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41B1 -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41B1
KR100890441B1 KR1020070071320A KR20070071320A KR100890441B1 KR 100890441 B1 KR100890441 B1 KR 100890441B1 KR 1020070071320 A KR1020070071320 A KR 1020070071320A KR 20070071320 A KR20070071320 A KR 20070071320A KR 100890441 B1 KR100890441 B1 KR 100890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conductor
conductor
movable shaft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33A (ko
Inventor
조정환
김정배
이학성
박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7007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 도체와 가동축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하부 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차단기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전류가 인입되는 상부 도체 및 전류가 인출되는 하부 도체; 상기 상부 도체 및 하부 도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전류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 상기 하부 도체를 관통하여 진공 인터럽터 내로 요입되면서 상기 상부 도체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제공받아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는 절연로드;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와 진공 인터럽터를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하며, 전류가 상기 외관 프레임으로 전도됨을 차단하는 절연 장착부;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축과 상기 하부 도체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면서 둘 이상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설치된 콜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가 제공된다.
가스 절연 개폐장치, 차단기부, 하부 도체, 엠보싱부, 다층 콜렉터

Description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Circuit Breaker of Gas Insulation switchg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외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중 하부 도체 및 콜렉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중 하부 도체 및 콜렉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중 하부 도체 및 콜렉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외관 프레임 200. 상부 도체
210. 돌기 300. 하부 도체
310. 관통공 320. 안착단
330. 엠보싱부 331. 산
332. 골 400. 진공 인터럽터
500. 가동축 600. 절연로드
700. 절연 장착부 800. 콜렉터
810. 구획판
본 발명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부 도체와 가동축 간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고, 상기 하부 도체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방열 효과를 향상시킨 새로운 형태의 차단기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연 개폐장치(GIS;Gas Insulation switchgear)는 금속제 밀폐용기(탱크)에 절연성능과 소호기능이 우수한 절연용 가스(SF6)를 절연매체로 사용하여 도체와 각종 보호기기들을 수납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킨 수변전 설비이며, 차단기부(Circuit Breaker), 단로기(Disconnecting Switch), 접지개폐기(Earthing Switch) 등 여러 가지 구성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스 절연 개폐장치 중 차단기부는 모선을 통한 전원투입 및 차단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조작기는 상기 차단기부의 차단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모선을 통한 전원 차단이 결정되면 조작기에 의한 락킹 장치의 해제와 함께 기 압축된 상태의 코일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차단기부와 연결된 링크부를 통해 상기 차단기부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차단기부는 크게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 및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도체와 상기 진공 인터럽터 간은 가동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는 상기 가동축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를 상기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기 위한 단일의 콜렉터가 설치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차단기부에 따른 구조는 2000A급의 GIS에 적용되는 구조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차단부의 구조를 3000A급의 GIS에는 그 적용이 불가능하다.
즉, 종래의 차단기부를 3000A급의 GIS에 적용할 경우에는 더욱 큰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 하부 도체의 크기를 키워야 하지만, 상기 하부 도체는 그 측부에 위치되는 여타 하부 도체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함을 고려할 때 전체적인 차단기부의 좌우 폭이 커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상기 하부 도체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하부 도체의 두께가 증가된다면 상기 차단기부 전체의 높이 역시 증가될 수밖에 없다.
물론, 3000A급 GIS는 2000A급 GIS에 비해 전류 용량의 증가로 인한 전체적인 기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전류 용량의 증가가 이루어지면 실질적인 온도 상승은 급격히 증가되지만 기존의 하부 도체의 크기는 전체적인 기기의 크기 증가에 비례하는 정도만이 커질 뿐이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더욱 낮다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이로 인해 기존의 하부 도체 구조를 3000A급 GIS에 적용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차단기부의 하부 도체에 대한 방열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가동축에 의한 통전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는 외관을 이루는 외관 프레임;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입되는 상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의 하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출되는 하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 중 상기 상부 도체 및 하부 도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상단이 상기 하부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내로 요입되면서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도체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동축을 흐르는 전류가 구동샤프트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절연로드; 상기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와 진공 인터럽터를 상기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류가 상기 외관 프레임으로 전도됨을 차단하는 절연 장착부; 그리고,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축과 상기 하부 도체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면서 둘 이상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설치된 콜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콜렉터는 세 개로 구성되고, 상기 각 콜렉터의 사이 사이에는 각 콜렉터 서로 간을 구획하되 통전은 가능하도록 하는 구획판이 각각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구획판은 황동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콜렉터는 상기 하부 도체와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체의 둘레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하부 도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 도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구조에 따르면 외관을 이루는 외관 프레임;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입되는 상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의 하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출되는 부위를 형성하고, 둘레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된 하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 중 상기 상부 도체 및 하부 도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상단이 상기 하부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내로 요입되면서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도체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동축을 흐르는 전류가 구동샤프트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절연로드; 상기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와 진공 인터럽터를 상기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류가 상기 외관 프레임으로 전도됨을 차단하는 절연 장착부; 그리고,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축과 상기 하부 도체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는 콜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하부 도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 도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체의 둘레면 혹은, 상면에도 상기 하부 도체에 형성된 엠보싱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이렇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는 크게 외관 프레임(100)과, 상부 도체(200)와, 하부 도체(300)와, 진공 인터럽터(400)와, 가동축(500)과, 절연로드(600)와, 절연 장착부(700) 그리고, 다수로 적층된 콜렉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외관 프레임(100)은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외관을 이루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외관 프레임(1000의 전면에는 후술되는 각종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고, 배면에는 조작기부(도시는 생략됨)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도체(200)는 전류가 인입되는 도체이다.
상기한 상부 도체(200)는 상기 외관 프레임(100)의 전면 중 상측 부위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도체(300)는 상기 상부 도체(200)를 통해 인입된 전류를 전달받아 인출하는 도체이다.
이때, 상기 하부 도체(300)는 상기 외관 프레임(100)의 전면 하측 부위 중 상기 상부 도체(200)의 직하방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도체(300)의 내측 부위는 첨부된 도 2과 같이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하부 도체(300)를 통해 전류가 인입되고 상기 상부 도체(200)를 통해 전류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400)는 상기 상부 도 체(200)를 통해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 혹은, 통전시켜 상기 하부 도체(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진공 인터럽터(400)는 상기 외관 프레임(100)의 전면 중 상기 상부 도체(200)와 하부 도체(300) 사이의 위치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축(500)은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도체(200)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하부 도체(300)에 통전시키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가동축(500)의 상단은 상기 하부 도체(300)의 관통공(310)을 관통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400) 내에 선택적으로 요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진공 인터럽터(400) 내에는 상기 상부 도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접점(도시는 생략됨)이 구비되며, 상기 가동축(500)은 상기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가동 접점으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로드(600)는 상기 가동축(500)을 흐르는 전류가 구동샤프트(10)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한 절연로드(600)는 절연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축(500)과 상기 구동샤프트(1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샤프트(10)의 구동에 따른 승강력을 상기 가동축(500)으로 전달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 장착부(700)는 상부 도체(200) 및 하부 도체(300)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관 프레임(100)으로 전도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한 상부 도체(200)와 하부 도체(300)와 진공 인터럽터(400) 등을 상기 외관 프레임(100)에 안 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콜렉터(collector)(800)는 상기 하부 도체(300)와 상기 가동축(500) 간을 통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콜렉터(800)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수의 세그먼트가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도체(300)의 관통공(310)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도체(300)에 형성된 관통공(310) 내의 저부에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안착단(320)이 형성되어 상기 콜렉터(8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콜렉터(800)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콜렉터(800)는 둘 이상으로 제공되며, 그 각각은 서로 적층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동축(500)과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열량의 증가를 방지하여 실질적인 3000A급 GIS에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각 콜렉터(800)가 세 개로 구성되고, 상기한 각 콜렉터(800) 사이 사이에는 상기 각 콜렉터(800) 서로 간을 구획하되 통전은 가능하도록 하는 구획판(810)이 각각 더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각 콜렉터(800)를 세 개로 구성하는 이유는 가동축(500)과의 접속성을 향상시켜 발열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3000A급 GIS에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 도체(300)의 두께 증가는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구획판(810)은 상기 각 콜렉터(800)가 서로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즉, 상기한 각 콜렉터(800)는 상기 가동축(500)의 승강 동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일부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모든 콜렉터(800)가 서로 간의 간섭에 의해 동시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면 실질적인 콜렉터(800)와 하부 도체(300) 간의 접촉 부위는 국부적이 될 수밖에 없어 전체적인 접속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각 콜렉터(800)는 서로 개별적으로 화전되도록 구성하여 국부적인 접촉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구획판(810)의 제공으로 인해 상기한 각 콜렉터(800)가 서로 개별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동축(500)과 하부 도체(300) 간의 접속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각 구획판(810)은 황동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콜렉터(800)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여 통전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각 콜렉터(800)가 상기 하부 도체(300)의 재질(C1100)과는 다른 종류의 재질인 C1020(무산소 동)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 각 콜렉터(800)를 C1020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고 저항이 작기 때문에 열전도도가 높아 발열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하부 도체(300) 역시 상기한 C1020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전체적인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되기 때문에 최소한의 제조 단가 상승으로 최대한의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시예로 제시된 바와 같이 각 콜렉터(800)만을 C1020 재질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부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단기부가 오픈(open)된 상태에서는 가동축(500)이 진공 인터럽터(400) 내의 고정 접점(도시는 생략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며, 이때에는 상부 도체(200)로부터 인입되는 전류가 하부 도체(30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조작기부의 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10)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절연로드(600)를 통해 가동축(500)을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동축(500)은 상기 진공 인터럽터(400) 내의 고정 접점과 통전되고, 이와 함께 상기 가동축(500)을 통해 하부 도체(300) 역시 통전된다.
따라서, 상부 도체(200)를 통해 인입된 전류는 가동축(500)을 통해 하부 도체(300)로 전달된 후 상기 하부 도체(300)를 통해 인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 도체(300)의 관통공(310) 내에 안착된 각 콜렉터(800)는 상기 가동축(500)의 승강 동작에 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일부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 콜렉터(800) 간은 차단판(810)에 의해 상호 간의 간섭이 방지되기 때문에 각각 개별적인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콜렉 터(800) 모두와 가동축(500) 및 하부 도체(300) 간의 접속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활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구조 중 하부 도체(300)는 전류의 통전으로 인한 과도한 발열이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원활한 방열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특히,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를 3000A급 GIS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하부 도체(300)의 발열은 더욱 심각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활한 방열을 위한 구조가 추가로 필요시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하부 도체(300)의 방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하부 도체(300)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산(331)과 골(332)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엠보싱부(330)가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엠보싱부(300)에 의해 방열 면적을 더욱 확대시킴으로써 방열 효과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도체(300)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엠보싱부(330)가 상기 하부 도체(300)의 좌우 폭 방향으로 요입 및 요출이 이루어지는 산(331)과 골(332)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한 하부 도체(300)를 주조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도록 함과 더불어 단조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부 도체(200)의 둘레면이나 상면에도 상기한 엠 보싱부나 돌기(210)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 도체(200)에 대한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의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는 콜렉터를 복층(multi layer) 구조로 제공함으로써, 가동축 및 하부 도체 간의 접촉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음에 따라 3000A급 GIS에의 적용이 이루어지더라도 안정적인 통전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발열량의 감소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는 상기한 각 콜렉터 사이 사이에 구획판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 콜렉터가 서로 개별적인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국부적인 접촉에 따른 부하의 증가로 인해 발열량이 증가됨은 미연베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는 하부 도체의 둘레면을 따라 엠보싱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도체의 전체적인 표면적을 넓혀 실질적인 방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외관을 이루는 외관 프레임;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입되는 상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의 하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출되는 하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 중 상기 상부 도체 및 하부 도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상단이 상기 하부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내로 요입되면서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도체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동축을 흐르는 전류가 구동샤프트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절연로드;
    상기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와 진공 인터럽터를 상기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류가 상기 외관 프레임으로 전도됨을 차단하는 절연 장착부; 그리고,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축과 상기 하부 도체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면서 둘 이상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설치된 콜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콜렉터는 세 개로 구성되고,
    상기 각 콜렉터의 사이 사이에는 각 콜렉터 서로 간을 구획하되 통전은 가능하도록 하는 구획판이 각각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황동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하부 도체와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도체의 둘레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하부 도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 도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7. 외관을 이루는 외관 프레임;
    상기 외관 프레임의 상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입되는 상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의 하측 부위에 설치되며, 전류가 인출되는 부위를 형성하고, 둘레면을 따라 산과 골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엠보싱부가 형성된 하부 도체;
    상기 외관 프레임 중 상기 상부 도체 및 하부 도체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차단하는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
    상단이 상기 하부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진공 인터럽터 내로 요입되면서 조작기부에 의해 동작되는 구동샤프트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부 도체로부터 인입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하부 도체에 통전시키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과 상기 구동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면서 상기 가동축을 흐르는 전류가 구동샤프트로 제공됨을 차단하는 절연로드;
    상기 상부 도체와 하부 도체와 진공 인터럽터를 상기 외관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전류가 상기 외관 프레임으로 전도됨을 차단하는 절연 장착부; 그리고,
    상기 하부 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가동축이 관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축과 상기 하부 도체 간의 통전이 가능하게 하는 콜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하부 도체를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하부 도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체의 둘레면 혹은, 상면에도 상기 하부 도체에 형성된 엠보싱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KR1020070071320A 2007-07-16 2007-07-16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KR100890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20A KR100890441B1 (ko) 2007-07-16 2007-07-16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320A KR100890441B1 (ko) 2007-07-16 2007-07-16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33A KR20090008033A (ko) 2009-01-21
KR100890441B1 true KR100890441B1 (ko) 2009-03-26

Family

ID=40488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320A KR100890441B1 (ko) 2007-07-16 2007-07-16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392B1 (ko) 2009-12-28 2011-08-01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584B1 (ko) * 2012-12-28 2014-04-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공용 부하개폐기의 동력전달장치
CN115487706B (zh) * 2021-06-17 2024-04-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搅拌器电绝缘结构、搅拌器以及ldpe聚合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83Y1 (ko) 2006-04-26 2006-07-07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공차단기 링크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983Y1 (ko) 2006-04-26 2006-07-07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진공차단기 링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392B1 (ko) 2009-12-28 2011-08-01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33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3372B2 (ja) 真空遮断器
CN100375211C (zh) 真空断路器
TW200924332A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CN204230168U (zh) 电接触器及用于电接触器的可动电触点装置
WO2017186061A1 (zh) 断路器触头系统及断路器
KR100890441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CN105529663B (zh) 母线组件及使用该母线组件的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N1910718B (zh) 开关装置
JP2017010706A (ja) 回路遮断器
US20010005306A1 (en) Switchgear
JP6990294B2 (ja) ガス絶縁型開閉装置用の回路遮断器
CN201274252Y (zh) 直流超高压隔离开关
KR10105339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차단기부
CN105762039A (zh) 断路器触头系统及断路器
CN2842697Y (zh) 高压大电流真空断路器固封相柱
WO2019053335A1 (en) SWITCH
KR101110533B1 (ko) 스위치기어의 복합소호장치
CN202434941U (zh) 一种高压大电流干燥压缩空气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KR100370103B1 (ko) 가스절연 개폐기의 단로기
JP5210582B2 (ja) 真空開閉装置
CN108346533A (zh) 直流电路断路器
EP1227558B1 (en) Switchgear
CN103996579B (zh) 用于低压断路器主接线短路预检的滑动式切换装置
EP4039973A1 (en) Usage of a laminated structure in a busbar system of a wind turbine and a wind turbine including such a busbar system
CN216489398U (zh) 一种处理双电源供电系统相间短路的手车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