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288B1 -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288B1
KR100893288B1 KR1020070126921A KR20070126921A KR100893288B1 KR 100893288 B1 KR100893288 B1 KR 100893288B1 KR 1020070126921 A KR1020070126921 A KR 1020070126921A KR 20070126921 A KR20070126921 A KR 20070126921A KR 100893288 B1 KR100893288 B1 KR 10089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passenger seat
housing
airbag
seat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5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complex motion of the cover; Retraction under the lining dur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18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a lock unlocked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에 장착된 에어백의 작동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키의 삽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과 로터에 일측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고 접점부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에 효과적이며, 작동키에 의해 로터가 중간부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멈추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조수석 에어백, 스위치, 로터, 리턴 스프링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Key Switch for Operating Passenger Air-Bag}
본 발명은 조수석에 장착된 에어백의 작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키의 삽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과 로터에 일측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고 접점부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에 효과적이며, 작동키에 의해 로터가 중간부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멈추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북미 수출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방식은 조수석 승객의 유무 및 크기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에어백과 조수석 승객의 위치가 가까우면 에어백이 작동해제되고 에어백과 승객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에어백이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시트트랙의 위치센서를 통해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및 작동해제되도록 자동으로 제어되고 있다.
반면에, 유럽 수출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방식은 승객감지센서 또는 위치센서 등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지 않고, 운전자가 작동키를 이용하여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도록 조작하는 방식에 따르고 있다. 즉, 유럽 수출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은 운전자의 임의적 판단 아래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 상태가 되어 충돌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고,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작동해제시키면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 해제 상태가 되어 충돌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은 사양에 따라 그 작동 여부가 자동으로 제어되는 방식과 운전자의 임의적 판단에 따른 스위치 작동 여부에 따라 제어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때 스위치에 의한 작동 방식에서 사용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는 온/오프 스위치 방식으로 작동키에 의해 온/오프되는 키스위치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는 일반적인 키스위치 방식에 따라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작동키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와,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접점부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작동키가 삽입되는 로터에는 록플레이트(lock plate)가 장착되어 특정 키코드 조합이 일치한 경우에만 정렬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또한 로터는 온/오프 2가지 상태를 나타내도록 일정 각도 회전하는데,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부에 절도산이 형성되어 로터가 일정 구간 회전하면 온/오프 상태로 자연회전하도록 구 성된다. 또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는 접접부의 구조는 로터의 끝단부에 자석이 부착되고 자기력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홀센서가 부착된 피시비(PCB) 기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반적인 키스위치 방식의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는 그 구성부품이 매우 많고 이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로터가 온/오프 중간 지점까지 회전한 상태에서는 중간에 멈춤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운전자가 조수석 에어백이 작동 상태인지 작동해제 상태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작동키의 삽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과 로터에 일측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고 접점부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에 효과적이며, 작동키에 의해 로터가 중간부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멈추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 가능한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0); 작동키(60)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키(60)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는 원통형 로터(20); 상기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측에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키(60)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로터(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로터(20)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30); 및 상기 로터(20)의 회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1)가 삽입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제 1 결합홈(11) 또는 제 2 결합홈(12)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로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및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키의 삽입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슬라이드 블록과 로터에 일측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고 접점부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구성 부품의 개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에 유리하며, 작동키에 의해 로터가 중간부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멈추지 않고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0); 작동키(60)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키(60)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는 원통형 로터(20); 상기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측에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키(60)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로터(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로터(20)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30); 및 상기 로터(20)의 회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1)가 삽입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제 1 결합홈(11) 또는 제 2 결합홈(12)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로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및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로터(2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스위치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작동키(6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원통형 로터(20)와, 로터(20)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 슬라이드 블록(30)과, 로터(20)의 회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터(20)에는 작동키(60)가 삽입되도록 키홀이 형성되며 작동키(60)의 회전에 따라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및 작동해제 신호가 접점부(50)에 의해 발생하도록 하우징(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회전한다. 또한, 로터(20)에는 슬라이드 블록(30)이 삽입 결합되는데, 슬라이드 블록(30)은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측에 돌출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블록(30)은 작동키(60)가 로터(2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돌출부(31)가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작동키(60)가 로터(20)에 삽입되면 돌출부(31)가 로터(20)의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외주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로터(2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블록(30)의 중앙부에 작동키(60)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홀(32)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홀(32)의 일측면, 즉 작동키(60)가 삽입되며 접촉하는 표면이 경사지도록 경사면(33)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키(6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블록(30)의 돌출부(31)가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키(60)가 삽입되면 작동키(60)가 슬라이드 블록(30)의 경사면(33)과 접촉하며 삽입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블록(30)은 하향 이동하며 돌출부(31)가 로터(2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0)는 외주면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하우징(10)에 삽입되기 때문에 전술한 슬라이드 블록(30)의 돌출부(31)가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하우징(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은 하우징(10)의 내주면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돌출부(31)가 제 1 결합홈(11)과 제 2 결합홈(12) 사이 구간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가 제 1 결합홈(11)에 결합된 상태로 로터(20)가 회전하면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부(50)가 구성되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가 제 2 결합홈(12)에 결합된 상태로 로터(20)가 회전하면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하도록 접점부(50)가 구성된다. 즉, 작동키(60)와 함께 로터(20)가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 사이 구간을 회전하며 작동 및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충돌 사고시 조수석 에어백이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되지 않도록 동작된다. 한편, 도 3의 (b)는 작동키(60)가 로터(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블록(30)이 로터(2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스위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작동 스위치와 비교하여 구성 부품의 개수가 작고, 구조가 단순한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작동 스위치 조립체를 조립한 상태로 차량에 장착이 가능하여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스위치는 로터(2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40)이 장착된다. 이러한 리턴 스프링(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턴 스프링(40)에 의해 로터(20)가 회전 구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드 블록(30)의 돌출부(31)가 제 1 결합홈(11) 또는 제 2 결합홈(12)에 삽입 고정될 때까지 로터(20)가 탄성 회전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즉, 작동키(60)에 의해 로터(20)가 회전 구간의 중간 부분까지 회전한 상태에서 멈추는 현상이 방지되고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하여 스위치의 동작 상태가 작동 및 작동해제 상태로 분명하게 구분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40)이 로터(20)에 탄성 회전력을 가하는 방향이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는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신호가 발생되는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스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2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1)가 고정될 수 있는 걸림후크(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스위치는 리턴 스프링(40)이 장착되어 로터(20)가 일측 방향으로 자동 회전되기 때문에, 작동키(60)가 로터(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블록(30)이 로터(20)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로터(2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결합홈 이외에 별도의 회전 방지 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걸림후크(13)는 로터(20)가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걸림돌기(21)가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하는 상태에서 걸림돌기(21)가 걸림후크(13)에 고정되고 작동키(60)의 조작에 의해 로터(20)에 회전력이 작용함으로써, 걸림돌기(21)가 걸림후크(13)로부터 이탈되며 리턴 스프링(4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여 작동 신호가 발생한다. 도 4의 (a)는 이러한 작동 신호가 발생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부(50)는 로터(2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로터(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콘택트바(51)와, 콘택트바(5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콘택트바(5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미널 블록(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종래 기술과 같은 자석이나 홀센서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콘택트바(51)는 연성 재질로 구성되어 자유로의 굽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터미널 블록(52)에는 이러한 콘택트바(5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홈(53)을 따라 콘택트바(51)가 이동하며 작동 신호 및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의 접점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제 1 결합홈
12: 제 2 결합홈 20: 로터
30: 슬라이드 블록 31: 돌출부
40: 리턴 스프링 50: 접점부
60: 작동키

Claims (6)

  1.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10);
    작동키(60)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키(60)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일정 각도 회전하는 원통형 로터(20);
    상기 로터(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측에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키(60)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로터(2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기 로터(20)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록(30); 및
    상기 로터(20)의 회전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점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1)가 삽입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가 상기 제 1 결합홈(11) 또는 제 2 결합홈(12)에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로터(20)가 회전함에 따라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및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2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40)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 신호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2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터(20)가 상기 조수석 에어백의 작동해제 신호가 발생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21)가 고정될 수 있는 걸림후크(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50)는
    상기 로터(20)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터(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콘택트바(51); 및
    상기 콘택트바(5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콘택트바(51)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미널 블록(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바(51)는 연성 재질로 굽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52)에는 상기 콘택트바(51)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KR1020070126921A 2007-12-07 2007-12-07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KR10089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21A KR100893288B1 (ko) 2007-12-07 2007-12-07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921A KR100893288B1 (ko) 2007-12-07 2007-12-07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288B1 true KR100893288B1 (ko) 2009-04-17

Family

ID=4075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921A KR100893288B1 (ko) 2007-12-07 2007-12-07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2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954A (en) 1996-09-05 1999-02-02 Itt Automotive, Inc. Passenger inflatable restraint control apparatus
US5915725A (en) 1997-12-18 1999-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airbag deactivation with key operated switch
US6133648A (en) 1998-08-25 2000-10-17 Trw Inc. Apparatus for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060035175A (ko) * 2004-10-21 2006-04-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의 구동제어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954A (en) 1996-09-05 1999-02-02 Itt Automotive, Inc. Passenger inflatable restraint control apparatus
US5915725A (en) 1997-12-18 1999-06-2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airbag deactivation with key operated switch
US6133648A (en) 1998-08-25 2000-10-17 Trw Inc. Apparatus for selectively enabling or disab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20060035175A (ko) * 2004-10-21 2006-04-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의 구동제어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8801B (zh) 驻车机构
JP356669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546110A1 (en) Mounting section structure for airbag device
KR100539331B1 (ko)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US20060028002A1 (en) Horn switch gear, airbag system, and steering wheel
JP2004017959A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EP2554439A1 (en) Airbag device
JP526035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21526603A (ja) 車両のドアパネル用ハンドル装置
JP2004017960A (ja) 盗難防止機能が強化された車両のロック装置
US20200108790A1 (en) Assembly of a Driver Airbag Module and a Steering Wheel
KR100893288B1 (ko) 조수석 에어백 작동 스위치
EP3264217B1 (en) Lever operation device
JP4800164B2 (ja) ホーンスイッ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927268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belt lock
US20100102906A1 (en) Magnetically operated switch
JP4173336B2 (ja) 車載用複合操作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2019090528A (ja) 安全スイッチ
JP200450498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据付け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KR100593288B1 (ko) 조수석 에어백 스위치 장치
JPH10275669A (ja)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US200500570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 latching device
KR100780511B1 (ko) 차량용 에어백 스위치 장치
JP2007030634A (ja) シフト操作装置及び移動規制装置
US11987173B2 (en) Steering column switch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