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377B1 -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377B1
KR100890377B1 KR1020080118877A KR20080118877A KR100890377B1 KR 100890377 B1 KR100890377 B1 KR 100890377B1 KR 1020080118877 A KR1020080118877 A KR 1020080118877A KR 20080118877 A KR20080118877 A KR 20080118877A KR 100890377 B1 KR100890377 B1 KR 10089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tube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훈
Original Assignee
브렌트유화산업(주)
서수피이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렌트유화산업(주), 서수피이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렌트유화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11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단턱면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과 상기 고정플랜지의 선단면에서 이어지는 부위 둘레에 경사면이 이루어진 연결단부가 일체로 된 관; 상기 관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그 외주면 절반부위를 감싸도록 내주면을 갖는 한쌍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몸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호간을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양측면의 결합홈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결합하게 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일치된 상기 통공을 통해 볼트및 너트로 결합되어, 관의 외주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통공에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관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 및 상기 관의 타단부와 상기 분리형 플랜지 사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관의 타단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내주면은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평면이고, 타측면은 상기 분리형 플랜지와 마주보는 측면에 의해 압착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고무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118877
관, 결합구조, 연결, 신수축, 플랜지, 분할몸체, 연결소켓.

Description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a Pipe equipped separable Flange and pipe-coupling assembly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면서 완벽한 수밀을 보장할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0396212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파이프와 연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편수관 및 그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파이프 삽입부가 형성되어 파이프의 본체 부분과 연결되는 부분에 파이프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턱이 형성되고, 파이프의 본체 부분과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볼트 삽입홈이 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연결부를 갖는 파이프와, "¬"형상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가 상기 볼트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볼트와, 환형 고리 상으로 중앙에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 면과 동일한 내경의 파이프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패킹을 가압하기 위한 패킹 가압턱이 성형되어 있으며, 외주 단부에 형성된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타측 단부가 관통되는 다수의 볼트 구멍이 형성된 압륜 및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응하도록 그 단면이 삼각 형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된 파이프 사이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파이프에 형성된 파이프 삽입부가 일반적인 관의 형태와는 다르게 다수개의 볼트 삽입홈이 파이프의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금형 제작이 필요하고, 볼트 삽입홈에 설치된 고정볼트의 타측 단부가 볼트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압륜은 파이프의 외경에 맞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압륜은 다양한 외경을 갖는 파이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라 압륜의 내경이 각기 다른 것을 여러개 제작하여야 하므로, 금형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륜은 패킹만 가압하기 위한 기능만 담당하며, 압륜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는 어떠한 고정수단이 없어 설치한 상태에서 온도변화 등에 의한 관의 신수축이 발생되면서 파이프 삽입부에서 빠지게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공고번호 제20-0158352호 '관 연결구'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관의 단부에 끼워지는 관 연결구 본체와, 관 연결구 본체 와 관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링과, 상기 고무링을 관 연결구 본체 내부로 압박하는 캡으로 구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관 연결구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무링을 수용하는 확개부의 표면에 환형돌출팁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데, 그 실용신안공보에 나타나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관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캡이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고무링을 관연결구 내부로 압박하는 기능만 담당할 뿐, 캡과 관의 외주면 사이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고, 단지 고무링의 내주면 밀착력에 의해서만 관이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어 관의 신수축이 발생되면서 관 연결구가 이동하게 되거나 관이 빠지게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면서 완벽한 수밀을 보장할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조건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관을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조건에 따른 필요에 의하거나 또는 배관 설치에 따른 맞춤시공을 할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관을 연결한 결합상태가 견고하면서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수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관경이 다양한 압력 배관 및 비압력 배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관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기존 금형을 설계변경하거나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관의 외경에 따른 호칭 분류로 보아 적어도 2개 정도 이상은 무난히 적용이 가능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관을 연결하는 시공을 할 때, 필요에 따라 연결소켓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관들 중에서 연결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제품하자가 있는 것이 있을 경우, 또는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던 중 유지/보수 작업에 의해 교체된 기존의 관 중에서 연결단부가 양호한 경우, 해당하는 연결단부를 재활용할 수 있으며, 관 여러개를 연결하면서 관의 길이가 다소 부족할 경우에도 연결소켓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은, 일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플랜지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단턱면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과 상기 고정플랜지의 선단면에서 이어지는 부위 둘레에 경사면이 이루어진 연결단부가 일체로 된 관; 상기 관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그 외주면 절반부위를 감싸도록 내주면을 갖는 한쌍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 할몸체에는 상기 고정플랜지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호간을 결합하기 위한 통공이 양측면의 결합홈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을 통해 결합하게 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일치된 상기 통공을 통해 볼트및 너트로 결합되어, 관의 외주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통공에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관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 및 상기 관의 타단부와 상기 분리형 플랜지 사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관의 타단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며, 내주면은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평면이고, 타측면은 상기 분리형 플랜지와 마주보는 측면에 의해 압착되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 고무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할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돌기부는 관의 외주면을 이루는 돌출면 사이의 오목면에 대응되게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돌기부는 상기 분할몸체의 내주면을 따라 파형 요철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돌기부는 상기 분할몸체의 내주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한 관 결합구조는, 한쪽 관의 타단부는 다른 쪽 관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에 삽입되고, 상기 한쪽 관의 타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는, 상기 다른 쪽 관의 고정플랜지 에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통공에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분할몸체 및 상기 고정플랜지의 체결공을 통해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고무링은 그 경사면이 상기 다른 쪽 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인 평면 부위는 상기 분리형 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되어져서, 상기 한쪽 관과 다른 쪽 관의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시공을 할 때, 필요에 따라 2개의 관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단부를 절단하고, 절단한 상기 연결단부를 고정플랜지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접합시켜 제작된 연결소켓을 사용하되, 연결하는 한쪽 관 및 다른 쪽 관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양편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한쪽 관 및 다른 쪽 관의 타단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는, 상기 연결소켓의 양편에 있는 고정플랜지에 각각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통공에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의 분리형 플랜지를 이루는 분할몸체 및 상기 고정플랜지의 체결공을 통해 각각 결합된 볼트 및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한쪽 관 및 다른 쪽 관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고무링은 그 경사면이 상기 연결소켓의 양편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되고 타측면인 평면 부위는 상기 분리형 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되어져서, 상기 한쪽 관과 다른 쪽 관의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에 의하면,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면서 완벽한 수밀을 보장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에 따른 공기단축과 시공비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조건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관을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길이조정을 하는 관에 결합되어 있는 분리형 플랜지를 분리하여 길이조정을 한 후,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조건에 따른 필요에 의해서, 또는 배관 설치에 따른 맞춤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고무링이 압착되면서 관을 연결한 부위에서 견실한 밀착력을 발휘하고 있고, 결합상태도 견고하여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수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구성된 분리형 플랜지는 관과는 별도로 제작하기 때문에, 관경이 다양한 압력 배관 및 비압력 배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관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기존 금형을 설계변경하거나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분리형 플랜지가 한쌍의 분할몸체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관의 외경에 따른 호칭 분류로 보아 적어도 2개 정도 이상은 무난히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시공 을 할 때, 필요에 따라 연결소켓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수개의 관들 중에서 연결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제품하자가 있는 것이 있을 경우, 또는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던 중 유지/보수 작업에 의해 교체된 기존의 관 중에서 연결단부가 양호한 경우, 해당하는 연결단부를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관 여러개를 연결하면서 관의 길이가 다소 부족할 경우에도 연결소켓을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은 일단부에 연결단부(11)가 일체로 형성된 관(10)과, 상기 관(10)의 타단부에 위치되어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20)와, 상기 관(10)의 타단부와 상기 분리형 플랜지(20) 사이의 외주면에 개재된 고무링(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단부(11)는, 체결공(13)이 형성된 고정플랜지(12)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관(1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게 단턱면(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단턱면(15)이 가지는 단차(높이)는 관(10)의 두께와 동일하여 또 다른 관(10)의 타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였을 때, 연결부위의 내주면은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턱면(15)과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선단면에서 이어지는 부위 둘레에 경사면(14)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분리형 플랜지(20)는 상기 관(10)의 타단부에서 외주면 절반부위를 감싸도록 내주면(25)을 갖는 한쌍의 분할몸체(20a)(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몸체(20a)(20b)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23a)이 형성되어 있고, 상호간(20a)(20b)을 결합하기 위한 통공(23b)이 양측면의 결합홈(21)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23a)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몸체(20a)(20b)에 일치되는 통공(23b)을 통해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되어, 관(10)의 외주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통공(23b)에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 관(10)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고무링(30)은 관(10)의 타단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관(1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4)과 대응되는 경사면(30a)을 가지며, 내주면은 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평면(30b)이고, 타측면은 상기 분리형 플랜지(20)와 마주보는 측면에 의해 압착되도록 평면(30c)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절단면 형상을 보면 삼각형 단면(30d)을 갖게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고무링(30)은 관의 경사면(14)에 밀착되게 하였을 때, 2/3 정도만 밀착되고 나머지 부위는 고정플랜지(12)의 선단면에서 돌출되는 절단면을 가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은, 관(10)에 분리형 플랜지(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관을 연결 시공하기 위한 시공현장으로 이동하는 차량에 적재하는 양을 많이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에서도 이동이 편리하다.
도 1에서 분리형 플랜지(20)와 고무링(30)의 아래쪽에 있는 화살표는 관(10)의 외주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한 관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하여 시공할 때에는, 먼저 한쪽 관(10a)의 타단부를 다른 쪽 관(10b)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15)에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한쪽 관(10a)의 타단부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분리형 플랜지(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쪽 관(10b)의 고정플랜지(12)에 맞대어지도록 분리형 플랜지(20)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분할몸체(20a)(20b)의 일치된 통공(23b)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볼트(B) 및 너트(N)를 조여주어서 한쪽 관(10a)의 외주면에 압 착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분할몸체(20a)(20b) 및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23a)을 통해 결합한 볼트(B) 및 너트(N)를 조이게 되면, 그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분리형 플랜지(20)와 상기 고정플랜지(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때 한쪽 관(10)의 타단부에서 상기 분리형 플랜지(20) 사이의 외주면에 개재되어 있던 고무링(30)은 그 경사면(30a)이 다른 쪽 관(10b)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4)에 밀착되어지고 타측면인 평면(30c) 부위는 분리형 플랜지(20)와 고정플랜지(12)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 부위(30e)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한쪽 관(10a)과 다른 쪽 관(10b)의 연결부위는 상기 고무링(30)에 의해 밀폐된다. 다시 말해서, 한쪽 관(10a)의 일단부 외주면과 다른 쪽 타단부의 단턱면(15)과의 사이로 발생될 수 있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여 확실한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고무링(30)은 압착되면서 반작용이 발생하고 있게 되는데, 즉 고정플랜지(12)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14)에 접면된 부위(30a), 한쪽 관(10a)의 외주면에 접면된 부위(30b)를 비롯하여 분리형 플랜지(20)의 측면과 접면된 부위(30c) 모두에서 발생된 반발력으로 인하여 견실한 밀착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시공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면서 완벽한 수밀을 보장할 수 있어 작업능률 향상에 따른 공기단축과 시공비 절감을 할 수 있다.
한편, 설치한 후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수축하는 것을 감안하여 한쪽 관(10a)의 타단부를 다른 쪽 관(10b)의 타단부에 형성된 단턱면(15)에 삽입할 때, 한쪽 관(10a)의 끝부위가 단턱면(15)을 이루는 끝부위에서 살짝 떨어진 위치에 있도록 결합해 두는 것이 좋다.
또, 연결단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15)의 길이를 종래의 플랜지를 갖는 관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턱면의 길이보다는 더 길게,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관의 타단부 삽입길이가 길게 되도록 단턱면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관을 연결 설치한 후 온도 변화 등으로 인하여 과도한 팽창력이 발생되는 경우, 분리형 플랜지(20) 및 고정플랜지(12)의 결속력에 의해 어느 정도 팽창력이 무마되지만, 가정하여 발생된 팽창력에 저항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관(10a)의 타단부가 단턱면(15)에 삽입된 길이가 길기 때문에 빠지게 될 우려가 없어, 관 연결부위의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관 결합구조는 관의 신수축 작용에 의한 연결부분의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조건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관(10)을 절단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길이조정을 하는 관(10)에 결합되어 있는 분리형 플랜지(20)를 분리하여 길이조정을 한 후, 분리형 플랜지(20)를 재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 라, 작업조건에 따른 필요에 의해서, 또는 배관 설치에 따른 맞춤시공을 할 수 있다.
한편, 작업조건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관은 연결단부(11)가 형성된 부분을 사용하거나 타단부 쪽도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10)은 하수관, 우수관, 오수관, 폐수관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10)의 재질로는 합성수지관(PVC관 또는 PE관), 금속관(스테인레스관, 주철관) 등 모두 가능한데,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특히 하수관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PE관이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이중벽관이나 삼중벽관으로 형성하며, 관의 외주면에 돌출면과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첨부한 도면에서는 관의 단면표시를 일정두께만 갖는 것으로 나타내었고, 외주면도 밋밋하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렇게 형성된 관을 특정하는 것은 아님을 여기서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구성된 분리형 플랜지(20)는 관(10)과는 별도로 제작하기 때문에, 이중벽 1급, 2급, 삼중벽 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관을 제작함에 있어 기존 금형을 설계변경하거나 새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특히, 관경(관의 외경)이 다양한 압력 배관 및 비압력 배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데, 하나의 금형으로 분리형 플랜지(20)를 제작하여 정해진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관의 외경에 따른 호칭 분류로 보아 적어도 3개 정도 이상은 무난히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분리형 플랜지(20)가 한쌍의 분할몸체(20a)(20b)로 이루어진 것이기에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성된 분리형 플랜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 (나) (다)도면은 측단면도, (라)도면은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성된 분리형 플랜지(20)는 한쌍의 분할몸체(20a)(20b)로 이루어져 상호간을 통공(23b)를 통해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 관(10)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고정되므로, 관(10)과 일체로 된 상태를 유지하여 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우려는 없다. 그런데, 분리형 플랜지(20)를 관(10)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형 플랜지(20)를 다른 쪽 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프랜지(12)에 결속하면서 조여주는 힘을 줄 때, 그 조임력으로 인하여 분리형 플랜지(20)가 관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이 없도록 하고, 원래의 위치에 확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분리형 플랜지(20)를 이루는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관(10a)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압착돌기부(26)(27)(28)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가)도면에 나타나 있듯이, 압착돌기부(26)는 관(10a)의 외주면에서 돌출면과 오목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관(10a)의 외주면을 이루는 돌출면 사이의 오목면에 대응되게 요철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나)도면과 같이, 압착돌기부(27)는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을 따라 파형 요철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다)도면과 같이, 압착돌기부(28)는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굳이 인서트 성형을 하는 이유는 분할몸체(20a)(20b)를 관(10a)의 재질과 같이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경우에 상기 압착돌기부(28)는 압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이형재질인 금속재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 시공할 때,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는 연결소켓에 대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연결단부를 절단한 모습이고 (나)도면은 절단한 연결단부 2개를 접합시켜 제작한 연결소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시공을 할 때, 필요에 따라 연결소켓(40)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관(10)들 중에서 연결단부(11)를 제외한 부분에 제품하자가 있는 것이 있을 경우, 또는 지중에 매설하여 사용하던 중 유지/보수 작업에 의해 교체된 기존의 관(10) 중에서 연결단부(11)가 양호한 경우, 해당하는 연결단부(11)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또는 관(10) 여러개를 연결하면서 관(10)의 길이가 다소 부족할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연결소켓(4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40)을 제작할 때, 해당하는 2개의 관(10)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단부(11)를 절단하고, 절단한 상기 연결단부(11a)(11b)를 고정플랜지(12a)(12b)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접합시켜 제작할 수 있다. 접합방법으로는 열융착에 의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면부호 (41)은 접합부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그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된 연결소켓(40)을 이용하여 시공할 때에는, 연결하는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의 타단부를 상기 연결소켓(40)의 양편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15)에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의 타단부 외주면에서 각각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20)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소켓(40)의 양편에 있는 고정플랜지(12a)(12b)에 각각 맞대어지는 위치로 각각의 분리형 플랜지(20)를 이동시킨 다음, 상기 분할몸체(20a)(20b)의 일치된 통공(23b)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볼트(B) 및 너트(N)를 조여주어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각각의 분리형 플랜지(20)를 이루는 분할몸체(20a)(20b) 및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23a)을 통해 각각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고무링(30)은 그 경사면(30a)이 연결소켓(40)의 양편에 형성된 경사면(14)에 밀착되고 타측면인 평면(30c) 부위는 분리형 플랜지(20)와 고정플랜지(12a)(12b)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되어져 수밀성을 보장하면서,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을 연결소켓(40)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결합구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구성된 분리형 플랜지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가) (나) (다)도면은 측단면도, (라)도면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 시공할 때, 필요에 따라 제작할 수 있는 연결소켓에 대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연결단부를 절단한 모습이고 (나)도면은 절단한 연결단부 2개를 접합시켜 제작한 연결소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 관 11, 11a, 11b : 연결단부
12 : 고정플랜지 13, 23a : 체결공
14, 30a : 경사면 15 : 단턱면
20 : 분리형 플랜지 20a, 20b : 분할몸체
21 : 결합홈 23b : 통공
25 : 내주면 26, 27, 28 : 압착돌기부
30 : 고무링 30b, 30c : 평면
30d : 삼각형 단면 30e : 압착 부위
40 : 연결소켓 41 : 접합부

Claims (7)

  1. 일단부에는 체결공(13)이 형성된 고정플랜지(12)를 가지며, 내주면에는 단턱면(15)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면(15)과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선단면에서 이어지는 부위 둘레에 경사면(14)이 이루어진 연결단부(11)가 일체로 된 관(10);
    상기 관(10)의 타단부에 위치되며 그 외주면 절반부위를 감싸도록 내주면(25)을 갖는 한쌍의 분할몸체(20a)(2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몸체(20a)(20b)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공(23a)이 형성되고 상호간(20a)(20b)을 결합하기 위한 통공(23b)이 양측면의 결합홈(21)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23a)을 통해 결합하게 되는 볼트(B) 및 너트(N)를 포함하고, 일치된 상기 통공(23b)을 통해 볼트(B) 및 너트(N)로 결합되어, 관(10)의 외주면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통공(23b)에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 관(10)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는 분리형 플랜지(20); 및
    상기 관(10)의 타단부와 상기 분리형 플랜지(20) 사이의 외주면에 개재되며, 관(10)의 타단부를 향하는 일측면이 관(1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4)과 대응되는 경사면(30a)을 가지며, 내주면은 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평면(30b)이고, 타측면은 상기 분리형 플랜지(20)와 마주보는 측면에 의해 압착되도록 평면(30c)으로 이루어진 고무링(30);
    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에는 상기 관(10)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돌기부(26)(27)(2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부(26)는 관(10)의 외주면을 이루는 돌출면 사이의 오목면에 대응되게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부(27)는 상기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을 따라 파형 요철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돌기부(28)는 상기 분할몸체(20a)(20b)의 내주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6. 제 1 항에 의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한 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한쪽 관(10a)의 타단부는 다른 쪽 관(10b)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15)에 삽입되고,
    상기 한쪽 관(10a)의 타단부 외주면에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20)는, 상기 다른 쪽 관(10b)의 고정플랜지(12)에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통공(23b)에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분할몸체(20a)(20b) 및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23a)을 통해 결합하는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고무링(30)은 그 경사면(30a)이 상기 다른 쪽 관(10b)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4)에 밀착되고 타측면인 평면(30c) 부위는 상기 분리형 플랜지(20)와 상기 고정플랜지(12)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되어져서,
    상기 한쪽 관(10a)과 다른 쪽 관(10b)의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한 관 결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시공을 할 때, 필요에 따라 2개의 관(10a)(10b)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연결단부(11)를 절단하고, 절단한 상기 연결단부(11a)(11b)를 고정플랜지(12a)(12b)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접합시켜 제작된 연결소켓(40)을 사용하되,
    연결하는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소켓(40)의 양편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면(15)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의 타단부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분리형 플랜지(20)는, 상기 연결소켓(40)의 양편에 있는 고정플랜지(12a)(12b)에 각각 맞대어지는 위치에서 상기 통공(23b)에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의 분리형 플랜지(20)를 이루는 분할몸체(20a)(20b) 및 상기 고정플랜지(12)의 체결공(13)(23a)을 통해 각각 결합된 볼트(B) 및 너트(N)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한쪽 관(10a) 및 다른 쪽 관(10b)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고무링(30)은 그 경사면(30a)이 상기 연결소켓(40)의 양편에 형성된 경사면(14)에 밀착되고 타측면인 평면(30c) 부위는 상기 분리형 플랜지(20)와 상기 고정플랜지(12a)(12b)의 틈새로 삐져나온 형태로 압착되어져서,
    상기 한쪽 관(10a)과 다른 쪽 관(10b)의 연결부위가 밀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을 이용한 관 결합구조.
KR1020080118877A 2008-11-27 2008-11-27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KR10089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77A KR100890377B1 (ko) 2008-11-27 2008-11-27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877A KR100890377B1 (ko) 2008-11-27 2008-11-27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377B1 true KR100890377B1 (ko) 2009-03-25

Family

ID=4069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877A KR100890377B1 (ko) 2008-11-27 2008-11-27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3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90B1 (ko) * 2010-03-09 2010-10-26 민승관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WO2011146080A1 (en) * 2010-05-20 2011-11-24 Iii Thomas Nott Word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332220B1 (ko) * 2013-04-29 2013-11-22 진기종 플랜지 유동 밸브
KR20170109057A (ko) * 2015-09-08 2017-09-27 니혼칸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력 배관의 접속 방법 및 플랜지 부착 압력 배관의 작성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773A (ja) * 1993-10-28 1995-05-16 Kubota Corp 管継手
JP2002066947A (ja) * 2000-08-29 2002-03-05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押輪用解体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773A (ja) * 1993-10-28 1995-05-16 Kubota Corp 管継手
JP2002066947A (ja) * 2000-08-29 2002-03-05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押輪用解体治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337B2 (en) 2009-06-09 2013-07-23 Thomas Nott Word, III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0989990B1 (ko) * 2010-03-09 2010-10-26 민승관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WO2011146080A1 (en) * 2010-05-20 2011-11-24 Iii Thomas Nott Word Structural flang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332220B1 (ko) * 2013-04-29 2013-11-22 진기종 플랜지 유동 밸브
KR20170109057A (ko) * 2015-09-08 2017-09-27 니혼칸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력 배관의 접속 방법 및 플랜지 부착 압력 배관의 작성 방법
KR101992653B1 (ko) * 2015-09-08 2019-06-25 니혼칸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압력 배관의 접속 방법 및 플랜지 부착 압력 배관의 작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US6247500B1 (en) Conduit systems
WO2020119654A1 (zh) 一种快连卡箍
KR100890377B1 (ko) 분리형 플랜지가 구비된 관 및 이를 이용한 관 결합구조
JP2000503749A (ja) 重合部係止型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
KR100630353B1 (ko) 강관 연결구조
KR101828502B1 (ko) 그루브 조인트 어댑터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US4591193A (en) Line pipe of synthetic material especially for waste water
US3652110A (en) Formation of joints between tubular members
KR101190797B1 (ko) 상하수도관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US6406067B1 (en) Lateral pipe adaptor
KR100989990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101170448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의 성형방법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JP3774889B2 (ja) 管継手用ゴムパッキン
KR100952726B1 (ko)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101083766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과 그 체결방법
CN201237039Y (zh) 可拆式快速接头
KR100952725B1 (ko) 케이피식 수밀 연결용 상하수도관
KR200483288Y1 (ko) 배관 연결장치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101183607B1 (ko) 상하수도관 결합용 연결소켓과 그 성형장치
KR20100094048A (ko) 플랜지 타입 메카니컬 조인트
KR20020044731A (ko) 관이음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