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336B1 -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336B1
KR100672336B1 KR1020050066866A KR20050066866A KR100672336B1 KR 100672336 B1 KR100672336 B1 KR 100672336B1 KR 1020050066866 A KR1020050066866 A KR 1020050066866A KR 20050066866 A KR20050066866 A KR 20050066866A KR 100672336 B1 KR100672336 B1 KR 10067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ll
mobile communication
talk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3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 H04M3/566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relating to a participants right to spea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PTT(Push-To-Talk)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언권이 요청되면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가 상기 발언권 부여를 PPT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PPT 서버가 상기 발언권을 요청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과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가 나머지 참여자들의 발언권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그룹통화, PTT(Push-To-Talk), 발언권(floor)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Method of Floor Management for Group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Group Call System for Floor Manage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그룹통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자간의 동시 그룹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가 나머지 참여자들의 발언권을 관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간 혹은 유선 전화기와 이 동통신 단말기 간에 일 대 일의 통화가 수행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시에 참여하여 그룹으로 음성 혹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는 그룹통화 서비스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상의 그룹통화 서비스는 수백 명의 가입자가 동시에 그룹 통화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역적 한계를 뛰어 넘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자간 원격 회의 등과 같은 유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룹통화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점대다지점 통신으로 알려져 있는 PTT(Push-To-Talk) 서비스라고도 한다. PTT 서비스는, 사용자가 로그인한 상태에서 단말에서 표시되고 있는 동료, 친구 혹은 일반 사용자 중 음성통화를 원하는 그룹 혹은 사용자를 선택하고 PTT 서비스를 호출하면, PTT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 1:1 혹은 그룹간의 통화 경로를 설정한 후 상기 설정된 통화 경로를 통해서 상호 통화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PTT 서비스는 일반 통화와는 달리 PTT 버튼만 누르고 바로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3명 이상의 참여자들에 의한 그룹통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현재의 그룹통화에 3명의 사용자가 참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PTT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UE(User Equipment)#1, UE#2 그리고 UE#3로 표현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통화를 위한 시스템은, 상기 UE#1, 상기 UE#2, 상기 UE#3, 이동통신망, PTT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E#1이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데이터(음성 혹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PTT 서버로 발언권 해제(Floor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10). 상기 PTT 서버는, 모든 단말기(UE#1, UE#2, UE#3)에 발언권이 아이들 상태(Floor Idl)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11, 12, 13). 일반적으로, 발언권을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던 상기 UE#1에게 Floor Idl를 마지막으로 전송한다(13).
그 후, 상기 UE#2와 상기 UE#3가 각각 자신의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발언권 요청(Floor Request) 메시지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한다(14, 15). 상기 PTT 서버가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일반적으로 먼저 수신한 사용자의 메시지를 먼저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PTT 서버는,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먼저 전송한 상기 UE#2에게 발언권을 부여하고(16), 상기 UE#1과 상기 UE#3에게 발언권이 상기 UE#2에게 있음을 알린다(17, 18). 그리고 상기 PTT 서버는, 상기 UE#3의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발언권 거부(Floor Deny) 메시지를 상기 UE#3에게 전송한다(19).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UE#2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하고(20), 상기 PTT 서버는 상기 UE#2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UE#1과 상기 UE#3에게 전송한다(21, 22). 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끝난 상기 UE#2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다(23).
상기 UE#2가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발언권을 가진 사용자가 아무도 없으므로, 상기 PTT 서버는 다시 Floor Idl을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한다(24, 25, 26). 일정 시간이 지났는데도(27) 모든 사용자로부터 발언권 요청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Floor Idl을 모든 사용자에게 전송한다(28, 29, 3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실시간전송프로토콜(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이하 'RTP'라 함.)을 사용하고, 나머지 메시지 전송을 위해서는 실시간전송제어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이하 'RTCP'라 함.)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의 부여 혹은 해제 등을 PTT 서버가 관리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시각에 데이터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발언권 획득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여 효율적인 그룹통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TT 서버의 발언권 관리로 인하여, 회의를 주재하는 자가 있는 실제 회의와 같은 상황을 연출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동시 그룹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가 나머지 참여자들의 발언권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발언권 획득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그룹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룹통화 참여자 중의 한 사람이 발언권을 관리함에 따라, 실제 오프라인 회의와 같은 상황을 연출하도록 하여 현실적인 그룹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TT(Push-To-Talk)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일 특징은, 상기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언권이 요청되면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가 상기 발언권 부여를 PPT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PPT 서버가 상기 발언권을 요청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TT(Push-To-Talk)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PTT 서버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의 일 특징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하는 그룹통화 주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PTT 서버가 상기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PPT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PPT 서버에 의해 나머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정보와 화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언권 요청 및 발언권 부여는 실시간전송제어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가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해제하라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 전송은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DMB폰,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현재 그룹통화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총 3명이고,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PTT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각각 UE(User Equipment)#1, UE#2 그리고 UE#3로 표현하기로 하고,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UE#1로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먼저, 상기 UE#3은, 상기 UE#1에게 발언권을 요청한다[S200].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언권 요청은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이라 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상기 UE#1은, 상기 UE#3의 요청에 따라 상기 UE#3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도록 PTT 서버에게 요청한다[S210]. 여기서, 상기 UE#1의 요청시 사용되는 전송 프로토콜은 RTCP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E#1의 요청시에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이용할 수 있다. URI는 SIP에서 각 사용자의 고유한 아이덴티티(identity)를 의미한다.
그 후, 상기 PTT 서버는, 상기 UE#1의 요청에 따라 발언권을 요청한 상기 UE#3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S220]. 상기 발언권 부여시에는 RTCP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UE#3은,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하고[S230], 상기 PTT 서버는, UE#3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미디어 데이터를 나머지 그룹통화 참여자인 UE#1과 UE#2에게 전송한다[S240, S250].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정보와 화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룹 화상 회의인 경우, 음성정보와 화상정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데이터 전송은 RTP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선택사항으로서, 상기 PTT 서버는, 상기 UE#1에게 상기 UE#3에 대한 발언권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S260]. 상기 PTT 서버의 발언권 해제 요청은, 상기 PTT 서버의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상기 UE#3이 발언권을 갖는 시간이 더 길면, 상기 UE#3의 발언권이 너무 오래 지속된다고 판단하여 발언권 해제를 요청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언권 해제 요청은, RTCP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PT 서버는 상기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테이블 값으로 갖는다.
그 후, 상기 PTT 서버의 요청을 받은 상기 UE#1은, 상기 발언권 해제 요청에 따라,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상기 UE#3에게 전송할 수 있다[S270].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가 상기 UE#3에게 전송되면, 상기 UE#3의 사용자는 상기 UE#3의 화면에서 발언권을 해제하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의 전송은 SIP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E#1은 상기 PTT 서버의 요청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기 UE#1의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상기 UE#3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UE#1, UE#2, 그리고 UE#3가 그룹통화에 참여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UE#2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UE#2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미디어 데이터(음성 혹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301), PTT 서버로 발언권 해제(Floor 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302). 상기 PTT 서버는, 모든 단말기에 발언권이 아이들 상태(Floor Idl)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303, 304, 305). 바람직하게는, 발언권을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던 상기 UE#2에게 Floor Idl를 마지막으로 전송할 수 있다(305).
그 후, 상기 UE#3가 자신의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해 제 1 발언권 요청(Floor Request) 메시지를 상기 UE#1에게 전송한다(306). 상기 UE#1은, 상기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UE#3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라는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한다(307). 상기 PTT 서버는, 상기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UE#3에게 발언권을 부여하고(308), 상기 UE#1과 상기 UE#2에게 발언권이 상기 UE#3에게 있음을 알린다(309, 310).
발언권을 획득한 상기 UE#3은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하고(311), 상기 PTT 서버는 상기 UE#3으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UE#1과 상기 UE#2에게 전송한다(312, 313). 상기 UE#1은, 상기 UE#3가 발언권을 가지고 있는 시간을 체크하여(320), 상기 체크된 시간이 상기 PPT 서버의 타이머에 미리 설정된 발언 시간보다 길다고 판단되면, 상기 발언권을 해제하라는 메시지를 상기 UE#3에게 전송한다(314).
여기서, 각각의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세부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그룹통화 시스템은, PTT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400, 410, 420), 이동통신망(430) 및 PTT 서버(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현재 그룹통화에 참여하는 사용자는 총 3명이고, 각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각각 UE#1(400), UE#2(410) 그리고 UE#3(420)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상기 UE#1(400)로 하기로 하고,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는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
상기 UE#3(420)은, 상기 UE#1(400)에게 상기 이동통신망(430)을 통하여 자신에게 발언권을 부여해 달라는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200]. 상기 UE#1(400)은, 상기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PTT 서버(440)로 상기 UE#3(420)에게 발언권을 부여하라는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430)을 통하여 전송한다[S210]. 상기 PTT 서버(440)는, 상기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UE#3(420)에게 발언권을 부여한다[S220].
그리고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UE#3(420)은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망(430)을 통하여 상기 UE#1(400)과 상기 UE#2(410)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기 PTT 서버(440)는, 상기 UE#3(420)의 발언권이 상기 PPT 서버의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상기 발언권이 너무 오래 지속한다고 판단하여, 상기 UE#3(420)의 발언권을 그만 해제하라는 제 1 발언권 해제 요청 메시지를 상기 UE#1(400)에게 상기 이동통신망(430)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1(400)은, 상기 제 1 발언권 해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UE#3(420)에게 발언권을 해제하라는 제 2 발언권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E#1(400)은, 상기 PTT 서버(440)의 요청이 없더라도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상기 제 2 발언권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기타 사항에 대한 세부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그룹통화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 그룹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사용자가 나머지 참여자들의 발언권을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발언권 획득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효율적인 그룹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그룹통화 참여자 중의 한 사람이 발언권을 관리함에 따라, 실제 오프라인 회의와 같은 상황을 연출하도록 하여 현실적인 그룹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PTT(Push-To-Talk)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가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발언권이 요청되면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가 상기 발언권 부여를 PPT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PPT 서버가 상기 발언권을 요청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PPT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PPT 서버에 의해 나머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정보와 화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 및 발언권 부여는 실시간전송제어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가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해제하라는 발언권 해제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해제 메시지 전송은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PTT(Push-To-Talk) 기능이 구현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 PTT 서버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상기 PTT 서버로 전송하는 그룹통화 주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발언권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PTT 서버가 상기 제 1 발언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단말기에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이 부여된 단말기는 상기 발언권을 획득한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나머지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정보와 화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통화를 주재하는 단말기에 발언권을 요청하는 단계는 세션설정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권 요청 및 발언권 부여는 실시간전송제어프로토콜(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갖는 그룹통화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50066866A 2005-07-22 2005-07-22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KR10067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66A KR100672336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866A KR100672336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336B1 true KR100672336B1 (ko) 2007-01-24

Family

ID=3801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866A KR100672336B1 (ko) 2005-07-22 2005-07-22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3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44B1 (ko) 2001-11-06 2004-07-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내에서의 보드간 통신 방법
KR100453491B1 (ko) 2002-09-17 2004-10-15 김제용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444B1 (ko) 2001-11-06 2004-07-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내에서의 보드간 통신 방법
KR100453491B1 (ko) 2002-09-17 2004-10-15 김제용 네트워크를 통한 화상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3348C (zh) 在支持一键通业务的组通信系统中提供语音突发权限的方法和设备
US8477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dia stream queues based on control
RU240723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риглашений на много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сеанс связи
US76935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rging multiple push-to-talk over cellular sessions
US84377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alk time for PoC user
US8112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group information by an invited user during a session
US8229487B2 (en) PTT server, gate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800073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ush to talk type service
US20070019595A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for controlling user's floor and method thereof
CN108347337B (zh) 会议通信方法和装置
US7983199B1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push-to-talk communication system
US78532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one or more media streams within a single PoC session
KR20070108311A (ko) PoC 시스템에서의 멀티 미디어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위한 발언권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및 단말장치
US79660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viding single PoC group session
KR101177948B1 (ko) PoC 시스템에서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단말 장치 및 방법과 미디어 전송 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PoC 시스템
CN101132554B (zh) 通信终端设备、会议服务器装置以及相关方法
KR2008007388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085704B1 (ko)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시스템의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07053487A (ja) 発言権管理システム、発言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72336B1 (ko) 이동통신망에서 그룹통화를 위한 발언권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그룹통화 시스템
KR101104704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
KR100723673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및 시스템
KR1007514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그룹 통신 방법
JP2006324925A (ja) 会議システム、会議管理方法および会議管理装置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