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817B1 -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817B1
KR100890817B1 KR1020070115857A KR20070115857A KR100890817B1 KR 100890817 B1 KR100890817 B1 KR 100890817B1 KR 1020070115857 A KR1020070115857 A KR 1020070115857A KR 20070115857 A KR20070115857 A KR 20070115857A KR 100890817 B1 KR100890817 B1 KR 100890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information
sync byte
value
pay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국
이규정
제승모
정상준
한정규
Original Assignee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7011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S(Transport Stream) 패킷과 비 TS(non-TS) 패킷이 혼재하는 상황에서도 DMB 수신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DMB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패킷 처리 장치는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복조하여, 제1 패킷 및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획득하는 복조부; 상기 제1 패킷을 변환하여, TS 패킷 사이즈를 가지고 소정의 필드에 상기 패킷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MB, TS 패킷, TS 인터페이스

Description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DMB 수신 장치{packet processing apparatus for DMB receiver and DMB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TV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는 각각 MPEG2 TS 패킷의 구조 및 일반적인 TS 인터페이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변환부의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패킷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처리부의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본 발명은 DMB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S(Transport Stream) 패킷과 비 TS(non-TS) 패킷이 혼재하는 상황에서도 DMB 수신 처리를 효율 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DMB 수신기를 위한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DMB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바일 TV 수신기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TV 수신기는 RF 수신기(receiver), 기저 대역 복조기(baseband demodulator), 응용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LCD,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RF 처리하여 다음 단인 기저대역 복조기에 제공하며, 기저대역 복조기는 RF 처리 결과에 대해 기저대역 복조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렇게 복원된 데이터의 스트림은 응용 프로세서에 전달되며, 응용 프로세서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LCD,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DMB 서비스를 최종적으로 제공한다.
기저대역 복조기와 응용 프로세서 간의 인터페이스로는 병렬(parallel) 인터페이스,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TS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으나, 하드웨어 복잡도나 응용 프로세서의 CPU 부하(load)를 고려할 때, 188 바이트 기반의 MPEG2 TS(Transport Stream) 패킷 전송을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TS 인터페이스를 선호한다.
하지만, T-DMB, S-DMB, DVB-H, Media FLO, ISDB-T 등의 모바일 TV 규격을 살펴보면, MPEG2 TS 기반 서비스와 non-TS 기반 서비스가 혼재되어 있고, TS 서비스의 경우에도 PID(packet identifier)만으로 서비스 구분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단일 TS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달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S(Transport Stream) 패킷과 비 TS(non-TS) 패킷이 혼재하는 상황에서도 DMB 수신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DMB 수신기를 위한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DMB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복조하여, 제1 패킷 및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획득하는 복조부; 상기 제1 패킷을 변환하여, TS 패킷 사이즈를 가지고 소정의 필드에 상기 패킷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제1 패킷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2 패킷 - TS 패킷 사이즈를 가지고, 소정의 필드에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포함함 - 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후속 처리 모듈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패킷을 상기 결정된 후속 처리 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패킷 형태로 변환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제1 패킷을 변환하여 생성된 제2 패킷 - TS 패킷 사이즈를 가지고, 소정의 필드에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포함함 - 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패킷 정보 를 기초로, 상기 제2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 복원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복조하여, 제1 패킷을 획득하는 복조부; 상기 제1 패킷을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는 패킷 형태인 제2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으로 전달 받은 제2 패킷을 상기 제1 패킷으로 복원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DMB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 및 도 3는 각각 MPEG2 TS 패킷의 구조 및 일반적인 TS 인터페이스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MPEG2 TS 패킷은 4 바이트 헤더와 184 바이트 패이로드로 구성된 188 바이트 단위의 패킷이다. 헤더의 첫 번째 바이트는 싱크 바이트(sync byte)로서, TS 패킷의 동기화(synchronization)을 위한 지시자(indicator) 역할을 수행하며, 정상적인 경우 0x47 값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TS 인터페이스를 통해 TS 패킷을 수신하는 응용 프로세서 단에서는 싱크 바이트가 0x47 이외의 값을 가지면, 해당 TS 패킷을 버리고, 다음의 TS 패킷을 처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TS 인터페이스는 클럭 신호인 TS_CLK, TS 패킷의 전송 여부를 알리는 인에이블 신호인 TS_EN, 188 바이트인 TS 패킷을 직렬로 전송하는 신호인 TS_DATA를 통하여 TS 패킷을 다음 단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전송할 패킷이 TS 패킷이라면 문제 없으나, non-TS 패킷인 경우에는 TS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저대역 복조기와 응용 프로세서 간의 패킷 전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T-DMB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앙상블(ensemble) 내에 2개 이상의 TS 패킷 서비스가 존재하고, 이들을 PID만으로 각 서비스의 구분이 불가능한 경우, 단일 TS 인터페이스를 통해 응용 프로세서로 TS 패킷을 전송하게 되면, 응용 프로세서는 각 TS 패킷을 정상적으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RF 수신부(400), 복조부(410), 변환부(420), 출력부(430), 입력부(440), 처리부(450), 및 응용 처리부(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의상, 도 4에는 안테나, 스피커, LCD 등을 생략하였다.
복조부(410), 및 변환부(420)가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복조부(410), 변환부(410), 및 출력부(420)가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처리부(450), 및 응용 처리부(460)가 하나의 칩(예컨대, 응용 프로세서)으로 이루어져 해당 프로그램의 호출을 통하여 동작되는 실시예, 입력부(440), 처리부(450), 및 응용 처리부(460)가 하나의 칩(예컨대, 응용 프로세서)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 등 구현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도 4의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RF 수신부(40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하향 변환(down-convert)하여, 복조부(410)에 제공한다.
복조부(410)는 하향 변환된 신호에 대해, 기저대역 복조 처리(예컨대, OFDM 복조)를 수행하여, 그 복조 결과를 변환부(420)에 제공한다. 그 복조 결과의 예로는 제1 패킷, 및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들 수 있다. 패킷 정보의 예로는,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 및 제1 패킷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를 들 수 있다. 채널 정보의 예로는,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예컨대, 논리 채널 식별자, TS 구분자), 제1 패킷의 서브 채널에 대한 정보(예컨대, 서브 채널 식별자)를 들 수 있으며, 그 정보의 형태로는 채널 식별자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논리 채널이라 함은 하나의 물리 전송(physical transport) 채널 내에 다수의 서비스 컴포넌트로 다중화 할 수 있는 채널을 의미하며, 이 논리 채널 내에는 서비스의 기본 단위인 서브 채널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변환부(420)는 제1 패킷을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에 따라 전송될 수 있는 패킷 형태인 제2 패킷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출력부(430)와 입력부(440) 간에 이루어지는 단일 데이터 전달 방식을 나타내며,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의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은 TS 패킷 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식이며, TS 패킷 기반의 데이터 전달 방식의 일례로서 도 3의 방식을 들 수 있다. 변환부(320)의 변환 방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부(430)는 변환부(420)로부터 제공받은 제2 패킷을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에 따라 출력하고, 입력부(440)는 출력부(430)로부터 제2 패킷을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에 따라 입력 받는다. 일례로, 소정의 데이터 전달 방식이 TS 인터페이스 방식이라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부(430)는 제2 패킷을 직렬로 출력하기 위한 핀, 유효 출력 여부를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핀,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핀을 구비하며, 입력부(440)는 이에 대응하는 핀들을 구비하게 된다.
처리부(450)는 제2 패킷에 포함된 패킷 정보를 기초로, 응용 처리부(460)내의 후속 처리 모듈을 결정하고, 제2 패킷을 상기 결정된 후속 처리 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패킷 형태로 변환한다. 일례로, 처리부(450)는 패킷 정보에 포함된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 상기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 및 상기 제1 패킷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를 고려하여, 응용 처리부(460)에서 지원하는 제1 처리 모듈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하나를 후속 처리 모듈로 결정하고, 결정된 후속 처리 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패킷 형태로 제2 패킷을 변환한다. 처리부(450)의 변환 방법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응용 처리부(460)는 처리부(450)에 의해 변환된 패킷을 처리(예컨대,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한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응용 처리부(460)는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을 구비하여, 처리부(450)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의 종류 또는/및 채널에 해당하는 처리 모듈을 통하여,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현재의 패킷을 처리할 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부(450)에 의해 결정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은 하드웨어 상으로 별도로 응용 처리부(460) 내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상으로 존재하여, 응용 처리부(460) 내의 제어 로직에 따라 프로그램 호출을 통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4의 변환부(420)의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패킷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5a는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가 6비트 이하일 경우의 변환 방법을 예시한다.
도 5a의 상단은 제1 패킷이 non-TS 패킷인 경우, 변환된 패킷(즉, 제2 패킷)의 구조를 예시내며, 도 5a의 중단은 제1 패킷이 TS 패킷인 경우, 변환된 패킷(즉, 제2 패킷)의 구조를 예시하며, 도 5a의 하단은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예시한다.
모바일 TV 패킷은 TS 패킷과 non-TS 패킷으로 대별되는 데, 제1 패킷이 TS 패킷인 경우, 싱크 바이트 필드(즉, 첫 바이트)를 채널 정보의 전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패킷이 non-TS 패킷인 경우, non-TS 패킷의 패이로드가 184 바이트이면, 최대 4 바이트를 채널 정보의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변환부(420)는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제1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를 수신 신호의 복조로 얻어진 채널 정보로 대체함으로써, 제2 패킷을 생성하며, 제1 패킷이 non-TS 패킷이면, 첫 바이트에 수신 신호의 복조로 얻어진 채널 정보를 넣고, 그 다음의 3바이트를 예약(reserved) 필드로 남겨두고, 나미 지 바이트들에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넣는다.
도 5a의 하단을 참조하면, 첫 바이트의 첫 비트에는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넣으며, 첫 바이트의 둘째 비트에는 제1 패킷이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을 가진 TS 패킷인 경우에는 제1 값을 넣으며, 나머지 경우에는 제2 값을 넣는다. 첫 바이트의 나머지 비트들에는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인 논리 채널 식별자를 넣는다.
여기서, 채널 정보를 싱크 바이트 필드에 넣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싱크 바이트 필드는 패킷 경계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 및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패킷 경계는 출력부(430)와 입력부(440) 간의 데이터 전달 방식(예컨대, 도 3에서 설명한 인에이블 신호의 활용)에 의해 구분할 수 있으며, 첫 바이트의 둘째 비트에는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도 5b는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가 6비트 초과일 경우의 변환 방법을 예시한다.
도 5b의 상단은 제1 패킷이 non-TS 패킷인 경우, 변환된 패킷(즉, 제2 패킷)의 구조를 예시내며, 도 5b의 중단은 제1 패킷이 TS 패킷인 경우, 변환된 패킷(즉, 제2 패킷)의 구조를 예시내며, 도 5b의 하단은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예시한다.
복조를 통하여 얻은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가 6비트 초과일 경우, 제1 패킷 이 non-TS 패킷이면, 도 5a의 예약 필드를 추가적으로 논리 채널 식별자를 넣는데 활용한다. 그 결과, 최대 30 비트 길이를 가진 논리 채널 식별자를 제2 패킷에 넣을 수 있게 되며, 처리부(450)는 최대 30비트 길이를 가진 논리 채널 식별자를 사용하여 각 패킷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복조를 통하여 얻은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가 6비트 초과일 경우,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변환부(420)와 처리부(450) 간에 약속된 논리 채널과 TS 구분자(discriminator) 간의 맵핑 관계(예컨대, 룩업 테이블을 활용)를 기초로, 변환부(420)는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TS 구분자를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8번째 비트에 넣고, 처리부(420)는 제2 패킷로부터 추출되는 셋째 내지 8번째 비트를 기초로,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셋째 내지 8 번째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에 대한 활용은 도 5a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도 5c는 채널 정보로서 서브 채널에 대한 정보를 패킷 정보에 포함시키는 경우의 변환 방법을 예시한다.
T-DMB 방송과 같이, 한 앙상블 내에 TS 서비스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PID만으로 앙상블로부터 복수의 TS 서비스를 각각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변환부(420) 및 처리부(450)는 각 TS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인 서브 채널에 대한 정보(즉, 서브 채널 식별자)를 사용한다. 즉, 변환부(420)는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제1 패킷의 TS 서비스에 해당하는 서브 채널 식별자를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에 넣고, 제1 패킷이 non-TS 패킷이면,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해당하는 서브 채널 식별자를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에 넣는다. 그 결과,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를 기초로, 한 앙상블 내의 MSC(Main Service Channel)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서비스의 패킷을 구분하여, 해당 후속 처리 모듈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의 처리부(450)의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6a는 처리부(450)가 도 5a의 변환 방법으로 생성된 제2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먼저, 처리부(450)가 입력부(440)로부터 제2 패킷을 제공받으면(S600A),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로부터 논리 채널 식별자를 획득한다(S610A).
그 다음,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비트로부터 TS 패킷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620A).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non-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20A), non-TS 패킷의 패이로드인 제2 패킷의 하위 184 바이트를 추출하여, S610A 단계에서 획득한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된 패이로드를 제공한다(S630A).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20A),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둘째 비트를 기초로, TS 싱크 바이트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S640A).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면(S640A),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예컨대, 0x47)으로 대체한 후(S650A),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10A 단계에서 획득한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70A).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임을 나타내면(S640A),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이 아닌 값(예컨대, 0xFF)으로 대체한 후(S660A),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10A 단계에서 획득한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70A).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도 6b는 처리부(450)가 도 5b의 변환 방법으로 생성된 제2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먼저, 처리부(450)가 입력부(440)로부터 제2 패킷을 제공받으면(S600B),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비트로부터 TS 패킷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610B).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non-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10B),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서른두 번째 비트로부터 논리 채널 식별자를 획득한 후(S620B), non-TS 패킷의 패이로드인 제2 패킷의 하위 184 바이트를 추출하여, S620B 단계에서 획득한 논리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된 패이로드를 제공한다(S630B).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10B),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로부터 TS 구분자를 획득한 후(S640B),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둘째 비트를 기초로, TS 싱크 바이트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S650B).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면(S650B),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예컨대, 0x47)으로 대체한 후(S660B),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40B 단계에서 획득한 TS 구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80B).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TS 구분자에 맵핑된 논리 채널을 처리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임을 나타내면(S650B),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이 아닌 값(예컨대, 0xFF)으로 대체한 후(S670B),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40B 단계에서 획득한 TS 구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80B).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TS 구분자에 맵핑된 논리 채널을 처리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도 6c는 처리부(450)가 도 5c의 변환 방법으로 생성된 제2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먼저, 처리부(450)가 입력부(440)로부터 제2 패킷을 제공받으면(S600C),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셋째 내지 여덟 번째 비트로부터 서브 채널 식별자를 획득한다(S610C).
그 다음,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비트로부터 TS 패킷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620C).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non-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20C), non-TS 패킷의 패이로드인 제2 패킷의 하위 184 바이트를 추출하여, S610C 단계에서 획득한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추출된 패이로드를 제공한다(S630C).
첫 비트가 제1 패킷이 TS 패킷임을 나타내면(S620C),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둘째 비트를 기초로, TS 싱크 바이트 에러 여부를 판단한다(S640C).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가 없음을 나타내면(S640C), 처리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예컨대, 0x47)으로 대체한 후(S650C),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10C 단계에서 획득한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70C).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제2 패킷의 둘째 비트가 TS 싱크 바이트 에러임을 나타내면(S640C), 처리 부(450)는 제2 패킷의 첫 바이트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이 아닌 값(예컨대, 0xFF)으로 대체한 후(S660C),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S610C 단계에서 획득한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후속 처리 모듈(도 4에서 제1 내지 제N 처리 모듈 중 어느 하나)로 제공한다(S670C). 여기서의 후속 처리 모듈의 예로는 서브 채널 식별자에 해당하는 MPEG2 TS 파서(parser)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 장치는, TS(Transport Stream) 패킷과 비 TS(non-TS) 패킷이 혼재하는 상황에서도 DMB 수신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0x47 여부만을 판단하는 TS 패킷의 싱크 바이트를 사용하여 모바일 TV 패킷을 non-TS 패킷과 TS 패킷에 대한 구분 없이,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188 바이트 단위의 패킷으로 캡슐화함으로써, 단일 TS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든 서비스에 해당하는 패킷을 기저 대역 복조기에서 응용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응용 프로세서는 수신된 패킷들을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응용 프로세서의 CPU의 부하를 줄여 줌으로써, 모바일 TV 수신기 를 개발하는 경우, 보다 저가의 CPU를 사용하여 개발 가능하므로, 모바일 TV 수신기의 개발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21)

  1.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복조하여, 제1 패킷 및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획득하는 복조부;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상기 제1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패킷 정보로 대체하여 제2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면 상기 패킷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포함하고 TS 패킷 사이즈를 가진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에서의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패킷이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값을 가진 TS 패킷이면 제1 값을 상기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제2 패킷에 포함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제2 값을 상기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제2 패킷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면, 상기 제2 패킷을 TS 패킷으로 가정하였을 때 정해지는 헤더 필드의 위치 및 패이로드 필드의 위치에 각각 상기 패킷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2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논리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의 서브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패킷에 해당하는 신호를 직렬로 출력하고,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패킷의 유효 출력 여부를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9. 삭제
  10.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포함하고 TS 패킷 사이즈를 가진 제2 패킷을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상기 제1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패킷 정보로 대체한 버전의 패킷이고,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면 상기 패킷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포함하는 패킷이고,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에서의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고 싱크 바이트 에러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필드가 갖는 제1 값으로 대체하여,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고 싱크 바이트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을 상기 제1 값과는 다른 제2 값으로 대체하여,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패이로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에 해당하는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킷은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닌 경우, 상기 제2 패킷을 TS 패킷으로 가정하였을 때 정해지는 헤더 필드의 위치 및 패이로드 필드의 위치에 각각 상기 패킷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포함시킴으로써, 생성되는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2 패킷에 해당하는 신호를 직렬로 입력 받고,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패킷의 유효 입력 여부를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기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수신 신호를 기저대역 복조하여, 제1 패킷 및 상기 제1 패킷에 대한 정보(이하, 패킷 정보)를 획득하는 복조부;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면 상기 제1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패킷 정보로 대체하여 제2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면 상기 패킷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포함하고 TS 패킷 사이즈를 가진 제2 패킷을 생성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패킷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킷 정보는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패킷에서의 싱크 바이트 에러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고 싱크 바이트 에러가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을 정상적인 싱크 바이트 필드가 갖는 제1 값으로 대체하여,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고 싱크 바이트 에러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의 싱크 바이트 필드의 값을 상기 제1 값과는 다른 제2 값으로 대체하여, 상기 대체가 반영된 제2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패킷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패킷이 TS 패킷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2 패킷으로부터 상기 제1 패킷의 패이로드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패이로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와 처리부 사이에
    상기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패킷에 해당하는 신호를 직렬로 출력하고, 클럭 신호 및, 상기 제2 패킷의 유효 출력 여부를 나타내는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2 패킷에 해당하는 신호,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제2 패킷을 상기 처리부에 제공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수신 장치.
  21. 삭제
KR1020070115857A 2007-11-14 2007-11-14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KR100890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57A KR100890817B1 (ko) 2007-11-14 2007-11-14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57A KR100890817B1 (ko) 2007-11-14 2007-11-14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817B1 true KR100890817B1 (ko) 2009-03-30

Family

ID=4069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57A KR100890817B1 (ko) 2007-11-14 2007-11-14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8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0178414B1 (ko) * 1993-09-30 1999-04-15 사또오 후미오 패킷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010036732A (ko) * 1999-10-11 2001-05-07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인터페이스장치
KR20030072155A (ko) * 2002-03-05 2003-09-13 (주)휴톤 MPEG2 Transport Stream(TS)의 동기 신호 검색 및 생성 방법
KR20050077110A (ko) * 2004-01-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ts 패킷 에러 검출 및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414B1 (ko) * 1993-09-30 1999-04-15 사또오 후미오 패킷 변환 장치 및 방법
KR19980045092A (ko) * 1996-12-09 1998-09-15 김광호 디지탈 위성 방송 시스템의 부가 정보 서비스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36732A (ko) * 1999-10-11 2001-05-07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인터페이스장치
KR20030072155A (ko) * 2002-03-05 2003-09-13 (주)휴톤 MPEG2 Transport Stream(TS)의 동기 신호 검색 및 생성 방법
KR20050077110A (ko) * 2004-01-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 및 이를 이용한 ts 패킷 에러 검출 및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623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2860023A (zh) 传输流分组报头压缩
US9780969B2 (en) Transferring data between elements of a cable communication device
MX2007008249A (es) Un metodo y sistema para seleccionar una entrada de senal.
US100976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SERDES) for inter-system communications
TWI424705B (zh) 用以於廣播網路中實施最佳化多工操作與省電功能之系統與方法
EP3484071A1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01997812A (zh) 信号处理设备、信号处理方法和接收系统
WO2015046947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30208812A1 (en) High-speed interface for ancillary data for serial digital interface applications
JP4199436B2 (ja)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受信システム
US20070297342A1 (en) Information processor with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2103903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90817B1 (ko) Dmb 수신 장치를 위한 패킷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dmb 수신 장치
CN113348654A (zh)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接收方法和发送/接收装置
WO2020004050A1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N101267639A (zh) 一种存储卡及其实现条件接收的方法
CN109937577B (zh) 接收装置、接收方法、发送装置以及发送方法
US20110255008A1 (en) Simplified data interface protocol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CN103237185A (zh) 电视台端atsc信号的播出控制系统
CN114598756B (zh) 一种alp数据包的处理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EP4114020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US20040205254A1 (en) System for media capture and processing and method thereof
KR102663341B1 (ko)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N110401805A (zh) 接收器及相关的信号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