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651B1 -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651B1
KR100890651B1 KR1020020043894A KR20020043894A KR100890651B1 KR 100890651 B1 KR100890651 B1 KR 100890651B1 KR 1020020043894 A KR1020020043894 A KR 1020020043894A KR 20020043894 A KR20020043894 A KR 20020043894A KR 100890651 B1 KR100890651 B1 KR 10089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ouse
function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867A (ko
Inventor
윤성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651B1/ko
Priority to JP2002328465A priority patent/JP2004062852A/ja
Priority to US10/318,217 priority patent/US7439958B2/en
Publication of KR2004001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리모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확인된 경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기능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MOTE CONTROLLER U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EDIA FOR COMPUTER PROGRA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신호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모니터
5 : 키보드 7 : 마우스
9 : 마우스커서 10 : 리모콘
12 : 마우스모드선택버튼 14 : 기능선택버튼
20 : 시스템버스 22 : CPU
24 : 바이오스롬 26 : 메모리
28 : 비디오컨트롤러 30 : I/O 컨트롤러
50 : 리모콘수신장치 52 : 리모콘신호수신부
54 : 마이컴 60 : 운영체계(O/S)
62 :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 64 : 리모콘드라이버
본 발명은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는 컴퓨터시스템 중에는 PC리모콘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 현재 개발된 PC리모콘은, 사용자가 TV나 오디오시스템 등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것과 같이, 컴퓨터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윈도우 익스플로어 등의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간단한 인터넷 웹서핑을 하거나, 윈도우용 핫키들을 리모트컨트롤 하여 PC의 거의 모든 기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PC리모콘에 마련된 기능선택버튼에 부여된 기능만을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PC리모콘을 통해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의 기능은 한정적이다. 또한, PC리모콘의 경우 단순히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종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등의 실재 입력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보족한 점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우스기능을 리모콘에 구비하는 방법 및 그 제품(한국특허등록 제10-0216340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인용발명의 경우, 리 모콘의 키조작에 따라 마우스의 이동방향 및 이동속도 등을 산출하여, 산출된 마우스 이동데이터를 컴퓨터시스템에 무선송신함으로써, 리모콘을 통해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하고 있다.
그런데, 인용발명은 리모콘 자체에서 키조작에 따른 마우스이동 방향 등을 산출하여 출력하여야 함으로, 리모콘에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추가해야만 한다.
또한, 인용발명에서 제시한 리모콘에서 출력된 신호는 마우스의 움직임을 데이터로 환산한 것으로서, I/O컨트롤러 측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인용발명에서 제시한 리모콘이 마우스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본체 측에 마련된 리모콘수신장치가 입력받은 신호를 I/O컨트롤러 측으로도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인용발명에 따라, 리모콘을 통해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리모콘 및 컴퓨터본체 측의 리모콘수신장치에 새로운 구성요소를 추가하여 설계를 변경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 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리모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확인된 경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기능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바이패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우스모드의 선택을 위한 마우스모드선택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마우스모드선택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리모콘을 통해 상기 마우스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확인된 경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기능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에 부여된 마우스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마우스제어명령저장부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마우스모드선택부와; 상기 마우스모드선택부를 통해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마우스제어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을 무선마우스로 사용하는 리모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마우스모드로 전환하는 제1리모콘신호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우스모드의 선택에 대응하는 제1마우스제어명령을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무선마우스의 동작을 위한 제2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마우스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2마우스제어명령을 상기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신호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에 대응하는 기능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마우스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에 마련된 다수의 기능선택버튼에 의해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리모콘모드 및 마우스모드로 상호전환하는 제1리모콘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기능선택버튼은 상기 마우스모드에서의 마우스동작 또는 상기 리모콘모드에서 리모콘동작을 지시하는 제2리모콘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리모콘신호와 상기 기능선택버튼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마우스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과; 상기 마우스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모드에서 상기 제2리모콘신호를 마우스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리모콘드라이버와; 상기 마우스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리모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동작을 실행하는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리모콘신호는 상기 모드의 전환에 따라 전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기능선택버튼 중 하나는 상기 마우스모드의 전환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제어명령은 상기 마우스동작의 실행을 위해 마우스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와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드의 전환은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드라이버는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은 시스템구성요소가 안착되는 컴퓨터 본체(1)와, 본체(1)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3)와, 컴퓨터 본체(1)에 연결되는 입력장치인 키보드(5) 및 마우스(7)와, 시스템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10)을 포함한다.
본체(1)는 데이터연산 및 처리를 위한 시스템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마우스(7) 내지는 키보드(5)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모니터(3)를 통해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본체(1)의 소정 영역에는 리모콘(10)으로부터의 리모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수신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리모콘(10)으로부터의 리모콘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제어가 수행한다.
리모콘(10)은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14)을 가지며, 사용자의 기능선택버튼(14) 선택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해당되는 신호코드를 갖는 리모콘신호를 본체(1) 측에 송신한다. 리모콘(10)을 통해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의 기능으로는 DVD재생, 오디오재생, TV시청, 채널변경, 윈도우스의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실행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은 각각의 기능선택버튼(14)에 부여된다.
또한, 본 컴퓨터시스템의 리모콘(10)은 마우스모드선택버튼(12)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10)의 사용모드를 마우스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마우스모드로 전환된 경우, 리모콘(10)은 무선마우스로써의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을 조작하여, 모니터(3)의 마우스커서(9)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윈도우창을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의 제어블럭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인 CPU(22)와, 메인 메모리(26)와, 바이오스가 저장된 바이오스롬(24)과, 시스템버스(20)와, 모니터(3)를 제어하는 비디오컨트롤러(28) 및 키보드(5)와 마우스(7)를 제어하는 I/O컨트롤러(30)를 포함하며, 리모콘(10)으로부터의 리모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수신장치(50)를 더 포함한다.
리모콘수신장치(50)는 리모콘(10)으로부터의 출력되는 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신호수신부(52)와, 리모콘신호수신부(52)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신호를 시스템버스(20)를 통해 CPU(22)측으로 전달하는 마이컴(5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을 선택하면, 리모콘(10)으로부터 출력된 리모콘신호는 본체(1)에 마련된 리모콘수신장치(50)의 리모콘신호수신부(52)로 수신되어, 마이컴(54)을 통해 시스템 측으로 전달된다.
키보드(5) 및 마우스(7)를 통해 I/O컨트롤러(30)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와 리모콘(10)을 통해 리모콘수신장치(50)로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는, CPU(22)의 제어에 의해 컴퓨터시스템의 입력신호로써 처리되어 비디오컨트롤러(28)를 통해 모니터(3)에 표시되거나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시키게 된다.
여기서, 리모콘(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모드 또는 마우스모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모드의 전환은 후술할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인식되는 것으로써, 리모콘(10)의 사용모드에 상관없이 리모콘(10)으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신호는 각 기능선택버튼(14)에 본래 부여된 리모콘신호가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시스템은 하드웨어인 리모콘수신장치(50) 로 입력된 리모콘신호를 시스템에 인식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리모콘드라이버(64)와, 리모콘드라이버(64)를 통해 입력된 리모콘신호를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을 포함한다.
리모콘드라이버(64)는 리모콘수신장치(50)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써, 하드웨어인 리모콘수신장치(50)와 시스템 간의 논리적 결합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리모콘드라이버(64)는 리모콘수신장치(50)를 초기화 시키거나, 리모콘수신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를 시스템에 유효한 시스템제어신호로 변환한다.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운영체계(60)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운영체계(60)로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후킹(hooking)하여, 리모콘(10)의 사용모드에 따라 각기 상이한 실행명령을 발생시킨다. 이하, 설명세서는 운영체계(60)가 윈도우스(Windows)일 경우를 가정하여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리모콘(10)의 사용모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환되는데, 여기서,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전환되더라도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에 따라 출력되는 리모콘신호는 변화하지 않는다. 대신, 동일한 기능선택버튼(14)으로부터 출력된 동일한 리모콘신호가, 리모콘(10)의 사용모드에 따라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에 의해 각기 상이한 명령으로 인식된다.
이에 따라,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에는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에 따라 각기 설정된 마우스제어기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각각의 기능선택버튼(14)에 부여되는 마우스제어기능은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의 설치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10)에 마련된 마우스모드선택버튼(12)을 선택하여 리모콘(10)의 사용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으며, 리모콘(10)의 임의의 기능선택버튼에 마우스모드선택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리모콘(10)의 선택모드를 전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윈도우스 운영체계(60)의 부팅 시 실행이 시작되어,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운영체계(60)로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후킹한다. 리모콘(10)의 마우스모드선택버튼(12)을 통해 사용모드가 전환되는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후킹된 리모콘신호를 확인하여,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리모콘모드인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전달된 리모콘신호를 그대로 운영체계(6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운영체계(60)는 리모콘(1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라, 오디오를 재생시키거나, 윈도우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등의 시스템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마우스모드인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전달된 리모콘신호를 마우스 제어명령으로 변환하여 운영체계(60)로 전달한다. 운영체계(60)는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으로부터 전달되는 마우스 제어명령에 따라, 마우스커서(9)의 움직임 을 제어하고, 마우스클릭, 더블클릭, 스크롤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에 부여되는 마우스제어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의 초기 설치 시, 리모콘(10)에 마련된 기능선택버튼(14)에 각각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며, 이후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마우스모드의 수행 시, 각 기능선택버튼(14)으로부터 출력되는 리모콘신호에 대응되는 마우스제어명령을 운영체계(6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을 통해 발생되는 마우스제어명령은 실재 I/O컨트롤러(30)에 연결된 실재 마우스(7)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제어명령과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운영체계(60)는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이 발생시키는 마우스 제어명령을 실재 마우스(7)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마우스 제어명령과 동일하게 인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운영체계(60)에 상주하면서,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운영체계(60)로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후킹하고, 리모콘(10)의 사용모드에 따라, 리모콘신호를 운영체계(60)에 바이패스 시키거나 운영체계(60)에 마우스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즉, 리모콘(1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리모콘드라이버(64)를 통해 전달되는 리모콘신호에는 변화가 없으나, 특정 리모콘신호(마우스모드 선택신호)가 전달 된 이후의 리모콘신호는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에 의해 마우스 제어명령으로 변환되어 운영체계(60)에 전달된다. 이상의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운영체계(60)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을 통해, 리모콘(10)의 기능선택버튼(14)에 대해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한다(S5).
컴퓨터시스템의 시스템부팅이 완료되면(S10), 운영체계(60)가 구동되기 시작한다(S12). 운영체계(60)가 시작되면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이 자동으로 실행된다(S14). 여기서,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의 실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컴퓨터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리모콘(10)을 이용하여 컴퓨터시스템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리모콘신호는 리모콘신호수신부(52)로 수신되어 리모콘드라이버(64)를 통해 시스템 측으로 전달된다(S16). 여기서,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운영체계(60)로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후킹한다.
리모콘신호를 후킹한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S16)은 현재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확인하여(S18), 현재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리모콘모드일 경우, 리모콘신호를 운영체계(60)에 바이패스하여 입력된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S22). 여기서, 운영체계(60)는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전달된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제어명령을 발생시켜, 시스템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한편, 현재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마우스모드일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 그램(62)은 리모콘신호를 마우스기능의 제어를 위한 마우스제어명령으로 변환하여 운영체계(60)에 전달함으로써, 입력된 마우스신호에 따라 마우스커서(9)가 제어되고 마우스입력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S20).
이상의 제어흐름이 수행되는 경우, 컴퓨터시스템 내의 신호흐름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능선택버튼(14) 선택에 따라 리모콘(10)으로부터 출력된 리모콘신호는 리모콘수신장치(50)의 리모콘신호수신부(52)로 수신된다(P10). 리모콘신호수신부(52)로 수신된 리모콘신호는 그대로 마이컴(54)에 전달되며, 리모콘수신장치(50)의 마이컴(54)은 리모콘신호를 코딩하여 리모콘드라이버(64)에 전달한다(P12). 리모콘드라이버(64)는 리모콘수신장치(50)로부터 입력된 리모콘신호를 시스템에 유효한 시스템코드로 코딩하여 운영체계(60)측에 전달한다(P14).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운영체계(60)로 전달되는 리모콘신호를 후킹하고, 현재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마우스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P16). 확인결과, 마우스모드가 선택되지 아니한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전달된 리모콘신호를 운영체계(60)에 바이패스하여 시스템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P22).
한편, 리모콘(10)의 사용모드가 마우스모드인 경우, 무선신호제어프로그램(62)은 리모콘드라이버(64)로부터 전달된 리모콘신호를 마우스기능의 제어를 위한 마우스제어명령으로 변환하여 운영체계(60)에 전달함으로써, 리모콘신호로 인해 마우스기능이 제어되도록 한다(P2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은 리모콘의 사용이 가능한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리모콘 및 리모콘드라이버 등의 구성요소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운영체계의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감지 및 제어하여 운영체계로 전달함으로써,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리모콘의 사용모드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인식되어, 동일한 리모콘신호가 입력될 지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제어명령이 발생되거나 마우스제어명령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종래의 리모콘을 이용한 컴퓨터시스템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아니하고도 리모콘을 무선마우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9)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리모콘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확인된 경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미리 설정된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기능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바이패스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우스모드의 선택을 위한 마우스모드선택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마우스모드선택기능 선택에 따라,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확인된 경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기능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5.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컴퓨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에 부여된 마우스제어명령이 저장되는 마우스제어명령저장부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마우스모드선택부와;
    상기 마우스모드선택부를 통해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마우스기능의 실행을 위한 마우스제어명령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시스템제어부로 제공하는 무선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제어부는,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시스템기능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제어모드일 경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리모콘신호를 상기 시스템제어부로 바이패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제어부는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8.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을 갖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시스템기능을 제어하는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각 기능선택버튼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리모콘신호의 종류에 따른 마우스제어기능을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기능선택버튼의 선택에 따라 출력된 리모콘신호가 상기 운영체계 측으로 전달되는 단계와;
    상기 운영체계에 전달되는 상기 리모콘신호를 후킹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마우스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가 상기 마우스모드인 경우, 상기 리모콘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마우스제어기능의 구현을 위한 마우스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체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제어방법.
  9.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을 무선마우스로 사용하는 리모콘 사용방법에 있어서,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에 대응하는 기능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마우스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마우스모드로 전환하는 제1리모콘신호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우스모드의 선택에 대응하는 제1마우스제어명령을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무선마우스의 동작을 위한 제2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리모콘신호에 대응하여 설정 및 저장된 상기 무선마우스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2마우스제어명령을 상기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방법.
  10. 삭제
  1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을 마우스로 사용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에 마련된 다수의 기능선택버튼에 의해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리모콘모드 및 마우스모드로 상호전환하는 제1리모콘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기능선택버튼은 상기 마우스모드에서의 마우스동작 또는 상기 리모콘모드에서 리모콘동작을 지시하는 제2리모콘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2리모콘신호와 상기 기능선택버튼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마우스제어신호를 저장하는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과;
    상기 마우스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모드에서 상기 제2리모콘신호를 마우스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리모콘드라이버와;
    상기 마우스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마우스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제2리모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리모콘동작을 실행하는 운영체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모콘신호는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의 전환에 따라 전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능선택버튼 중 하나는 상기 마우스모드의 전환을 위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제어명령은 상기 마우스동작의 실행을 위해 마우스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의 전환은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운영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드라이버는 상기 리모콘신호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 사용시스템.
  18.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리모콘을 무선마우스로 사용하는 리모콘의 사용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사용방법은,
    각기 상이한 리모콘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기능선택버튼에 대응하는 기능 간의 관계를 지시하는 마우스제어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의 사용모드를 마우스모드로 전환하는 제1리모콘신호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마우스모드의 선택에 대응하는 제1마우스제어명령을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무선마우스의 동작을 위한 제2리모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리모콘신호에 대응하여 설정 및 저장된 상기 무선마우스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제2마우스제어명령을 상기 운영체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의 사용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9. 삭제
KR1020020043894A 2002-07-25 2002-07-25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9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94A KR100890651B1 (ko) 2002-07-25 2002-07-25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2328465A JP2004062852A (ja) 2002-07-25 2002-11-12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318,217 US7439958B2 (en) 2002-07-25 2002-12-13 Comput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via a remote controller used as a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894A KR100890651B1 (ko) 2002-07-25 2002-07-25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67A KR20040010867A (ko) 2004-02-05
KR100890651B1 true KR100890651B1 (ko) 2009-03-27

Family

ID=3076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894A KR100890651B1 (ko) 2002-07-25 2002-07-25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39958B2 (ko)
JP (1) JP2004062852A (ko)
KR (1) KR100890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4409A1 (en) * 2004-10-15 2006-04-20 Muffaddal Ghadiali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gramming a remote control
CN100361059C (zh) * 2005-03-11 2008-01-09 卢贺隆 无线鼠标远程控制的方法
EA020582B1 (ru) * 2009-03-27 2014-12-30 Джэпэн Ойл, Гэз Энд Металз Нэшнл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US8226482B2 (en) 2009-10-26 2012-07-24 Laufgraben Eri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iscovery
DE102012208748B4 (de) 2011-06-21 2023-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fahren und System zur Fernsteuerung von Funktionen eines Mauszeigers einer Rechnereinheit
US8945372B2 (en) 2011-09-15 2015-0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wo phase hydroprocessing process as pretreatment for tree-phase hydroprocessing proc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182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볼 마우스 기능을 갖춘 원격제어장치
KR19990015940A (ko) * 1997-08-12 1999-03-05 전주범 마우스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20020013217A (ko) * 2000-08-12 2002-02-20 김종욱 다기능 무선 전화 및 무선 마우스기능을 갖는피씨/티브이 통합 리모콘 시스템
JP2002140158A (ja) * 2000-11-01 2002-05-17 Eitoku:Kk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276A (en) * 1992-07-10 1994-01-18 Quickshot (Bvi) Ltd. Combination mouse/trackball input device
JPH0635602A (ja) 1992-07-16 1994-02-10 Sony Corp 表示システム
US5563630A (en) * 1993-10-28 1996-10-08 Mind Path Technologies, Inc. Computer mouse
US5659335A (en) * 1994-11-14 1997-08-19 Lucent Technologies Inc. Computing interface system
US5724106A (en) 1995-07-17 1998-03-03 Gateway 2000, Inc. Hand held remote control device with trigger button
KR0143812B1 (ko) * 1995-08-31 1998-08-01 김광호 전화기 겸용 무선 마우스
JPH1021035A (ja) 1996-07-03 1998-01-23 Toshiba Corp ビデオデータ再生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コンピュータ
US5812115A (en) * 1997-01-14 1998-09-22 Aplus, Inc. Composite mouse assembly
JPH10222308A (ja) 1997-01-31 1998-08-21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ボタン割当て切替方法
US5990868A (en) * 1997-04-01 1999-11-23 Compaq Comput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wer conservation in a pointing device located on a wireless data entry device
JPH10283103A (ja) 1997-04-09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216340B1 (ko) 1997-05-02 1999-08-16 김효조 마우스 기능을 리모콘에 구비하는 방법 및 그 제품
KR100243159B1 (ko) * 1997-12-01 2000-02-01 윤종용 무선 마우스 일체형 리모트콘트롤러
US6275682B1 (en) * 1998-08-14 2001-08-14 Rf-Link Systems Inc. RF signal transmitting device
WO2001020441A1 (en) 1999-09-10 2001-03-22 Technomics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mouse
US6507306B1 (en) * 1999-10-18 2003-01-14 Contec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US6753849B1 (en) * 1999-10-27 2004-06-22 Ken Curran & Associates Universal remote TV mouse
US6750803B2 (en) * 2001-02-23 2004-06-15 Interlink Electronics, Inc. Transformer remote control
JP2002268797A (ja) 2001-03-09 2002-09-20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182A (ko) * 1995-12-19 1997-07-31 배순훈 볼 마우스 기능을 갖춘 원격제어장치
KR19990015940A (ko) * 1997-08-12 1999-03-05 전주범 마우스형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20020013217A (ko) * 2000-08-12 2002-02-20 김종욱 다기능 무선 전화 및 무선 마우스기능을 갖는피씨/티브이 통합 리모콘 시스템
JP2002140158A (ja) * 2000-11-01 2002-05-17 Eitoku:Kk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67A (ko) 2004-02-05
JP2004062852A (ja) 2004-02-26
US7439958B2 (en) 2008-10-21
US20040017350A1 (en)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76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device functionality
US5631652A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one remote controller to control more than one apparatus
US102818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of macro commands in a controlling device
US7307573B2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US6759967B1 (en) Remote control for activating household video products and services
EP2076029B1 (en) A method and system of informing a first electronic device of the control and activity of a second electronic device
EP1630640A1 (en) Start time re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070061587A1 (en) Multi-user computer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516008A (ja) ユニバーサル遠隔制御装置をアップグレード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5948084A (en) 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puter having a user interface software communicating with a device driver and driving an application software to perform operation based on a combined key signal
KR100890651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리모콘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7034713B2 (en) Autonomous and universal remote control scheme
US20050122649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20040075777A1 (en) Function control apparatus using remote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868527B2 (en) Controlling processor-based systems
KR101014504B1 (ko) 자리수 키를 이용한 정보 메뉴 설정 장치 및 그 설정방법
US20020126089A1 (en) Remote control unit and system
US20040130565A1 (en) Assist diplay apparatus for use with audio mixer
JP2003099219A (ja) プリンタドライバのインストール方法
JP2001100871A5 (ja) コンピュータ装置
KR19990065817A (ko) 오에스디 메뉴화면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방법
JP200110087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能を有す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2002186067A (ja) 電気機器制御装置及び電気機器制御方法
JP2007201873A (ja) 多機能リモコン装置
KR100231211B1 (ko) 무선 모니터의 피씨 신호 선택장치 및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