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731B1 - 레저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레저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731B1
KR100890731B1 KR1020070056303A KR20070056303A KR100890731B1 KR 100890731 B1 KR100890731 B1 KR 100890731B1 KR 1020070056303 A KR1020070056303 A KR 1020070056303A KR 20070056303 A KR20070056303 A KR 20070056303A KR 100890731 B1 KR100890731 B1 KR 10089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leisure
base
pocket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507A (ko
Inventor
야스오 호소미
요코 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7011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2003/007Sport ba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떡붕어 낚시로 대표되는 레저에 사용하는 가위나 바늘 빼기 등의 선단이 예리한 도구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는 레저용 파우치의 제공.
[해결 수단] 파우치 본체(3)에는 내벽면(12, 13, 22)에 의하여 도구 수용실(5)이 구성되어 있다. 내벽면(22)에는 선단이 예리한 쪽가위(2) 등이 삽입 보관되는 포켓(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내벽면(22)의 포켓(23)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금속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쪽가위(2)가 포켓(23)에 삽입될 때, 쪽가위(2)의 선단이 내벽면(22)에 꽂히는 것이 방지된다.
떡붕어 낚시, 파우치, 도구 수용실, 포켓, 보호판

Description

레저용 파우치{POUCH FOR LEIS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1)의 정면 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저용 파우치(1)의 배면 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레저용 파우치(1)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덮개부(21)가 열림 자세로 자세 변화된 파우치 본체(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쪽가위(2)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포켓(2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쪽가위(2)가 수용된 상태의 포켓(2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보호판(24)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켓(23)에 쪽가위(2)가 삽입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보호판(24)이 설치된 상태에서 포켓(23)에 쪽가위(2)가 삽입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파우치 본체(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저용 파우치
3 : 파우치 본체
5 : 도구 수용실
8 : 재치면
11 : 기부
12, 13, 22 : 내벽면
21 : 덮개부
23, 23a, 23b, 23c, 23d : 포켓
24, 28a, 28b : 보호판
31 : 구획판
36, 37 : 면 파스너
62 : 각부
63 : 상면
본 발명은 낚시 등의 레저용으로 제공되는 레저용 파우치(pouch)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낚시에서는 낚시꾼은 실제 낚시 중에 여러 가지 낚시 도구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떡붕어 낚시에 있어서는 낚시꾼은 떡붕어 낚싯대, 낚싯대 받침대, 뜰채, 원줄, 목줄, 낚시도래, 바늘, 찌, 찌 멈춤 고무, 판추, 붕(棚, 물고기가 서식하는 층) 찌맞춤 고무, 가위, 바늘 빼기 등의 많은 낚시 도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떡붕어 낚시에서 사용하는 낚시 도구는 매우 많으므로, 낚시꾼에게 있어서, 낚시 도구를 정리하여 수납하여 둘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떡붕어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 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싯대 케이스, 소품 상자(파우치), 가방(일반적으로, 「떡붕어 가방」이라고 칭해진다.)이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1 참조).
낚싯대 케이스에는 떡붕어 낚싯대가 수납되고, 파우치에는 원줄, 목줄, 낚시도래, 바늘, 가위, 바늘 빼기 등의 소품류가 수납되고, 떡붕어 가방에는 낚싯대 받침대, 뜰채, 찌, 상기 파우치 등이 수납된다. 종래의 파우치는 낚시 도구를 정리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칸막이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어, 채비류의 수납에는 편리하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4479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주식회사 시마노 2006 피싱 태클 카탈로그(Fishing Tackle Catalogue, 제221 페이지)
그런데 떡붕어 낚시에서는 실제 낚시 중에 낚싯줄이나 판추를 자르기 위하여 가위를 빈번하게 사용한다. 특히, 판추를 세밀하게 자르기 위하여 쪽가위가 호적(好適)하게 사용된다. 또한, 떡붕어를 낚아 올렸을 때에는 바늘 빼기를 사용한다. 그 때문에, 파우치는 낚시꾼이 실제 낚시 중에 가위나 바늘 빼기 등의 선단(先端) 이 예리한 낚시 도구를 수납하기 쉽고, 또한, 꺼내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파우치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PU) 등의 수지 시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 때문에 선단이 예리한 가위나 바늘 빼기가 난잡하게 수납되면, 가위나 바늘 빼기의 출납 시에 그 선단이 파우치의 내측에 걸려 버리는 경우가 있어, 그 때문에 종래의 파우치는 낚시꾼에게 있어서 반드시 사용하기 편리한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떡붕어 낚시로 대표되는 레저에 사용하는 가위나 바늘 빼기 등의 선단이 예리한 도구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는 레저용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는 파우치 본체와 포켓과 보호판을 가지고 있다. 파우치 본체는 상면(上面)에 개구(開口)가 설치된 그릇 형상의 기부(基部)와, 기부에 설치되고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도구 수용실을 구획하는 내벽면을 구비한다. 포켓은 덮개부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레저용 도구가 삽입 보관된다. 보호판은 덮개부의 내벽면 중 적어도 포켓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기부 및 덮개부는 수지에 의하여 성형된다. 보호판은 레저용 도구의 선단(先端)이 꽂히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 또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레저용 파우치는 낚시에 사용되는 가위, 특히 쪽가위, 바늘 빼기, 플라이어(pliers), 커터(cutter) 등의 선단이 예리한 도구 기타의 레저용 도구를 수용할 수 있다. 레저용 도구는 파우치 본체의 내벽면에 설치된 포켓에 수용된다. 전형적으로는 레저용 도구는 그 선단부터 상기 포켓에 삽입되고, 상기 내벽면을 따라 보관된다. 한편, 이 레저용 도구가 사용될 때는 상기 포켓으로부터 빼내진다. 상 기 포켓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선단이 특히 예리한 쪽가위 등이 상기 포켓에 수용될 때는 쪽가위의 선단이 보호판에 접접(摺接, 미끄러지는 상태로 접함)되면서 상기 포켓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레저용 도구의 선단이 파우치 본체의 내벽면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포켓에 수용된다.
삭제
또한, 본 레저용 도구의 사용자는 기부의 개구를 개방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연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부의 내벽면이 노출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레저용 도구를 수납하기 쉽고, 꺼내기 쉽다.
(3) 상기 보호판은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 전체(全體)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의 내벽면 전체가 보호판으로 덮여 있으므로, 사용자가 쪽가위 등을 수납할 때에 그 선단의 위치를 주의 깊게 확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레저용 도구를 보다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
(4) 상기 보호판은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저용 도구를 출납할 때에 보호판이 변형하므로, 레저용 도구의 출납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5)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자세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닫힘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기부 상부 테두리에 경첩 결합되어 있으며, 당해 덮개부가 열림 자세가 되었을 때에 상기 파우치 본체의 재치(載置, 얹어 놓음)면에 접촉하여 당해 덮개부의 내벽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당해 덮개부를 지지하는 각부(脚部)가 당해 덮개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덮개부가 기부에 대하여 경첩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하는 구성이므로, 덮개부의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덮개부가 각부에 지지되므로, 덮개부의 내벽면이 안정하게 노출된다. 따라서, 레저용 도구의 출납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6) 상기 각부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손잡이를 겸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의 상면에 손잡이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레저용 파우치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7) 상기 기부는 당해 기부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기부의 내부가 구획판에 의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기부에 여러 가지의 도구를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다.
(8) 상기 구획판은 면 파스너(面 fastener)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내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판이 면 파스너를 통하여 기부의 내벽면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므로, 구획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구획판에 의하여 구 획되는 공간의 크기를 기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도구의 크기에 맞출 수 있다. 그 때문에, 기부의 내부에 보다 많은 도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적당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가 적당히 변경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1)의 정면 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레저용 파우치(1)의 배면 측의 외관 사시도이다.
레저용 파우치(1)는, 특히 낚시 등의 레저용으로 제공된다. 레저용 파우치(1)는 낚시 시에 낚시꾼이 사용한다. 레저용 파우치(1)는 실제 낚시 중에 필요한 여러 가지 낚시 도구를 수용한다. 낚시꾼은, 예를 들면 떡붕어 낚시에 즈음하여, 레저용 파우치(1)에 원줄, 목줄, 낚시도래, 바늘, 쪽가위, 바늘 빼기 등의 소품류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1)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레저용 파우치(1)를 구성하는 덮개부(21)의 내벽면(22, 도 3 참조)에 쪽가위(2,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레저용 도구의 일례)를 수납하기 위한 포켓(23)이 설치되고, 또한, 포켓(23)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쪽가위(2)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이다(도 6 참조).
도 3은 파우치 본체(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덮개 부(21)가 열림 자세로 자세 변화된 파우치 본체(3)의 측면도이다.
레저용 파우치(1)의 파우치 본체(3)는, 도 1 ~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면에 개구가 설치된 그릇 형상의 기부(11)와, 기부(11)에 설치되어 기부(11)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21)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11)는 내벽면(12, 13)을 구비하고, 덮개부(21)는 내벽면(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내벽면(12, 13, 22)에 의하여 도구 수용실(5)이 구획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및 도 2에는 덮개부(21)에 의하여 기부(11)의 개구가 닫힌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는 덮개부(21)에 의하여 기부(11)의 개구가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기부(11)는 수지(전형적으로는 폴리우레탄)에 의하여 성형된 두께가 얇은 시트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저면(底面)에 상당하는 내벽면(12)에는, 예를 들면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평판상(狀)의 저판(14)이 설치되어 있다. 기부(11)의 내부에 있어서의 측면에 상당하는 내벽면(13)에는 저판(14)과 동일하게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측판(15)이 설치되어 있다. 측판(15)은 상하에 개구를 가지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1)는 내벽면(12, 13)에 저판(14) 및 측판(15)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의 그릇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기부(1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각형(角形)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덮개부(21)는 수지(전형적으로는 폴리우레탄)에 의하여 성형된 두께가 얇은 시트로 이루어진다. 덮개부(21)의 하면(下面)에 상당하는 내벽면(22)에는 평판상의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판(24)은 내벽면(22)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21)는 내벽면(22)에 보호판(24)이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하면에 개구를 가지는 얕은 트레이(tray)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11)는 배면 측에 상부 테두리(50)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21)는 배면 측에 하부 테두리(51)을 구비하고 있다.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0)와 덮개부(21)의 하부 테두리(51)는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배면 측과 덮개부(21)의 배면 측에 걸쳐서 연결대(連結帶, 52)가 봉합되어 있다. 이 연결대(52)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얇은 시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내측 및 덮개부(21)의 내측에 연결대(53)가 봉합되어 있다. 이 연결대(53)는 상기 내벽면(13)과 덮개부(21)의 내측면의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대(53)는, 예를 들면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얇은 시트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0)와 덮개부(21)의 하부 테두리(51)는 연결대(52)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연결되고, 또한, 연결대(53)에 의하여 내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이들 연결대(52, 53)는 경첩을 구성하고 있어, 덮개부(21)는 기부(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덮개부(21)는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0)에 경첩 결합되어 있어, 기부(11)의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자세(도 3 및 도 4 참조)와, 기부(11)의 개구를 폐색하는 닫힘 자세(도 1 및 도 2 참조)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4) 및 측부 테두리(55, 56), 및 덮개부(21)의 하부 테두리(57) 및 측부 테두리(58, 59)를 따라 파스너(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파스너(60)가 조작되는 것에 의하여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4) 및 덮개부(21)의 하부 테두리(57), 기부(11)의 측부 테두리(55) 및 덮개부(21)의 측부 테두리(58), 및 기부(11)의 측부 테두리(56) 및 덮개부(21)의 측부 테두리(59)가 각각 연결되고, 또는 연결이 해제된다. 즉, 기부(11)의 상부 테두리(54) 및 측부 테두리(55, 56) 및 덮개부(21)의 하부 테두리(57) 및 측부 테두리(58, 59)에 의하여 파우치 본체(3)의 개구 테두리부가 구성되어 있고, 이 개구 테두리부에 파스너(6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스너(60)가 열리는 것에 의하여 덮개부(21)가 기부(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파우치 본체(3)의 개구가 개폐된다. 이 파스너(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은 기부(11)의 개구를 확실하게, 또한,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21)의 상면(63)에는 각부(62)가 설치되어 있다. 각부(62)는 가늘고 긴 띠상(狀)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부(62)는 2매의 시트 부재가 포개어 맞추어져 구성되어 있다. 각 시트 부재는 수지(전형적으로는 폴리우레탄)로 이루어진다. 각부(62)는 덮개부(21)의 양 단부(端部)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부(62)는 덮개부(21)의 상면(63)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되도록 아치상(arch 狀)으로 만곡되어 있고, 각부(62)의 양단은,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1)의 상면(63)의 단부(정면으로부터 볼 때, 폭 방향의 단부)에 봉합되 어 있다. 이 각부(62)는 덮개부(21)가 열림 자세로 되었을 때에 파우치 본체(3)의 재치면(8)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부(21)는 내벽면(22)이 노출된 상태에서 지지된다(도 4 참조). 각부(62)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시트 부재를 포개어 구성한 것이므로, 덮개부(21)의 열림 자세에서 내벽면(2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다소의 하중이 더해졌다고 하여도 용이하게 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덮개부(21)의 열림 자세에서는 덮개부(21)가 각부(62)에 지지되어 덮개부(21)의 내벽면(22)이 노출되고, 기부(11)의 내부 및 덮개부(21)의 내벽면(22)이 함께 개방된다. 덧붙여, 도 3은 이와 같이 하여 덮개부(21)가 열림 자세로 된 상태의 파우치 본체(3)를 도시한 것이다.
기부(11)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획판(31)을 구비하고 있다. 구획판(31)은 기부(11)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구획판(31)은 구획판 본체(33)와, 그 양단에 대략 L자형으로 절곡 가능하게 설치된 장착부(34, 35)를 가진다. 구획판 본체(33)는 기부(11)의 높이와 대략 같은 폭을 가지고, 또한, 기부(11)의 안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를 가지는 평판상인 것이다. 장착부(34, 35)는 기부(11)의 내벽면(13)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구획판(31)은 본 실시예에서는 면 파스너(36, 37)를 통하여 기부(11)의 내벽면(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면 파스너(36)는 훅 테이프(38)와 루프 테이프(3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훅 테이프(38)가 구획판(31)의 장착부(34)에 설치되고, 루프 테이프(39)가 기부(11)의 바로 앞 측의 내벽면(1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면 파스너(37)는 훅 테이프(40)와 루프 테이프(41)를 구비하 고 있다. 여기에서는, 훅 테이프(40)가 구획판(31)의 장착부(35)에 설치되고, 루프 테이프(41)가 기부(11)의 깊숙한 안 측의 내벽면(13)에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34)에 설치된 훅 테이프(38)가 내벽면(13)의 루프 테이프(39)에 눌러 붙여지고, 장착부(35)에 설치된 훅 테이프(40)가 내벽면(13)의 루프 테이프(41)에 눌러 붙여지는 것에 의하여 구획판(31)은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기부(11)의 내벽면(13)에 유지된다. 또한, 낚시꾼은 장착부(34, 35)를 인장(引張)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구획판(31)을 기부(11)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11)의 내벽면(13)에 2개의 구획판(31)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구획판(3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1개의 구획판(31)을 장착하여 기부(11)의 내부를 2개로 구획짓거나, 또는 3개 이상의 구획판(31)을 장착하여 기부(11)의 내부를 4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짓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구획판(31)을 반드시 탈착 가능하게 할 필요는 없고, 구획판(31)은 내벽면(13)에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단, 기부(11)의 내부에 여러 가지 도구를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서는 구획판(31)을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호적하다. 또한, 구획판(31)을 장착하지 않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쪽가위(2)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포켓(2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쪽가위(2)가 수용된 상태의 포켓(2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부(21)의 내벽면(22)에는 포켓(23)이 설치되어 있다. 내벽면(22)에 설치되는 포켓(23)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내벽면(22)에 4개의 포켓(23)이 설치되어 있 다. 이들 4개의 포켓(23)은 덮개부(21)의 중앙을 향하여 개구(26)을 가지고 있다. 포켓(23)은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레저용 도구가 삽입 보관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떡붕어 낚시에 호적하게 사용되는 쪽가위(2)가 개구(26)를 통하여 선단 측부터 포켓(23)에 삽입되고, 당해 포켓(23)에 보관된다(도 6 참조).
또한, 덮개부(21)의 내벽면(22)에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판(24)은 본 실시예에서는 독립기포의 발포 수지(전형적으로는 발포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얇은 평판(平板)이 채용되어 있다. 이 보호판(24)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호판(24)은 상기 내벽면(22)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켓(23)의 내측뿐만 아니라, 당해 내벽면(22)의 전체를 덮고 있다. 이 보호판(24)은 상기 포켓(23)에 대하여 출납되는 쪽가위(2) 등의 레저용 도구의 선단이 내벽면(22)에 꽂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저용 파우치(1)는 낚시에 사용되는 가위, 특히 쪽가위(2), 바늘 빼기, 플라이어, 커터 등의 선단이 예리한 도구 기타의 레저용 도구를 수용할 수 있다. 레저용 도구는 파우치 본체(3)의 내벽면(본 실시예에서는 내벽면(22))에 설치된 포켓(23)에 수용된다. 전형적으로는 레저용 도구는 그 선단부터 포켓(23)에 삽입되고, 내벽면(22)을 따라 보관된다. 한편, 이 레저용 도구가 사용될 때는 포켓(23)으로부터 빼내진다.
도 7은 보호판(24)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포켓(23)에 쪽가위(2)가 삽입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보호판(24)이 설치된 상태에서 포켓(23)에 쪽가위(2)가 삽입되는 모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포켓(23)에 삽입되는 쪽가위(2)는 그 선단이 후단(後端)보다도 아래가 되도록 경사되어 포켓(23)의 개구(26)를 향하여 이동된다(도 7의 (a) 참조). 이동된 쪽가위(2)는 그 선단이 내벽면(22)에 접촉한다(도 7의 (b) 참조). 쪽가위(2)는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벽면(22)을 가지는 덮개부(21)는 폴리우레탄에 의하여 성형된 두께가 얇은 시트로 이루어지므로, 쪽가위(2)가 한층 더 이동되면, 그 선단이 내벽면(22)에 꽂혀 버린다(도 7의 (c) 참조). 그 때문에, 쪽가위(2)의 선단이 내벽면(22)에 걸려, 쪽가위(2)를 포켓(23)에 바르게 삽입할 수 없다. 또한, 쪽가위(2)의 선단에 의하여 내벽면(22)이 몇 번 더 손상되면, 덮개부(21)에 구멍을 뚫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1)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포켓(23)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다. 포켓(23)에 수용하도록 이동된 쪽가위(2)는 그 선단이 보호판(24)에 접촉한다(도 8의 (a) 참조). 이 상태로부터 쪽가위(2)가 한층 더 삽입되면, 보호판(24)이 독립기포의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므로, 쪽가위(2)의 선단이 보호판(24)에 접접되면서 포켓(23)에 삽입된다(도 8의 (b), (c) 참조). 이것에 의하여, 쪽가위(2)는 그 선단이 파우치 본체(3)의 내벽면(22)에 걸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포켓(23)에 수용되고, 내벽면(22)을 따라 보관된다(도 8의 (d) 참조). 한편, 이 쪽가위(2)가 사용될 때는 포켓(23)으로부터 빼내진다.
이와 같이, 포켓(23)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보호판(2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떡붕어 낚시로 대표되는 레저에 사용하는 가위나 바늘 빼기 등의 선단이 예 리한 도구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 덧붙여, 보호판(24)은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인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 때문에, 포켓(23)에 대하여 레저용 도구를 출납할 때에 보호판(24)이 변형하므로, 레저용 도구의 출납은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판(24)이 덮개부(21)의 내벽면(22)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쪽가위(2) 등을 수납할 때에 그 선단의 위치를 주의 깊게 확인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레저용 도구를 보다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
또한, 기부(11)에는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타의 도구도 수납된다. 이 기부(11)의 내부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획판(31)에 의하여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기부(11)에 예를 들면 원줄, 목줄, 낚시도래, 바늘 등의 다른 도구를 정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덧붙여, 구획판(31)은 면 파스너(36, 37)를 통하여 기부(11)의 내벽면(13)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므로, 구획판(3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즉, 구획판(31)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의 크기를 수용되는 다른 도구의 크기에 맞출 수 있다. 그 때문에, 기부(11)의 내부에 보다 많은 다른 도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레저용 파우치(1)에서는 낚시꾼은 레저용 도구를 출납하는 경우에 파스너(60)를 조작하여 덮개부(21)를 연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부(21)의 내벽면(22)이 노출되므로, 낚시꾼에게 있어서 레저용 도구를 수납하기 쉽고, 꺼내기 쉽다. 덧붙여, 파우치 본체(3)는 연결대(52, 53)에 의하여 경첩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고, 덮개부(21)가 기부(11)에 대하여 회동하는 구성이므 로, 덮개부(21)의 개폐가 용이하다. 또한,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1)가 열리면, 당해 덮개부(21)는 각부(62)에 지지되므로, 덮개부(21)의 내벽면(22)이 노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레저용 도구의 출납이 지극히 용이하다. 또한, 각부(62)는 파우치 본체(3)의 손잡이를 겸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파스너(60)를 조작하여 기부(11)와 덮개부(21)를 연결한 상태(도 1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각부(62)를 쥐고 레저용 파우치(1)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예여도 무방하다.
보호판(24)은 파우치 본체(3)의 내벽면(22) 중 적어도 포켓(23)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면, 반드시 내벽면(22) 전체를 덮도록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단, 보호판(24)을 내벽면(22) 전체를 덮도록 설치한 경우, 낚시꾼이 쪽가위(2) 등을 수납할 때에 그 선단의 위치를 주의 깊게 확인할 필요가 없고, 레저용 도구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으므로, 보호판(24)은 내벽면(22) 전체를 덮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파우치 본체(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판(24)에 대신하여 2매의 보호판(28a, 28b)이 설치되어 있다. 각 보호판(28a, 28b)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단책상(短冊狀, 짧은 책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독립기포의 발포 수지(전형적으로는 발포 폴리에틸렌)로 이루어진다. 이들 보호판(28a, 28b)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다. 각 보호판(28a, 28b)은 각각 포켓(23a ~ 23d)에 삽입되어 있 다.
동(同) 도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된 보호판(28a)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포켓(23a, 23b) 사이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호판(28a)의 일단부가 포켓(23a)에 삽입되고, 또한, 보호판(28a)의 타단부가 포켓(23b)에 삽입되어 있다. 보호판(28a)은 가요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일단 만곡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포켓(23a, 23b)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파우치 본체(3)의 내벽면(22) 중 포켓(23a, 23b)의 내측의 영역 및 포켓(23a)과 포켓(23b)의 사이의 영역은 보호판(28a)에 의하여 덮인다. 보호판(28b)과 동일한 요령으로 포켓(23c, 23d)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파우치 본체(3)의 내벽면(22) 중 포켓(23c, 23d)의 내측의 영역 및 포켓(23c)과 포켓(23d)의 사이의 영역은 보호판(28b)에 의하여 덮인다.
이와 같이, 보호판(28a, 28b)은 각각 포켓(23a) 및 포켓(23b) 및 포켓(23c) 및 포켓(23d)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보호판(28a, 28b)은 내벽면(22)에 봉합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파우치 본체(3)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것과 함께, 보호판(28a, 28b)이 손상을 받은 경우에는 당해 보호판(28a, 28b)만을 교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23)은 덮개부(21)의 내벽면(22)에 설치되어 있지만, 포켓(23)은 다른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즉, 포켓(23)은 기부(11)의 내벽면(12) 또는 내벽면(13)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단, 포켓(23)을 내벽면(12)에 설치한 경우에는 포켓(23)에 수용된 레저용 도구를 꺼내기 어렵게 된다. 또한, 포켓(23)을 내벽면(13)에 설치한 경우에는 포켓(23)의 개구의 방향에 따라서는 파우치 본체(3)의 높이 또는 폭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켓(23)은 내벽면(22)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판(24, 28)이 가요성을 가지는 것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보호판(24, 28)은 반드시 가요성을 가지는 것일 필요가 없다. 단, 보호판(24, 28)으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이용한 경우, 포켓(23)에 대하여 레저용 도구를 출납할 때에 보호판(24, 28)이 변형하므로, 레저용 도구의 출납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보호판(24, 28)은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판(24, 28)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이어도 무방하다. 단, 금속제의 보호판(24, 28)을 이용한 경우, 파우치 본체(3)의 중량이 무겁게 되므로, 보호판(24, 28)은 수지로 성형하는 편이 호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23)에 수용되는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레저용 도구가 쪽가위(2)인 경우에 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포켓(23)에 수용되는 레저용 도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포켓(23)에 수용되는 레저용 도구는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것이면, 예를 들면 바늘 빼기, 플라이어, 커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위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파우치 본체(3)가 기부(11)와 기부(11)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21)를 가지는 것인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련되는 파우치 본체는 다른 구조인 것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파우치 본체는 한 쌍의 트레이가, 이매패(二枚貝)가 개폐하는 것과 같이, 개폐되는 종래의 파우치와 같 은 구조인 것이어도 무방하다. 파우치 본체가 이와 같은 구조인 경우, 적어도 일방의 트레이에 상기 보호판(24, 또는 보호판(28))에 포켓(23)을 설치하면 무방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낚시 등의 레저용으로 제공되는 레저용 파우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 본체의 내벽면 중 적어도 포켓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보호판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레저용 도구가 포켓에 수용될 때에 레저용 도구의 선단이 파우치 본체의 내벽면에 걸리는 일이 없다. 또한, 포켓에 수용된 레저용 도구는 포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내진다. 그 때문에, 떡붕어 낚시 등에 호적하게 사용되는 쪽가위 등의 선단이 예리한 레저용 도구를 원활하게 출납할 수 있다.

Claims (8)

  1. 상면(上面)에 개구(開口)가 설치된 그릇 형상의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부와, 도구 수용실을 구획하는 내벽면을 구비한 파우치(pouch) 본체와,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선단이 예리하게 형성된 레저용 도구가 삽입 보관되는 포켓과,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 중 적어도 상기 포켓의 내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보호판
    을 가지며,
    상기 기부 및 상기 덮개부는 수지에 의하여 성형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레저용 도구의 선단(先端)이 꽂히는 것을 방지하는 금속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레저용 파우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 전체(全體)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레저용 파우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레저용 파우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열림 자세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닫힘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기부의 상부 테두리에 경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가 열림 자세로 되었을 때에 상기 파우치 본체의 재치(載置)면에 접촉하여 상기 덮개부의 내벽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를 지지하는 각부(脚部)가 상기 덮개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레저용 파우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상기 파우치 본체의 손잡이를 겸하고 있는 레저용 파우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기부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는 레저용 파우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면 파스너(面 fastener)를 통하여 상기 기부의 내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레저용 파우치.
KR1020070056303A 2006-06-15 2007-06-08 레저용 파우치 KR100890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6514A JP2007330174A (ja) 2006-06-15 2006-06-15 レジャー用ポーチ
JPJP-P-2006-00166514 2006-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07A KR20070119507A (ko) 2007-12-20
KR100890731B1 true KR100890731B1 (ko) 2009-03-27

Family

ID=3893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303A KR100890731B1 (ko) 2006-06-15 2007-06-08 레저용 파우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7330174A (ko)
KR (1) KR100890731B1 (ko)
CN (1) CN101088333B (ko)
TW (1) TW2008081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94B1 (ko) * 2012-01-30 2014-01-10 (주)아이피프론티어스 맥주파우치 및 맥주파우치 결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7999A (zh) * 2013-12-27 2015-07-01 株式会社岛野 钓鱼用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98U (ko) * 1998-07-09 2000-02-15 임재영 낚시용품케이스
KR200316463Y1 (ko) 2003-03-31 2003-06-18 민택병 낚시용 미끼상자
KR200376306Y1 (ko) 2004-11-10 2005-03-11 남창희 칸 분리형 낚시 보조가방.
JP2006034479A (ja) * 2004-07-26 2006-02-09 Shimano Inc レジャー用ポーチ
JP2006061082A (ja) * 2004-08-27 2006-03-09 Daiwa Seiko Inc 釣具用収納容器
KR200420101Y1 (ko) 2006-03-24 2006-06-28 강영순 낚시용 태클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8791Y (zh) * 1994-11-28 1995-10-04 李兵 多功能钓具箱
CN2208792Y (zh) * 1994-11-28 1995-10-04 李兵 双功能钓具箱
ATE286651T1 (de) * 1999-04-02 2005-01-15 Kwang-Suk Chung Mehrzweck angelhakenbehälter mi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 angelleine
DE20310337U1 (de) * 2003-07-04 2003-09-18 Warns Andre Kunstköderhal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98U (ko) * 1998-07-09 2000-02-15 임재영 낚시용품케이스
KR200316463Y1 (ko) 2003-03-31 2003-06-18 민택병 낚시용 미끼상자
JP2006034479A (ja) * 2004-07-26 2006-02-09 Shimano Inc レジャー用ポーチ
JP2006061082A (ja) * 2004-08-27 2006-03-09 Daiwa Seiko Inc 釣具用収納容器
KR200376306Y1 (ko) 2004-11-10 2005-03-11 남창희 칸 분리형 낚시 보조가방.
KR200420101Y1 (ko) 2006-03-24 2006-06-28 강영순 낚시용 태클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94B1 (ko) * 2012-01-30 2014-01-10 (주)아이피프론티어스 맥주파우치 및 맥주파우치 결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8333A (zh) 2007-12-19
JP2007330174A (ja) 2007-12-27
TW200808171A (en) 2008-02-16
KR20070119507A (ko) 2007-12-20
CN101088333B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268B1 (en) Utility bag
US4827658A (en) Fishing tackle box with vertical storage compartments
US8468740B1 (en) Adjustable fishing tackle box system
US7617936B2 (en) Portable display container for hair clippers
US20070017146A1 (en) Tackle box for suspended storage
US7478500B1 (en) Pyramidal tackle box apparatus
USRE48989E1 (en) Fishing tackle box
US20060261113A1 (en) Sport bag
US6382490B1 (en) Fishing tackle box worn about a waist
US5185952A (en) Lure storage container
US5437369A (en) Tool bucket with tool-locking handle
US20150342168A1 (en) Fishing Equipment Storage Device
US9877469B1 (en) Vertical tackle storage box
US5123197A (en) Fishing bait organizer
US3277599A (en) Belt-supported angler&#39;s kit
KR100890731B1 (ko) 레저용 파우치
AU634940B2 (en) Lure storage container
US2948080A (en) Fishing tackle case
US3600840A (en) Tackle box
US3336693A (en) Angler&#39;s jig box
US6367190B1 (en) Fly harnessing and storage device
US5475943A (en) Fishing tackle boxes with separable leaves for supporting lures
KR200280589Y1 (ko) 공구가방
KR100923136B1 (ko) 낚시용 가방
US20150351374A1 (en) Tackle system with removable lure org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