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8213B1 - 세탁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8213B1
KR100698213B1 KR1020050046034A KR20050046034A KR100698213B1 KR 100698213 B1 KR100698213 B1 KR 100698213B1 KR 1020050046034 A KR1020050046034 A KR 1020050046034A KR 20050046034 A KR20050046034 A KR 20050046034A KR 100698213 B1 KR100698213 B1 KR 10069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level
drum
wa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222A (ko
Inventor
조흥명
안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8213B1/ko
Priority to CN2006800004947A priority patent/CN1989288B/zh
Priority to US11/629,134 priority patent/US8181299B2/en
Priority to EP06732755.1A priority patent/EP1885935B1/en
Priority to PCT/KR2006/001182 priority patent/WO2006129913A1/en
Publication of KR2006012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8213B1/ko
Priority to US13/016,258 priority patent/US20110126360A1/en
Priority to US13/473,305 priority patent/US8621695B2/en
Priority to US14/990,312 priority patent/USRE47692E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써, 세탁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한 후 이 스팀을 세탁물로 제공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기 스팀의 제공전에 소량의 고온 상태인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함으로써 고온의 스팀으로 인해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세탁물의 불림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아웃터브 저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급수된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 내로 분사함으로서 상기 드럼 내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하는 포적심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공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을 제공한다.
세탁 장치, 스팀, 발열히터, 세탁수 순환, 포적심, 살균

Description

세탁 방법{Method for washing}
도 1 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투입구
112. 림부 120. 아웃터브
121. 저장부 130. 드럼
131. 통공 140. 도어
150. 발열히터 160. 배수관
161. 배수 밸브 170. 세탁수 급수관
171. 급수 밸브 172. 세제 저장부
173. 냉수용 급수관 174. 온수용 급수관
175. 냉수용 급수 밸브 176. 온수용 급수 밸브
180. 수위 감지부 181. 공통 전극
182. 저수위 확인용 전극 183. 고수위 확인용 전극
190. 세탁수 순환부 191. 유입관
192. 순환펌프 193. 안내관
194. 분사노즐 195. 개폐밸브
200. 온도 센싱부
본 발명은 세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의 제공을 통해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고, 세탁물에 대한 살균이 가능하며, 상기 스팀으로 인한 옷감 손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 새로운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낙하 방식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드럼 세탁기의 종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드럼 세탁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된 아웃터브(20)와, 상기 아웃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30)과, 세탁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세탁수 급수관(5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의 주변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0)는 그 외측 둘레면의 양측 저부에 댐퍼(2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에서 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20)의 내측 저부에는 세탁수용 히터(80)가 구비되어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아웃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둘레면으로는 세탁수의 유입/유출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급수관(50)은 세탁수가 유동하는 관로로써, 급수 밸브(51)를 통해 수도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상기 아웃터브(20) 내부로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세탁수 급수관(50)의 관로상에는 세탁에 필요한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52)가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브(20)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도중 상기 세제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세제 저장부(52)는 상기 본체(10)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세제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탁수 급수관(50)의 끝단은 상기 아웃터브(20)의 전방측 상단에 연결되어 자연 낙하에 의해 세탁수가 상기 아웃터브(20) 내부 및 드럼(30) 내부의 저부로부터 차오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수단은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3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단순히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건조만을 수행하였을 뿐 여타의 기능에 대한 제공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 세탁기는 소량의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상기 오염 정도가 약한 세탁물의 세탁을 수행할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세탁수가 소모되었을 뿐 아니라, 그 과정 역시 일반적인 세탁 과정과 대략 동일한 시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가 불필요하게 컸던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최근에는 최대한 적은 양의 세탁수로 최대한 효과적인 세탁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의 개발이 필요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한 후 이 스팀을 세탁물로 제공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기 스팀의 제공전에 소량의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함으로써 고온의 스팀으로 인해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세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세탁물의 포적심을 위해 사용되는 세탁수가 대략 고온의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에 대한 불림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세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 방법은 아웃터브 저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급수된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 내로 분사함으로서 상기 드럼 내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하는 포적심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공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을 위한 세탁 장치가 도시되고 있으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크게 본체(110)와, 아웃터브(120) 와, 드럼(130)과, 발열히터(150)와, 세탁수 급수관(170)과, 수위 감지부(180)와, 세탁수 순환부(190) 및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세탁 장치의 외관을 이룬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120)는 상기 본체(110)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부 공간에는 소정량의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장부(1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부(121)는 상기 아웃터브(120)의 둘레면 중앙부위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1)에는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160)이 연결된다. 상기 배수관(160)에는 그 관로의 개폐를 수행하는 배수 밸브(16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30)은 상기 아웃터브(1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럼(130)의 개구된 측은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를 향하여 위치된다.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130) 사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공간을 본체(110) 내의 공간으로부터 차단하는 림부(11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드럼(13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된다. 세탁수 및 스팀은 상기 각 통공을 통해 상기 드럼(13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히터(150)는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장부(121) 내를 따라 설치되며, 해당 부위로 급수된 세탁수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브(120)의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싱부(20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센싱부(200)는 통상의 온도 센서(thermistor)나 온도 조절기(thermostat)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히터(150)가 과도 발열될 경우 상기 발열히터(150)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될 수 있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급수관(170)은 세탁수가 유동하는 관로로써, 급수 밸브(171)를 통해 수도관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세탁수를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로 공급하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세탁수 급수관(170)의 관로상에는 세탁에 필요한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172)가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도중 상기 세제가 함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세제 저장부(172)는 상기 본체(110) 내의 상측 공간상에 구비되며, 세제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탁수 급수관(170)의 세탁수 토출측이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부측 둘레면 중 발열히터(150)가 구비된 부위 즉, 저장부(121)가 형성된 부위와 인접된 부위에 연결함을 제시한다.
이는, 기존에서와 같은 구조로 세탁수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는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장부(121) 내에 저장되기 전에 세탁물 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가 세탁물로 흡수됨으로써 상기 저장부(121)에 정확한 양의 세탁수를 급수하기가 곤란하고, 상기 저장부(121) 내에 저장되는 세탁수의 수위 감지가 정확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급수되는 세탁수가 상기 세탁물을 통과하지 않고 곧장 상기 저장부(121) 내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수위 감지부(180)는 상기 저장부(121) 내부 중 상기 발열히터(150)와 상기 드럼(130)간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121) 내에 저장되는 세탁수의 수위를 센싱한다.
상기 수위 감지부(18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전극(181,182,183)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상기 각 전극(181,182,183)간의 통전 여부에 따라 변동되는 전압값을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로 제공함으로써 세탁수의 수위가 확인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 감지부(180)가 하나의 공통전극(181)과, 하나의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과, 하나의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전극(181,182,183)의 끝단에는 외부 환경(즉, 저장부의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단자(181a,182a,183a)가 각각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공통전극(181)의 단자(181a)는 상기 발열히터(150)의 높이에 비해 상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의 단자(182a)는 상기 공통전극(181)의 단자(181a)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공통전극(181)의 단자(181a)와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의 단자(182a)는 대략 스팀 생성에 필요한 세탁수의 최저 수위로 설정된 높이임과 동시에 상기 발열히터(150)가 상기 세탁수에 잠긴 상태를 이루는 높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의 단자(183a)는 상기 공통전극(181)의 단자(181a)와 상기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의 단자(182a)에 비해 높은 부위인 대략 스팀 생성에 필요한 세탁수의 최대 수위로 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위 감지부(180)의 구조는 발열히터(150)가 외기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장부(121)로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세탁수 순환부(190)는 아웃터브(120)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130)의 내부로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수 순환부는 상기 세탁수의 순환으로 세탁물의 포적심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세탁수 순환부(190)는 상기 아웃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제공받는 유입관(191)과, 상기 유입관(191)의 관로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912)와, 상기 순환펌프(192)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110) 내의 상측 공간으로 안내하는 안내관(193) 그리고, 상기 안내관(193)의 토출측에 결합되면서 림부(112)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130)의 내측 상단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94)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입관(191)은 배수관(160)과 연통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입관(191)의 관로 혹은, 상기 배수관(160)의 관로상에는 상기 두 관로(191,16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9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도시는 생략됨)는 상기 수위 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센싱값을 토대로 상기 급수 밸브(171)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감지된 수위를 토대로 발열히터(150)의 발열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드럼(130)의 구동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180)의 각 전극(181,182,183) 중 공통 전극(181)과 여타의 각 전극(182,183)이 서로 통전됨을 지속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현재 수위를 인지하고, 이 수위에 따라 상기 급수 밸브(171) 및 발열히터(15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위를 인지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수위 감지부(180)에 의해 센싱된 센싱값(예컨대, 전압값)을 제공받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세탁수의 수위를 인지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센싱값은 상기 기준값과의 비교를 위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센싱값의 변환된 값이 기준값에 비해 높을 경우는 해당 전극(181,182,183)의 단자(181a,182a,183a)가 외기로 노출된 상태이고, 상기 센싱값의 변환된 값이 기준값에 비해 낮을 경우는 해당 전극(181,182,183)의 단자(181a,182a,183a)가 세탁수에 잠긴 상태이다.
하기에서는 첨부된 도 4의 상태도 및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크게 제1급수단계와, 가열단계와, 포적심단계와, 제2급수단계 및 스팀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제시하며, 이를 그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세탁 운전의 수행을 지속적으로 요청 받는다.
이의 과정에서 세탁 운전의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급수 밸브(171)를 제어하여 아웃터브(120)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S110)하는 급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세탁수는 급수 밸브(171)의 동작에 의해 개방된 세탁수 급수관(170)을 유동한 후 본체(110)의 저부 공간을 통해 아웃터브(120) 내부로 급수되어 상기 아웃터브(120)의 저장부(121)로부터 차오른다. 상기 세탁수 급수관(170)의 세탁수 토출측은 아웃터브(120)의 저부측 둘레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는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적시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급수되는 세탁수의 수위는 대략 드럼(130)의 저면이 잠길 정도로써 상기 드럼(130)의 회전시 상기 드럼(130) 내의 저부에 존재하는 세탁물의 포적심이 가능할 정도의 수위(도면상 “a”)이다.
상기 세탁수에 대한 수위의 확인은 수위 감지부(18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지만, 상기 수위 감지부(180)가 스팀 생성을 위해 사용됨을 고려할 때, 별도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나 혹은, 급수 시간의 카운트를 통해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설정된 수위에 까지 세탁수의 급수가 이 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밸브(171)를 제어하여 세탁수 급수를 중단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가열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는 발열히터(150)가 발열되면서 상기 급수된 세탁수를 설정된 온도에 이를때까지 가열(S120)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온도라 함은 대략 40℃~60℃ 정도의 온도이며, 상기한 온도 범위는 일반적인 세탁물의 세탁 성능이 가장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이다.
또한, 상기 가열단계에서 세탁수의 온도 센싱은 온도 센싱부(200)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 센싱부(200)에 의해 센싱된 세탁수의 온도는 제어부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상기 급수된 세탁수가 대략 40℃~60℃ 정도의 온도 범위를 이루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한 발열히터(150)의 발열이 중단된다.
그리고, 전술한 세탁수의 가열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세탁물을 적시는 포적심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포적심 단계는 세탁수 순환부(190)의 구동 제어(S130)를 통해 수행된다.
즉,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순환펌프(192)가 구동되면 유입관(191)을 통해 아웃터브(120)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의 펌핑이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상기 세탁수는 안내관(193)을 따라 유동한 후 분사노즐(194)을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분사된 다.
따라서, 상기 드럼(130) 내의 세탁물은 상기 분사노즐(194)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로 인해 적셔지면서 포적심이 이루어진다.
물론, 이때에는 드럼(130)을 지속적으로 회전(일방향 회전 혹은, 좌우 반전)시켜 드럼(130) 내의 세탁물이 상기 분사되는 세탁수에 의해 보다 원활히 적셔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포적심단계는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포적심단계는 건조한 상태의 세탁물이 고온의 스팀을 제공받을 경우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해 상기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세탁물로 스팀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세탁물이 젖은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세탁물이 고온의 스팀을 제공받더라도 옷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전술한 포적심단계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불림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적심 과정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재급수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재급수 단계는 스팀 생성에 필요한 세탁수를 기 설정된 수위에까지 급수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는, 이전 단계인 포적심 단계에서 상기 세탁수의 수위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제 스팀 생성에 필요시되는 세탁수는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재급수 단계는 제어부가 수위 감지부(180)의 제어를 통해 급수 수위를 확인(S141)하고, 이 급수 수위에 따라 급수 밸브(171)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 써 수행된다.
상기 급수 수위의 확인은 수위 감지부(180) 중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으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에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L1)에 비해 부족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공통전극(181)과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의 각 단자(181a,183a) 간이 서로 통전되지 못하여 센싱값이 기준값에 비해 높을 경우에는 상기 재급수 단계를 수행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수위 감지부(180)로부터 제공받은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의 센싱값이 기준값에 비해 높다고 확인된다면 상기 제어부는 급수 밸브(171)를 제어하여 세탁수 급수관(170)을 통해 아웃터브(120) 내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S150)한다.
상기 세탁수가 급수되는 도중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부(180)로부터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의 센싱값을 제공받고, 이 제공받은 센싱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급수 중단 시기를 결정한다.
이때, 급수되는 세탁수는 세탁물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아웃터브(120) 내의 저부측 공간으로 제공됨으로써 급수 중단 시기의 결정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세탁수가 세탁물을 통과할 경우 상기 세탁물이 상기 세탁수를 흡수함으로써 야기되는 수위 확인 오류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재급수 단계를 수행하기 전인 포적심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스팀 생성을 위한 세탁수의 급수 수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으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에 비해 낮을 경우가 발생될 수 있 다.
이는, 포적심 단계를 위해 급수되었던 세탁수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이다.
따라서, 세탁수의 급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L1)를 초과할 경우에는 배수 밸브(161)를 제어하여 배수관(160)을 통해 저장부(121) 내의 세탁수를 소량 배수(S160)함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21) 내로 급수된 세탁수의 수위가 과도하게 많을 경우에는 해당 세탁수를 증발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상기 세탁수의 수위는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아웃터브(120)의 저장부(121)에 저장된 세탁수의 수위가 스팀 생성에 필요한 최대 수위로 설정된 높이(도면상 “b”)에까지 급수된 상태가 되면 더 이상의 급수를 중단(S142)한다.
이와 더불어 스팀을 생성하여 드럼(130) 내로 제공(S170)하는 스팀 제공단계를 수행한다. 이때의 고수위 확인용 전극의 센싱값은 기준값에 비해 낮은 상태이다.
상기 스팀은 발열히터(150)의 발열에 의해 생성된다.
즉,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발열히터(150)가 발열되면 저장부(121) 내에 저장된 세탁수가 증발되면서 고온의 스팀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생성된 고온의 스팀은 아웃터브 내의 저부측 공간으로부터 상승하면서 드럼(130)의 각 통공(131)을 통해 상기 드럼(130) 내부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상기 드럼(130) 내의 세탁물은 상기 고온의 스팀을 제공받게 되고, 이 고온의 스팀에 의해 오염물의 분리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스팀은 상기 드럼(130)의 저부로부터 상승하면서 상기 세탁물로 제공됨을 고려할 때 상기 세탁물은 예컨대, 찜 방식으로 세탁 및 살균된다.
이때에는 드럼(130)이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팀이 상기 드럼(130) 내의 모든 세탁물로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스팀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제어부는 수위 감지부 중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으로부터 센싱값을 제공받아 그 센싱값을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아웃터브(120) 저부의 급수 수위인 저장부(121) 내의 세탁수 수위를 지속적으로 확인(S180)한다.
이는, 상기 저장부(121) 내의 세탁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저 수위(발열히터의 높이와 대략 비슷한 높이의 수위)(L2,도면상 “c”) 이하로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저수위 확인용 전극(182)으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이 기준값에 비해 높다고 확인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발열히터(150)의 발열을 중단함과 더불어 급수 밸브(171)의 제어를 통해 저장부(121) 내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S150)한다.
상기 세탁수의 추가 급수시에는 고수위 확인용 전극(183)으로부터 제공받은 센싱값과 기준값 간의 비교를 통해 급수 중단 시기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한 스팀 제공단계가 종료되면 더 이상의 스팀 생성을 중단함과 더불어 본 세탁 행정과,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등의 이후 행정을 순차적으로 계속 하여 진행(S190)한다.
이때, 상기 본세탁과 헹굼 등의 행정이 진행될 때에는 세탁수 순환부(190)를 제어하여 드럼(130) 내부로 계속적인 세탁수의 순환 및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과정 중에서 가열단계는 아웃터브(120) 내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40℃ 미만일 경우 수행된다.
하지만, 아웃터브(120) 내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40℃ 이상일 경우에는 전술한 가열단계를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세탁수 급수관(170)이 냉수용 급수관(173)과 온수용 급수관(174)으로 각각 분리되게 구성하고, 상기 각 급수관(173,174)에 각각의 냉수용 급수밸브(175) 및 온수용 급수밸브(176)를 구비한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제1급수단계와, 포적심단계와, 제2급수단계 및 스팀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제1급수단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급수단계와는 달리 아웃터브(120) 저부로 고온 상태의 세탁수를 급수(S210)하도록 제어된다.
즉, 냉수용 급수관(173) 및 온수용 급수관(174)에 구비된 각각의 급수밸브(175,176)를 제어하여 고온의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냉수용 급수관(175)을 통해 상대적으로 저온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이유는 세탁수의 온도가 60℃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세탁수의 온도가 60℃를 초과할 경우에는 냉수가 급수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세탁수의 온도가 60℃를 초과하더라도 세탁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겠지만, 상기 고온의 세탁수를 생성하기 위한 전력 소모(예컨대, 급탕을 위한 보일러의 전력 소모)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정된 온도 범위로 세탁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은 온도 센싱부(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온도를 토대로 각 급수밸브(175,176)의 선택적인 개폐 제어를 통해 수행된다.
특히, 상기 제1급수단계에서 급수되는 세탁수의 급수 수위는 대략 드럼(130)의 저면이 잠길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세탁수의 제1급수단계가 완료되면, 세탁물을 적시는 포적심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포적심 단계는 세탁수 순환부(190)의 구동 제어(S220)를 통해 수행된다.
즉,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순환펌프(192)가 구동되면 유입관(191)을 통해 아웃터브(120)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의 펌핑이 이루어지고, 계속해서 상기 세탁수는 안내관(193)을 따라 유동한 후 분사노즐(194)을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에 대한 포적심이 이루어진다.
상기 포적심단계를 위해 세탁수 순환부를 제어하는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포적심단계가 완료되면 아웃터브(120)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2급수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2급수단계는 아웃터브(120)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S230)하는 일련의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해 확인된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에 비해 부족할 경우 상기 부족분의 수위만큼 고온 상태의 세탁수 혹은, 저온 상태의 세탁수를 추가 급수(S240)함으로써 진행된다.
이때, 상기 최대 수위는 상기 세탁수에 의해 상기 드럼(130)의 저면이 잠기지 않을 정도임과 동시에 발열히터는 잠길 수 있을 정도의 수위이며, 상기 수위로 급수가 완료되면 각 급수밸브(175,176)를 제어하여 급수를 중단(S260)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급수단계가 완료되면 아웃터브(120) 내의 세탁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공단계를 수행(S270)한다.
이러한, 스팀 제공단계를 위해 발열히터(150)를 제어하는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또한, 전술한 스팀 제공단계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아웃터브(120)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 재확인단계(S280)와, 상기 확인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 이하일 경우 발열히터(150)의 발열을 중단하고 아웃터브(120)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3급수단계가 더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는 발열히터(150)가 세탁수에 잠길수 있는 최소한의 수위이다.
이러한, 수위 재확인단계 및 제3급수단계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한 스팀 제공단계가 종료되면 더 이상의 스팀 생성을 중단함과 더불어 본 세탁 행정과,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등의 이후 행정을 순차적으로 계속하여 진행(S290)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세탁수를 이용하여 스팀을 생성한 후 이 스팀을 세탁물로 제공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팀의 제공전에 소량임과 동시에 고온의 상태인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함으로써 고온의 스팀으로 인해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별도의 불림 과정없이 상기 고온의 세탁수에 의해 세탁물의 불림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세탁물의 포적심은 세탁수 순환부의 구동 제어를 통해 드럼의 내부로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진행됨으로써 최소한의 세탁수 사용으로 세탁물에 대한 포적심 및 세탁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6)

  1. 아웃터브 저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급수된 세탁수를 설정된 온도에 이를때까지 가열하는 가열단계;
    상기 가열된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 내로 분사함으로서 상기 드럼 내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하는 포적심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공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단계에서 급수되는 세탁수의 급수 수위는
    드럼의 저면이 잠길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적심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단계는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에 비해 부족할 경우 이 부족분의 수위만큼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는
    상기 세탁수에 의해 상기 드럼의 저면이 잠기지는 않을 정도임과 동시에 발열히터는 잠길수 있을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열되는 세탁수의 설정 온도는
    40℃~60℃ 정도의 온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단계에 의해 드럼 내로 스팀이 제공되는 도중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 재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 이하일 경우 발열히터의 발열을 중단하고,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3급수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는
    발열히터가 세탁수에 잠길수 있는 최소한의 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9. 아웃터브 저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제1급수단계;
    상기 세탁수를 순환시켜 드럼 내로 분사함과 동시에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드럼 내 세탁물의 포적심을 수행하는 포적심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2급수단계;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를 증발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제공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단계에서 급수되는 세탁수의 급수 수위는
    드럼의 저면이 잠길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적심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단계는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확인된 세탁수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에 비해 부족할 경우 이 부족분의 수위만큼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수위는
    상기 세탁수에 의해 상기 드럼의 저면이 잠기지는 않을 정도임과 동시에 발열히터는 잠길수 있을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단계에서 급수되는 세탁수는
    40℃~60℃ 정도의 온도를 이루는 세탁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단계에 의해 드럼 내로 스팀이 제공되는 도중
    아웃터브 내의 세탁수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 재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 이하일 경우 발열히터의 발열을 중단하고, 아웃터브 내부로 세탁수를 추가 급수하는 제3급수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최소 수위는
    발열히터가 세탁수에 잠길수 있는 최소한의 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방법.
KR1020050046034A 2005-05-31 2005-05-31 세탁 방법 KR10069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34A KR100698213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방법
CN2006800004947A CN1989288B (zh) 2005-05-31 2006-03-31 控制洗衣机的方法
US11/629,134 US8181299B2 (en) 2005-05-31 2006-03-31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EP06732755.1A EP1885935B1 (en) 2005-05-31 2006-03-31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PCT/KR2006/001182 WO2006129913A1 (en) 2005-05-31 2006-03-31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13/016,258 US20110126360A1 (en) 2005-05-31 2011-01-28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13/473,305 US8621695B2 (en) 2005-05-31 2012-05-16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14/990,312 USRE47692E1 (en) 2005-05-31 2016-01-07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34A KR100698213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22A KR20060124222A (ko) 2006-12-05
KR100698213B1 true KR100698213B1 (ko) 2007-03-22

Family

ID=3772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34A KR100698213B1 (ko) 2005-05-31 2005-05-31 세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8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58A (ko) * 2015-12-28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72B1 (ko) * 2005-05-31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WO2006129912A1 (en) 2005-05-31 2006-12-07 Lg Electronics Inc. A washing machine generating and using the steam
KR20140098485A (ko) 2013-01-31 2014-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7490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KR20050043874A (ko) * 2005-04-21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884A (ko) * 2003-04-14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050017490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용 증기 세탁 방법
KR20050043874A (ko) * 2005-04-21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58A (ko) * 2015-12-28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83123B1 (ko) * 2015-12-28 201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22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824B1 (ko) 세탁 장치
KR100698215B1 (ko) 세탁 방법
KR100833857B1 (ko) 세탁 장치
USRE47692E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8291731B2 (en) Washing machine generating and using the steam
US8387189B2 (en) Method for washing of washer
WO2006126813A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672322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739609B1 (ko) 세탁 방법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100698213B1 (ko) 세탁 방법
KR100606801B1 (ko) 세탁 장치의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제어 방법
KR100672590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698214B1 (ko) 세탁 방법
KR100672368B1 (ko) 드럼 세탁기의 스팀 세탁 제어 방법
KR100803126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767672B1 (ko) 세탁 장치
KR100672369B1 (ko) 드럼 세탁기의 스팀 세탁 제어 방법
KR100672527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0904427B1 (ko) 세탁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