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150B1 -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150B1
KR100890150B1 KR1020020036387A KR20020036387A KR100890150B1 KR 100890150 B1 KR100890150 B1 KR 100890150B1 KR 1020020036387 A KR1020020036387 A KR 1020020036387A KR 20020036387 A KR20020036387 A KR 20020036387A KR 100890150 B1 KR100890150 B1 KR 10089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onitoring light
monitoring
extens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251A (ko
Inventor
전정우
이영탁
오준석
홍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1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optical transmission systems
    • H04B2210/07Monitor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supervisory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무선 기지국간을 연결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이상유무와 고장 위치를 관리국사에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감시광 루핑소자, 감시광 차단필터 및 광커넥터로 구성된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관리국사측에 연결된 광케이블에서 출력된 감시광을확장 광케이블로 전송하고, 확장 광케이블에서 역산란되어 되돌아오는 감시광을 다시 관리국사측에 연결된 광케이블로 전송하여 관리국사측에서 원격으로 확장 광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Remote monitoring apparatus of expanded optical cable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무선 기지국간을 연결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이상유무와 고장 위치를 관리국사에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사업자(임대 사업자)는 자가 기지국 확장을 위하여 유선통신사업자(임차 사업자)에게 광케이블만을 임대하여 기지국간 통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유선통신사업자에서는 확장 광케이블이라 부른다.
이 확장 광케이블은 유선통신사업자의 관리국사에서 출력되는 다른 어떠한 광케이블들과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비연결 확장 광케이블을 관리하거 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예를들어, 임대 사업자가 임대한 확장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전송을 수행하는 도중에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경우, 임차 사업자는 발생된 장애가 임대 사업자의 광전송 시스템의 장애인지 임차해 준 광케이블의 장애인지의 구별을 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임차 사업자는 확장 광케이블이 설치된 현장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요원을 출동시키고 있으며, 출동한 유지보수 요원은 역산란광분석기(OTDR)를 이용하여 확장 광케이블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확장 광케이블의 장애인 경우 고장복구반을 파견하도록 조치를 취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이러한 시스템은 확장 광케이블이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국사측과 어떠한 연결도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확장 광케이블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요원이 오프라인을 통해 출동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확장 광케이블의 장애 발생시 이를 복구하거나 장애 위치를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관리국사에서 출력된 감시광을 통해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하여 확장 광케이블의 이상유무 및 고장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는, 무선 기지국간을 연결하는 확장 광케이블과,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광을 발생시키고,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의 입력에 따라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부 및 원격 감시부로부터 전송되는 감시광을 확장 광케이블에 전송하고,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을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는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에 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관리국사(10)에 구비되어 확장 광케이블을 감시하는 원격 감시부(12)와, 무선 기지국 A(30)에 구비되어 광케이블(20)을 통해 원격 감시부(12)로부터 전송되는 감시광을 확장 광케이블(40)에 전송하고 확장 광케이블(40)로부터 산란된 감시광을 광케이블(20)을 통해 원격 감시부(12)로 전송하는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과, 무선 기지국 B(50)에 구비되어 확장 광케이블(40)로부터 인가되는 감시광을 차단하여 감시광에 의한 광전송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감시광 차단 모듈(52)로 구성된다.
여기서, 관리국사(10)의 광전송장치 A(11)는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 장치 A(31)와 광케이블(20)로 연결되고,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 장치 B(32)는 무선기지국 B(50)의 광전송 장치 B(51)와 확장 광케이블(40)로 연결된다.
원격 감시부(12)는 광케이블의 이상유무를 측정하는 역산란광분석기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13)와, 감시용 광커플러(14)를 구비하는데, 관리국사(10)의 광분배반에 위치한다. 원격 감시부(12)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많을 경우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감시용 광커플러(14)를 OTDR(13)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은 광케이블(20)에 연결된 광커넥터(34 c,34c)와, 확장 광케이블(40)에 연결된 광커넥터(34b,34d)를 통해 광케이블(20)과 확장 광케이블(40)을 서로 연결한다. 또한,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은 감시광 루핑소자(35)와, 감시광 차단필터(36a,36b)를 구비하며, 무선 기지국 A(30)의 광분배함에 위치한다.
여기서, 감시광 루핑소자(35)가 무선기지국 A(30)측 광전송장치 A(31) 및 광전송 장치 B(32)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감시광 추출/삽입 성능이 뛰어날 경우에는 감시광 차단필터(36a,36b)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에 구비된 감시광 루핑소자(35)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파장 분할 다중화) 광커플러(35a,35b)로 구성되거나 PLC(Planar Lightwave Circuit;평면 광도파로) 형태의 감시광 루핑소자(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시광 루핑소자(35)는 관리국사(10)와 연결된 광케이블(20)에서 도파되어 오는 신호광 A와 감시광을 분리시켜, 신호광 A는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장치 A(31)로 전송하고, 감시광은 신호광 B와 결합시켜 확장 광케이블(40)로 전 송한다.
또한, 감시광 루핑소자(35)는 확장 광케이블(40)을 따라 도파하면서 산란되어 되돌아오는 감시광을 신호광 B와 분리시키고 다시 신호광 A와 결합시켜 광케이블(20)을 통하여 원격감시부(12)로 전송한다.
한편, 신호광과 감시광을 분리시킬 때 감시광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경우 감시광 차단필터(52)가 감시광을 차단시켜 감시광이 광전송 장치 쪽으로 도파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감시광 차단모듈(52)은 감시광 차단필터(33)로부터 인가되는 감시광으로부터 광전송장치 B(51)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감시광 차단 필터(54)를 구비하고, 확장 광케이블(40)과 광커넥터(53a,53b)로 연결된다. 감시광 차단모듈(52)은 무선기지국 B(50)의 광분배함에 위치한다.
여기서, 감시광 차단 모듈(52)은 광전송 장치 B(51)에 신호 전송용 파장만을 통과시키는 고성능의 필터가 장착될 경우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관리국사(10)의 광전송장치 A(11)와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장치 A(31)가 1550nm 파장의 신호광 A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수행하고,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장치 B(32)와 무선기지국 B(50)의 광전송장치 B(51)도 1550nm 파장의 신호광 B를 사용하여 광전송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확장 광케이블(40)의 원격 감시를 위하여 역산란광분석기 OTDR에서 사 용하는 감시광이 1625nm 파장을 사용하고,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의 감시광 루핑소자(35)가 2개의 WDM 광커플러(35a,35b)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먼저, 관리국사(10)의 원격감시부(12)에서 확장 광케이블(40)의 이상유무 및 고장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역산란광분석기 OTDR(13)의 광원을 구동시켜 감시광을 발생한다. 감시광은 감시용 광커플러(14)에 의하여 광전송 장치 A(1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광 A와 결합되고, 광케이블(20)을 따라 도파하여 무선기지국 A(30)의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에 전송된다.
무선 기지국 A(30)에 전송된 신호광 A과 감시광은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33)의 감시광 루핑소자(35)내의 WDM 광커플러(35a)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신호광 A는 무선기지국 A(30)의 광전송장치 A(31)로 전송되고, 분리된 감시광 A는 다른 WDM 광커플러(35b)로 전달된다.
만약, 신호광 A와 감시광이 분리될 때 감시광의 일부가 광전송장치 A(31) 쪽으로 도파될 경우 감시광 차단필터(36a)에 의하여 도파된 감시광이 제거됨으로써 감시광이 광전송장치 A(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분리된 감시광은 WDM 광커플러(35b)에 의하여 광전송장치 B(32,51) 간의 신호광 B와 결합하여 확장 광케이블(40)을 따라 무선기지국 B(50)로 전달된다. 무선기지국 B(50)의 감시광 차단 모듈(52)은 감시광 차단필터(54)에 의해 전송되는 감시광을 차단한다.
한편, 확장 광케이블(40)을 따라 도파된 감시광의 일부는 산란되어 역방향으로 도파된다. 역산란된 감시광은 WDM 광커플러(35b)에 의하여 분리되어 다른 WDM 광커플러(35a)로 전달된다. WDM 광커플러(35a)는 광전송장치 A(11,31)간의 신호광A와 역산란된 감시광을 결합시켜 광케이블(20)을 통해 관리국사(10) 쪽으로 도파시킨다.
만약, 신호광 B와 산란된 감시광이 분리될 때 감시광의 일부가 광전송장치 B(32) 쪽으로 도파될 경우 감시광 차단필터(36b)에 의하여 감시광이 제거됨으로써 감시광이 광전송장치 B(3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관리국사(10) 쪽으로 도파된 감시광은 감시용 광커플러(14)에 의하여 분리되어 역산란광분석기 OTDR(13)로 전송된다. 역산란광분석기 OTDR(13)은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광케이블(20) 및 확장 광케이블(40)의 이상유무 및 장애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확장 광케이블의 이상유무 및 고장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하게 고장복구반을 파견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절감 효과와 임대한 확장 광케이블의 신뢰성 상승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무선 기지국간을 연결하는 확장 광케이블;
    상기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부; 및
    상기 원격 감시부로부터 전송되는 감시광을 상기 확장 광케이블에 전송하고,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을 상기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는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은
    광케이블과 상기 확장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광커넥터;
    전송되는 신호광과 상기 감시광을 상호 결합/분리하는 감시광 루핑소자;
    상기 감시광 루핑소자로부터 제 1무선기지국의 광전송장치로 인가되는 감시광을 차단하는 감시광 차단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광 루핑소자는
    복수개의 파장 분할 다중화 광커플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광 루핑소자는
    평면 광도파로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6. 무선 기지국간을 연결하는 확장 광케이블;
    상기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광을 발생시키고,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확장 광케이블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부;
    상기 원격 감시부로부터 전송되는 감시광을 상기 확장 광케이블에 전송하고,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역산란된 감시광을 상기 원격 감시부로 전송하는 확장 광케이블 연결 모듈; 및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인가되는 감시광을 차단하는 감시광 차단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광 차단모듈은
    상기 확장 광케이블과 연결된 광커넥터; 및
    상기 확장 광케이블로부터 제 2무전기지국의 광전송장치에 인가되는 감시광을 차단하는 감시광 차단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KR1020020036387A 2002-06-27 2002-06-27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KR10089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87A KR100890150B1 (ko) 2002-06-27 2002-06-27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87A KR100890150B1 (ko) 2002-06-27 2002-06-27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51A KR20040001251A (ko) 2004-01-07
KR100890150B1 true KR100890150B1 (ko) 2009-03-20

Family

ID=3731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87A KR100890150B1 (ko) 2002-06-27 2002-06-27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23B1 (ko) * 2004-12-30 2007-01-19 주식회사 뮤텍스 광케이블 선로장애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650031B1 (ko) * 2015-09-17 2016-08-24 오성근 감시신호의 바이패스 기능이 구현된 광전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19A (ko) * 1998-06-22 2000-01-15 이계철 광증폭기가 포함된 광전송시스템에서의 광선로 감시 장치
KR20000007437A (ko) * 1998-07-03 2000-02-07 강병호 통신광 역류방지용 파장분할다중화소자를 이용한 광선로 운용감시시스템
JP2000352547A (ja) * 1999-06-10 2000-12-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分岐光線路監視システム及び分岐光線路監視方法
KR20010001590A (ko) * 1999-06-07 2001-01-05 정선종 광대역 다채널 광원 감시시스템
KR20020003268A (ko) * 2000-07-04 2002-01-12 이재성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광선로망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619A (ko) * 1998-06-22 2000-01-15 이계철 광증폭기가 포함된 광전송시스템에서의 광선로 감시 장치
KR20000007437A (ko) * 1998-07-03 2000-02-07 강병호 통신광 역류방지용 파장분할다중화소자를 이용한 광선로 운용감시시스템
KR20010001590A (ko) * 1999-06-07 2001-01-05 정선종 광대역 다채널 광원 감시시스템
JP2000352547A (ja) * 1999-06-10 2000-12-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分岐光線路監視システム及び分岐光線路監視方法
KR20020003268A (ko) * 2000-07-04 2002-01-12 이재성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광선로망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51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0972B (zh) 用于wdm网络的光纤线路智能检测系统及检测方法
EP2271005A1 (en) Optical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with supervisory channel
JP2004505542A (ja) スマート接続
US5793481A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fiber optic cable
US8958692B2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326667B2 (ja) 伝送路光ファイバ障害の評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158636A (ja) 光伝送装置およびその監視システム
KR100890150B1 (ko) 확장 광케이블의 원격 감시 장치
EP0617525B1 (en) Light path switching system
US7457537B2 (en) Optical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channel switching
JP3854372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
EP1788727A1 (en) Method to protect human eyes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94804A (ko) 장거리 광선로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USRE42095E1 (en) Method for transferring utility optical signals and optical-line network
KR100340726B1 (ko) 역방향 광링크 감시에 의한 자동광원차단 장치
WO2023286266A1 (ja) 光線路を切り替える光ノード及び方法
WO2022054229A1 (ja) 光通信監視装置
KR100528968B1 (ko) 광전송 시스템의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
WO2023214466A1 (ja) 遠隔制御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異常検出方法、遠隔制御装置としてコンピュータを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13541795B (zh) 一种波分系统osc通道单纤双向实现方法及设备
JPH07202805A (ja) 光ファイバ網の監視システム
WO2022054250A1 (ja) 光通信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101650031B1 (ko) 감시신호의 바이패스 기능이 구현된 광전송장치
CN116707627A (zh) 光纤时间传递网络保护与恢复方法及其装置
KR200370399Y1 (ko) 광케이블의 절체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