 통신을 통해 취득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그 재생 품질은 송신측 및 수신측 쌍방의 통신 대역폭이 크게 영향을 준다. 또한, 그 통신 대역폭도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이 다른 단말 장치가 복수 접속되어 있었던 경우라도,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을 헛되게 하는 일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의 대역폭 제어를 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PoC나 PoC/W와 같은, 특정한 복수 이용자의 그룹에 있어서, 이용자 그룹의 중 1명의 이용자에게 발언이 허가되고, 허가된 이용자로부터의 발언 내용을 그룹의 다른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통화 시스템의 경우, 그룹 내에서의 통화의 상황에 따라서, 각 단말 장치의 통신 대역의 사용 상황이 다른 점에 착안하여, 음성 데이터 등의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와 음성 이외의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 등의 수신 상황에 따라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 혹은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통신 대역폭을 제어하는 것을 고안했다.
즉, 본원 발명은,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지 않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에서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1 데이터의 송수신 정보를 확인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제2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의 제어를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한 서버 장치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 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을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수단과,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에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이용자 단말마다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과,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 신 대역폭으로써, 각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통신 대역폭의 제어 방법으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각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 혹은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양쪽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인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만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인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에서는, 제2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수신 상황을 확인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수신 상황에 따라서 제2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의 제어를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통신 대역폭 제어 방법을 적용한 서버 장치로서, 하기의 특징 을 갖는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수단과, 제2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된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이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이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과,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 장치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에서도 하기의 구성을 취함으로써,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할 때에도 제1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부와,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부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통신 대역 제어의 방법으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이 이용자 단말 장치가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요구하여 취득했을 때에,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은, 이용자 단말측에서,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유무에 따라, 제2 데이터의 전달처가 되는 이용자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 대역 제어 방법을 적용한 이용자 단말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수단과, 상기 수집한 다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이 큰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소의 값 쪽이 큰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으로서 설정하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수단과,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에 의해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했음을 확인하면,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에 의해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다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다른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비교하여, 최소의 값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소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어느 쪽의 이용자 단말도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가능 대역폭 결정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 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 다른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취득했을 때에,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대역폭을 적용한 이용자 단말로서 하기를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수단과,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취득했을 때에,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용자 단말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서버 장치에서 통신 대역 제어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이용자 단말측에서, 제1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2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망 상에 있어서, 예컨대,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 발화된 음성을 다른 단말 장치에 동시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 동시전송 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있어서, 동시전송 통화를 할 때 에, 통화의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화상이나 텍스트 등 음성 이외의 데이터도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대역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화 음성의 품질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동시전송 통화를 하면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수신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본 발명이 전제로 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은 동시전송 통화를 관리·제어하기 위한 서버(1S)와 여러 가지 네트워크(1N1, 1N2, 1N3, 1N4, …)(이하, 네트워크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1N)이라 표기함)를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단말 장치(1T1, 1T2, …)(이하, 단말 장치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1T)」라고 표기함)로 구성된다. 단말 장치(1T)와 서버(1S)는 각종 네트워크(1N)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N1) 및 네트워크(1N2)는 휴대 전화 등의 무선 통신망을 상정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1N3)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의 네트워크를 상정하고 있다.
서버(1S)는 IP 통신부(100), PTT 처리부(101), 사용자 관리부(310), PTT 관리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IP 통신부(100)는 서버(1S)에서 네트워크(1N)로 정보를 송출하거나, 네트워크(1N)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PTT 처리부(101)는 IP 통신부(100)로 수신한 커맨드가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관한 명령인 경우에, 커맨드를 해석하여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이다.
사용자 관리부(310)는 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이다.
PTT 관리부(110)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 상태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각 단말 장치(1T)는 IP 통신부(200), 음성 제어부(203), PTT 처리부(201), 발언권 기록부(20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 구성되어 있다.
IP 통신부(200)는 단말 장치(1T)로부터 네트워크(1N)에 정보를 송출하거나, 네트워크(1N)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음성 제어부(203)는 송수신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복호화 등의 처리를 하는 처리부이다.
PTT 처리부(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단말 장치(1T)의 이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여 서버(1S)에 송출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관한 커맨드를 생성하거나, 서버(1S)로부터 수신한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관한 커맨드를 해석하여 실행한다.
발언권 기록부(206)는 단말 장치(1T)가 참가하고 있는 회의실에 있어서, 어떤 단말 장치(1T)가 발언권을 취득하고 있는지를 관리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단말 장치(1T)의 표시부에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각종 메뉴 화면을 표시하거나,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조작된 내용이나, 조작된 입력 키의 내용을 취득하여, PTT 처리부(201)에 통지한 다.
우선,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기본적인 흐름을 도 2에서부터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T)의 이용자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ID를 취득하여, 사용자 정보와 함께 사용자 관리부(310)에 등록하고 있다. 사용자 관리부(310)의 예를 도 5에 도시한다. 사용자 관리부(310)에는 사용자 ID(51), 표시명(52), 성명(53), 주소(54), … 등의 항목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 ID(51)는 이용자가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ID이며,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 내에서 일의로 설정된다. 표시명(52)은 사용자 일람을 표시할 때에 표시하는 명칭을 설정하고 있다. 사용자 관리부(310)에 등록하여야 할 항목은 시스템 관리자나 운용자에 의해서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한 성명(53), 주소(54) 등은 시스템 관리자나 운용자가 사용자 정보로서 등록을 요구하는 항목의 예이며, 필요에 따라서 근무처나 소속 등 다른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입력을 하게 하더라도 좋고, 기존의 개인 정보 DB와 제휴하여 동작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1T1)(이용자 : 호리오 이치로)가 단말 장치(1T2)(이용자 : 오노 지로) 및 단말 장치(1T3)(이용자 : 오쿠야마 사부로)와 동시전송 통화를 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T1)에서 동시전송 통화 서비스의 메뉴를 표시하는 조작을 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시전송 통화를 하는 상대를 지정하기 위한 사용자 일람을 표시한다. 이 사용자 일람은 동시전송 통화 서비 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가, 사용자 관리부(310)에 등록되어 있는 표시명(52)으로 표시되고 있다. 이 사용자 일람은 동시전송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전체 사용자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더라도 좋다. 혹은, 동시전송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사용자 중, 단말 장치마다 이용자가 필요한 사용자를 선택하여 등록해 두고, 등록된 사용자만을 일람 표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사용자를 그루핑하여, 그룹명을 부여해 두어, 그룹명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 3의 멤버 선택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오쿠야마 그룹」, 「VoIP 그룹」은 그룹명이 표시되어 있는 예이다. 그룹명이 선택된 경우에는, 그룹에 대응된 사용자 전부가 선택되었다고 취급되더라도 좋고, 일단 그룹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를 일람 표시하여, 그 중에서 선택하게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사용자 일람에는 단말 장치(1T)의 사용자가 멤버로서 등록되어 있는 회의실의 회의실명이나, 일시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회의실의 회의실명 등을 표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회의실명이 선택되어, PTT 시작 버튼(BT31)이 눌린 경우에는, 선택된 회의실명과, 단말 장치(1T)의 사용자 ID를 PTT 처리부(201)에 통지한다. PTT 처리부(201)는 PTT 참가 표명 커맨드를 생성하여, IP 통신부(201)를 통해, 서버(1S)에 통지한다. PTT 참가 표명 커맨드는 PTT 참가 표명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식별자와, 참가하는 회의실을 특정하는 회의 ID로 구성된다. 지정된 상대의 사용자 ID로 구성된다.
단말 장치(1T)의 이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일람으로부터, 동시전송 통화하고 싶은 상대를 선택하여 특정한다. 또한, PTT 시작 버튼(BT31)을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선택된 사용자와 PTT 시작 버튼(BT31)이 조작되었 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PTT 처리부(201)에 통지된다. PTT 처리부(201)는 PTT 시작 커맨드를 생성하여, IP 통신부(200)를 통해 서버(1S)에 송출한다. PTT 시작 커맨드는 PTT 시작 요구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지정된 상대의 사용자 ID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예로서는, "오노"와 "오쿠야마"가 선택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관리부(310)를 참조하여, "오노"와 "오쿠야마"의 사용자 ID를 취득하여, PTT 시작 커맨드를 생성하여, 서버(1S)에 송신한다.
서버(1S)는 단말 장치(1T1)로부터 송출되어 온 PTT 시작 커맨드를 수신하면(도 2의 #2010에서 "예"인 경우), 동시전송 통화를 하기 위한 회의실을 생성한다. 회의실을 생성하면, 그 회의실을 식별하기 위한 회의실 ID가 생성된다. 여기서는, 회의실 ID로서, "PocSes001"이 생성되었다고 하자. 생성된 회의실 ID에 대응시켜 회의실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PTT 관리부(110)에 등록한다(도 2의 #2020).
PTT 관리부(110)의 예를 도 6에 도시한다. PTT 관리부(101)는 회의실 ID(61), 멤버(62), 참가자(63), 발언권(64)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회의실 ID(61)의 항목에는 생성된 회의실 ID가 설정된다. 멤버(62)의 항목에는 그 회의실에 참가가 인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등록되어 있다. PTT 시작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PTT 시작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 ID가 그 회의실에 참가를 인정하는 사용자로서 설정된다. 참가자(63)의 항목에는 멤버에 등록된 사용자 중, 실제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설정된다. 발언권(64)의 항목에는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로부터 송출되어 온 발언권 요구 커맨드에 기초하여, 발언권이 인정된 단말 장치(1T)의 사용자 ID가 설정된다. 또한, 상설 회의실의 경우에는, 회의실 ID와 그 회의실에 참가가 인정되고 있는 사용자 ID가 멤버란에 등록되어, 상설 회의실의 삭제 처리가 이루어질 때까지 항상 등록되어 있다. 도 6에 예시하고 있는 회의실 ID : PoCSes901의 회의실은 상설 회의실이며, 멤버로서 사용자 ID : a bc@ffPoC.com, 사용자 ID : bcd@ddPoC.com, 사용자 ID : efg@ppPoC.com의 3명의 이용자가 등록되어 있다. 현재는 아무도 참가하지 않고 있지만, 상설 회의실이기 때문에, PTT 관리부(110)에 회의실의 정보는 등록된 채로 되어 있다.
PTT 처리부(101)는 생성한 회의실(회의실 ID : SesPoc001)에, 단말 장치(1T1)의 사용자(사용자 ID : horio@fujipoc.com)를 참가시키고, PTT 관리부(110)의 회의실 ID : "PoCSes001"의 참가자(63)의 항목에, 단말 장치(1T1)의 사용자 ID : horio@fujipoc.com을 설정한다. 또한, 단말 장치(1)에 대하여, 개설한 회의실의 회의실 ID 및 회의실에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서버의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도 2의 #2030).
PTT 처리부(101)는 PTT 시작 커맨드에 지정된 통화 상대가 IP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통화 상대의 단말 장치(1T)가 IP 통신이 가능한 상태라면(도 2의 #2040에서 "예"인 경우), 통화 상대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PTT 호출 커맨드를 송출한다(도 2의 #2050). PTT 호출 커맨드는 PTT 호출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식별자, 회의실 ID,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의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 멤버명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단말 장치(1T3)(이용자 : 오쿠야마)가 IP 통신 가능한 상태였던 경우에는, PTT 호출 커맨드의, 회의실 ID의 항목에 "PoCSes001"을 설정하고, 서버의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의 항목에는 서버의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설정하고, 멤버명의 항목에는 이 회의실에의 참가가 인정된 이용자의 사용자 ID : horio@fujipoc.com, ohno@fujipoc.com, okuyama@fujipoc.com이 설정되어, 서버(1S)에서 단말 장치(1T3)로 송출된다(도 2의 #2050).
통화 상대의 단말 장치(1T)가 IP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도 2의 #2040에서 "아니오"인 경우), 통화 상대의 단말 장치(1T)에 대하여, IP와는 다른 프로토콜로 IP 통신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한 접속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1T2)(이용자 : 오노)가 IP 통신 가능한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서버(1S)는 단말 장치(1T2)에 대하여, SMS(단문 메시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IP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한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IP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한 접속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취한 단말 장치(1T2)는 IP 통신을 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하고, 접속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서버(1S)에 통지한다.
단말 장치(1T)가 IP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하면(도 2의 #2310에서 "예"인 경우), 단말 장치(1T2)에 대하여, PTT 호출 커맨드가 송출된다(도 2의 #2050). IP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도 2의 #2310에서 "아니오"인 경우)는 에러 처리를 한다. 에러 처리의 예로서는,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1T)에 「접속 실패」를 통지한다, IP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접속 처리를 지시하는 메시지의 송출을 반복한다, 등이 있다.
서버(1S)가, 단말 장치(1T)로부터 수취한 커맨드가 PTT 시작 커맨드가 아니 었던 경우(도 2의 #2010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말 장치(1T)로부터 수취한 커맨드가 PTT 참가 의뢰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PTT 참가 의뢰 커맨드인 경우에는(도 2의 #250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를 참조하여, PTT 참가 의뢰 커맨드에 지정된 회의실 ID에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멤버(62)와 참가자(63)의 내용을 비교하여, 멤버이면서 참가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를 추출하여(도 2의 #2510), 추출한 사용자에 대하여 PTT 호출 커맨드를 송신한다(도 2의 #2050).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PTT 참가 의뢰가 아니면(도 2의 #2500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PTT 참가 표명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참가 표명 커맨드인 경우(도 2의 #260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를 참조하여, 참가 표명 커맨드에 지정되어 있는 회의실 ID에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멤버(62)에, 참가 표명 커맨드를 송출하여 온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멤버로서 등록되어 있으면, 회의실에 참가시킨다.
PTT 호출 커맨드를 수신한 단말 장치(1T2, 1T3)는 PTT 호출 커맨드에 설정된 회의실 ID,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의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 멤버명을 기억부에 기억함으로써, 회의실에 참가한다(도 2의 #2060).
PTT 처리부(101)는 PTT 관리부(110)의 회의실 ID : PoCSes001의 참가자(63)의 항목에, 단말 장치(1T2, 1T3)의 사용자 ID를 참가자로서 등록한다.
이상에 의해, 회의실 ID : PoCSec001의 회의실에 있어서, 사용자명 "호리오", "오노", "오쿠야마"의 3명의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해진다. 도 4에,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해졌을 때에 단말 장치(1T)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PTT 시작 커맨드를 발행한 단말 장치(1T1)의 이용자 : 호리오를 선두로, 통화 상대로서 지정한 이용자 : 오노와 이용자 : 오쿠야마가 이 회의실에서 동시에 통화 가능한 이용자로서 일람 표시되어 있다.
PTT 처리부(101)는 PTT 종료 리퀘스트를 수신하면(도 2의 #2070에서 "예"인 경우), 회의를 종료한다. PTT 종료 리퀘스트에 지정된 회의실이 상설인 경우에는, PTT 관리부(110)의 참가자(63)의 항목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 ID를 삭제한다. PTT 종료 리퀘스트에 지정된 회의실이 상설이 아닌 경우에는, PTT 관리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지정된 회의실의 정보를 전부 삭제한다(도 2의 #2700).
PTT 종료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도 2의 #2070에서 "아니오"인 경우), PTT 후퇴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PTT 후퇴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도 2의 #2073에서 "예"인 경우), PTT 후퇴 커맨드에 지정되어 있는 회의실 ID와 후퇴하는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PTT 관리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회의실 ID의 참가자(63) 항목으로부터 후퇴하는 사용자 ID를 삭제한다(도 2의 #2076).
PTT 후퇴 리퀘스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도 2의 #2073에서 "아니오"인 경우), 발언권 획득 요구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1T)가 발언권을 획득하는 경우, 단말 장치(1T)에 표시된 화면(도 4)에 있어서, 발언권 취득 버튼(BT41)을 누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화자 취득 버튼(BT41)이 눌렸음을 PTT 처리부(201)에 통지한다. PTT 처리부(201)는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 를 생성하여, 서버(1S)에 송출한다.
서버(1S)는 발언권 획득 요구를 수신한 경우(도 2의 #2080에서 "예"인 경우), PTT 처리부(101)는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2의 #209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의 해당 회의실 ID의 발언권(63)의 항목에, 발언권을 요구하여 온 단말 장치(1T)의 사용자 ID를 등록 혹은 갱신하는 동시에, 발언권을 요구하여 온 단말 장치(1T)에 발언권을 획득할 수 있음을 통지하고, 또한 동일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1T)에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1T)의 사용자 ID를 통지한다(도 2의 #2100). 이 때, 단말 장치(1T)는 발언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는 취지의 통지, 혹은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 ID의 통지를 수취하면, 발언권 기록부(206)에, 발언권을 취득한 단말 장치(1T)의 사용자 ID를 기억해 둔다. 서버(1S)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2의 #2090에서 "아니오"인 경우), 요구원인 단말 장치(1T)에 발언권 취득이 불가능했음을 통지하거나, 혹은 발언권 획득의 대기 행렬에 등록한다고 하는 처리를 한다(도 2의 #2130).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1T)로부터 음성을 수신하면(도 2의 #211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의 그 회의실 ID에 기억되어 있는 참가자의 사용자 ID 중, 발언권을 갖지 않는 사용자 ID를 추출하여, 그 사용자 ID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수신한 음성을 송출한다(도 2에서 #2120).
단말 장치(1T)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발언권 획득 요구가 아니었던 경우(도 2의 #2080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말 장치(1T)로부터 수신한 커맨드가, 발언 권 해제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발언권 해제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도 2의 #2800에서 "예"인 경우), PTT 처리부(101)는 발언권 해제 커맨드에 지정된 회의실 ID와 발언권을 해제하는 사용자 ID에 기초하여, PTT 관리부(110)에 기억되어 있는 회의실 ID의 발언권(63)의 항목으로부터 지정된 사용자 ID를 삭제한다. 또한, 그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단말 장치(1T)에 대하여, 발언권이 해제되었음을 통지한다(도 2의 #2800). 이 때, 단말 장치(1T)는 서버(1S)로부터 발언권이 해제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취하면, 발언권 기록부(206)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삭제한다. 서버(1S)는 또한, 발언권의 취득 대기를 하고 있고 단말 장치(1T)가 대기 행렬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대기 행렬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2의 #2820에서 "예"인 경우)는 단계 #2090으로 되돌아가 발언권 부여 판정을 한다.
이상의 순서로,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 동시전송 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본원 발명의 특징인, 동시전송 통화를 하면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때의 통신 대역 제어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단말 장치측에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7에,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및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의 동시전송 통화를 제어하는 서버 장치(2S)와, 복수의 단말 장치(2T1, 2T2, 2T3, 2T4, …)(이후, 단말 장치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2T)」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가 여러 가지 네트워크(2N1, 2N2, …)(이후, 네트워크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2N)」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2N1)는 휴대전화 회사 A가 제공하고 있는 이동 통신망으로서, 통신 방식은 CDMA 1x(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1x) 방식이며, 네트워크(2N2)는 휴대전화 회사 B가 제공하고 있는 이동 통신망으로서, 통신 방식은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방식이라고 하자. 또한, 네트워크(2N3)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의 네트워크를 상정하고 있다. 동시전송 통화를 관리하는 서버(2S)는 각 네트워크(2N1, 2N2, …)와, L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서버(2S)에는 전술한 서버 장치(1S)의 기능 외에, 데이터 송신권 제어/기억부(102)가 추가되어 있다. 데이터 송신권 제어/기억부(102)는 단말 장치(2T)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권 요구 커맨드에 따라서, 단말 장치(2T)에의 데이터 송신권의 부여 혹은 해제 등의 제어를 한다. 또한, 단말 장치(2T)에는 전술한 단말 장치(1T)의 기능 외에, 데이터 송신권 기록부(207),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202), 송신 가능 대역폭 결정부(205)가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송신권 기록부(207)는 단말 장치(2T)가 서버 장치(2S)에 데이터 송신권을 요구하여, 서버(2S)로부터 데이터 송신권이 부여되었다는 취지와 통지를 수취하면, 송신권을 보유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해 둔다. 전달 레이트 제어부(202)는 회의실 내의 통화 상황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을 제어한다. 송신 가능 대역폭 결정부(205)는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이용자의 단말 장치(2T)의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미리 송신할 때의 통신 가능 대역을 산출해 둔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2T1)(이용자 : 호리오)가 단말 장치(2T2)(이용자 : 오노) 및 단말 장치(2T3)(이용자 : 오쿠야마)와 동시전송 통화를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2의 단계 #2010에서부터 #2050까지의 순서에 의해, 3자의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말 장치(2T1)는 회의실에 참가하면,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2), 단말 장치(2T3)로부터, 각 단말 장치의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도 8의 #8010).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로서는, 상향(업스트림)과 하향(다운스트림)의 대역과, 상향과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을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향이란, 단말 장치(2T)에서 서버(2S)로의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말하고, 하향이란, 서버(2S)에서 단말 장치(2T)로의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그 의미는 마찬가지이다. 단말 장치(2T2)는 네트워크(2N1)에 접속되고, 통신 방식은 CDMA 1x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로서, 상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하향의 통신 대역 : 144 kbps,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 : 9.6 kbps,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 : 9.6 kbps가 취득된다. 또한, 단말 장치(2T3)는 네트워크(2N2)에 접속되고, 통신 방식은 PHS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로서, 상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하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 : 64 kbps,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 : 64 kbps가 취득된다.
단말 장치(2T1)가, 회의실(회의실 ID : PoCSes001)에 참가하면서, 단말 장치로 촬영한 화상을 다른 회의 참가자에게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에, 화상 촬영을 할 때의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메뉴 중에 화상 촬영 메뉴가 삽입되어 있어, 촬영한 화상을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수단으로 촬영한 화상을 업로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2T1)가, 촬영 대상으로 카메라를 향하게 하여, 촬영 버튼(BT91)을 누르면, 촬영 대상의 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다른 단말 장치(2T2, 2T3)에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권의 요구를 서버(2S)에 대하여 송출한다(도 8의 #8020). 서버(2S)에서 데이터 송신권이 인정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를 기록하는 동시에, 요구원인 단말 장치(2T1)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권의 허가를 통지한다. 단말 장치(2T1)는 데이터 송신권의 허가 통지를 수취하면(도 8의 #8030에서 "예"인 경우), 그 단말 장치(2T1)가 참가하고 있는 회의실에서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도 8의 #8040에서 "예"인 경우),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2T)가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1)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1)가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도 8의 #8050에서 "예"인 경우), 이하의 순서로 데이터 송신의 대역을 결정한다.
단말 장치(2T1)가 데이터 송신권과 발언권 양쪽을 취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회의실에의 음성 데이터나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신은 단말 장치(2T1)만이 하게 된다.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2, 2T3)는 통화의 음성 데이터 및 음성 이외의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게만 된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2T1)의 상향 통신 대역과,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2, 2T3)의 하향 통신 대역 중 최소가 되는 통신 대역을 비교한다. 단말 장치(2T1)의 상향 통신 대역 쪽이 큰 경우에는 다른 단말 장치(2T2, 2T3)의 하향 통신 대역 중 최소의 대역폭을 단말 장치(2T1)의 송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산출한다. 산출한 송신 가능 대역폭으로부터, 음성 통신에 사용하는 대역폭을 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대역폭으로 한다. 다른 단말 장치(2T2, 2T3)의 하향의 통신 대역 중 최소의 통신 대역 쪽이 큰 경우에는, 단말 장치(2T1)의 상향 통신 대역을 단말 장치(2T1)의 송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산출한다. 산출한 송신 가능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의 송신에 사용하는 대역폭을 빼,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대역폭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를 가지고 설명한다. 단말 장치(2T1) 및 단말 장치(2T2)는 네트워크(2N1)에 접속되며, 통신 방식은 CDMA 1x 방식이기 때문에, 상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하향의 통신 대역 : 144 kbps,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 : 9.6 kbps,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 : 9.6 kbps가 된다. 단말 장치(2T3)는 네트워크(2N2)에 접속되며, 통신 방식은 PHS 방식이기 때문에, 통신 대역에 관한 정보로서, 상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하향의 통신 대역 : 64 kbps,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 : 64 kbps,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 : 64 kbps가 된다. 단말 장치(2T2)와 단말 장치(2T3)의 하향의 최저 보증 통신 대역은 각각 9.6 kbps, 64 kbps가 되고, 최소의 값은 9.6 kbps가 된다. 단말 장치(2T1)의 상향의 최저 보증 통신 대역 : 9.6 kbps와, 단말 장치(2T2)와 단말 장치(2T3)의 하향의 최저 보증 통신 대역 : 9.6 kbps를 비교하면 동일한 값이 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2T1)의 송신 가능 대역은 9.6 kbps가 된다. 음성을 송신할 때의 대역은 음성의 압축 방식(CODEC)이나 송신 간격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예에서는, 음성을 송신하는 데, 5.9 Kbps의 통신 대역이 필요하다고 하자. 단말 장치(2T1)는 발언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음성 송신용의 대역을 확보해 놓아야 한다. 이 때문에, 송신 가능 대역 : 9.6 kbps에서 음성 송신용 대역 : 5.9 kbps를 뺀 나머지, 3.7 kbps가 데이터 송신용의 통신 대역으로 산출된다(도 8의 #8060).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가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8의 #8050에서 "아니오"인 경우), 이하의 순서로 데이터 송신의 대역을 결정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권만을 갖는 단말 장치(2T)는 상향의 통신 대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하향의 통신 대역은 다른 단말 장치(2T)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발언권만을 갖는 단말 장치(2T)는 상향의 통신 대역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고, 하향의 통신 대역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발언권도 데이터 송신권도 갖지 않는 단말 장치(2T)는 상향의 통신 대역은 사용하지 않고, 하향의 통신 대역으로 음성과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양쪽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하향의 통신 대역의 사용 상황이 발언권이나 데이터 송신권을 갖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이 때문에, 데이터 송신권을 갖고 있는 단말 장치의 상향의 통신 대역과, 발언권을 획득하 고 있는 단말 장치의 하향의 통신 대역과, 발언권도 데이터 송신권도 갖고 있지 않은 단말 장치의 하향의 통신 대역으로부터 음성 수신에 요하는 대역폭을 뺀 대역폭을 비교하여, 최소가 되는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대역폭으로 한다(도 8의 #8070).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단말 장치(2T)의 어느 것도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8의 #8040에서 "아니오"인 경우), 이하의 순서로 데이터 송신의 대역폭을 결정한다.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데이터 송신권을 갖지 않는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 중 최소가 되는 하향의 통신 대역폭과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의 상향의 통신 대역폭을 비교한다. 최소가 되는 하향의 통신 대역폭 쪽이 큰 경우에는, 그 단말 장치의 상향의 통신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대역폭으로 한다.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의 송신 대역폭 쪽이 큰 경우에는, 최소가 되는 하향의 통신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송신 대역폭으로 한다(도 8의 #8080). 이상의 순서로 결정한 송신 대역폭에 기초하여,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서버(2S)에 송신한다(도 8의 #8090).
송신된 음성 이외의 데이터는 서버(2S)를 통해, 단말 장치 측에서 결정된 통신 대역폭으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에 송신된다.
PTT 처리부(101)는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지 않고 있는 경우(도 8의 #8200에서 "아니오"인 경우), 발언권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언권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도 8의 #8300에 서 "예"인 경우), 단계 #8040으로 되돌아가, 재차 통신 대역을 수정하고, 단계 #8090에서는, 수정한 후의 통신 대역으로, 데이터를 이어서 송신한다. 이로써, 발언권의 변경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대역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량의 변화에 따라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신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발언권이 획득되어 있고, 음성 데이터의 송신 중에,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당초에는 음성 이외의 데이터는 작은 통신 대역폭으로 전달되고 있지만, 발언권이 전부 없어진 경우, 통신 대역을 크게 하여 데이터의 송신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당초에는 음성 이외의 데이터만이 송신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최대치의 통신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지만, 데이터의 송신 중에 발언권이 취득되어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면, 데이터 전달의 통신 대역폭은 음성용의 대역폭을 뺀 값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통신 대역을 작게 변경하여 데이터가 이어서 전달되기 때문에, 시기가 일정하지 않게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의 전달도,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전달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대역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 음성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없이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단계 #8200에서부터 #8300까지의 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기능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며,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아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서버측에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1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 및 기능 구성을 도시한다.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에서의 동시전송 통화를 제어하는 서버 장치(3S)와, 복수의 단말 장치(3T1, 3T2, 3T3, 3T4, …)(이후, 단말 장치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3T)」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가 여러 가지 네트워크(3N1, 3N2, …)(이후, 네트워크를 총칭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3N)」라고 총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3N1)는 휴대전화 회사 A가 제공하고 있는 이동체 통신망으로서, 통신 방식은 CDMA 1x 방식이고, 네트워크(3N2)는 휴대전화 회사 B가 제공하고 있는 이동 통신망으로서, 통신 방식은 PHS 방식이라고 하자. 또한, 네트워크(2N3)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유선의 네트워크를 상정하고 있다. 동시전송 통화를 관리하는 서버(3S)는 각 네트워크(3N1, 3N2, …)와, LAN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서버(3S)에는 전술한 서버 장치(1S)의 기능 외에, 하향 대역폭 보존부(107),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106),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가 추가되어 있다. 하향 대역폭 보존부(107)는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단말 장치(3T)의 통신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기억해 둔다.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106)는 단말 장치(3T)의 어느 것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진 경우에, 다른 단말 장치(3T)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의 통신 레이트를 단말 장치(3T)마다 결정한다.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는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를 회의실마다 송신원인 단말 장치(3T)에 대응시켜 기억해 둔다. 또한, 단말 장치(3T)에는 전술한 단말 장치(1T)의 기능 외에,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202)가 추가되어 있다.
PTT 처리부(101)는 PTT 시스템에 참가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3T)에서 이용 가능한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단말 장치(3T)마다 대응시켜 기억해 둔다(도 12의 #12010). 하향 대역 보존부(107)의 예를 도 13에 도시한다. 하향 대역 보존부(107)는 참가자(131), 하향 대역(132)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참가자(131)의 항목에는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참가자의 사용자 ID가 설정된다. 하향 대역(132)의 항목에는 참가자의 단말 장치(3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값이 설정된다.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값의 수집은 단말 장치가 PTT 시스템의 이용 등록을 했을 때에 하더라도 좋고, PTT 시스템의 회의실로의 참가가 이루어질 때마다 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단말 장치가 발언권이나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할 때마다 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다른 단말 장치로 전달할 때에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이 통신망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경우에는, 특히 발언권이나 데이터 송신권 획득을 했을 때, 혹은 각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에, 각 단말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신망의 상태 변화에 따른 통신 대역폭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하향 대역 보존부(107)는 독립적으로 구성하더라도 좋고, 사용자 관리부(310)나 PTT 관리부(110)에 항목을 두어 관리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단말 장치(3T1)(이용자 : 호리오)가 회의실(회의실 ID : PoCSes001)에 참가하여 화상을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 장치(3T1)에, 화상을 촬영하는 화면(도 15)을 표시하여, 이용자가 조작을 한다. 촬영을 하는 조작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또한, 도 15의 예에서는,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 에, 송신처나, 우선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대 선택 버튼(BT92)을 누름으로써, 송신처 지정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송신처에는 예컨대, 회의실의 멤버나 참가자 전원의 전원에게 송신하거나, 혹은 회의의 멤버나 참가자의 일부에게 송신하는 등의 지정이 가능하다. 회의의 멤버나 참가자 일부에게 송신하는 경우에는, 송신처가 되는 멤버나 참가자의 사용자 ID 등을 지정한다. 우선도 버튼(BT93)을 누름함으로써, 우선도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선도에는 예컨대, 데이터 전달의 우선도를 지정하는 것으로, 우선도의 고저를 식별할 수 있게 설정한다.
전달 데이터 송신 레이트 제어부(202)는 그 단말 장치(3T)가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데이터의 송신 대역을 결정한다. 단말 장치(3T)에서 데이터 송신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발언권 기록부(206)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3T)가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3T)의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의 송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뺀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 한다.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 장치의 상향의 최저 보증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 한다. 한편, 여기서는, 각 단말 장치(3T)의 통신 대역폭의 상한을 최저 보증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저 보증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에 필요한 대역폭을 빼는 예를 설명했지만, 최저 보증 대역폭이 아니라,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여, 음성에 필요한 대역폭을 빼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통신망 상에서는, 음성이나 음성 이외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대한 제어 데이터나 통신망에 대한 제어 데이터도 송수신되기 때문에, 이 를 위한 통신 대역폭을 고려해 두어야 한다. 음성의 데이터나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에, 최저 보증 대역폭이 아니라,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사용한 경우, 제어 데이터의 통신 대역이 보증되지 않고, 제어 데이터 지연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통신 대역을 보다 한층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저 보증 대역보다도 큰 값인 것이 일반적인,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사용하는 쪽이 보다 효과적인 경우도 있다. 제어 데이터의 통신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송신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서, 최저 보증 대역폭을 사용하거나,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거나, 전환 가능하게 하는 등, 기준으로 하는 통신 대역폭을 변동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것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 결정한 통신 대역폭으로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서버(3S)에 송출한다.
서버(3S)는 각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수신하면(도 12의 #12020), 단말 장치의 식별자와 수신한 데이터를 대응시켜,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에 기억해 둔다(도 12의 #12030). 각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음성 이외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의 송신처나 우선도 등이 송신되어 온 경우에는, 데이터와 함께, 이들 정보도 대응시켜 기억해 둔다. 도 14로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의 예를 도시한다.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는 회의실 ID(141), 송신원 사용자(142), 송신처 사용자(143), 우선도(144), 데이터 종별(145), 용량(146), 내용(147)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의실 ID(141)의 항목에는 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회의실 ID를 설정한다. 송신원 사용자(142)의 항목에는 데이터를 송신하여 온 단말 장치(3T)의 사용자 ID를 설정한다. 송신처 사용자(143)의 항목에는 데이터 송신시에 지정된 송신처의 사용자 ID 혹은 회의실 전원이 전달 대상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설정된다. 우선도(144)의 항목에는 데이터 송신시에 지정된 우선도가 설정된다. 데이터 종별(145)의 항목에는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데이터 종별이나 파일 종별 등이 설정된다. 용량(146)의 항목에는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용량이 설정된다. 내용(147)의 항목에는 단말 장치(3T)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내용 혹은 서버(3S)의 기억부의 저장처의 어드레스 등이 설정된다.
서버(3S)에서 전달 데이터의 제어를 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권은 하나의 단말 장치에 한정되지 않더라도 좋다. 데이터 송신을 하고 싶은 단말은 다른 단말 장치가 데이터 송신 중이라도, 송신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도 14의 예에서는, 회의실 ID : PoCSes001의 회의실에는, 2개의 전달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다. 1번째 데이터는 송신원(142)이 사용자 ID : horio@fujipoc.com인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의 송신처(143)는 "회의실의 참가자 전원"이며, 우선도(144)는 "보통"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 종별(145)은 "JPEG"이며, 데이터의 용량(146)은 "1 MB", 데이터의 내용(147)은 파일명 "ABC.JPEG"로 저장되어 있다. 2번째 데이터는 송신원(142)이 사용자 ID : okuyama@fujipoc.com인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의 송신처(143)는 "사용자 ID : ohno@fujipoc.com"만이 지정되어 있다. 우선도(144)는 "급함"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 종별(145)은 "IM-MSG"이며, 용량(146)은 "1 KB"이고, 데이터의 내용(147)은 "TEL주세요"와 메시지의 내용이 그대로 저장되어 있다.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에 동일한 회의실에 복수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 경우(도 12의 #12040에서 "예"인 경우), 데이터의 전달 순서를 판정한다(도 12 #12050). 판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이 있다.
(a)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 송신시에 지정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도가 높은 것을 선택한다.
(b) 데이터 용량을 비교하여 가장 적은 것을 선택한다.
(c) 전달처로서 지정되어 있는 전달처의 사람수가 가장 많은 것을 선택한다.
(d) 이상의 조건을 조합시켜, 우선도의 고저를 판정하여, 우선도가 높은 것을 선택한다.
전달 대상의 데이터가 결정되면,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송신처(143)를 취득한다(도 12의 #12060).
또한,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하기의 순서로 결정한다.
대상이 되는 회의실에 있어서, 회의실의 참가자의 누군가가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데이터의 송신처가 회의실 참가자 전원이 아니라, 일부의 참가자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달 데이터 보존부(105)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처 사용자(143)를 참조하여, 송신처의 사용자 ID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 ID를 대상으로 하기의 판단을 한다.
발언권이 획득되어 있는 경우(도 12의 #12070에서 "예"인 경우),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의 모두를 데이터의 송신 대역으로 하고,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하향의 최저 보증 대역으로부터 음성 수신용의 대역을 뺀 값을 송신 대역으로 한다(도 12의 #12080). 발언권이 획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도 12의 #12070에서 "아니오"인 경우), 각 단말 장치의 하향 최저 보증 대역을 데이터의 송신 대역으로 한다(도 12의 #12090).
각 단말 장치(3T)마다 설정한 송신 대역에 기초하여, 각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한다(도 12의 #12100). 이에 따라, 단말 장치(3T)의 통신 대역폭이 다른 경우라도, 각 단말 장치(3T)의 통신 대역에 맞춰,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PTT 처리부(101)는 데이터의 전달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데이터의 전달이 완료되고 있지 않은 경우(도 12의 #12110에서 "아니오"인 경우), 발언권이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언권이 변경되어 있는 경우(도 12의 #12120에서 "예"인 경우), 단계 #12070으로 되돌아가, 재차 통신 대역을 수정하고, 단계 #12110에서는, 수정한 후의 통신 대역으로, 데이터를 이어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발언권의 변경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대역의 값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량의 변화에 따라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신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발언권이 획득되어 있고, 음성 데이터의 송신 중에,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당초에는 음성 이외의 데이터는 작은 통신 대역폭으로 전달되고 있지만, 발언권이 전부 없어진 경우, 통신 대역을 크게 하여 데이터의 송신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당초에 는 음성 이외의 데이터만이 송신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최대치의 통신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송신 하고 있었지만, 데이터의 송신 중에 발언권이 취득되어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면, 데이터 전달의 통신 대역폭은 음성용의 대역폭을 뺀 값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통신 대역을 작게 변경하여 데이터가 이어서 전달되기 때문에, 시기가 일정하지 않게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의 전달도,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전달인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통신 대역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 음성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없이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단계 #12110에서부터 #12120까지의 처리는 필요에 따라서 기능을 추가하면 되는 것이며,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아니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전체 단말 장치에 대하여 음성이 전달되고, 음성 이외의 데이터만이 일부의 단말 장치로 전달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성에 대해서도 일부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삭제
우선,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2T) 측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은 도 7에 예시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구성과 같게 상정한다. 또한, 단말 장치(2T1)(이용자 : 호리오)가 단말 장치(2T2)(이용자 : 오노), 단말 장치(2T3)(이용자 : 오쿠야마), 단말 장치(2T4)(이 용자 : 이케다)의 3명을 지정하여, 4명의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상정한다.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처리 흐름에 대해서도, 도 2의 단계 #2010에서부터 단계 #2073까지, 단계 #2110에서부터 단계 #2120까지 및 단계 #2800에서부터 단계 #2820까지는 동일하게 된다. 도 2와 다른 부분(단계 #2080, 단계 #2090, 단계 #2100, 단계 #2130)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2T1)에는 자신을 포함하여 4명의 멤버 이름이 일람 표시된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단말 장치(2T1)가 발언권을 요구할 때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부터 표시되는 화면(도 17)에서, 발언을 송신하는 상대를 특정하여, 발언권 취득 버튼(BT41)을 누른다. 이 예에서는, 4명 중, 표시명 : 오노의 멤버만을 발언의 상대편으로 하여 선택하고 있다.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는 발언권 취득 버튼(BT41)이 눌렸음을 나타내는 정보와, 선택된 멤버의 사용자 ID를 PTT 처리부(201)에 송신한다. PTT 처리부(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4)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를 생성하여, IP 통신부(200)를 통해 서버(2S)에 송출한다.
서버(2S)의 PTT 처리부(101)는 IP 통신부(100)를 통해, 단말 장치(2T)로부터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를 수신하면(도 16의 #1601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를 참조하여, 이미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2T)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16의 #16020). 단말 장치(2T)에서 수신한 커맨드가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가 아닌 경우에는(도 16의 #16010에서 "아니오"인 경우), 도 2의 #2800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TT 관리부(110)의 예를 도 21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언권(64)의 항목이, 또한, 획득자(65)와 상대편(66)의 2 항목으로 구성된다. 획득자(65)의 항목에는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설정되고, 상대편(66)의 항목에는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사용자의 사용자 ID가 설정된다.
삭제
이미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2T)가 존재하는 경우(도 6의 #16020에서 "예"인 경우), PTT 관리부(110)를 참조하여, 발언권 획득 요구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상대편의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가 이미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2T)의 상대편(66)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대편(66)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16의 #16030에서 "예"인 경우), 발언권의 요구를 거부하여, 요구원인 단말 장치(2T)에 통지한다(도 16의 #16050). 이 때에,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 행렬에 등록해 두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대편(66)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16의 #16030에서 "예"인 경우), 발언권을 부여하여, PTT 관리부(110)에 등록하는 동시에, 요구원인 단말 장치(2T)에 발언권 획득을 통지한다(도 16의 #16040).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2T)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6의 #16020에서 "아니오"인 경우)도, 발언권을 부여하여, PTT 관리부(110)에 등록하는 동시에, 요구원의 단말 장치(2T)에 발언권 획득을 통지한다. 또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에 대하여,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와 발언의 상대편이 되는 사용자 ID를 통지한다(도 16의 #16040). 이 때, 단말 장치(2T)는 발언권을 획득한 사용자 ID 및 발언의 상대편이 되는 사용자 ID의 통지를 수취하면, 이들 수신한 정보를 발언권 기록부(206)에 등록해 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언권 기록부(206)의 예를 도 18에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언권 기록부(206)는 획득자(181)와 상대편(182)의 2 항목으로 구성된다. 획득자(181)는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가 설정되고, 상대편(182)에는 발언의 상대편으로 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가 설정된다.
도 17의 예에서는, 호리오(사용자 ID : horio@fujiPoC.com)가 오노(사용자 ID : ohno@fujiPoC.com)를 선택하여 발언권을 요구하고 있다. 도 21의 PTT 관리부(110)의 예는, 호리오에게 발언권이 인정되어 등록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호리오가 발언권을 요구하여 온 시점에서는, 발언권(64)의 항목에는 획득자(65)로서 오쿠야마(사용자 ID : okuyama@fujipoc.com), 상대편(66)으로서 이케다(사용자 ID : ikeda@fujipoc.com)가 등록되어 있을 뿐이다. 발언권을 요구하여 온 호리오(사용자 ID : horio@fujipoc.com)는 PTT 관리부(110)의 발언권(64)의 획득자(65)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오노(사용자 ID : ohno@fujipoc.com)도 상대편(66)에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언권을 부여하여, PTT 관리부(110)에 등록하는 동시에, 호리오(사용자 ID : horio@fujipoc.com)에 발언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는 취지를 통지한다. 또한, 동일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2T)에,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와, 발 언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를 통지한다. 통지를 수취한 단말 장치(2T)는 발언권 기록부(206)(도 18)에, 새롭게 통지된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 : horio@fujipoc.com와,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2T)의 사용자 ID : ohno@fujipoc.com를 등록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상대편이 중복되지 않은 한, 발언권을 복수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상정했지만,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발언권이 하나의 단말 장치(2T)에밖에 부여하지 않도록 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발언권 획득 처리의 종료후, 도 2의 #2110으로 이행한다.
이어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의 처리 흐름을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단말 장치(2T)가 데이터 송신권을 요구한 후부터의 순서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2T)는 동일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해서, 하기의 판정을 하여, 각각의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사용할 수 있는 값을 산출한다.
단말 장치(2T)는 데이터 송신권을 취득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 송신권을 취득할 수 있으면(도 19의 #19010에서 "예"인 경우),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한 단말 장치(2T)에 대해서, 단말 장치(2T)마다, 하기의 순서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산출한다.
우선, 발언권 기억부(206)(도 18)를 참조하여,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의 단말 장치(2T)가 발언권의 상대편(182)으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발언 권의 상대편(182)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19의 #19020에서 "예"인 경우), 그 단말 장치(2T)는 음성과 데이터의 양쪽을 수신하기 위해서, 그 단말 장치(2T)의 통신 대역폭으로서, 그 단말 장치(2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의 수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뺀 값을 산출한다(도 19의 #19030). 발언권의 상대편으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19의 #19020에서 "아니오"인 경우), 그 단말 장치(2T)는 데이터만을 수신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으로서, 그 단말 장치(2T)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설정한다(도 19의 #19040).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2T)의 전부에 대해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산출을 끝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도 19의 #19050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계 #19020으로 되돌아가 미산출의 단말 장치(2T)의 처리를 계속한다.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2T)의 전부에 대해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산출을 끝내면(도 19의 #19050에서 "예"인 경우), 산출한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의 단말 장치(2T)의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으로 되는 것을 추출한다(도 19의 #19060).
또한,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가 발언권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단말 장치(2T)가 사용할 수 있는 상향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의 대역폭을 뺀 값을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발언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 단말 장치(2T)가 사용할 수 있는 상향의 통신 대역폭을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으로 한다(도 19 의 #19070).
산출한 각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최소의 값과, 산출한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을 비교한다.
산출한 각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최소의 값이, 산출한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보다도 작은 경우(도 19의 #19080에서 "예"인 경우), 산출한 각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최소의 값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한다(도 19의 #19090). 산출한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이, 산출한 각 단말 장치(2T)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최소의 값보다도 작은 경우(도 19의 #19080에서 "아니오"인 경우), 산출한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의 상향의 통신 가능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한다(도 19의 #19100).
상기 순서로 설정된 통신 대역폭으로,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2T)에, 데이터를 송신한다(도 19의 #19110).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 송신중인 통신 대역폭의 변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발언권의 설정 변경을 감시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순서를 더하더라도 좋다.
이상에 의해,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로부터 송신된 음성의 수신처나, 데이터 송신권을 획득한 단말 장치(2T)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처가 각각 회의의 멤버나 참가자의 일부라도, 각 단말 장치(2T)의 음성이나 데이터의 수신 상 황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음성에 대해서도 일부의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버(3S)측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1과 같은 구성을 상정한다. 또한,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말 장치(3T1)(이용자 : 호리오)가 단말 장치(3T2)(이용자 : 오노), 단말 장치(3T3)(이용자 : 오쿠야마), 단말 장치(3T4)(이용자 : 이케다)의 3명을 지정하여,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순서로 4명의 동시전송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20의 PTT 관리부(110)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3S)에서 통신 대역폭을 제어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0에서는, 단말 장치(3S)의 하향의 통신 대역폭의 수집을 한 후의 처리를 기재하고 있다.
도 20의 단계 #20020에서부터 단계 #20050까지는, 도 12의 단계 #12020에서부터 단계 #12050까지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20050의 우선도 판정에 있어서, 송신 대상이 된 데이터에 대해서, 그 데이터의 전달처가 되는 단말 장치(3T)를 특정하여(도 20의 #20060), 각 단말 장치(3T)마다 데이터 송신을 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산출한다.
우선, PTT 관리부(110)를 참조하여,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의 단말 장치(3T) 가 발언권의 상대편(66)으로서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발언권의 상대편으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도 20의 #20070에서 "예"인 경우), 그 단말 장치(3T)는 음성과 데이터의 양쪽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서버(3S)가 단말 장치(3T)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은 그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하향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음성에 필요한 대역폭을 뺀 값을 설정한다(도 20의 #20080). 발언권의 상대편으로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20의 #20070에서 "아니오"인 경우), 그 단말 장치(3T)는 데이터만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그 단말 장치(3T)가 사용할 수 있는 하향의 통신 대역폭을 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한다(도 20의 #20090).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3T)의 전부에 대해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산출을 끝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끝나지 않은 경우에는(도 20의 #20100에서 "아니오"인 경우) 단계 #20070으로 되돌아가 미산출의 단말 장치(3T)의 처리를 계속한다.
데이터 송신의 상대편으로서 지정된 단말 장치(3T)의 전부에 대해서, 데이터 송신에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산출을 끝내면(도 20의 #20100에서 "예"인 경우), 각 단말 장치(3T)마다, 산출 혹은 설정된 통신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도 20의 #20110).
도 20의 단계 #20120에서부터 단계 #20130까지의 처리는 도 12의 단계 #12110에서부터 단계 #12120까지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이 단계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이 기능을 실행하면 되며, 반드시 필요한 처리는 아니다.
이상에 의해, 음성에 의한 동시전송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음성 이외의 데이터를 전달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제어하여, 음성의 품질 악화를 초래하는 일없이, 음성과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이 실현된다. 또한, 데이터 전달을 할 때의 통신 대역폭을 서버로 제어하는 경우, 단말 장치마다 그 단말 장치의 통신 상황에 따라서, 통신 대역폭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회의실에 참가하고 있는 단말 장치(3T)의 통신 대역폭이 다른 경우라도, 통신 대역폭이 작은 단말 장치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음성과 음성 이외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예로 설명했지만, 영상과 영상 이외의 데이터 등, 제1 데이터의 품질이 통신에 의해서 좌우되는 것이라면, 바꿔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버 및 단말 장치에 대해서,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관한 기능만을 설명했지만, 서버 및 단말 장치는 이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을 위한 전용 장치일 필요는 없고, 다른 기능과 병용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상의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에 관하여, 더욱 이하의 부기를 개시한다.
(부기 1)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 템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지 않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유지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2)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3)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4)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각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 혹은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양쪽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인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만 지정되어 있는 이용자 단말인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5)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6)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7)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 장치가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요구하여 취득했을 때에,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것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단말이 없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8)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9)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10)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에 이용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취득했을 때에,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11)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12)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에 기재한 통신 대역 제어 방법.
(부기 13)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을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 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수단과,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에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이용자 단말마다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과,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각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부기 14)
상기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으로 송신된 제2 데이터의 전달 상황을 감시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상황 감시 수단과,
제2 데이터 전달 상황 감시 수단으로, 데이터 송신 완료를 확인할 때까지,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으로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의 변경 혹은 삭제가 발생했음을 검출하면,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으로 제2 데이터의 통신 대역폭을 재산출하고, 재산출한 후의 통신 대역폭으로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할 것을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에 지시하는 통신 대역폭 변경 지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15)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 또는 부기 14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16)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 또는 부기 14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17)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수단과,
제2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된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 기억 수단에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과,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부기 18)
상기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의 전달 상황을 감시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상황 감시 수단과,
제2 데이터 전달 상황 감시 수단으로, 데이터 송신 완료를 확인할 때까지,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으로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의 변경 혹은 삭제가 발생했음을 검출하면,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으로 제2 데이터의 통신 대역폭을 재산출하고, 재산출한 후의 통신 대역폭으로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할 것을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에 지시하는 통신 대역폭 변경 지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19)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 또는 부기 18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20)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 또는 부기 18에 기재한 서버 장치.
(부기 21)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부와,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부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설정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
(부기 22)
제2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상황 감시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부에 기억된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수단에 통신 대역폭의 재계산을 지시하는 통신 대역폭 재계산 지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3)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또는 부기 22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4)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또는 부기 22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5)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수단과,
상기 수집한 다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특정하여,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이 큰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소의 값 쪽이 큰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으로서 설정하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수단과,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에 의해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했음을 확인하면,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에 의해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다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다른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비교하여, 최소의 값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소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어느 쪽의 이용자 단말도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가능 대역폭 결정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
(부기 26)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의 송신 상황을 감시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상황 감시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상황 감시 수단으로, 데이터 송신 완료를 확인할 때까지,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으로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의 변경 혹은 삭제가 발생했음을 검출하면, 제2 데이터 통신대 역폭 산출 수단으로 제2 데이터의 통신 대역폭을 재산출하고, 재산출한 후의 통신 대역폭으로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할 것을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에 지시하는 통신 대역폭 변경 지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7)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 또는 부기 26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8)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5 또는 부기 26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29)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수단과,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취득했을 때에,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수단에 의해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
(부기 30)
상기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제2 데이터의 송신 상황을 감시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상황 감시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 상황 감시 수단으로, 데이터 송신 완료를 확인할 때까지,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으로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의 변경 혹은 삭제가 발생했음을 검출하면,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수단으로 제2 데이터의 통신 대역폭을 재산출하고, 재산출한 후의 통신 대역폭으로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할 것을 제2 데이터 송신 수단에 지시하는 통신 대역폭 변경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31)
상기 제1 데이터는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지는 않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 또는 부기 30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32)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데이터는 음성 이외의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9 또는 부기 30에 기재한 이용자 단말.
(부기 33)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단계 와,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을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와,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단계와,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에서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에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이용자 단말마다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며,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과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단계와,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각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부기 34)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수집 기억 단계와,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와,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단계와,
제2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된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 기억 단계에 의해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에 제1 데 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산출하는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단계와,
제2 데이터 통신 대역폭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를 위한 프로그램.
(부기 35)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 단계와,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제1 데이터 송신권 취득 상황 관리 단계에서 기억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 송신 대역 제어 단계에서 설정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을 위한 프로그램.
(부기 36)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용자 단말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단계와,
상기 수집한 다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이 큰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최소의 값 쪽이 큰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을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으로서 설정하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단계와,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계에서 기억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했음을 확인하면,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계에서 기억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가능 대역폭 설정 단계에서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의 값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 하고, 다른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다른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수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비교하여, 최소의 값을 특정하고, 특정된 최소의 값과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비교하여,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의 통신 가능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 폭으로 하고, 최소의 값 쪽이 작은 경우에는 최소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며, 어느 쪽의 이용자 단말도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통신 가능 대역폭 결정 단계에서 산출된 자신의 통신 가능 대역폭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단계에서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을 위한 프로그램.
(부기 37)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의 이용자 단말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각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수집하여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이용자 단말 통신 대역 관리 단계와,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상황 통지를 수신하여,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록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제어 단 계와,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취득했을 때에,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통신 대역폭을 뺀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처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여, 각 이용자 단말마다 계산된 통신 대역폭 중 최소의 값을 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으로부터 제1 데이터의 송신에 필요한 값을 뺀 값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과 상기 구한 최소의 값을 비교하여, 작은 쪽의 값을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으로서 설정하는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단계와,
제2 데이터 송신 통신 대역 제어 단계에서 산출된 통신 대역폭으로써,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송신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용자 단말을 위한 프로그램.
본 발명은, 특정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사이에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으로서, 특히 특정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하나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을 접수하여, 다른 이용자 단말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가 송수신되어, 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품질이 통신 상황에 좌우되는 경우에 특히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데이터의 품질을 악화시키는 일없이, 제1 데이터 이외의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특히, 청구항들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이 이용자 단말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도, 다른 이용자 단말의 통신 대역에 좌우되지 않고, 이용자 단말마다 이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에 따른 통신 대역폭이 설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통신 대역을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단말에의 제2 데이터의 전달은 이용자 단말이 허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한 이용자 단말로부터 고의로 대량의 제2 데이터가 송신되더라도, 제1 데이터의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에 따르면,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갖는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를 서버 장치에 업로드할 때에도 통신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들에 따르면, 제2 데이터의 송신을 획득한 이용자 단말이 다른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다른 이용자 단말의 단말마다 제2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대역폭을 산출하여 비교하여 최소의 값을 추출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고 있는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과 비교하여, 제2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통신 대역폭을 설정하기 때문에, 이용자 단말마다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이 다른 경우라도, 어느 이용자 단말에도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을 넘어 제2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일이 없고, 제1 데이터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제2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데이터가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 음성이나 영상 이외의 정보도 송수신하면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때에 음성이나 영상 이외의 정보의 송수신에 의한 음성이나 영상의 품질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제2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요구하는 제2 데이터 송신권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요구하는 이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정보와 제2 데이터 송신권을 부여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해 두고,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2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2 데이터 송신권을 부여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에 제2 데이터 송신권을 부여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2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실시간성일 필요는 없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데이터 송신 제어 방법.
  4.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로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을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고,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을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과,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수단과,
    제2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에 상기 2 데이터를 송신해 온 이용자 단말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해 온 이용자가 제2 데이터 송신권 관리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각 이용자 단말에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실시간성일 필요는 없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이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획득하여 제1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제1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이용자 단말의 다른 이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에 이하의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복수의 이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권을 부여하고, 제1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1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1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와,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의 획득 요구에 따라서,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와,
    이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기억해 두는 제2 데이터 기억 단계와,
    제2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된 제2 데이터의 송신처의 이용자 단말에 대해서, 그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 송신권 관리 단계에 의해 기억된 데이터베이스에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로서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 이용자 단말이 제2 데이터의 송신권을 부여한 이용자 단말로서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지정된 이용자 단말로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 데이터 전달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서버 장치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실시간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반드시 실시간성일 필요는 없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제1 데이터를 제외한 다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60092907A 2004-09-02 2006-09-25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93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6066A JP4029873B2 (ja) 2004-09-02 2004-09-02 同報通話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帯域制御方法、同報通話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サーバ装置および利用者端末、プログラム
JPJP-P-2004-00256066 2004-09-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9475A Division KR100679507B1 (ko) 2004-09-02 2005-07-29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582A KR20060108582A (ko) 2006-10-18
KR100893708B1 true KR100893708B1 (ko) 2009-04-20

Family

ID=351068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9475A KR100679507B1 (ko) 2004-09-02 2005-07-29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92907A KR100893708B1 (ko) 2004-09-02 2006-09-25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69475A KR100679507B1 (ko) 2004-09-02 2005-07-29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17640B2 (ko)
EP (2) EP1633091B1 (ko)
JP (1) JP4029873B2 (ko)
KR (2) KR100679507B1 (ko)
CN (2) CN101267327A (ko)
DE (1) DE60200501858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2722A1 (ja) * 2005-12-20 2007-06-28 Ne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0992625B1 (ko) * 2006-05-04 2010-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T Box 이용을 위한 PT 세션 설정 방법 및 단말
JP4883566B2 (ja) * 2006-08-07 2012-02-2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サーバ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グループ通信方法
KR100966047B1 (ko) * 2006-08-25 2010-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미디어 송신 방법 및 장치
US11212733B2 (en) 2007-10-08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wireless transmission based on node status
US8170596B2 (en) 2009-01-23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Secondary data transmission in a group communication transmission data stream
KR102148341B1 (ko) * 2012-01-20 2020-10-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의 우선권 설정 방법 및 장치
JP6175996B2 (ja) * 2013-08-30 2017-08-09 株式会社リコー 管理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伝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3655B1 (ko) 2016-11-30 2018-07-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니터링 화면 표시 방법
US10929081B1 (en) * 2017-06-06 2021-02-23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Context management for multiple devices
JP2020123188A (ja) * 2019-01-31 2020-08-1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WO2021038725A1 (ja) * 2019-08-27 2021-03-04 株式会社サイエンスアーツ 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WO2023047251A1 (en) * 2021-09-22 2023-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mission of multiple audio sources through a dect system
CN115174408B (zh) * 2022-06-20 2024-01-0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3773A1 (en) * 1998-06-03 1999-12-09 Orang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Limited Dynamic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s-system
US20020093948A1 (en) * 2001-01-16 2002-07-18 Motorola, Inc.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one or more wireless links
US20040076118A1 (en) * 1998-12-24 2004-04-22 Alcatel Canada Inc. Explicit rate flow control for multicast connections
US20040120474A1 (en) * 2001-04-17 2004-06-24 Jussi Loppone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20040131042A1 (en) * 2002-12-31 2004-07-08 Lillie Ross J.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individual directed sessions in a communication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137B1 (ko) 1995-12-18 1999-12-01 윤종용 인덱싱을 이용한 회의내용 기록과 검색 방법 및 그 화상회의시스템
US5974034A (en) * 1997-01-16 1999-10-26 Gw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wide and local area communications utilizing a single frequency
JP2002522998A (ja) 1998-08-17 2002-07-23 ネット トーク、インク. インターネットおよびイントラネットを含むローカルおよびグローバルネットワークによるオーディオ会議用のコンピューター・アーキテクチャーおよびプロセス
JP3558912B2 (ja) 1999-02-24 2004-08-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多地点会議装置
US7113738B2 (en) * 2000-12-15 2006-09-26 The Fantastic Ip Gmbh Decision support method for planning broadcast transmissions
ES2186531B1 (es) 2001-04-19 2005-03-16 Diseño De Sistemas En Silicio, S.A. Procedimiento de acceso multiple y multiple transmision de datos para un sistema multiusuario de transmision digital de datos punto a multipunto sobre red electrica.
US7072344B2 (en) * 2001-07-16 2006-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istribution of excess bandwidth in networks for optimized performance of voice and data sessions: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US7170858B2 (en) * 2002-05-29 2007-01-30 Lucent Technologies Inc. Rate control for multiplexed voice an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218644B1 (en) * 2002-05-29 2007-05-15 Nokia Corporatio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bluetooth access point connections
US8150922B2 (en) 2002-07-17 2012-04-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Voice and text group chat display management techniques for wireless mobile terminals
US7366780B2 (en) * 2002-12-31 2008-04-29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sessions between endpoints in a communications system
SE0300555D0 (sv) 2003-02-24 2003-02-24 Ericsson Telefon Ab L 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ush-to-talk services
KR20040093802A (ko) * 2003-04-30 2004-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호 서비스를 위한 무선 링크관리 방법
KR20050024772A (ko) * 2003-09-03 2005-03-11 주식회사 세유기술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 겸용 Dual-Band 지능형 무선송수신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3773A1 (en) * 1998-06-03 1999-12-09 Orang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Limited Dynamic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s-system
US20040076118A1 (en) * 1998-12-24 2004-04-22 Alcatel Canada Inc. Explicit rate flow control for multicast connections
US20020093948A1 (en) * 2001-01-16 2002-07-18 Motorola, Inc.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one or more wireless links
US20040120474A1 (en) * 2001-04-17 2004-06-24 Jussi Lopponen Packet mode speech communication
US20040131042A1 (en) * 2002-12-31 2004-07-08 Lillie Ross J.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individual directed sessions in a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74496A (ja) 2006-03-16
CN100395998C (zh) 2008-06-18
DE602005018580D1 (de) 2010-02-11
CN1744516A (zh) 2006-03-08
US20090216891A1 (en) 2009-08-27
JP4029873B2 (ja) 2008-01-09
EP2154823A1 (en) 2010-02-17
KR20060048935A (ko) 2006-05-18
US20060075095A1 (en) 2006-04-06
EP1633091A1 (en) 2006-03-08
EP1633091B1 (en) 2009-12-30
KR20060108582A (ko) 2006-10-18
CN101267327A (zh) 2008-09-17
US7917640B2 (en) 2011-03-29
KR100679507B1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08B1 (ko) 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대역 제어 방법,동시전송 통화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 장치 및 이용자단말,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66297B1 (ko) 동시 다중 PoC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4392043B2 (ja) PoCシステムの応答モードに基盤するPoC呼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25403B1 (ko) PoC 시스템에서 PoC 그룹 세션 개설을 위한 방법과단말기 및 그 시스템
KR101250589B1 (ko) 멀티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멀티미디어PoC 세션 개설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CN101502012A (zh) 提供一键通通信会话的方法和系统
KR20070108311A (ko)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KR101292464B1 (ko) PoC 시스템에서의 PoC 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20090024743A1 (en) Media session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ontrol relation negotiation method and control device and system
US75774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opinions of push-to-talk over cellular participants in push-to-talk over cellular network
CN104754520B (zh) 全业务点对点通信方法、系统、终端和网络设备
WO2008052488A1 (fr) Procede de traitement associe d&#39;informations de service et serveur de service
KR101343664B1 (ko) PoC 세션에서 지원하는 미디어 타입 관리 방법 및 이를구현하기 위한 PoC 시스템과 PoC 단말
US75229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eting floor in PoC system
KR101252860B1 (ko) PoC 시스템에서 PoC 박스에 저장된 미디어 제공 방법
KR101289978B1 (ko) 세션에서 그룹 정보 전달과 적용을 위한 방법
KR101277860B1 (ko)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KR101290969B1 (ko) 미디어 타입별 서로 다른 응답 모드를 가진 PoC 세션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407778B1 (ko) PoC 세션 개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과 PoC 단말
KR20090035361A (ko)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라 세션 개설 시스템 및 방법
KR100672336B1 (ko)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KR20070075649A (ko) PoC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PoC 세션 참가자 정보제공 방법과 단말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80074514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70108325A (ko)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KR20080064068A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