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503B1 - 자동차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503B1
KR100892503B1 KR1020080025376A KR20080025376A KR100892503B1 KR 100892503 B1 KR100892503 B1 KR 100892503B1 KR 1020080025376 A KR1020080025376 A KR 1020080025376A KR 20080025376 A KR20080025376 A KR 20080025376A KR 100892503 B1 KR100892503 B1 KR 10089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driver
detector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용 룸미러는 운전자의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로부터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는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값을 연산/판단하여 미러부의 빛 반사율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비춰지는 강한 빛에 의해 눈부심을 느끼게 되는 미러 영역의 빛 반사율을 조절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후방의 전체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미러,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부, 검출부, 반사율

Description

자동차용 룸미러{ROOM MIRR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운전시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후방의 시야 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 중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그와 동시에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미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러로는 차량의 내부 천장에 설치된 룸미러와, 차량 외부의 프론트 도어 외측에 설치된 사이드 미러가 있다.
운전자가 야간에 차량을 운전할 때 후방에서 따라오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이 전방 차량의 룸미러를 통해 비칠 경우, 운전자가 룸미러를 직접 보지 않더라도 전방 차량의 운전자는 눈부심을 느껴 시야에 방해를 받게 되고, 특히, 후방 차량이 상향등을 조작하였을 경우 전방 운전자는 눈부심을 더욱 크게 느껴 운전자의 시력 저하 또는 사고와 같은 위험에 노출된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ECM(Electro Chromic Mirror) 기술을 이용한 룸미러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ECM 룸미러는 자동으로 거울면의 반사율을 조절 하여 눈부심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ECM 룸미러는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강한 빛이 룸미러에 비춰질 경우, ECM 룸미러의 특성상 룸미러의 전체적인 영역을 어둡게 하기 때문에 빛이 발생되는 전조등을 제외한 영역들도 어둡게 하고, 이로 인해 후방 사물들을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야간 운전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자동차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운전시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룸미러는 운전자의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와, 상기 미러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로부터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는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값을 연산/판단하여 미러부의 빛 반사율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는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빛 검출부와, 상기 미러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방향을 검출하는 빛 방향 검출부와, 상기 반사되는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 검출부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로 빛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빛 방향 검출부는 미러부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감지하여 빛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눈 위치 검출부는 시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눈의 위치를 검출하거나, 운전자의 정면 또는 상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 의해 비춰지는 강한 빛에 의해 눈부심을 느끼게 되는 미러 영역의 빛 반사율을 조절함으로써, 눈부심을 방지하면서 후방의 전체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룸미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미러는 운전자의 후방을 감지하는 미러부(100)와, 상기 미러부(100)에 입사되어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는 강한 빛을 검출하는 검출부(200)와, 상기 검출부(200)로부터 검출된 값을 연산/판단하여 강한 빛이 입사되는 미러부(100)의 일정 영역을 제어하도록 미러부(100)에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미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운전자의 시야를 향해 반사시키도록 거울면을 이루는 미러(110)와, 상기 미러(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러(110)의 상부에는 미러부(100)가 차량 내부의 루프 라이닝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120)가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부(120)는 미러부(10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미러(1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로써, 엘시디(LCD) 패널 또는 유기 EL(OLED)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후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입사된 빛 중에서 빛의 강도가 쎈 영역만을 어두워지도록 특정 영역에 입사되는 강한 빛 예컨데, 전조등의 의한 빛의 반사율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3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소정 영역만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되며, 이러한 구동부는 이후 설명될 제어부(300)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소정 영역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소정 영역만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후방에서 입사된 강한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조건들을 검출하여 구동될 디스플레이 패널(130) 영역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 검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입사되는 강한 빛을 검출하는 빛 검출부(210)와, 상기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강한 빛의 방향을 검출하는 빛 방향 검출부(220)와, 상기 반사되는 강한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230)를 포함한다.
빛 검출부(210)는 후방에서 비춰지는 빛 예컨데, 후방 차량의 전조등의 강한 빛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에서 비춰지는 전체 배경 중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서 발산되는 강한 빛이 어느 방향에서 비춰지는지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빛 검출부(210)로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후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하여 후방에서 비춰진 강한 빛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는 기존에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를 운전자의 상부에서 미러부(100)를 향해 장착하고, 미러부(100)에 비춰진 화면을 감지하여 후방에서 비춰지는 강한 빛을 검출할 수 있다.
빛 방향 검출부(220)는 빛 검출부(210)로부터 검출된 강한 빛이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방향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빛 방향 검출부(220)는 미러부(100)가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검출하여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강한 빛의 방향을 검출한다.
빛 방향 검출부(220)로서, 가변 저항, 로터리 인코더 또는 앱솔루트 인코더와 같은 각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 센서는 미러부(100)의 상부에 연결된 연결부에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빛 방향 검출부(220)는 미러부(100)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강한 빛이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눈 위치 검출부(230)는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강한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눈 위치 검출부(230)는 기존에 운전자의 졸음 운전 등을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앉아 있는 시트의 조정 위치를 근거로 하여 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전방 또는 운전자의 상부에 센서를 장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로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출부(200)로부터 검출된 값을 연산/판단하여 미러부(100)의 어느 영역을 제어해야 하는지 결정하여 결정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방에서 비춰지는 강한 빛과,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강한 빛의 방향과,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눈의 위치의 검출이 완료되면, 이와 같이 검출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전송된 신호에 의해 강한 빛이 입사되는 영역을 구동하여 입사되는 강한 빛의 양을 감소하거나 차단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살펴 본다.
야간 운전시 미러부(100)에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서 비춰지는 강한 빛에 의해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게 되면, 검출부(200)에 의해 후방 차량의 전조등에서 비춰지는 강한 빛과,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강한 빛의 방향과,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확보되는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값을 취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어느 영역을 어둡게 해야하는지 연산/판단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어서, 제어부로부터 연산/판단하는 단계를 마치면, 연산/판단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구동하는 구동부로 전송하여 강한 빛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특정 영역을 구동할 수 있는 초기 구동 전압 및 구동 전류를 결정하여 구동부에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30)를 마친다.
이어서, 구동부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강한 빛이 제공되는 영역이 구동되어 미러부(100)에 입사되는 강한 빛의 양을 감소하거나 차단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분적으로 제어하는 단계(S40)를 마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S40)의 소정 영역이 구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에 표시되는 배경 중 강한 빛이 감소 또는 차단된 상태로 보이게 되며, 이로 인해 운전자는 눈부심을 느끼지 않으면서 후방의 전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룸미러에 적용하여 설명하 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되는 사이드 미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출부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룸미러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미러 120: 연결부
130: 디스플레이 패널 200: 검출부
210: 빛 검출부 220: 빛 방향 검출부
230: 눈 위치 검출부 300: 제어부

Claims (5)

  1. 운전자의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110)와, 상기 미러(110)의 전면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포함하는 미러부(100);
    후방에서 입사되는 빛을 검출하는 빛 검출부(210)와, 상기 미러부(10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방향을 검출하는 빛 방향 검출부(220)와, 상기 반사되는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230)로 구성된 검출부(200); 및
    상기 검출부(200)로부터 검출된 값을 연산/판단하여 미러부(100)의 빛 반사율을 부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빛 방향 검출부(220)는 미러부(100)의 좌우 및 상하 각도를 감지하여 빛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빛 검출부(210)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로 빛을 검출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눈 위치 검출부(230)는 시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눈의 위치를 검출하거나, 운전자의 정면 또는 상부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자동차용 룸미러.
KR1020080025376A 2008-03-19 2008-03-19 자동차용 룸미러 KR10089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76A KR100892503B1 (ko) 2008-03-19 2008-03-19 자동차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76A KR100892503B1 (ko) 2008-03-19 2008-03-19 자동차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503B1 true KR100892503B1 (ko) 2009-04-10

Family

ID=4075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376A KR100892503B1 (ko) 2008-03-19 2008-03-19 자동차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4678A (zh) * 2016-06-15 2016-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智能汽车后视镜和汽车
KR20170100736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자연과사람 주변 환경 적응 구조의 전자기기의 액정 스크린
KR20210093096A (ko) 2020-01-17 2021-07-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룸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060A (ja) * 2000-09-11 2002-03-26 Inoac Corp 車両用防眩装置
JP2005335410A (ja) * 2004-05-24 2005-12-08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575300B1 (ko) 2004-12-15 2006-04-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반사율 조절이 가능한 oled 룸미러
KR20070043077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시디 미러 반사광량 미세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060A (ja) * 2000-09-11 2002-03-26 Inoac Corp 車両用防眩装置
JP2005335410A (ja) * 2004-05-24 2005-12-08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
KR100575300B1 (ko) 2004-12-15 2006-04-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반사율 조절이 가능한 oled 룸미러
KR20070043077A (ko) * 2005-10-20 2007-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시디 미러 반사광량 미세조절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0736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자연과사람 주변 환경 적응 구조의 전자기기의 액정 스크린
CN106004678A (zh) * 2016-06-15 2016-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面板、智能汽车后视镜和汽车
KR20210093096A (ko) 2020-01-17 2021-07-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룸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0602B2 (ja) 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
US20190217783A1 (en) Electron mirror apparatus
WO2016017114A1 (ja) 電子ミラー装置
JP2003040033A (ja) 視界補助装置
CN112470060A (zh) 抬头显示器
KR100892503B1 (ko) 자동차용 룸미러
JP2007091186A (ja) 車両周囲状況の撮影表示方法および撮影表示システム
JP4731177B2 (ja) 車両の赤外線撮影表示装置及び赤外線撮影表示方法
EP3947112B1 (en) A vehicle comprising a trailer angle determining system
KR101111548B1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경고 장치 및 방법
US10261580B2 (en) Mirror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and method of changing direction of mirror device with display function
JP2010179817A (ja) 車両用防眩装置
JPH07266923A (ja) 車両の表示装置
JP2012025233A (ja) 車両用死角補助システム
EP3771595A1 (en) Proj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2019001226A (ja) 電子ミラー装置
JP5196597B2 (ja) 移動体における透過光量制御装置
JP4238619B2 (ja) 車両用監視装置
JP6658483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0882689B1 (ko) 차량의 측후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22034A (ko) 백미러가 카메라 모니터 역할하고 네비게이션과 연동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2025234A (ja) 車両用死角補助システム
KR20120028057A (ko) 차량용 미러의 연계 작동 방법
KR10256099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미러의 제어 장치
JP2005119523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