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268B1 -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 Google Patents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268B1
KR100890268B1 KR1020080105453A KR20080105453A KR100890268B1 KR 100890268 B1 KR100890268 B1 KR 100890268B1 KR 1020080105453 A KR1020080105453 A KR 1020080105453A KR 20080105453 A KR20080105453 A KR 20080105453A KR 100890268 B1 KR100890268 B1 KR 10089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yeing
salt
tube
dye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열
Original Assignee
이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열 filed Critical 이기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06B3/1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in wound for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700/00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e.g. bleaching, dyeing, mercerising, impregnating, washing; Fulling of fabrics
    • D06B2700/06Passing warp yarns in unwound or in wound form through bleaching, washing or dye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16)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18)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10)에 다수의 염액투공(34)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38)이 권취되는 빔관(36)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36)이 상기 염색탱크(10)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32)에 첨단부(40)가 상기 빔관연결부(3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42)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10)의 상부에는 유동관(44)(46)을 통하여 팽창탱크(48)가 연결 구비되는 빔 염색기에 있어서, 상기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와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는 빔관(36) 및 상기 빔관(36)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탱크(42)는 염색탱크(10)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피염물(38)을 많이 감아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피염물의 불량을 방지하도록 염색탱크(10)의 정중앙 센터가 아닌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중에서 빔관의 내부체적 일부가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도록 하여 저액비에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염색탱크의 외부에 팽창탱크를 연결하여 염색탱크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80105453
빔 염색기, 중공탱크, 팽창탱크, 이중관형열교환기.

Description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A beam dyeing machine and dyeing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중에서 빔관의 내부체적 일부가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도록 하여 저액비에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염색탱크의 외부에 팽창탱크를 연결하여 염색탱크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며,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스팀과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직물 또는 천을 염색함에 있어 채택하는 방법에 따라서 염액은 움직이지 않고 피염물만 움직이는 방법으로 윈치염색기가 있으며, 피염물은 움직이지 않고 염액만 움직이는 방법으로 빔 염색기가 있으며, 염액과 피염물이 서로 움 직이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지그염색기가 있다.
그 중에서 상기 빔 염색기(beam dyeing machine)는 직, 편물을 확포상으로 빔(beam; 다공성 원통관의 직경이 큰 스테인레스 실린더)에 감고 그 가운데를 통해서 펌프로 강제로 염료용액을 관류시켜서 염색하는 배치식(batch type)의 염색기계이다.
그리고 상기한 빔 염색기는 현재 부직포와 트리코르(tricot), 나일론 타페타(nylon taffeta) 및 오간디(organdy) 등의 특정 부분에서만 사용된다.
상기한 빔 염색기는 종래에도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출원 제2006-0007067호(등록번호 제0751900호)(명칭: 빔 염색기)[특허문헌 1]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고, 이의 기계 구성은 염색조와 열교환기, 펌프, 약품 투입조와 그들의 접속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중 150은 염료탱크, 160은 밸브, 180은 약품증기주입구, 510은 염료흐름관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천의 염색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천의 중량과 거기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저액비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염색탱크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수의 염액투공을 갖는 빔관에 피염물 원단을 감은 것을 염색탱크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피염물 원단이 감겨 있는 빔관의 중심으로부터 염액을 유동시켜 피염물 원단을 염색하는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염액은 피염물 원단을 제외한 염색탱크의 내부 전체에 채워진 상태에서 순환관을 통하여 순환한다. 따라서, 염액은 피염물 원단을 제외한 염색탱크의 내부 전체를 채워야 함으로 일반적으로 액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염료의 투입전에 염색탱크에는 상온의 물이 100%로 채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순환하면서 물이 가열되고 적정비율의 염료가 투입된다. 이와 같이 염색탱크내의 물이 가열되어 135℃로 상승하면 물이 팽창한다. 이때에 팽창된 고온의 염액을 외부로 순환시켜 냉각시킨 후(135℃→80℃), 다시 염색탱크내부로 투입하며 염색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염액을 계속 순환시킨다. 따라서,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의 외부로 순환시켜 온도를 내린 다음 다시 염색탱크내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냉각수를 필요로 하고, 고온의 염액이 외부로 순환되는 과정에서 수분증발이 이루어져 염비가 불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여 피염물에 염반 등의 염색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때문에 종래에는 미국특허등록 제04217768호(1980. 08. 19)(명칭: 염색장치)[특허문헌 2]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인 특허문헌 2도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특히 빔으로 원단을 권취할 시 빔이 편심되지 않아 원단을 많이 감지 못함은 물론 물을 함유한 원단이 처짐 현상에 의해 원단이 손상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일본특허출원 제 평08-144757호(공개번호 제 평09-296353호)(명칭: 빔 액처리장치)[특허문헌 3]가 출원되어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인 특허문헌 3도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특히 열교환기가 없어 냉각손실과 수명단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원단을 편심되게 권취하지 못해 원단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 인용문헌 1, 2, 3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즉,
[특허문헌 1]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6-0007067호(등록번호 제0751900호)
[특허문헌 2] 미국특허등록 제04217768호(1980. 08. 19)
[특허문헌 3] 일본특허출원 제 평08-144757호(공개번호 제 평09-2963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염색탱크에 중공탱크와 팽창탱크 그리고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구비되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중에서 빔관의 내부체적 일부가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도록 하여 저액비에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염색탱크의 외부에 팽창탱크를 연결하여 염색탱크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스팀과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에너지와 전력의 절감 및 원가절감 그리고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가 형성된 염액유입구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에 다수의 염액투공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이 권취되는 빔관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이 상기 염색탱크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에 첨단부가 상기 빔관연결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의 상부에는 유동관을 통하여 팽창탱크가 연결 구비되는 빔 염색기에 있어서, 상기 빔관연결부가 형성된 염액유입구와 빔관연결부에 연결되는 빔관 및 상기 빔관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탱크는 염색탱크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피염물을 많이 감아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피염물의 불량을 방지하도록 염색탱크의 정중앙 센터가 아닌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가 형성된 염액유입구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에 다수의 염액투공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이 권취되는 빔관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이 상기 염색탱크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에 첨단부가 상기 빔관연결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의 상부에는 유동관을 통하여 팽창탱크가 연결 구비된 빔 염색기에 의해 저액비 염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빔관에 권취된 피염물을 염색탱크의 정중앙 센터 보다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염색탱크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레벨센서가 팽창탱크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염색탱크에 공급된 염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팽창탱크가 흡수하는 단계; 상기 팽창탱크에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함과 아울러 압력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염액순환관에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연결되어 스팀과 냉각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의 염색방법을 제 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염색탱크에 중공탱크와 팽창탱크 그리고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중에서 빔관의 내부체적 일부가 염색탱크의 내부체적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도록 하여 저액비에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염색탱크의 외부에 팽창탱크를 연결하여 염색탱크내에서의 열팽창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의 외부로 배출시켜 순환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관형열교환기가 스팀과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에너지와 전력의 절감 및 원가절감 그리고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은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내지 도 4 는 기본적인 빔 염색기의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빔 염색기를 보인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염색탱크(10)로 구성된다. 이 염색탱크(10)는 전면에 압력밀폐가능한 도어(12)를 가지고 배면측에 염액유입구(14)를 갖는다. 염색탱크(10)의 저면에는 염액유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염액순환관(18)이 이로부터 연장되고 이러한 염액순환관(18)에 배치된 순환펌프(20)와 이중관형 열교환기(22)를 통하여 염색탱크(10)의 염액유입구(14)에 연장된다. 이러한 염액순환관(18)에는 염액분기관(24)이 분기되어 염료탱크(26)측으로 연장되고 염료탱크(26)로부터 염료투입펌프(28)를 지나는 염료투입라인(30)이 염액순환관(18)에 연결된다.
한편, 염색탱크(10)의 내부에는 염액유입구(14)로부터 연장된 깔대기형의 빔 관연결부(32)가 착설되어 있으며, 다수의 염액투공(34)을 갖는 원통형의 빔관(36)에 피염물(38)이 권취된 상태에서 빔관(36)이 염색탱크(10)내에 투입되고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어 피염물(38)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본구성의 빔 염색기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빔관(36)이 염색탱크(10)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빔관연결부(32)에는 첨단부(40)가 빔관연결부(3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42)가 착설된다. 이러한 중공탱크(42)는 그 중심축선이 빔관연결부(32)의 중심축선과 일치하며 피염물(38)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빔관(36)이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될 때 빔관(36)의 내부에 삽입된다. 빔관(36)내에서 염액은 이러한 중공탱크(42)의 외주면과 빔관(36) 사이에서 빔관(36)의 염액투공(34)을 통하여 피염물(38)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중공탱크(42)는 실질적으로 염색탱크(10)의 내부체적을 줄여 저액비에서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색탱크(10)의 상부에는 두개의 유동관(44)(46)을 통하여 팽창탱크(48)가 연결된다. 이러한 팽창탱크(48)는 염색탱크(10)내에 공급된 염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경우 그 팽창분량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염액을 염색탱크(10)의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서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냉각수의 사용할 필요가 없고 수분증발에 의한 염색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팽창탱크(48)에는 비상의 경우를 대비한 오버플로우관(5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16)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18)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10)에 다수의 염액투공(34)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38)이 권취되는 빔관(36)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36)이 상기 염색탱크(10)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32)에 첨단부(40)가 상기 빔관연결부(3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42)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10)의 상부에는 유동관(44)(46)을 통하여 팽창탱크(48)가 연결 구비되는 빔 염색기에 있어서,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와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는 빔관(36) 및 상기 빔관(36)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탱크(42)는 염색탱크(10)를 크게 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피염물(38)을 많이 감아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피염물의 불량을 방지하도록 염색탱크(10)의 정중앙 센터가 아닌 상부로 'L'길이(약 20~30㎝) 만큼 편심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에는 빔관(36)이 염색탱크(10)의 정중앙(센터)에 위치하므로 피염물(38)이 물을 머금고 있을 경우 물 뭍은 피염물(38)이 하중을 받아 밑으로 처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피염물을 많이 감지 못하게 됨은 물론 피염물이 아래로 처짐으로 인해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되고 아울러 염색탱크(10)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액비가 다량 사용되고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빔관(36)을 염색탱크(10)의 상부로 'L'길 이(약 20~30㎝) 만큼 편심되게 설치하여 염색탱크(10)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고, 피염물(38)을 많이 감아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유동관(44)(46)에는 염색탱크(10)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팽창탱크(48)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레벨센서(52)(5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팽창탱크(48)에는 팽창탱크의 내부에 공기압(도면상 미 도시된 컴프레서에서 발생된 공기압)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공기압입구(54)와 공기압출구(55)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팽창탱크(48)의 공기압에 따라 염액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면상 부호 51은 팽창탱크(48)의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팽창탱크(48)에는 팽창탱크의 내부 압력이 셋팅된 값(약 3~5 kg/㎠)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검지하여 안전밸브(57)를 차단하는 압력센서(56)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염액순환관(18)에는 튜브(23)의 내부에 스팀부(25)와 냉각부(27)가 각각 공간부(23a)에 의해 별도로 이격되게 구비된 이중관형열교환기(22)가 연결 구비된다.
즉, 도 6,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부(25)와 냉각부(27)는 몸체(25-1)(2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유입공(25a)(27a)과 배출공(25b)(27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염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배관(25c)(27c)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염색하게 된다.
즉, 빔 염색기에 의해 저액비 염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빔관(36)에 권취된 피염물(38)을 염색탱크(10)의 정중앙 센터 보다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량 증가와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염색탱크(10)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레벨센서(52)(53)가 팽창탱크(48)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는 염색탱크(10)로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물이 팽창탱크(48)로 유입되면 팽창된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염색탱크(10)에 공급된 염액의 온도(약 135도)가 상승하여 열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팽창탱크(48)가 흡수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상기 팽창탱크(48)에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함과 아울러 압력을 검지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이는 팽창탱크(48)가 염액을 적절히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염액순환관(18)에 이중관형열교환기(22)가 연결되어 스팀과 냉각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염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상기 튜브(23)는 스팀부(25)와 냉각부(27)를 감싸면서 내부로 염액이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고, 공간부(23a)는 스팀부(25)와 냉각부(27)가 열팽창 및 수축시 늘어나는 공간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팀과 냉각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튜브(23)의 내부에서 스팀부(25)와 냉각부(27)가 각각 공간부(23a)(스팀부와 냉각부가 열팽창 및 수축시 늘어나는 구간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킴)를 중심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열교환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스팀과 냉각을 같이 사용하므로 고온에서 저온으로 사용하면 튜브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수명 단축과 스케일이 끼어 효율을 저하시키고 아울러 온도편차에 의한 신축이음관을 설치하여야 하나, 본 발명은 한 튜브(23) 안에 스팀부와 냉각부를 각각 따로 설치하므로 내부에서 스팀부와 냉각부가 슬라이딩 되어 신축이 되므로 별도로 신축이음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 또는 워터 함마(water hammer) 등의 현상이 없고 내구성은 길어지고 스케일이 끼지 않아 열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 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빔 염색기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빔 염색기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빔관이 삽입되기 전의 빔 염색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빔관에 피염물이 권취된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빔 염색기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중관형열교환기의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중관형열교환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염색탱크 22: 이중관형열교환기
25: 스팀부 27: 냉각부
36: 빔관 38: 피염물
42: 중공탱크 48: 팽창탱크
52, 53: 레벨센서 56: 압력센서

Claims (8)

  1.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16)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18)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10)에 다수의 염액투공(34)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38)이 권취되는 빔관(36)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36)이 상기 염색탱크(10)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32)에 첨단부(40)가 상기 빔관연결부(3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42)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10)의 상부에는 유동관(44)(46)을 통하여 팽창탱크(48)가 연결 구비되는 빔 염색기에 있어서,
    상기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와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는 빔관(36) 및 상기 빔관(36)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탱크(42)는 염색탱크(10)의 정중앙 센터가 아닌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44)(46)에는 염색탱크(10)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팽창탱크(48)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레벨센서(52)(53)가 더 구비됨을 특징 으로 하는 빔 염색기.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48)에는 팽창탱크의 내부에 공기압(컴프레서에서 발생됨)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공기압입구(54)와 공기압출구(5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팽창탱크(48)에는 팽창탱크의 내부 압력이 셋팅된 값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검지하여 안전밸브(57)를 차단하는 압력센서(5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염액순환관(18)에는 튜브(23)의 내부에 스팀부(25)와 냉각부(27)가 각각 공간부(23a)에 의해 별도로 이격되게 구비된 이중관형열교환기(22)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스팀부(25)와 냉각부(27)는 몸체(25-1)(27-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유입공(25a)(27a)과 배출공(25b)(27b)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염액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배관(25c)(27c)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
  7. 배면측 내부에 깔대기형 빔관연결부(32)가 형성된 염액유입구(14)를 가지고 저면에 염액유출구(16)가 형성되어 염액순환관(18)으로 연결되는 염색탱크(10)에 다수의 염액투공(34)을 가지고 외면에 피염물(38)이 권취되는 빔관(36)이 삽입되어 빔관연결부(32)에 연결되고, 상기 빔관(36)이 상기 염색탱크(10)의 내부에서 연결되는 상기 빔관연결부(32)에 첨단부(40)가 상기 빔관연결부(3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태의 중공탱크(42)가 착설되며, 상기 염색탱크(10)의 상부에는 유동관(44)(46)을 통하여 팽창탱크(48)가 연결 구비된 빔 염색기에 의해 저액비 염색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빔관(36)에 권취된 피염물(38)을 염색탱크(10)의 정중앙 센터 보다 상부로 편심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염색탱크(10)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레벨센서(52)(53)가 팽창탱크(48)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염색탱크(10)에 공급된 염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팽창탱크가 흡수하는 단계;
    상기 팽창탱크(48)에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함과 아울러 압력을 검지하는 단계;
    상기 염액순환관(18)에 이중관형열교환기(22)가 연결되어 스팀과 냉각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의 염색방법.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스팀과 냉각을 수행하는 단계에는,
    신축이음관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내구성을 높이고 아울러 스케일이 끼지 않아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튜브(23)의 내부 공간부(23a)를 중심으로 스팀부(25)와 냉각부(27)가 각각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빔 염색기의 염색방법.
KR1020080105453A 2008-04-07 2008-10-27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089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2147 2008-04-07
KR1020080032147 2008-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268B1 true KR100890268B1 (ko) 2009-03-24

Family

ID=4069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453A KR100890268B1 (ko) 2008-04-07 2008-10-27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2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80B1 (ko) 2017-02-22 2018-06-01 (주)대주기계 초임계 이산화탄소 염색기의 빔구조
CN108570778A (zh) * 2018-06-22 2018-09-25 桐乡市新时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羊毛衫成衣染色机
CN108589121A (zh) * 2018-06-22 2018-09-28 桐乡市新时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羊毛衫成衣染色机的蒸汽加热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768A (en) 1977-11-14 1980-08-19 Nippon Dyeing Machine Mfg. Co., Ltd. Dyeing apparatus
KR880012260U (ko) * 1985-12-30 1988-08-2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저욕비 염색 장치
KR910000512Y1 (ko) * 1988-01-29 1991-01-25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직물 재료를 염색 또는 처리하는 유공 (有孔) 비임 장치
JPH09296353A (ja) * 1996-05-02 1997-11-18 Nissen Corp ビーム液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7768A (en) 1977-11-14 1980-08-19 Nippon Dyeing Machine Mfg. Co., Ltd. Dyeing apparatus
KR880012260U (ko) * 1985-12-30 1988-08-27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저욕비 염색 장치
KR910000512Y1 (ko) * 1988-01-29 1991-01-25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직물 재료를 염색 또는 처리하는 유공 (有孔) 비임 장치
JPH09296353A (ja) * 1996-05-02 1997-11-18 Nissen Corp ビーム液処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80B1 (ko) 2017-02-22 2018-06-01 (주)대주기계 초임계 이산화탄소 염색기의 빔구조
CN108570778A (zh) * 2018-06-22 2018-09-25 桐乡市新时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羊毛衫成衣染色机
CN108589121A (zh) * 2018-06-22 2018-09-28 桐乡市新时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羊毛衫成衣染色机的蒸汽加热机构
CN108570778B (zh) * 2018-06-22 2024-01-12 鄂尔多斯市拉米羊绒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羊毛衫成衣染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857B1 (ko) 세탁 장치
KR100890268B1 (ko) 빔 염색기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0789824B1 (ko) 세탁 장치
US20080302139A1 (en) Ozone Laundry Systems
CN105821603A (zh) 一种染色用节能型纱线染色系统
KR100672322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CN109404876A (zh) 一种超超临界二次再热锅炉的启动系统及启动方法
CN103080405A (zh) 滚筒式洗衣机
CN106288402A (zh) 热泵热水装置及其防冻结方法
CN101184883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60124225A (ko) 세탁 장치
CN114197221A (zh) 一种成衣染色工艺
CN102021806A (zh) 衣物烘干设备
JP4895497B2 (ja) 連続式洗濯機、および連続式洗濯方法
KR100672590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EP3434819B1 (en) Conveyor-driven fabric dyeing machine comprising a dye chemical saving structure
KR100698213B1 (ko) 세탁 방법
KR200424230Y1 (ko) 염색기
CN220322141U (zh) 一种蒸汽发生系统及蒸汽灭菌器
CN112981824B (zh) 一种天丝布料的印染装置及印染工艺
CN109554865B (zh) 一桶身双独立式提布轮、喷嘴座、储布槽染布机
JPH1088465A (ja) 液体アンモニアによる糸の加工処理装置
KR20000002181A (ko) 드럼세탁기의 압력방출장치
KR100803126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219027Y1 (ko) 회전드럼내부에 하프코일 장착에 의한 드럼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