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486B1 -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486B1
KR100891486B1 KR1020080110362A KR20080110362A KR100891486B1 KR 100891486 B1 KR100891486 B1 KR 100891486B1 KR 1020080110362 A KR1020080110362 A KR 1020080110362A KR 20080110362 A KR20080110362 A KR 20080110362A KR 100891486 B1 KR100891486 B1 KR 10089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heat
water storage
mix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부성
Original Assignee
황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8011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486B1/ko
Application filed by 황부성 filed Critical 황부성
Publication of KR10089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AU2009230747A priority patent/AU2009230747A1/en
Priority to RU2009140165/05A priority patent/RU2009140165A/ru
Priority to EP09174965A priority patent/EP2184382A1/en
Priority to BRPI0905971-7A priority patent/BRPI0905971A2/pt
Priority to US12/590,327 priority patent/US20100264021A1/en
Priority to TW098137590A priority patent/TW201026900A/zh
Priority to JP2009255457A priority patent/JP2010111945A/ja
Priority to ZA200907809A priority patent/ZA200907809B/xx
Priority to CN200910211409A priority patent/CN10173635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물저장포집조(10); 다수의 전극(21)(22)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유니트(20); 물저장포집조(10)의 하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 전극유니트(20)로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관(30)(30'); 물저장포집조(10)의 상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전극유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의 상부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40)(40'); 및 저장포집조(10)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을 흡열한 후 방열하는 흡열방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a hydrogen-oxygen 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물로부터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시키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은 물이 전기분해되어 얻어지는 생성물인 수소 및 산소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로서, 양(+) 및 음(-) 전극이 설치된 저장조 내에 소량의 전해물질이 첨가된 물을 공급하고 직류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무공해 에너지원인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수소와 산소는 2 : 1의 몰비로 발생되며, - 전극 표면에 수소가 기포 형태로 생성되고, + 전극 표면에 산소가 기포 형태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수소와 산소는 혼합되어 혼합가스 형태가 되며 연소가 가능하다. 또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연소시 오염물질의 생성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물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그 열을 식히기 위한 방열장치를 채용하여야 하는데, 방열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나 방열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각종 전기장치들, 예를 들면 냉각용팬이나 펌프등이 필요하였으므로, 결국 크기가 커지고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졌다.
또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부에는 산소가 포함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지 않아도 연소가 된다. 따라서, 연소시 생성되는 연소불꽃은 언제든지 역화될 가능성이 공존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를 자연순환시키는 방식의 흡열방열부를 채용함으로써 냉각용팬이나 펌프등의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방열이 가능하고, 또한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할 수 있으며,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는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불꽃이 역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은, 물이 저장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물저장포집조(10); 다수의 전극(21)(22)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유니트(20);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하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상기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 상기 전극유니트(20)로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관(30)(30');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상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상기 전극유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상기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의 상부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40)(40'); 및 상기 물저장포집조(10)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을 흡열한 후 방열하는 흡열방열부(50);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방열부(50)는, 상기 물저장포집조(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관(51)과, 상기 방열관(51)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한 방열핀형성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에 따르면, 물이 저장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물저장포집조와, 물저장포집조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흡열방열부를 포함함으로써, 냉각용팬이나 펌프등의 전기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기를 자연순환시켜 방열이 가능하고, 또한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필터유니트를 채용함으로써, 연소불꽃이 역화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고순도의 혼합가스를 생성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흡열방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은, 물이 저장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물저장포집조(10)와; 다수의 전극(21)(22)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유니트(20)와; 물저장포집 조(10)의 하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 전극유니트(20)로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관(30)(30')과; 물저장포집조(10)의 상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전극유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의 상부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40)(40')과; 물저장포집조(10)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을 흡열한 후 방열하는 흡열방열부(50)와: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메인물공급관(S)과 연결되어 그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위유지부(60)와;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 유입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그 물저장포집조(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와;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와 연결되어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분사하는 노즐(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저장포집조(10)는, 전극유니트(20)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전극유니트(20)로부터 발생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포집하는 장치이다. 물저장포집조(10)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내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된다.
물저장포집조(10)의 내부에는 전극유니트(20)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로부터 분리하기 혼합가스분리필터(11)가 설치되고, 혼합가스분리필터(11)의 상부에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포집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가스분리필터(11)는, 촘촘한 메쉬망에 광촉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토르마린 광촉매가 형성되어 구현된다. 토르마린 광촉매는 메쉬망에 코팅되거나 메쉬망을 제조할 때 함유되게 한다. 혼합가스분리필터(11)는, 상승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부의 포함된 이물질, 즉 전기분해시 -, + 전극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순수한 수소산소 혼합가스만을 포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특히, 혼합가스분리필터(11)에 광촉매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은 광촉매작용에 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물저장포집조(10)의 표면에는 물저장포집조(10)의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전도층(1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층(10a)은, 나노미터 사이즈, 바람직하게는 10-60 나노미터 사이즈의 탄소나노튜브와 토르마린 광촉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구현된다.
전극유니트(20)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 전극(21)과 + 전극(22)을 포함한다. 이때 -, + 전극(21)(22)의 표면은, 전기분해가 효율적으로 일어나고, 생성된 수소산소의 기포가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도록 나노연마되어 있다.
나노연마란, -, + 전극(21)(22)의 표면을 나노단위로 연마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나노연마를 통하여 -, + 전극(21)(22) 표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생성된 수소 및 산소기포가 매우 용이하게 탈락될 수 있다. 특히, 물질의 크기가 벌크 상태에서 나노 사이즈로 작아질 경우 기계적, 열적,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물성이 독특하게 변하는데, -, + 전극(21)(22) 표면을 나노연마하여 물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물의 전기분해가 더욱 활발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 + 전극(21)(22)의 표면에는 탄소나노튜브 및/또는 토르마린 광촉매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토르마린 광촉매는 토르마린을 수 마이크로에서 수 나노미터 단위의 분말로 분쇄한 후 약 1300℃ 의 온도에서 소성함으로써 구현된 후, -, + 전극(21)(22)에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것이다. 토르마린은 수정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마찰에 의하여 전기가 생기고 또한 음이온을 다량 발생하며, 또한 전기분해를 더욱 촉진시켜 수소 및 산소가 많이 생성되게 한다. 이러한 토르마린은 분말로 분쇄된 후 소성됨으로써, 전해액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는 수많은 미세기공이 형성된 광촉매로 구현되고, 이러한 토르마린 광축매를 -, + 전극(21)(22)에 부착함으로써 전해액의 전기분해를 더욱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 + 전극(21)(22)은. 토르마린 광촉매를 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 + 전극(21)(22)은 전체적으로 밀봉된 구조인 관이나 박스 내부에 위치된다.
물공급관(30)(30')은 물저장포집조(10)에서 전극유니트(20)로 물을 공급하는 관로이고, 가스공급관(40)(40')은 전극유니트(20)에서 발생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저장포집조(10)로 공급하는 관로이다.
흡열방열부(50)는,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을 흡열한 후 방열하는 것으로서, 물저장포집조(10)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관(51)과, 방열관(51)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한 방열핀형성부(52)를 포함한다. 이때, 흡열방열부(50)는, 방열관(5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팬(53)과,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방열팬(53)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감지센서(5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관(51)은 물저장포집조(10)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소직경의 관으로 되어 있으며, 본 실시에에서는 7 개를 채용하고 있다.
방열핀형성부(52)는 방열관(51)에 기어져 그 방열관(51)을 경유하는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린다. 이러한 방열핀형성부(5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띠형상의 금속판을 스크류 형태로 꼬아서 구현되며, 그 금속판에 다수의 요철(52a)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방열관(51) 내주면 또는 방열핀형성부(52)의 표면에는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의 흡열 및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전도층(51a)이 형성된다. 상기한 열전도층(51a)은, 나노미터 사이즈, 바람직하게는 10-60 나노미터 사이즈의 탄소나노튜브와 토르마린 광촉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구현된다.
방열팬(53)은,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방열관(51)을 경유하게 하는 것이다.
온도감지센서(54)는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나, 또는 이상동작에 의하여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할 때 이를 검지하여, 방열팬(53)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한다.
수위유지부(60)는, 메인물공급관(S)과 연결되어 그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 된 물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위유지부(60)는, 메인물공급관(S)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61)와, 물저장포집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지함으로써 일정 수위가 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61)를 개폐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물수위감지센서(62)를 포함한다. 그러나 수위유지부는, 화장실의 변기에 적용되는 부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는, 포집부(12)로부터 가스라인(75)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혼합가스로 만들기 위한 것이며, 더 나아가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부(1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화방지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는,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가스라인(75)이 연결되는 물저장부(71)와, 물저장부(7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촉매가 저장된 촉매저장부(72)와, 물저장부(71)와 촉매저장부(72) 사이를 연결하는 벤튜리부(73)를 포함한다. 이때 물저장부(71)에 있어서 물의 상부측에는 물을 경유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서브포집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촉매저장부(72)에는 촉매가 저장되는데, 이러한 촉매로서 토르마린 광촉매, 또는 백금촉매가 있다. 이러한 촉매저장부(72)는 화합물 형태로 이루어지는 이물질을 촉매작용에 의하여 제거하게 된다.
제1벤튜리부(73)는 그를 경유하는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고르게 혼합하기 위함과 동시에, 촉매저장부(72)로 이동된 혼합가스가 서브포집부(71a)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벤튜리부(73) 내부에는 미세한 유로가 한 개 또는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미세한 유로가 스크류 형태로 이루어진다. 벤튜리부(73)에 형성된 유로의 직경은 0.2mm ~ 1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물저장부(71)로 유입된 수소가스와 산소가스는 부분적으로 혼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이들 수소가스와 산소가스가 벤튜리부(73)의 유로를 경유하면서 자연스럽게 혼합된다.
한편, 물저장부(71)의 내부에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74)가 설치된다. 수위감지부(74)는, 물저장부(71)에서 소모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급수탱크(미도시)로부터 물이 물저장부(71)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위감지부(7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표 방식이나, 센서 방식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감지부(74) 및 급수탱크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물저장부(71)의 내부에 위치되는 가스라인(75)의 단부에 연결된 이물질제거필터(7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제거필터(76)는 가스라인(75)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한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의 구조에 의하여, 가스라인(75)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은 이물질제거필터(76)에 의하여 제거된다. 이후 이물질이 제거된 혼합가스는 상승하여 서브포집부(71a)에 모아지고, 이에 따라 가스라인(75)으로 역화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서브포집부(71a)에 모아진 혼 합가스는 이후 벤튜리부(73)를 경유하면서 더욱 고르게 혼합되고, 촉매저장부(72)를 통과하면서 화합물로 된 이물질이 제거되어, 고순도의 혼합가스가 된다.
다음 상기와 같은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전극유니트(20)에 직류를 인가하면, - 전극(21) 및 + 전극(22) 사이에 전기분해가 일어나면서 수소 및 산소기포가 발생하고, 이들의 혼합가스는 물과 함께 가스공급관(40)(40')을 통하여 물저장포집조(10) 내부의 물의 상부측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물저장포집조(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고, 높아진 내부압력은 물이 물공급관(30)(30')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즉, 펌프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지 않더라도, 물저장포집조(10)로 공급되는 수소 산소 혼합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물은 자연스럽게 물공급관(30)(30')을 통하여 전극유니트(2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후,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혼합가스분리필터(11)를 경유한 후 포집부(12)에 모아지고, 포집부(12)에 포집된 수소산소 혼합가스는 가스라인(75) -> 역류방지필터유니트(70) -> 노즐(80)을 통하여 연소가스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전극유니트(20)에서 전기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열이 발생되고, 이 열은 가스공급관(40)(40')을 통하여 물저장포집조(10)로 전달되면서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가 올라간다. 그러면, 물저장포집조(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열방열부(50)의 방열관(51) 및 방열핀형성부(52)의 온도가 올라가고, 이에 따라 방열관(51) 내부의 공기는 가열되어 상승한 후 외부로 빠져나간다. 즉, 방열관(51) 및 방열핀형성부(52)로 전달된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은 그 방열관(51)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자연 방열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또는 이상동작에 의하여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면, 온도감지센서(54)는 이를 검지하여 방열팬(53)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급속한 방열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흡열방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저장포집조 10a ... 열전도층
11 ... 혼합가스분리필터 12 ... 포집부
20 ... 전극유니트 21, 22 ... 전극
30,30' ... 물공급관 40,40' ... 가스공급관
50 ... 흡열방열부 51 ... 방열관
51a ... 열전도층 52 ... 방열핀형성부
53 ... 방열팬 54 ... 온도감지센서
60 ... 수위유지부 61 ... 솔레노이드밸브
62 ... 물수위감지센서 70 ... 역류방지필터유니트
71 ... 물저장부 71a ... 서브포집부
72 ... 촉매저장부 73 ... 벤튜리부
74 ... 수위감지부 75 ... 가스라인
76 ... 이물질제거필터 80 ... 노즐

Claims (7)

  1. 물이 저장되고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물저장포집조(10);
    다수의 전극(21)(22)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한 전극유니트(20);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하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상기 물저장포집조(10)로부터 상기 전극유니트(20)로 물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물공급관(30)(30');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상부측과 전극유니트(20)를 연결하여 상기 전극유니트(20)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상기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의 상부측으로 공급하는 가스공급관(40)(40'); 및
    상기 물저장포집조(10)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열을 흡열한 후 방열하는 흡열방열부(50);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방열부(50)는, 상기 물저장포집조(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관(51)과, 상기 방열관(51)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늘리기 위한 방열핀형성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방열부(50)는, 상기 방열관(5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팬(53)과,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물저장포집조(10)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상기 방열팬(53)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하는 온도감지센서(5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호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표면 또는 상기 방열관(51) 내주면 또는 상기 방열핀형성부(52)의 표면에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열전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나노미터 사이즈의 탄소나노튜브와 토르마린 광촉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메인물공급관(S)과 연결되어 그 물저장포집조(10)에 저장된 물이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위유지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위유지부(60)는, 상기 메인물공급관(S)과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61)와, 상기 물저장포집조(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지함으로써 일정 수위가 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1)를 개폐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물수위감지센서(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포집조(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소산소 혼합가스를 물로부터 분리하기 혼합가스분리필터(11)와, 상기 혼합가스분리필터(11)의 상부에 형성되어 그 혼합가스분리필터(11)를 경유한 수소산소 혼합가스가 포집되는 포집부(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KR1020080110362A 2008-11-07 2008-11-07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KR10089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62A KR100891486B1 (ko) 2008-11-07 2008-11-07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AU2009230747A AU2009230747A1 (en) 2008-11-07 2009-10-26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ing system
RU2009140165/05A RU2009140165A (ru) 2008-11-07 2009-10-30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ования смешанного водородокислородного газа
EP09174965A EP2184382A1 (en) 2008-11-07 2009-11-03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ing system
BRPI0905971-7A BRPI0905971A2 (pt) 2008-11-07 2009-11-04 sistema gerador de gás misto hidrogênio-oxigênio
TW098137590A TW201026900A (en) 2008-11-07 2009-11-05 A hydrogen-oxygen mixed gas system
US12/590,327 US20100264021A1 (en) 2008-11-07 2009-11-05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ing system
JP2009255457A JP2010111945A (ja) 2008-11-07 2009-11-06 水素酸素混合発生システム
ZA200907809A ZA200907809B (en) 2008-11-07 2009-11-06 A hydrogen-oxygen mixed gas system
CN200910211409A CN101736355A (zh) 2008-11-07 2009-11-06 氢氧气体制取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362A KR100891486B1 (ko) 2008-11-07 2008-11-07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486B1 true KR100891486B1 (ko) 2009-04-01

Family

ID=407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362A KR100891486B1 (ko) 2008-11-07 2008-11-07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00264021A1 (ko)
EP (1) EP2184382A1 (ko)
JP (1) JP2010111945A (ko)
KR (1) KR100891486B1 (ko)
CN (1) CN101736355A (ko)
AU (1) AU2009230747A1 (ko)
BR (1) BRPI0905971A2 (ko)
RU (1) RU2009140165A (ko)
TW (1) TW201026900A (ko)
ZA (1) ZA20090780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9432A1 (en) * 2008-12-05 2010-06-23 Boo-Sung Hwang A hydrogen-oxygen generating system
KR20200000538A (ko) * 2018-06-25 2020-01-03 (주)코메스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90B1 (ko) * 2009-02-18 2009-12-09 황부성 수소산소 발생용 전극판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TW201332656A (zh) * 2012-02-14 2013-08-16 Epoch Energy Technology Corp 保健氫氧氣供應設備
BR112015005093A2 (pt) * 2012-09-07 2017-09-26 Gamikon Pty Ltd aparelho para realização de eletrólise e geração calor
US10465300B2 (en) 2014-10-16 2019-11-05 Hsin-Yung Lin Gas generator
CN112096519B (zh) * 2020-11-11 2021-01-15 山东艾泰克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陈积碳清理用清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431B1 (en) 1997-03-21 2001-09-11 Lynntech International, Ltd. Integrated ozone generator system
KR20020094396A (ko) * 2001-06-11 2002-12-18 신일균 가스 발생장치
KR20060100528A (ko) * 2005-03-17 2006-09-21 김춘식 수소 및 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780009B1 (ko) * 2006-12-05 2007-11-27 손복수 차량용 워터가스 발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638B2 (ja) * 1980-12-01 1983-11-05 株式会社ア−チクリエイテイ−ブハウス 電気分解装置
JPS63254397A (ja) * 1987-04-09 1988-10-21 Riyuusei Sangyo Kk フイン内蔵型熱交換チユ−ブ
US5346778A (en) * 1992-08-13 1994-09-13 Energy Partners, Inc. Electrochemical load management system for transportation applications
JPH09316676A (ja) * 1996-05-27 1997-12-09 Shinko Pantec Co Ltd 筒型電解セルおよび水素酸素発生装置
JPH10220909A (ja) * 1996-12-03 1998-08-21 Komatsu Ltd 流体温度制御装置
CN2327698Y (zh) * 1998-04-23 1999-07-07 董若西 强制冷却式氢氧发生装置
US6446942B1 (en) * 2001-05-02 2002-09-10 Ming-Kun Tsai Cooling tower
JP2005089851A (ja) * 2003-09-19 2005-04-07 Union:Kk 電解槽の電解液温度安定装置
JP2005228855A (ja) * 2004-02-12 2005-08-25 Yamagishi Kogyo:Kk 放熱器
KR20080068164A (ko) * 2007-01-18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431B1 (en) 1997-03-21 2001-09-11 Lynntech International, Ltd. Integrated ozone generator system
KR20020094396A (ko) * 2001-06-11 2002-12-18 신일균 가스 발생장치
KR20060100528A (ko) * 2005-03-17 2006-09-21 김춘식 수소 및 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780009B1 (ko) * 2006-12-05 2007-11-27 손복수 차량용 워터가스 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9432A1 (en) * 2008-12-05 2010-06-23 Boo-Sung Hwang A hydrogen-oxygen generating system
KR20200000538A (ko) * 2018-06-25 2020-01-03 (주)코메스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KR102062986B1 (ko) * 2018-06-25 2020-01-07 (주)코메스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6900A (en) 2010-07-16
RU2009140165A (ru) 2011-05-10
CN101736355A (zh) 2010-06-16
ZA200907809B (en) 2010-06-30
JP2010111945A (ja) 2010-05-20
EP2184382A1 (en) 2010-05-12
AU2009230747A1 (en) 2010-05-27
BRPI0905971A2 (pt) 2011-09-06
US20100264021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914B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KR100891486B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KR100862923B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시스템
ES2728901T3 (es) Reactor electroquímico para la producción de gas oxihidrógeno
CN104769160B (zh) 电解设备
JP2012528459A5 (ja) 高熱伝導率体を使用する電気エネルギー蓄積装置または電気化学エネルギー発生装置の温度を変更するシステム
CN101949341B (zh) 用于汽车内燃机节能和减排的电化学装置及其制造方法
CN105714326B (zh) 悬浮电催化解水产氢装置
KR101414780B1 (ko) 자동차용 브라운가스 발생기의 제어장치
JP2016037662A (ja) 炭素繊維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JP7448170B2 (ja) 溶融水酸化物直接炭素型燃料電池およびそれを含む発電装置
KR101326509B1 (ko) 연료전지 시스템용 이온필터의 기포 배출 장치
KR101007509B1 (ko)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1165832B1 (ko) 자동차용 브라운가스 발생기의 제어장치
WO1997044506A1 (fr) Generateurs de gaz hydrogene
CN214552392U (zh) 一种二氧化碳捕集转化燃料装置
KR200400229Y1 (ko)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기
KR200288936Y1 (ko)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소가스 발생장치
AU2012202660A1 (en) A hydrogen-oxygen generating system
CN114990571A (zh) 电解水装置
AU2012202566A1 (en) Hydrogen-Oxygen mixed gas generating system
AU2012200606A1 (en) System for producing a mixture of Hydrogen and Oxygen Gases
JP2004155602A (ja) 水素生成装置および燃料電池発電装置
KR20170062834A (ko) 고효율 수산가스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토바이
KR20050083056A (ko) 수소 산소 혼합가스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