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2120B1 -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2120B1
KR100892120B1 KR1020050050816A KR20050050816A KR100892120B1 KR 100892120 B1 KR100892120 B1 KR 100892120B1 KR 1020050050816 A KR1020050050816 A KR 1020050050816A KR 20050050816 A KR20050050816 A KR 20050050816A KR 100892120 B1 KR100892120 B1 KR 100892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pparγ
protopanaxatriol
ty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012A (ko
Inventor
황재관
한규리
손종희
김아진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바이오케어
Priority to KR102005005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1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의 활성화에 반응하는 제 2 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삼 유래의 20(S)-Protopanaxatriol은 PPARγ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켜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31284704-pat00001
상기 화학식 1의 20(S)-Protopanaxatriol은 PPARγ를 활성화 시켜 당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당수용체 단백질인 GLUT4(Glucose transporter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제 2 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20(S)-Protopanaxatriol, PPARγ, 인슐린 저항성, 제 2 형 당뇨병

Description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II Diabetes}
도 1은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 수용체와 결합하여 활성화 시킨 것을 농도 별로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의 목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3T3-L1 쥐 섬유아세포의 GLUT4 발현을 증가 시킨 효과를 조사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의 활성화에 반응하는 제 2 형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인삼 유래의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은 PPARγ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제 2 형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5031284704-pat00002
당뇨병은 크게 제 1 형과 제 2 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 형 당뇨병은 유전적 감수성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췌장에 면역학적 반응이 유발되고, β-세포가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제 2 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이 선행하는 형으로 주요 병인으로는 인슐린 수용체의 감소, tyrosine kinase 활성도 감소, 근육조직과 지방조직의 muscle/adipose tissue type transportor의 감소, insulin receptor substrate-1(IRS-1)의 세포 내 결핍 등 복잡한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제 2 형 당뇨병은 주로 성인에서 발병하는데 전체 당뇨병 중 90%를 차지하고 있다(Drugs, 65: 433-445, 2005).
퍼옥시좀(Peroxisome)은 세포내의 산화작용에 관여하는 미세기관으로서 세포내의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수소를 만들어 독성 물질의 중화에 이용한다. 또한 산화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를 가지고 있어 세포내에서 생성된 과다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퍼옥시좀 증식제(Peroxisome proliferator)는 퍼옥시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총칭하는 명칭이며, 지방과 지방산, 고지혈증 치료제인 fibrate, prostaglandin 등이 알려져 있다(Pharmacological Research, 51: 85-94, 2005). 이러한 퍼르옥시솜 증식제를 리간드(ligand)로 하는 핵내 수용체를 PPARs 이라 하며, α, δ, γ의 세 종류가 있다.
PPARα는 간에서 주로 발현되며 지방산의 산화나 독성물질의 중화에 관여하며 염증반응에 연관이 있다. PPARδ는 고루 분포하며 작용은 확실치 않다. PPARγ는 지방세포의 분화에 중심 조절자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지방세포주에서 지방 세포로의 분화과정에 PPARγ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고, 분화능력이 없는 섬유아세포에 PPARγ을 발현시키면 섬유아세포는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이 보고되었다(Annu. Rev. Med., 53: 409-435, 2002). 또한 PPARγ가 활성화 될수록 지방세포의 당 수용능력이 극대화 되며 지방세포 분화가 촉진되고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됨이 보고되었다(Tren. Pharmacol. Sci., 25: 331-336, 2004). 따라서 PPARγ의 대표적인 리간드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제 2 형 당뇨병 치료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및 로지글리타존(rosiglitazone)과 같은 TZD 약제는 대표적인 PPARγ의 리간드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주는 제 2 형 당뇨병 치료제로 현재 사용되고 있다.
지방세포 분화와 PPARγ를 목표로 한 항당뇨 치료제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천연 물질 개발에 관련한 연구는 그 수가 매우 적다. 합성품의 TZD계열의 약물은 타 당뇨병 치료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게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간독성 및 비만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물질도 알려져 있어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따라서 부작용과 독성이 적은 천연물 소재에서 PPARγ 리간드를 탐색하는 것은 제 2 형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인삼(Panax ginseng)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한의학적으로 주로 기허(氣虛)에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재료로 알려져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많은 한방의서에 수록되어 체력증강, 피로회복, 소화기계, 신경계, 대사계, 순환기계 등의 기능 조절을 위해 단독 또는 처방의 구성 생약으로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한방효능에 근거하여 그 동안 수행된 많은 실험적 연구와 임상적 효능연구를 통해 인삼의 전래되어온 다양한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배당체 성분인 30여종 이상의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주요 약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 및 진세노사이들은 항염증 작용(Cancer Letters, 205: 23-29, 2004), 면역 증강작용(Biochemical Pharmacology, 68: 441-452, 2004), 항암작용(Mutation Research, 523-524: 75-85, 2003), 항당뇨 작용(Diabetes Care, 18: 1373-1374, 1995; Biomedicine & Therapeutics (Japan), 28: 63-64, 1995), 항스트레스(Clin. Therap., 13: 373, 1991), 항피로 작용(Drugs Expl. Clin. Res., 22: 65, 1996) 등 광벙위하고 다양한 약리작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인삼 추출물 수준의 효능 평가로 인삼 내에 특정물질의 작용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인삼의 특정 성분에 관한 연구라 하더라도 생체 내 정확한 기전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진세노사이드의 항당뇨에 관련된 연구는 진세노사이드 Re가 연구되었으나(Diabetes, 51: 1851-1858, 2002) 아직까지 PPARγ를 목표로 한 진세노사이드의 항당뇨 용도에 대해서는 연구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여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를 대상으로 하여 인슐린 저항성 제 2 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활성 물질을 찾고자 탐색한 결과, 인삼에서 유래된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를 활성화시키고, 제 2 형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를 가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에서 유래된 20(S)-Protopanaxatriol의 제 2 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0(S)-Protopanaxatriol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 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31284704-pat00003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인삼 유래의 20(S)-Protopanaxatriol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0(S)-Protopanaxatriol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PPARγ는 핵 수용체(nuclear receptor)군의 하나로 지방대사와 당대사에 중요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PPARγ는 지방세포 분화와 인슐린 작용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PPARγ는 리간드와 결합하면 retinoid X receptor alpha(RXRα)와 이형체를 형성하여 adipocyte P2(aP2)나 phosphoenolpyruvate carboxykanse(PEPCK)등과 같이 peroxisome proliferator responsive element(PPRE)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전사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PPARγ의 대표적인 리간드로 알려져 있는 Thiazolidinediones(TZD)는 인슐린저항성을 개선시키는 당뇨병치료약제군으로 당뇨병의 동물모델 및 비만증 또는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고인슐린혈증과 고중성지방혈증을 감소시킨다(Diabetes, 45: 1661-1669, 1996; Diabetes Care, 15: 193-203, 1992). PPARγ의 리간드인 TZD가 당뇨병의 동물모델과 비만증 및 제 2 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강하 효과를 보이는 반면 정상인이나 인슐린 결핍에 의한 당뇨병 환자에서는 효과가 없기 때문에 인슐린저항성 상태에서 이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PPARγ의 리간드를 발견하는 것은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오는 제 2 형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적절한 발명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리간드로서 결합하여 PPARγ를 활성화 시키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PPARγ와 결합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를 증가 시켰다(도 1 참조).
LPL(lipoprotein lipase)와 PEPCK(phosphoenol pyruvate carboxykinase)는 PPARγ의 목표유전자로 LPL은 혈액 내에 존재하는 lipoprotein을 분해하여 free fatty acid로 만들어 지방세포가 흡수 할 수 있게 하는 효소이며 PEPCK 또한 지방세포가 흡수한 당을 triglyceride로 저장하게 한다. 따라서 이 두 유전자는 PPARγ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절되며 혈액 내 존재하는 free fatty acid와 당을 지방세포가 흡수하게 하여 주는 당뇨병에 있어서 중요한 유전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를 활성화시켜 목표 유전자인 LPL과 PEPCK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LPL과 PEPCK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 하였다(도 2 참조).
GLUT4는 당수송체 단백질로서 혈액내의 당을 지방세포내로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GLUT4는 혈액내 당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므로 당뇨병 치료효과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56: 159-171, 2002).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에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을 처리하여 GLUT4의 발현이 증가하는지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PPT가 당의 흡수 역할을 하는 GLUT4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PPT는 지방세포에서 당을 흡수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PPARγ 수용체와 강하게 결합하는 리간드이며, PPARγ를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목표유전자들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서 제 2 형 당뇨병 억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인슐린 저항성 제 2 형 당뇨병 치료의 목적으로 임상적으로 투여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에 적합한 단위투여형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약품의 형태로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메이스리그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연고제, 크림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에 의한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20(S)-Protopanaxatriol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의 단위 투여형으로 제제화한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및 배설 그리고 약제 혼합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을 래트에 경구 투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독성시험에 의한 50 % 치사량 (LD50)은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것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든 활성 분석은 모두 3회 이상 반복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20(S)-Protopanaxatriol에 의한 PPARγ의 활성화
PPARγ에 결합하여 PPARγ반응서열(PPRE, PPAR Response Element)을 갖는 유전자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리간드를 찾는 방법은 PPARγ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와 PPRE 통제하에 있는 루시퍼라제 유전자를 갖는 벡터를 사용하는 실험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Cell, 68: 879-887, 1992; J. Biol. Chem., 272: 25252-25259, 1997) 루시퍼라제 발현의 활성화는 COS-7 원숭이 신장세포를 PPARγ플라스미드와 pFR-luciferase 벡터로 형질감염 시킨 후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PPT를 24시간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을 농도별(1, 5, 10 및 25 μM)로 함께 처리하고 DMSO 0.01% 처리한 것을 대조군으로, 그리고 제 2 형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 화합물, 즉 트로글리타존(TZD)의 활성과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 활성을 증가 시켰고, 비교 화합물인 트로글리타존의 활성은 대조군보다 8배 높은 반면,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에 의해 유도된 루시퍼라제 활성은 대조군보다 약 8.7배 높았다. 이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의 리간드로써 PPARγ를 활성화 시켰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
PPARγ 활성화에 따른 목표유전자의 발현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된 3T3-L1 마우스 전지방세포를 1× 106개씩 5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 중에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을 10 μM로 첨가하여 24시간 방치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MDI (0.5 mM 3-isobutyl-1-metylxanthine, 0.5 uM dexamethasone, 10 ug/ml insulin) 배지로 배지를 갈아주어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시켰다(Am. J. Physiol. Cell Physiol., 280: C807-C813, 2001). MDI 배지를 넣어준 시점부터 2일 후 세포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세포를 TRIZOL(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총 RNA는 정량하여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42℃에서 20분간 cDNA를 합성하고 앞서 준비한 Primer(LPL와 PEPCK)와 Taq Polymerase를 이용하여 95℃에서 20초, 60℃ 20초, 72℃에서 30초를 40번 반복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quantitative RT-PCR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PARγ 활성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목표유전자 LPL와 PEPCK의 mRNA 발현은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에 의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PPARγ를 활성화시켜 당대사에 중요한 PPARγ의 목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당 수송 단백질(GLUT4) 발현의 상승효과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된 3T3-L1 마우스 전지방세포를 1× 106개씩 5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 중에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을 농도별(1, 5, 10 및 25 μM)로 각각 첨가하여 24시간 방치하였다. 배양한 세포는 MDI (0.5 mM 3-isobutyl-1-metylxanthine, 0.5 uM dexamethasone, 10 ug/ml insulin) 배지로 배지를 갈아주어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시켰다(Am. J. Physiol. Cell. Physiol., 280: C807-C813, 2001). MDI 배지를 넣어준 시점부터 2일 후 세포를 수득하였다. 준비된 시료와 3T3-L1 세포를 용해한 다음, Bradford 방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고, 단백질을 10% SDS-PAGE로 분리한 후 transfer solution(20% methanol, 25 mM Tris, 192 mM glycine, pH 8.3)을 이용하여 nitrocellulose membrane에 분리된 단백질을 전사시켰다. 비 특이적인 반응을 제거하기 위해서 5% 비지방 skim milk가 함유된 tris buffered saline tween-20(TBST)로 24 시간 이상 충분히 흔들며 방치시켰다. 방치시킨 후, TBST로 3회 세척하고 anti-GLUT4 antibody(1 : 2,000)를 주입하여 1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TBST로 세척하고 horse radish peroxidase(HRP)가 부착된 anti-mouse IgG-HRP(1 : 2,000)를 주입하고, 1 시간 동안 shaker위에서 반응시켰다. TBST로 3회 세척하고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용액으로 1 분간 흔들어 주면서 고루 적시고 nitrocellulose membrane을 꺼내어서 물기를 닦은 후, 암실에서 x-ray film 으로 감광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지방세포 분화 과정에서 당 수송단백질인 GLUT4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이 당 수송단백질인 GLUT4의 발현을 증가시켜 세포의 당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리된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단독 또는 약제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들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산제, 정제, 캡슐제 및 주사제 등과 같은 제제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제제예를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의 실시예>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1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10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 화합물 100 mg
주사용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활성성분을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전체를 주사용 증류수로 2 ml 용량의 앰플에 충진하고 멸균시켜서 주사제를 제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0(S)-Protopanaxatriol은 PPARγ의 리간드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 제 2 형 당뇨병 예방제 및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63421536-pat0000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은 퍼옥시좀 증식인자 활성화 수용체 감마(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의 리간드(ligand)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 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50050816A 2005-06-14 2005-06-14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9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16A KR100892120B1 (ko) 2005-06-14 2005-06-14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16A KR100892120B1 (ko) 2005-06-14 2005-06-14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2A KR20060131012A (ko) 2006-12-20
KR100892120B1 true KR100892120B1 (ko) 2009-04-09

Family

ID=3781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816A KR100892120B1 (ko) 2005-06-14 2005-06-14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134A (ko) 2009-06-30 2016-11-16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당 대사 개선제 및 당 대사 개선 조성물
JP5563285B2 (ja) 2009-12-14 2014-07-30 ライオン株式会社 飲食品、医薬品、又は医薬部外品、並びに、プロトパナキサトリオールの安定化方法、及びプロトパナキサジオールの安定化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려인삼학회지 vol.20, No.4, 389-415 ; 199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2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Two triterpeniods from Cyclocarya paliurus (Batal) Iljinsk (Juglandaceae) promote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The relationship to AMPK activation
US8084495B2 (en) Composition of labdane diterpenes extracted from andrographis paniculata,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alzheimer disease by activation for PPR-gamma receptors
Shin et al. Ethanol extract of the Prunus mume fruits stimulates glucose uptake by regulating PPAR-γ in C2C12 myotubes and ameliorates glucose intolerance and fat accumulation in mice fed a high-fat diet
Vianna et al. In vivo anti-diabetic activity of the ethanolic crude extract of Sorbus decora CK Schneid.(Rosacea): a medicinal plant used by Canadian James Bay Cree nations to treat symptoms related to diabetes
US9029326B2 (en) Polypeptides,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polypeptides, and uses of polypeptides
CN103037692A (zh) 用于抑制肌萎缩的方法
Wang et al. Steaming changes the composition of saponins of Panax notoginseng (Burk.) FH Chen that function in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obesity
JP2007519759A6 (ja) PPR−γ受容体の活性化による自己免疫疾患およびアルツハイマー病の治療に有用なAndrographispaniculataから抽出されたラブダンジテルペン類の組成物
US20100021569A1 (en) Use of Extracts from AMTHS plants in Lowering Blood Glucose
CN104220084A (zh) 包含土茯苓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肥胖、高脂血症或脂肪肝的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Araújo et al. Parkinsonia aculeata (Caesalpineaceae) improves high-fat diet-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mice through the enhancement of insulin signaling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CN109364269A (zh) 一种预测及治疗2型糖尿病的组合物、评价方法及其制剂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528666A (ja) 糖尿病の治療及び予防のためのフタリド誘導体の使用
KR100892120B1 (ko) 제 2 형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Therasa et al. In-vivo and ex-vivo inhibition of intestinal glucose uptake: a scope for antihyperglycemia
Meng et al. Highly bioavailable berberine formulation improves glucocorticoid receptor-mediated insulin resistance via reduction in associat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with phosphatidylinositol-3-kinase
JP2012072136A (ja) 細胞内代謝促進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糖代謝又は脂質代謝疾患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医薬製剤、機能性食品及び健康食品
CA2517896A1 (en) Use of thyroid-stimulating hormone to induce lipolysis
US20130045289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activit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delta
KR100959557B1 (ko) 육두구 가종피 추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당뇨병 또는 피피에이알-감마 매개 질환 예방 및 치료용약학적 조성물
CN108261412A (zh) 益母草碱在制备胰岛素增敏剂中的用途
CA24587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ubjects with hyperglycemia
Shalev Hope for insulin mimetic oral antidiabetic drugs
JP5919241B2 (ja) レチノイドx受容体アゴニスト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