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460B1 -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460B1
KR100891460B1 KR1020070073885A KR20070073885A KR100891460B1 KR 100891460 B1 KR100891460 B1 KR 100891460B1 KR 1020070073885 A KR1020070073885 A KR 1020070073885A KR 20070073885 A KR20070073885 A KR 20070073885A KR 100891460 B1 KR100891460 B1 KR 10089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green
mixture
coat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624A (ko
Inventor
김낙주
Original Assignee
김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주 filed Critical 김낙주
Priority to KR102007007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46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탑코팅 마감제로 옥상및 바닥을 색상을 추가하여 미려함을 한층더 돋보이게 하고 기존의 방수층을 보호하며 견고하고 충격에 강하며 어떠한 기후 조건에도 성분의 영향을 받지않고 균열이나 부식이 없으며 오염된 산성에도 잘 견딜수 있는 소재로 내구성이 강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방수, 코팅, 도막, 조성물, 아크릴산

Description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WATER PROOF COATING MATERIAL}
본 발명은 도막 방수코팅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성 우레탄 코팅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색상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이 있다.
이 중, 아스팔트 방수공법은 사용 역사가 가장 길고, 사용실적이 많으며, 공사경험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시공현장에서 가열·용융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역한 취기가 발생되며, 화기를 취급함으로써 화재위험이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에서는 온도차이로 인해 방수재 도막의 자체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트방수공법은 합성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1.0∼3.0㎜의 두께와 100∼200㎝의 폭을 갖는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상온시공이 가능하며, 기후 및 오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부위의 방수시공이 어렵고, 시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꾀할 수 없어 누수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분 보수가 어렵고 접착제 중의 용제의 휘발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증발에 따른 수증기압에 의해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낮과 밤,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어 도막이 파손되고, 그 결과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시트 방수층 상부에 보호층을 설치해야 하므로, 방수층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여 지붕의 하중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개발된 도막방수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탄성 아크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공법,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이용한 방수공법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작업현장에서 아크릴, 클로로프렌, 우레탄 등을 액상으로 도포한 후, 화학반응 또는 용제의 휘발에 따라 방수도막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방수재를 액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위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음매 없는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방수재 층간 및 방수면과의 접착력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방수제의 경우 옥상 시공시 자외선의 영향으로 온도 상승이 바 닥 내부로 부터 수분의 팽창으로 인한 수증기 압을 견디지 못하고 우레탄의 탄성이 꽈리 현상을 일으키며 박리되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또한 냄새가 심하여 작업자들의 안전상에도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성 우레탄 코팅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색상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친환경, 무독성인 수성 코팅제를 개발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코팅제는, 아크릴 바인더 67~70중량%, 텍사놀(Texanol) 0.05~0.5중량%, 비독성제(nontoxic Green) 1~3중량%, 탄산칼슘(CaCO3) 27~30중량%, 점도 조절제 0.05~0.2중량%, 분산제0.01~0.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로 이루짐이 바람직 하다.
특히, 상기 아크릴 바인더는 물 20~40중량%, 에톡실화 노닐페놀 술포숙신산 이나트륨의 하프 에스테르(disodium ethoxylated nonyl phenol half ester of sulfosuccinic acid) 10~20중량%, 암모늄 과황산염 촉매제 5~15중량%, 폴리옥시렌 노닐페놀 에테르(Polyoxylene nonylphenol ether) 5~10중량%, 투-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2~10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2~8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 N-아세틸 무람산(Acetyl Muramain acid;NAM) 2~5중량%, 디부틸프탈레이트 1~8중량%, 메타크릴산 1~5중량%, 암모니아수 5~15중량%로 혼합되어진 혼합물질이다.
또한, 상기 비독성제는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 green) 20~40중량%, 산화철 옐로우(Iron Oxide Yellow,Fe2O3) 10~30중량%, 산화티탄(Titanium Dioxide,TiO2) 10~30중량%, 크롬산 그린(Chrome Oxide Green,Cr2O3) 20~35중량%로 혼합된 혼합물질로 구성함으로 전체적으로 녹색의 색상이 구현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점도조절제는 폴리우레탄 레진 24~26중량%,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17~19중량%, 에테르 56~58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질로 구성함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발명 방수코팅제 조성물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물 30중량%에 에톡실화 노닐페놀 술포숙신산 이나트륨의 하프 에스테르 15중량%, 암모늄 과황산염 촉매제 10중량%, 폴리옥시렌 노닐페놀 에테르 8중량%, 투-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5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5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중량%, 아세틸무람산 4.5중량%, 디부틸프탈레이트 5중량%, 메타크릴산 4중량%, 암모니아수 10중량%를 혼합하여 아크릴바인더를 만든다.
이후, 상기 아크릴바인더를 기타 다른 성분들과 혼합함으로서 본 발명의 방수코팅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아크릴바인더 70중량%에 텍사놀 0.5중량%, 프탈로시아닌을 주원료로 하는 비독성제 2중량%, 탄산칼슘 27.25중량%, 에테르를 주원료로 하는 점 도조절제 0.1중량%, 분산제 0.05중량%, 소포제 0.1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텍사놀은 비독성제에 첨가된 유성색소가 잘 용해되도록 함과 함께, 아크릴바인더 특성인 건조시 성분이 고형화 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코팅피막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산제로서 스테아린산글리콜을 사용하였고, 소포제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방수코팅제를 옥상 및 바닥의 방수층 보호를 위해 시공함으로 기 형성된 방수층을 보호하여 보다 견고하고 충격에 강하며 어떠한 기후 조건에서도 성분의 영향을 받지 않아 균열이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비독성제 성분을 이루는 유성색소로 인해 녹색계열을 색상이 구현됨으로 방수층의 미려함이 한층 더 돋보이게 됨과 함께, 기존의 우레탄 코팅층을 대체하여 방수층이 오염된 산성에도 잘 견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탑코팅 마감제로 옥상및 바닥을 색상을 추가하여 미려함을 한층더 돋보이게 하고 기존의 방수층을 보호하며 견고하고 충격에 강하며 어떠한 기후 조건에도 성분의 영향을 받지않고 균열이나 부식이 없으며 오염된 산성에도 잘 견딜수 있는 소재로 내구성이 강하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 다.

Claims (4)

  1. 아크릴 바인더 67~70중량%, 텍사놀 0.05~0.5중량%, 비독성제(nontoxic Green) 1~3중량%, 탄산칼슘(CaCO3) 27~30중량%, 점도 조절제 0.05~0.2중량%, 분산제 0.01~0.05중량%, 소포제 0.01~0.1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크릴 바인더는 물, 에톡실화 노닐페놀 술포숙신산 이나트륨의 하프 에스테르, 암모늄 과황산염 촉매제, 폴리옥시렌 노닐페놀 에테르, 투-에틸핵실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세틸무람산, 디부틸프탈레이트, 메타크릴산, 암모니아수를 포함하는 혼합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독성제는 프탈로시아닌 그린(Phthalocyanine green), 산화철 옐로우(Iron Oxide Yellow), 산화티탄(Titanium Dioxide), 크롬산 그린(Chrome Oxide Green)을 포함하는 혼합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도조절제는 폴리우레탄 레진 24~26중량%,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17~19중량%, 에테르 56~58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KR1020070073885A 2007-07-24 2007-07-24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KR10089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85A KR100891460B1 (ko) 2007-07-24 2007-07-24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885A KR100891460B1 (ko) 2007-07-24 2007-07-24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624A KR20090010624A (ko) 2009-01-30
KR100891460B1 true KR100891460B1 (ko) 2009-04-01

Family

ID=4048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885A KR100891460B1 (ko) 2007-07-24 2007-07-24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35B1 (ko) 2011-10-11 2013-12-26 강준구 아스팔트 교면방수용 수용성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교면방수재를 이용한 교면방수 방법
KR20190030072A (ko) 2017-09-13 2019-03-21 가미소재(주)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84B1 (ko) * 2010-06-22 2010-10-07 주식회사 칠만공사 방수용 보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936782A (zh) * 2016-05-27 2016-09-14 广西梧州龙鱼漆业有限公司 防水涂料
CN105936783A (zh) * 2016-05-27 2016-09-14 广西梧州龙鱼漆业有限公司 防水涂料的制备方法
CN106634455A (zh) * 2016-10-21 2017-05-10 过冬 一种海洋工程重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497342A (zh) * 2016-10-21 2017-03-15 过冬 一种耐酸碱腐蚀的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398478A (zh) * 2016-10-21 2017-02-15 过冬 一种抗菌涂料及其制备方法
CN114561135B (zh) * 2022-04-25 2022-07-26 北京悦筑新天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乳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006B2 (ja) 1988-08-30 1997-03-12 東亞合成株式会社 塗膜防水用組成物
KR20000072868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20040009140A (ko) * 2002-07-22 2004-01-31 네오건설 주식회사 자기 가교성 변성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수용성 1액형노출 방수제
KR100595530B1 (ko) * 2005-03-02 2006-07-03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한 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006B2 (ja) 1988-08-30 1997-03-12 東亞合成株式会社 塗膜防水用組成物
KR20000072868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20040009140A (ko) * 2002-07-22 2004-01-31 네오건설 주식회사 자기 가교성 변성 아크릴 수지를 이용한 수용성 1액형노출 방수제
KR100595530B1 (ko) * 2005-03-02 2006-07-03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한 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735B1 (ko) 2011-10-11 2013-12-26 강준구 아스팔트 교면방수용 수용성 조성물 및 이에 의해 형성된 교면방수재를 이용한 교면방수 방법
KR20190030072A (ko) 2017-09-13 2019-03-21 가미소재(주)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624A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460B1 (ko) 도막 방수코팅제 조성물
KR1019526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2353907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내자외선성,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도장 공법
KR101253028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KR101031067B1 (ko) 아파트의 외벽 방수 및 도장을 위한 균열피막 보수방법
KR1011773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중성화방지용 도료조성물
KR20090119008A (ko) 복합방수시공방법 및 그로 인해 형성된 복합방수층 구조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123490B1 (ko)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KR101025806B1 (ko) 옥상 보호모르타르 표면강화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101623081B1 (ko) 건축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291114B1 (ko) 탄성고분자 및 세라믹을 포함하는 방수방식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01850B1 (ko) 금속 및 아스팔트 슁글 건축물 지붕의 차열방수공법
KR101747660B1 (ko) 자기 지수 및 보수성을 가지는 교면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70065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콘크리트 박락 부위와 구조재에 대한 보강·보수공법
KR100940350B1 (ko)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93615B1 (ko)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Ashcroft Industrial polymer applications: Essential chemistry and technology
KR20170055220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방지 및 방수공법
KR102525769B1 (ko) 콘크리트 외벽의 중성화 및 미세균열 방지 도장방법
KR101039833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도막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0729B1 (ko) 콘크리트 균열 보수 방법
KR20090112912A (ko) 옥상 단열 방수층 세라믹 방수 시공방법 및 시공구조
KR101318679B1 (ko) 친환경 수성 침투식 교면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