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502B1 - 필터백 케이지 - Google Patents

필터백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502B1
KR100893502B1 KR1020070114450A KR20070114450A KR100893502B1 KR 100893502 B1 KR100893502 B1 KR 100893502B1 KR 1020070114450 A KR1020070114450 A KR 1020070114450A KR 20070114450 A KR20070114450 A KR 20070114450A KR 100893502 B1 KR100893502 B1 KR 10089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g
support bar
filter
suppor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김용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Priority to KR102007011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어 외부여과포와 내부여과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에 의해 여과포의 집진면적을 넓혀 집진효율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백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바(51)와, 이 지지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지지링(52)과, 상기 지지바(51)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부캡(53)과 하부캡(54)과, 상기 지지바(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위치되는 걸이수단(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바(51)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부여과포(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5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여과포(31)의 하단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콘형상의 내부여과포(3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여과포(32)는 그 상단이 상기 걸이수단(55)에 의해 지지되는 필터백 케이지가 제공된다.
필터백, 외부여과포, 내부여과포, 케이지, 걸이수단

Description

필터백 케이지{Filter bag cage}
본 발명은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 및 탈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외부에서 집진과 탈진이 이루어지는 필터백에 구비되는 필터백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섬유, 화학 등의 제조공장이나 금속 등을 가공하는 공장에서 제조 또는 가공시에 배출되는 배기가스나 미세분진 및 산업폐기물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집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집진기는 집진하는 방식에 따라 사이클론에 의한 원심력 집진기 혹은 필터백에 의한 여과 집진기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과 집진기의 집진능력과 크기 및 중량 등은 그 내부에 내장되는 필터백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필터백은 대개 외주면이 매끈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수개가 집진기에 내장되는 것으로, 집진대상의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과 사용온도 그리고 집진대상의 특성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또는 테프론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며, 원하는 필터링 효율에 따라 내장되는 필터백의 개수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백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집진기의 크기는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르는 시설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같은 크기의 필터백에서 자체의 필터링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외주의 표면적을 늘리는 방법에 의해 필터백을 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필터백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외부에 커버되는 여과포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지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바(11)가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바(11)의 상단은 중공의 상부캡(12)이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11)의 하단은 하부캡(12)에 의해 커버되어 막힌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용접된 다수의 지지링(14)에 의해 고정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한 케이지(10)의 외부에 여과포가 커버되어 하나의 필터백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지(10)를 포함하여 제작되는 필터백은 그 상단이 집진기에 결합되어 케이지(10)의 외주면에 커버되는 여과포에 의해서만 집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처럼 케이지(10)의 하부가 하부캡(13)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케이지(10)의 외주면에만 여과포가 구비된 필터백에 의해서는 여과포의 집진면적을 넓히는데 한계가 있어 집진효율의 향상을 기대하기 힘들뿐만 아니라 종래처럼 하부가 폐쇄된 케이지(10)에 의해서는 케이지(10)의 내측에 여과포를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외부여과포와 내부여과포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에 의해 여과포의 집진면적을 넓혀 집진효율을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필터백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필터백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바(51)와, 이 지지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지지링(52)과, 상기 지지바(51)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부캡(53)과 하부캡(54)과, 상기 지지바(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위치되는 걸이수단(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바(51)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부여과포(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5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여과포(31)의 하단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콘형상의 내부여과포(3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여과포(32)는 그 상단이 상기 걸이수단(5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케이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걸이수단(55)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5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와이어 형상의 걸이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바(56)는 양단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케이지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케이지(50)의 내외부에 여과포(31,32)가 구비되는 필터백(30)을 제작하기 위해서 원통형상으로 배치된 지지바(51)의 하단에 중공의 하부캡(54)이 구비되어 내부여과포(32)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바(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상단에 근접된 위치에는 지지바(51)에 결합된 걸이수단(55)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여과포(32)를 팽팽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집진면적으로 대폭적으로 넓힐 수 있는 필터백(3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종래에 비해 내부여과포(32)가 더 추가되더라도 이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바(51)가 더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걸이수단(55)에 의해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상의 번거로움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걸이수단(55)은 양단이 서로 다른 지지바(5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와이어 형상의 걸이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양단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V자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집진 또는 탈진시에 내부여과포(32)가 걸이바(56)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중앙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내부여과포(32)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해 제작된 필터백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지가 구비된 필터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지(50)가 구비된 필터백(30)은 집진기(20)의 하우징(21)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백(30)의 상부에는 필터백(30)의 내부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블로우관(2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블로우관(22)에는 상기 필터백(30)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분사노즐(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백(30)의 상단에는 벤츄리관(33)이 결합되어 탈진시에 상기 분사노즐(23)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을 더욱 가압시켜 필터백(30)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기(20)는 상기 하우징(21)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24)를 통하여 분진이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분진은 본 발명의 필터백(30)에 의해 집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에 분진은 외부여과포(31)의 외주면과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내부여과포(32)의 표면을 통하여 집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같은 크기의 종래의 필터백에 비해 집진되는 표면적이 대폭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백(30)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백(30)은 프레임을 형성하여 여과포(31,32)를 지지하도록 케이지(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케이지(50)의 외부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부여과포(3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지(50) 하단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하단의 내측 둘레에는 상부로 연장되어 콘형상을 이루는 내부여과포(3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여과포(31)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지(50)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삽입된 벤츄리관(35)이 더 결합되어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케이지(5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바(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바(51)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지지링(52)에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51)의 상하 단부에는 각각 중공의 상부캡(53)과 하부캡(54)에 의해 내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상단에 근접된 위치에는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걸이바(56)를 포함하는 걸이수단(55)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케이지(50)의 외주면에는 전술된 외부여과포(31)가 원통형상으로 커버되고, 상기 케이지(50)의 개방된 하단에는 내측 상부로 연장되어 콘형상을 이루는 전술된 내부여과포(32)가 구비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수단(55)은 양단이 서로 다른 지지바(5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와이어 형상의 걸이바(56)와 이 걸이바(56)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링(5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연결링(57)에는 상기 내부여과포(32)의 상단에 구비된 연결줄(34) 또는 연결고리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바(56)는 양단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링(57)은 항상 상기 걸이바(56)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여과포(32)를 지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연결링(57)이 걸이바(5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됨이 없이 상기 내부여과포(3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여과포(32)는 외부여과포(31)처럼 지지바(51)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걸이수단(55)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걸이수단(55)은 내부여과포(32)를 상부로 당기면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이바(56)가 와이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탈진시에 필터백(30)의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가 방해됨이 없도록 그 면적으로 최소로 하여 공기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필터백 케이지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필터백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필터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필터백 케이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구성도

Claims (2)

  1.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지지바(51)와, 이 지지바(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지지링(52)과, 상기 지지바(51)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상하단에 구비되며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상부캡(53)과 하부캡(54)과, 상기 지지바(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위치되는 걸이수단(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바(51)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외부여과포(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51)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여과포(31)의 하단 둘레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콘형상의 내부여과포(3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여과포(32)는 그 상단이 상기 걸이수단(5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케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55)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바(51)에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와이어 형상의 걸이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바(56)는 양단에 비해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백 케이지.
KR1020070114450A 2007-11-09 2007-11-09 필터백 케이지 KR100893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50A KR100893502B1 (ko) 2007-11-09 2007-11-09 필터백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450A KR100893502B1 (ko) 2007-11-09 2007-11-09 필터백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502B1 true KR100893502B1 (ko) 2009-04-15

Family

ID=4075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450A KR100893502B1 (ko) 2007-11-09 2007-11-09 필터백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5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26B1 (ko) * 2012-02-16 2014-04-16 김원자 교체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CN108671649A (zh) * 2018-05-09 2018-10-19 江苏东方滤袋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除尘滤袋
CN116688664A (zh) * 2023-05-10 2023-09-05 盐城市群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脉冲式反吹除尘器的布袋支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855A (ja) * 1992-01-14 1993-07-27 Takuma Co Ltd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JPH07251020A (ja) * 1994-03-11 1995-10-03 Asamasu Kk 分割式フィルターバッグ
KR100790334B1 (ko) *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집진기용 필터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855A (ja) * 1992-01-14 1993-07-27 Takuma Co Ltd 排ガス処理装置及び排ガス処理方法
JPH07251020A (ja) * 1994-03-11 1995-10-03 Asamasu Kk 分割式フィルターバッグ
KR100790334B1 (ko) * 2007-06-22 2008-01-03 주식회사 신성플랜트 집진기용 필터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26B1 (ko) * 2012-02-16 2014-04-16 김원자 교체가 용이한 집진기용 필터백
CN108671649A (zh) * 2018-05-09 2018-10-19 江苏东方滤袋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除尘滤袋
CN116688664A (zh) * 2023-05-10 2023-09-05 盐城市群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脉冲式反吹除尘器的布袋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334B1 (ko) 집진기용 필터백
ES2399211T3 (es) Elemento de filtro para la depuración de una corriente de aire cargada con partículas, así como dispositivo de filtración equipado con este elemento
US4336035A (en) Dust collector and filter bags therefor
CN102711951B (zh) 过滤器
RU2004131525A (ru) Каркас фильтровального мешка
CN206535336U (zh) 带清灰装置的布袋除尘器
KR100893502B1 (ko) 필터백 케이지
JPS6112734B2 (ko)
CN1455697A (zh) 过滤气体的过滤装置
KR102204348B1 (ko) 인입 개스로 셀프워싱하는 집진기
US3890290A (en) Apparatus for filtering particulate matter from a fluid stream
KR100973294B1 (ko) 여과집진장치
SU1367843A3 (ru) Фильт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CN210206226U (zh) 袋式除尘器笼骨
CN209501087U (zh) 一种便于安装的除尘布袋
CN206121356U (zh) 一种耐高温袋式除尘器
CN111617566A (zh) 一种布袋除尘器
CN205164395U (zh) 一种旋风过滤式除尘器
KR102204350B1 (ko) 에어블로잉으로 역세하는 집진기
CN215782196U (zh) 烟化炉袋式除尘器
CN214863384U (zh) 一种伞形釜底放料防落灰装置
CN208809656U (zh) 一种用于支撑滤袋的框架
CN209405878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扁形过滤袋
CN209221719U (zh) 袋笼及布袋除尘器
CN209307683U (zh) 除屑器和洗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