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186B1 -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186B1
KR100891186B1 KR1020070020228A KR20070020228A KR100891186B1 KR 100891186 B1 KR100891186 B1 KR 100891186B1 KR 1020070020228 A KR1020070020228 A KR 1020070020228A KR 20070020228 A KR20070020228 A KR 20070020228A KR 100891186 B1 KR100891186 B1 KR 10089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588A (ko
Inventor
한태수
Original Assignee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1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용기에 부착되는 RFID 태그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 및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판매자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한 양을 해당 상품의 제조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의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유통단계를 제거하고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the quantity consumed of goods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상품 용기
2 : 알에프아이디(RFID) 태그
3, 10 : 사용자 단말기
4 : 무선통신망
5, 50 : 판매자 서버
본 발명은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화장품과 같이 용기 안에 담겨져 있는 상품을 사용자가 소비한 사용량을 원격의 판매자 서버에서 전송받고, 사용자의 해당 상품의 완전 소모기한을 예측하여 이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정보 및/또는 2차 구매를 위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한 양을 해당 상품의 제조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의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유통단계를 제거하고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이 가능하게 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과 같은 상품의 제조 및/또는 판매 업계는 마케팅의 수단이 날로 다양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고객과의 꾸준한 유대관계에 의해 새로운 수요를 발생시키게 하는 마케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유대관계는 고객에게 고객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일례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마케팅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은 소비자가 1차구매시에 제공한 이메일 주소 등으로 일률적인 상품 소개의 형태인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소비자는 이러한 일률적인 마케팅정보에는 식상해하며, 이로 인해, 2차구매의 확률은 감소된다.
또한, 현재는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시기를 마케팅정보를 전송하는 편에서 임의로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품을 필요로 하는 시기와 무관하게 마케팅정보가 전송되고 있다. 이는 마케팅효과의 피드백면에서 올바르지 못하며 보다 적절한 마케팅활동의 시기 선택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요구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품 을 필요로 하는 시기를 판매자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근래에는 상품 유통구조에 있어서, 상품에 무선인식 가능한 RFID 태그를 부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RFID 태그란 무선 주파수 식별자(Radio Frequeny Identification) 태그의 약자로서, 통상적으로 RFID 태그에는 전자기적으로 정보가 쓰여질 수 있고, 이 정보는 RFID 판독기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판독할 수 있다. RFID 태그에 의하여 상품 정보가 전자적인 정보로서 상품 자체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품 정보를 상품으로부터 전자적으로 판독할 수 있어, 무수한 응용분야가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의 응용 분야 중에 예를 들면,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분야가 있다. 종래에 제안된 것을 살펴보면,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6-0097809 (공개일 2006년 9월 18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 기록매체"(출원인: 주식회사비즈모델라인)의 공개공보에는, 고객이 구매/결제한 상품 정보를 RFID 태그로부터 RFID 판독기를 이용하여 판독하고, 예컨대 고객의 결제수단 정보와 같은 고객의 고유정보를 입력하여, 이 상품 정보와 고객 고유정보를 연계시킴으로써,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를 생성시켜 저장하고, 이후 원격의 RFID 단말기로부터 상품의 RFID 태그에서 독출된 상품 정보가 수신되면, 연관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RFID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근래의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의해, 판매자의 서버와 원격의 사용자 단말 사이에서, 사용자 측에 있는 상품에 부착된 RFID 상의 전자 정보가 판매자 서버에 제공될 수 있음에 기초되어 있다. 그러나 단 순히 상품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원격지로 송신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가장 적절한 시기, 예컨대 화장품과 같은 소모성 상품이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소모되는 기한을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과 같이 용기 안에 담겨져 있는 상품을 사용자가 소비한 사용량을 원격의 판매자 서버에서 전송받고, 사용자의 해당 상품의 완전 소모기한을 예측하여 이에 따른 맞춤형 마케팅정보 및/또는 2차 구매를 위한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게 구성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한 양을 해당 상품의 제조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의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유통단계를 제거하고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이 가능하게 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용기에 부착되는 RFID 태그,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 및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판매자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사 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키고,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각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에는, 상기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관련된 센서 감지값이 함께 독출되도록 구성된 사용량 체크 센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용기에는 상기 용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GPS 칩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상품 용기와, 상기 상품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와, 상기 상품 용기가 이탈가능하게 안치되는 상품 수납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판매자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상품 수납장치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와, 사용자 고유정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상품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는 이탈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용기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에 의해 추정되는 상기 상품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은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품 수납장치는 상기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키고,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각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품 용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할 때에, 상기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관련된 센서 감지값이 함께 독출되도록 구성된 사용량 체크 센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GPS 칩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가 포함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상품 수납장치는 별도의 이동통신용의 RFID 판독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 수납장치의 리셋시부터 또는 이전의 용기 이탈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간격 이상의 경과시간이 흐른 경우, 알람장치를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서버에 의해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 서버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고 또한 RFID 판독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상품의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상품의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서버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 서버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고 RFID 판독기를 내장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품 수납장치에 이탈가능하게 안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품의 용기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된 때에 상기 상품의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의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기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상품의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에 의해 추정되는 상기 용기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설명에서 '상품'은 액상, 겔 또는 졸 상태, 또는 분말이나 고체 상태, 가스 상태의 내용물이 일정한 형태의 용기 내에 담겨져서 판매된 후, 사용자에 의해 내용물이 소모되는 모든 종류의 상품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화장품'을 구체적인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에 의해 명백해질 것과 같이, 본원 발명의 핵심은 화장품과 같은 상품의 중간 유통단계를 제거하여, 소비자(사용자)와 판매회사(제조자)를 직접 연결한다는 것과 실시간으로 화장품과 같은 상품의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판매회사의 모니터에서 확인하고 관리하여 상품의 교체시기와 관련된 정보 또는 기타 다른 개별마케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상품의 용기 외부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된다. RFID 태그는 마이크로칩과 RFID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독립된 전원을 포함하지 않는 수동형 소자이어서 적은 중량과 부피를 가지므로, 본 발명과 같이 화장품과 같은 작은 물품에 사용하기 용이하다. 특히 RFID 태그는 제품정보를 포함하며, 이 제품정보는 제품군, 제품명, 제조일, 제조공장, 제품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ID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칩과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소자로, 상호 유도(Inductively Coupling) 방식 또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방식을 이용하여 RFID 판독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RFID 판독기로 전송한다. RFID 판독기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RFID 태그와 근접한 거리에 놓이게 되면 상호 유도 (Inductively Coupling) 방식 또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 방식을 이용하여 RFID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는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소비자인 사용자측의 사용자 단말기(3)와 판매자 측의 판매자 서버(5)가 무선통신망(4)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구입한 화장품의 용기(1)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2)를 사용자 단말기(3)에 포함되어 있는 RFID 판독기(31)를 이용하여 RFID 태그(2)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를 소정의 관련 정보와 함께 판매자 서버(5)로 전송하게 된다.
판매자 서버(5)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한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판매자 서버(5)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51),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52), I/O 인터페이스(53), 키보드와 같은입력부(54), 모니터와 같은 출력부(55), 사용자의 고유정보와 그 외 이메일주소, 거주지 주소 또는 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고객DB(56), 상품의 명세와 가격과 제조일, 제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상품DB(57), 및 각각의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별마케팅정보 또는 상품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마케팅DB(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예컨대 무선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고 RFID 판독기가 내장되는 휴대폰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는 판매자에 의하여 처음 상품 판매시 사용자에게 제공된 특별제작된 전용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 사용자 단말기(3)는 상기 상품의 용기(1)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2)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31)를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용의 통신부(34)와, 메모리(33), 입출력부(35), 및 제어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매자 서버(5)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3)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4)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판매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를 용기(1)의 RFID 태그(2) 부분에 가까이 근접시킴으로써, RFID 태그(2)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사용자 단말기(3)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3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즉 고객ID)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1)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5)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3)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실행되며,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메모리(33)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서버(5)로 전송되는 정보는 필수적으로 3가지 정보, 즉 사용자의 신원을 알려주는 사용자 고유정보,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 정보, 및 상품의 잔량 또는 사용량에 관련된 사용량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고유정보는, 예컨대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별도의 미리 정해진 문자와 숫자의 시퀀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 이 사용자 고유정보는 상품 구매시 또는 결제시 사용자에 의하여 판매자에게 제공되며, 판매자는 이 사용자 고유정보를 도시된 예의 경우 고객DB(56)에 저장하고 있다.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종류, 또는 개별 상품 그 자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예컨대 제조번호, 제조일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 상품 정보는, 상품 제조시 상품 용기(1)에 부착되는 RFID 태그(2)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판매자 서버(5)의 상품DB(57)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용량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비된 상품의 양과 관련된 정보를 지칭한다. 사용량 정보는, 예컨대 RFID 태그(2)의 독출시 사용자 단말기(3)의 입출력부(35)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량 정보는, 상품 용기(1)에 내장된 별도의 센서(미도시됨)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즉, 용기(1)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서 상기 RFID 태그(1)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할 때에, 상기 용기(1)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관련된 센서 감지값이 함께 독출되도록 구성된 사용량 체크 센서(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사용량 정보는, 용기(1)의 뚜껑을 여는 횟수나 용기(1)가 소정 위치에서 이동되는 횟수등의 간접 정보로부터 소정의 추정 관계식을 사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상기 판매자 서버(5)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한다. 판매자 서버(5)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키고,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한다. 판매자 서버(5)는,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로 전송한다. 이때, 마케팅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상품과 유사한 상품을 소개하는 정보, 판매자의 회사 캠페인 및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엔터테인먼트콘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예에서, 상기 용기(1)에는 상기 용기(1)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GPS 칩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예는 GPS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해당 화장품을 휴대하고 다니는가를 실시간 체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컨대 소비자가 이사를 갔을 경우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주소정보가 실제 사용자가 있는 곳과 일치하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GPS에 나타난 위치를 추적하여 해당 위치의 주소로 상품을 배달하는 등의 경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예컨대 상품구매단계 또는 결제단계에서, 판매자 서버(5)에 의해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품, 즉 예컨대 화장품을 자신의 집에 두고 사용하게 될 것이다. 사용자는 원하는 때,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사용자 단말기(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매자 서버(5)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고 또한 RFID 판독기(3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를 이용하여 상품의 용기(1)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2)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에는 전용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서, 상기 상품의 용기(1)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2)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3)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33)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1)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5)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3)의 각부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며,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메모리(33)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3)가 RFID 태그(2)를 판독하는 것을 트리거 신호로 하여 자동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의 예컨대 LCD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독출된 정보와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입력 창 또는 사용량 선택 메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부(35)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소정의 정보가 판매자 서버(5)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판매자 서버(5)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판매자 서버(5)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킨다. 또한 판매자 서버(5)는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한다.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로 전송한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판매자는 사용자의 상품 사용량을 쉽게 알 수 있으며, 상품을 교체할 시기에 맞추어 새로운 상품 또는 동일한 종류의 상품을 추가 구매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와 판매자서버(50)가 무선통신망(4)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위의 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상품 용기(12)를 안치한 미니상품대(14)를 포함한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판매자 서버(50)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판매자측 장치이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판매자 서버(50)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51),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52), I/O 인터페이스(53), 키보드와 같은 입력부(54), 모니터와 같은 출력부(55), 사용자의 고유정보와 그 외 이메일주소, 거주지 주소 또는 연락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고객DB(56), 상품의 명세와 가격과 제조일, 제조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상품DB(57), 및 각각의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될 개별마케팅정보 또는상품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마케팅DB(5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미니상품대(14) 및 화장품 용기(12)를 포함한다. 미니상품대(14)는 특히 상기 상품의 용기(12)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124)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148)를 내장한다. 비록 도면에는 상품 용기(12)가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편의적인 예에 불과할 뿐이며,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상품 용기(12)가 미니상품대(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품은 화장품 일 수 있으며, 상품 용기가 안착되는 미니상품대는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일반 냉장고 또는 전용 냉장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 서버(50)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판매자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행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망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품 용기(12)는 미니 상품대(14)에 이탈가능하게 안착되는데, 용기(12)가 이탈될 때 이를 감지하는 이탈감지센서(166)가 미니 상품대(14)에 내장된다. 이 이탈감지센서(166)는 상품의 용기(12)가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되며, 또한,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상품의 용기(12)가 이탈될 때에 상품의 용기(12)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124)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하도록 RFID 판독기(148)를 트리거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미니 상품대(14)는 사용자 고유정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44)를 포함한다. 또한 미니 상품대(14)는 판매자 서버(50)와 양방향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4)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46)를 가지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4),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수단인 입력부(158), LED 램프 또는 LCD 디스플레이 화면일 수 있는 출력부(162) I/O 인터페이스(156), 전원부(14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상품의 용기(12)가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이탈될 때 용기(12)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124)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한 때에, 상기 메모리(14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12)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에 의해 추정되는 용기(12)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판매자 서버(50)로 송신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며, 이러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메모리(144)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판매자 서버(50)로 전송되는 정보는 3가지정보, 즉 사용자의 신원을 알려주는 사용자 고유정보, 상품을 식별하기 위한 상품 정보, 및 상품의 잔량 또는 사용량에 관련된 사용량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고유정보는, 예컨대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또는 별도의 미리 정해진 문자와 숫자의 시퀀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이용될 수 있다. 이 사용자 고유정보는 상품 구매시 또는 결제시 사용자에 의하여 판매자에게 제공되며, 판매자는 이 사용자 고유정보를 도시된 예의 경우 고객DB(56)에 저장하고 있다. 상품 정보는 각각의 상품 종류, 또는 개별 상품 그 자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예컨대 제조번호, 제조일 등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이 상품 정보는, 상품 제조시 상품 용기(12)에 부착되는 RFID 태그(124) 내에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판매자 서버(50)의 상품DB(57)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용량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비된 상품의 양과 관련된 정보를 지칭한다. 또는 사용량 정보는, 용기(12)의 뚜껑을 여는 횟수나 용기(12)가 소정 위치에서 이동되는 횟수 등의 간접 정보로부터 소정의 추정 관계식을 사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즉 사용량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12)를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이탈한 때에, 이탈감지센서(16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4)로 신호를 송신하면, 제어부(154)는 RFID 판독기(148)를 동작시켜 RFID 태그(124)를 독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이탈감지센서(166)의 신호는 제어부(154)에 의해 카운팅되어 이탈 횟수로서 누적되고, 이 이탈 횟수는 상품 사용량 정보로서 추정되어 변환될 수 있다. 상품 예컨대 화장품을 완전히 사용하는데 필요한 상품의 이탈 횟수는 사용자의 습관에 의해 거의 일정하게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추정 관계식은 각 소비자마다의 각 개별 상품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사용량에 대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정해질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량 정보는, 상품 용기(12)에 내장된 별도의 센서(122)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즉, 용기(12)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기 RFID 태그(124)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할 때에, 상기 용기(12)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관련된 센서 감지값이 함께 독출되도록 구성된 사용량 체크 센서(1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판매자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한다. 판매자 서버(50)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킨다. 그후 판매자 서버(50)는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한다. 이후 판매자 서버(50)는,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GPS 칩(152)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의 미니 상품대(14)는 별도의 이동통신용의 RFID 판독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20)에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는 일반적인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용 단말기일 수도 있는데, 미니상품대(14)의 제어부(154)와 서로 호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미니상품대(14)에서 생성된 정보를 판매자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미니 상품대(14)의 리셋시부터 또는 이전의 용기(12) 이탈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간격 이상의 경과시간이 흐른 경우,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10) 각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상품이 오랜 시간동안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고 볼 수 있고, 예컨대 화장품의 경우 그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변질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알람장치는 디스플레이(162)에 표시되는 기호 또는 문자일 수 있고, 또는 LED 램프가 깜빡거리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5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된다. 단계(501)는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고, 상품을 수령한 후 세팅하는 단계이고, 판매자 서버(50)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즉 고객ID)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게 된다.
단계(502)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미니 상품대(14)의 리셋시부터 또는 이전의 용기(12) 이탈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 간격 이상의 경과시간이 흐른 경우(YES), 알람장치를 동작시킨다(511 단계). 이 알람 정보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판매자 서버(50)로 전송될 수 있고, 단계(512)에서 판매자 서버(50)에서는 적절한 추가구매상품 안내 정보와 같은 개별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새로운 상품주문 및 결제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단계 513)
상기 단계(502)에서 경과시간이 미리 결정된 기간보다 길지 않으면(NO), 상품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대기상태에서 유지되며, 이탈감지센서(166)의 동작에 의하여 상품 사용이 감지된다(단계 503). 즉, 판매자 서버(50)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고 RFID 판독기(148)를 내장하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미니 상품대(14)에 이탈가능하게 안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용기(12)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된 때에 상품의 용기(12)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124)로부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이탈감지센서(166)로부터의 신호는 상품의 용기(12)가 미니상품대(14)로부터 이탈되는 횟수 정보로서 제어부(154)에 의해 수신되며, 제어부(154)는 이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고, 이 누적된 이탈 횟수를 이용하여 누적 사용량이 추정된다(단계 504).
그후 단계(505)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품의 용기(12)가 미니 상품대(14)로부터 이탈될 때 용기(12) 외부에 부착된 RFID(124)로부터 상품정보를 독출한 때에, 메모리(14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용기(12)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에 의해 추정되는 용기(12) 내에 남아있는 상품의 양과 연관된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50)로 송신하도록 사용자 단말기(10)의 각부를 제어하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된다.
판매자 서버(5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한다. 판매자 서버(50)는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킨다. 또한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한다. 단계(506)에서, 이 예측된 시기 이전에는 일반적인 상품 소개 등의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507)하고,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마케팅 정보 중 특히 추가 구매 상품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512)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품의 사용을 완료한 후 거의 공백기간 없이 새로운 원하는 상품을 주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예컨대 화장품과 같이 동일 제품을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한 제품의 경우 매우 효율적인 상품판매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중간 유통단계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판매가격이 할인될 수 있고,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클 수 있다. 또한 판매자와 소비자 간에 긴밀한 협조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제공된다. 더 나아가, 소비자는 자신의 피부 상태를 휴대폰에 내장된 또는 별도의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 이를 판매자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판매자 서버는 이를 분석하여 적절한 화장법이나 피부 손질 방법등에 대해 안내하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품 사용량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사용기한을 예측하여 마케팅 정보를 전송하는 시기를 적절히 결정할 수 있어, 마케팅의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즉, 상품 예컨대, 화장품은 매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화장품이 모두 소모되면 그 즉시 사용자의 구매의사가 발생되기 때문에 화장품의 사용기한을 예측하여 이 때 적절한 마케팅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제품과 사용자에 따른 정확한 사용기한 예측으로 사용자의 구매의욕 발생의 시기를 놓치지 않는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차구매시에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 자신에게 보다 맞추어진 마케팅정보만이 구매자에게 전송되기 때문에, 2차구매로의 유도확률이 더욱 증가된다. 더욱이, 이러한 맞춤 정보 제공은 상품판매회사가 사용자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미용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인 상을 줄 수 있어, 긍정적 이미지 마케팅에 유리할 뿐 아니라 다른 회사와 차별화에도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2차구매에 의한 정보도 자연스럽게 회사에 노출된다. 즉, 사용자의 재구매시에 새로 구매한 제품 및 구매시기 등도 관리서버에 상기 사용자정보 등으로 기록되므로, 별도의 통계 활동 없이도 사용자의 구매 패턴 및 이의 통계를 획득할 수 있어, 다른 마케팅 및 영업 전략의 수립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품을 사용한 양을 해당 상품의 제조자가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의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유통단계를 제거하고 제조자와 사용자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거래 방식이 가능하게 되는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상품 용기와, 상기 상품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품 용기가 이탈가능하게 안치되는 상품 수납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판매자 서버 및
    상기 판매자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품 수납장치는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는 RFID 판독기와, 사용자 고유정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상품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될 때를 감지하고 상기 용기가 이탈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도록 하고 또한 상기 RFID 판독기의 판독 동작을 트리거링하는 이탈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 시 상기 이탈감지센서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정보를 독출하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용기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을 기초로 상기 상품 용기 내에 잔존 또는 사용된 상품의 양을 추정하고 이와 연관된 상품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은 화장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장치는 상기 화장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키고,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각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용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상품 정보를 독출할 때에, 상기 용기 내에 잔존하는 상품의 양과 관련된 센서 감지값이 함께 독출되도록 구성된 사용량 체크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GPS 칩 및 이와 연결된 안테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상품 수납장치는 별도의 이동통신용의 RFID 판독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4.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상기 상품 수납장치의 리셋시부터 또는 이전의 용기 이탈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간격 이상의 경과시간이 흐른 경우,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판매자 서버에서,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 의해 제공된 소정의 사용자 고유정보와 상기 구매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 서버와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관계에 있고 RFID 판독기를 내장하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품 수납장치에 이탈가능하게 안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품의 용기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된 때에 트리거링되어 상기 상품의 용기 외부에 부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상품의 상품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상품의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이탈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용기 내에 잔존 또는 사용된 상품의 양을 추정함으로써 연관된 상품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상품의 용기가 상기 상품 수납장치로부터 이탈될 때 트리거링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독출된 상품 정보 및 상기 용기의 이탈 카운팅 누적값에 의해 추정된 상품 사용량 정보를 상기 판매자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 사용자 고유정보, 및 사용량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품 정보와 미리 저장된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된 상품 정보와 관련된 마케팅 정보를 생성시키고, 수신된 사용량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된 단위시간당 소모량을 적용하여 상기 상품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 이하로 되는 시기를 예측하고, 이 예측된 시기가 도래하면, 상기 생성된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각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상품 수납장치의 리셋시부터 또는 이전의 용기 이탈시부터의 경과시간을 체크하고, 미리 결정된 소정 시간간격 이상의 경과시간이 흐른 경우, 알람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 각부를 제어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방법.
KR1020070020228A 2007-02-28 2007-02-28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89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28A KR100891186B1 (ko) 2007-02-28 2007-02-28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228A KR100891186B1 (ko) 2007-02-28 2007-02-28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88A KR20090000588A (ko) 2009-01-08
KR100891186B1 true KR100891186B1 (ko) 2009-04-01

Family

ID=4048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28A KR100891186B1 (ko) 2007-02-28 2007-02-28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04B1 (ko) * 2011-12-26 2014-07-25 에스에이치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액정 설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SG11201807831XA (en) * 2016-03-14 2018-10-30 WaterIO Ltd A method and a system for notifying a user about an estimated time of consumption of a product
KR102152796B1 (ko) * 2018-01-18 2020-09-07 주식회사 동구전자 원두에 대한 전자기록수단을 구비하는 커피머신
KR102214087B1 (ko) * 2019-07-29 2021-02-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스크팩 전용 냉장고
KR102242165B1 (ko) * 2020-06-16 2021-04-19 이현승 음성출력기능을 갖는 선물용 상품 주문생산 및 거래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282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스피드칩 공산품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9816A (ko) * 2004-11-03 2006-05-09 김주성 알 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물품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282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스피드칩 공산품 추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39816A (ko) * 2004-11-03 2006-05-09 김주성 알 에프 아이디를 이용한 물품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88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80411B (zh) 一种基于智能冰箱的食品管理系统
US8015088B2 (en) Methods for implementing a loyalty program
US8825538B2 (en) Systems for implementing a loyalty program
US6129274A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shopping transaction history using electronic personal digital shopping assistant
US7178722B2 (en) Virtual shopping environment
US10783507B1 (en) Consumables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0902223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 Terminal for a Loyalty Program
KR101589010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매장 내 물품 추천 방법 및 장치
US20090303018A1 (en) Electronic label provided with means for reading and displaying rfid chip content
KR20100051091A (ko) 재고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511066A (ja) Rfid基盤のショッピングパターン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EP17823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oting the selection and use of a transaction card
JPH11353555A (ja) リアルタイム商品分析、個別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クーポン情報提供方式
CA2414263A1 (en) System for inventory control and capturing and analyzing consumer buying decisions
KR100891186B1 (ko) 상품 사용량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3145499A1 (ja) 購入情報処理システム、購入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読み取り装置
US20190012498A1 (en) Beverage kios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90287089A1 (en) Beverage kiosk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20180290874A1 (en) Validation system for smart dispensing
JPWO2007088585A1 (ja) 情報収集システム
US7021536B2 (en) Retail consumer information methods and retail consumer information system
KR20150095983A (ko) 할인점 온-오프라인 쇼핑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85043A (ja) 冷蔵庫収納品管理システム
KR101846246B1 (ko) 비콘을 이용한 화장품 이용 관리 시스템
KR20220030241A (ko) 벌크 제품 공급 및/또는 획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