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280B1 - Rope brak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Rope brak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280B1
KR100889280B1 KR1020070045935A KR20070045935A KR100889280B1 KR 100889280 B1 KR100889280 B1 KR 100889280B1 KR 1020070045935 A KR1020070045935 A KR 1020070045935A KR 20070045935 A KR20070045935 A KR 20070045935A KR 100889280 B1 KR100889280 B1 KR 10088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late
elevator
eccentric roll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9973A (en
Inventor
임경천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280B1/en
Publication of KR2008009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2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0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rotatable eccentrically-mount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to achieve a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speeding of an elevator car or an opening and closing car, and to exhibit excellent performance even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권상기의 메인시브에 권취된 로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측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ㆍ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 및 이동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이동판의 이동 시에 자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로프를 가압하며, 그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베어링 및 브라켓트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로울러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후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로울러와 함께 로프를 가압하는 로프제동판과; 상기 편심로울러의 양단에 각각 편심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편심로울러를 복귀시키는 복귀장치와; 상기 편심로울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상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그 축이 선택적으로 전진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 드 축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단속 및 해제하는 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ope wound on the main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so as to prevent the speeding of the elevator car or the opening and closing car accident, etc. A pair of side frames each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ope braking device; A fixed plate install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A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of the fixed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lective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to press and move the moving plate; An eccentric roller that is selectively rot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moving plate is moved and presses the rope,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ir of side frames via bearings and brackets, respectively; A rope braking plat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air of side frames to press the rope together with the eccentric roller; A return devic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in an eccentric state to return the rotated eccentric roller; A solenoi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eccentric roller to selectively move its axis according to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And a trip plate intermittent and releasing the movable plate according to whether the solenoid shaft is moved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above the movable plate.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ROPE BRAKE FOR ELEVATOR}Rope Braking System for Elevators {ROPE BRAKE FOR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일측면도,       3A and 3B ar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가 정상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ormal position,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의해 로프가 제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5a to 5e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braking the rope by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의해 제동된 로프가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leasing a braided rope by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측면프레임, 20: 고정판,        10: side frame, 20: fixed plate,

30: 이동판, 32: 가이드부,        30: moving plate, 32: guide part,

40: 편심로울러, 42: 베어링,        40: eccentric roller, 42: bearing,

44: 브라켓트, 46: 스톱퍼,        44: bracket, 46: stopper,

50: 로프제동판, 52: 고정플레이트,        50: rope brake plate, 52: fixed plate,

54: 고체윤활제베어링 또는 선형롤러베어링,        54: solid lubricant bearing or linear roller bearing,

56: 슬라이딩 깁 부재, 58: 걸림턱,        56: sliding gib member, 58: locking jaw,

60: 솔레노이드, 62: 솔레노이드 설치판,        60: solenoid, 62: solenoid mounting plate,

70: 트립 플레이트, 72: 힌지,        70: trip plate, 72: hinge,

74: 걸림핀, 80: 압축스프링,        74: locking pin, 80: compression spring,

90: 복귀장치, 92: 걸림판,       90: return device, 92: stopping plate,

100: 로프.       100: rop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 또는 브레이크 장치 등의 고장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 및 하강방향으로 과속하거나 착상구간에서 개문발차 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n accident such as speeding up or down in an elevator car or an opening and closing in a landing section according to a failure of an elevator control system or a brake device. It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일반적으로, 주거용 또는 업무용으로 지어진 건물에서 사람이나 사물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별도의 기계실이나 승강로 내부를 통해 권양기를 설치한 후, 상기 권양기의 메인 시브(main sheeve)에 권취된 로프가 이동되도록 제어를 행하여 상기 로프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를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an elevator device installed in a residential or business building for vertical movement of a person or object is installed in a separate machine room or inside a hoistway, and then mounted on a main sheeve of the hoist. Controlling so that the wound rope is moved is configured to move a passenger in the elevator car by selectively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pe.

즉,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한 승객이 목적층 입력버튼을 조작하거나 각층 승강장에서 상승 또는 하강버튼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이에 따른 제어를 행하여 해당 층에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되도록 운행 제어를 행하게 된다.       That is, when a passenger boarding the elevator car operates an input button for an object floor or an operation of an up or down button at a platform of each floor, the elevator control panel performs the control so that the elevator car is stopped on the floor. .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운행에 있어서는, 그 제어과정에서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의 이상상태 발생이나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력 저하 등의 이유로 엘리베이터 카가 착상구간에서 미끄러지거나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규정속도를 초과하여 과속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로프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elevator operation, however, the elevator car slips in the landing zone or exceeds the specified speed in the ascending or descending direction due to occurrence of an abnormal state of the elevator control system or deterioration of braking force of the elevator brake device during the control process. An accident may occur, and accordingly, the eleva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rope braking device so a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as described above.

한편, 종래의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의 구성은 유압이나 스프링의 힘을 매개로 로프를 가압하는 직접 압착방식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로프의 압착상태를 해제하는 복귀방법으로는 유압식이나 스프링식, 모터식 또는 수동 복귀방식 등이 이용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is made of a direct compression method for pressing the rope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or the force of the spring, and as a return method for releasing the crimping state of the rope as a hydraulic or spring type, The motor type or manual return method is us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복귀를 위해 유압식이나 스프링식, 모터식 등과 같은 별도의 복귀장치를 구비하여야만 하며, 이에 따라 설비가 복잡해지고 제품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eturn device, such as hydraulic, spring, motor type, etc. for the return of the device, which results in complicated equipment and increased product cost Problems have arise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로프 제동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함과 아울러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s such as speeding of the elevator car or opening and closing car,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an exhibit excellent performance even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권상기의 메인시브에 권취된 로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측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ㆍ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고정판 및 이동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이동판의 이동 시에 자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로프를 가압하며, 그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베어링 및 브라켓트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심로울러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후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로울러와 함께 로프를 가압하는 로프제동판과; 상기 편심로울러의 양단에 각각 편심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편심로울러를 복귀시키는 복귀장치와; 상기 편심로울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상신호의 검출 여부에 따라 그 축이 선택적으로 전진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축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단속 및 해제하는 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to control the rope wound on the main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so as to prevent the speeding of the elevator car or the opening and closing car accident A pair of side frames each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A fixed plate install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A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of the fixed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lective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to press and move the moving plate; An eccentric roller that is selectively rot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moving plate is moved and presses the rope,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ir of side frames via bearings and brackets, respectively; A rope braking plat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air of side frames to press the rope together with the eccentric roller; A return devic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in an eccentric state to return the rotated eccentric roller; A solenoi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eccentric roller and whose axis is selectively moved depending on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And a trip plate intermittent and releasing the moving plate according to whether the solenoid shaft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above the moving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제동판은; 슬라이딩 깁 부재와, 고정플레이트 및, 고체윤활제베어링 또는 선형롤러베어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깁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ope braking plate; And a sliding gib module including a sliding gib member, a fixed plate, and a solid lubricant bearing or a linear roller bearing.

더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깁 모듈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턱과 대응되는 상기 편심로울러의 양단에는 한 쌍의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편심로울러는 180°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에 의해 정지되면서 최대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at both ends of the sliding gib module, a locking jaw is formed, and a pair of stopper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jaw, and the eccentric roller is rotated 18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exert the maximum braking force while being stopped by the stoppe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일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p view and one side view.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시스템의 이상상태 발생 시에 권상기의 메인시브에 권취된 로프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적으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First, the rope braking device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prevent the elevator car from operating abnormally by controlling the rope wound on the main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when an abnormal state of the elevator control system occurs.

이를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대략 직사각형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측면프레임(10)이 일정 간격을 갖도록 상호 마주본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0) 사이에는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갖는 고정판(20)과 이동판(30) 및 로프제동판(50)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side frames 10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face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10 is approximately square. The fixed plate 20, the moving plate 30, and the rope braking plate 50 having a plate shape are provided and configured,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고정판(20)은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0)의 전단부 측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30)은 상기 고정판(20)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양단부에는 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32)가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 측면프레임(10) 공간부 내에 단속된 상태에서 전ㆍ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At this time, the fixing plate 2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10 via a bolt, the moving plate 30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fixed plate 20. In addition to being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ortion 32 i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guide portion 32 can be selective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 a state where the guide portion 32 is interrupted in the space of the side frame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shape.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로프제동판(50)은 한 쌍의 측면프레임(10)의 후단부 측에 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편심로울러(40)와 함께 로프(100)를 가압하여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로프제동판(50)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2)와 슬라이딩 깁 부재(56) 및 고체윤활제베어링 또는 선형롤러베어링(54)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깁 모듈로 이루어져 원활한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n, the rope braking plate 50 to stop by pressing the rope 100 together with the eccentric 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that is fix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10 via a bolt. The rope braking plate 50 is composed of a sliding plate module consisting of a fixed plate 52 and a sliding gib member 56 and a solid lubricant bearing or a linear roller bearing 54 to which the bolt is fastened and fixed. It is configured to be made.

또, 상기 로프제동판(50)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깁 모듈의 상기 슬라이딩 깁 부재(56) 양단부측에는 각각 걸림턱(58)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로울러(40)의 회전 위치를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jaw 58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liding gib member 56 of the sliding gib module constituting the rope braking plate 50 so that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eccentric roller 40 can be interrupted. .

한편, 상기 고정판(20) 및 이동판(30) 사이에는 상기 이동판(30)에 대하여 소정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이동판(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압축스프링(80)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판(30)과 로프제동판(50) 사이에는 상기 로프제동판(50)과 함께 로프(100)를 가압하여 정지시키기 위한 편심로울러(40)가 설치된다.       Meanwhile, a compression spring 80 for moving the movable plate 30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late 3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20 and the movable plate 30. Between the 30 and the rope braking plate 50, an eccentric roller 40 for pressing and stopping the rope 100 together with the rope braking plate 50 is installed.

즉, 상기 편심로울러(40)는 그 양단부가 베어링(42) 및 브라켓트(44)를 매개로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스프링(80)을 매개로 한 이동판(30)의 이동에 따라 그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로프(10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편심로울러(40)의 양단에는 상기 로프제동판(50)의 걸림턱(58)과 대응되는 한 쌍의 스톱퍼(46)가 구비되어, 상기 편심로울러(40)는 180°회전한 후 상기 스톱퍼(46) 및 걸림턱(58)을 매개로 정지된 상태에서 최대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That is, the eccentric roller 40 has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spring 80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e to the pair of side frames 10 via the bearing 42 and the bracket 44. As the movable plate 30 is moved, the rope 100 is urged while being rotated by its own weight.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40 have a locking jaw 58 of the rope brake plate 50. A corresponding pair of stoppers 46 are provided, and the eccentric roller 40 rotates 180 ° and exerts the maximum braking force in the stopped state via the stopper 46 and the locking jaw 58.

그리고, 상기 편심로울러(40)의 양단에는 상기 편심로울러(40)가 로프제동판(50) 측으로 이동하여 로프(100)를 가압한 후, 상기 로프(100)의 이동에 따라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시에 원활한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복귀장치(90)가 설치된다.       Then,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40 moves the eccentric roller 40 toward the rope brake plate 50 to press the rope 100, and then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pe 100. A return device 90 is installed to allow a smooth return at the time.

상기 한 쌍의 복귀장치(90)는 대략 봉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져 그 일단부 측이 상기 편심로울러(40)의 양단부에 각각 편심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라켓트(44)의 외면에는 장공이 형성된 걸림판(92)이 설치된 후 상기 걸림판(92)과 복귀장치(90)의 봉형상 몸체 타단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편심로울러(40)의 로프(100)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압축된 복귀장치(90)에 구비되는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편심로울러(40)가 원활하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The pair of return devices 90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rod-shaped body, one end side of which is installed in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40 in an eccentric stat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44 has a long hole formed therein. After the plate 92 is installed,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topping plate 92 and the other end of the rod-shaped body of the return device 90, and the braking of the rope 100 of the eccentric roller 40 is released and compressed. As the spring provided in the return device 90 is restored, the eccentric roller 40 is configured to be smooth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편심로울러(40) 설치 지점의 상부에 해당하는 측면프레임(10)을 통해서는 솔레노이드 설치판(62)이 설치된 후, 상기 솔레노이드 설치판(62)을 통해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상신호를 검출한 후 그에 따라 솔레노이드 축이 선택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도록 이루어진 솔레노이드(6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20) 및 이동판(30)에 걸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 축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이동판(30)을 선택적으로 단속 및 해제하기 위한 트립 플레이트(7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fter the solenoid mounting plate 62 is installed through the side frame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ccentric roller 40 installation point, the abnormal signal of the elevator system is detected through the solenoid mounting plate 62. Afterwards, the solenoid 6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solenoid shaft, and the movable plate 30 is moved along the fixed plate 20 and the movable plate 30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olenoid shaft. A trip plate 70 for selectively interrupting and releasing is installed.

즉, 상기 고정판(20)의 상면에는 힌지(72)를 매개로 상기 트립 플레이트(70)의 일측 하부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판(30)의 상면에는 걸림핀(74)이 설치된 후, 상기 걸림핀(74)을 매개로 상기 솔레노이드(60) 축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트립 플레이트(70)를 선택적으로 단속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이동판(30)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side of the trip plate 7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20 and the locking pin 7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30. Then, the clamping plate 74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the trip plate 70 according to whether the solenoid 60 shaft is operated, and thereby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late 30. .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이상없이 정상적인 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60)는 자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상기 트립 플레이트(70)는 이동판(3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핀(74)에 단속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판(3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상기 이동판(30)의 단속에 따라 상기 편심로울러(40)는 상 기 로프제동판(50)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로프(10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elevator system is normally controlled without abnormality, the solenoid 60 provided in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is in a magnetized state, and thus the trip plate 70 i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0 is preven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interrupted by the locking pin 74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plate 30, and the eccentric roller 4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oving plate 30. ) Maintains a spaced distance from the rope braking plate 5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ope (100).

그러나,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이상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60)는 비자화 상태가 되면서 그 축이 전진하게 되고, 이때 로프(100)의 이동이 있게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60)의 훅(hook)이 회전되면서 상기 솔레노이드(60)의 축을 더 전진시켜 상기 트립 플레이트(70)를 들어 올림에 따라 상기 트립 플레이트(70)가 걸림핀(74)으로부터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하게 된다(도 5a 및 도 5b).       However, as shown in FIGS. 5A to 5E,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elevator control system, the solenoid 60 is non-magnetized and its axis is advanced, and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rope 100 is performed. When the hook of the solenoid 60 is rotated to further advance the shaft of the solenoid 60 to lift the trip plate 70, the trip plate 70 from the locking pin 74 To be in a released state (FIGS. 5A and 5B).

또한, 상기 트립 플레이트(70)가 걸림핀(74)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고정판(20) 및 이동판(30)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판(30)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판(30)의 이동과 동시에 상기 편심로울러(40)는 로프(100)의 하강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그 편심량에 따라 뒤로 밀리게 되는데(도 5c 및 도 5d), 상기 편심로울러(40)는 상기 압축스프링(80)에 의해 로프(100) 측에는 점점 더 큰 압력을 가하면서 180°회전하여 걸림턱(58) 및 스톱퍼(46)에 의해 멈춘 상태에서 최대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도 5e).       In addition, as the trip plate 7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n 74, the movable plate 30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80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20 and the movable plate 30. At the same time as the moving plate 30 moves, the eccentric roller 40 is pushed back according to the amount of eccentricity while rotating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rope 100 (FIGS. 5C and 5D), and the eccentric roller ( 40 is rotated by 180 ° while applying more and more pressure to the rope 100 by the compression spring 80 to exert the maximum braking force in the stopped state by the locking jaw 58 and the stopper 46 ( 5e).

이때, 상기 편심로울러(40)는 상기 걸림핀(74)으로부터 분리된 트립 플레이트(70)가 걸림핀(74)에 걸릴 수 있는 지점까지 뒤로 밀리게 되어, 후술하는 편심로울러(40)의 복귀 시에 고정판(20) 및 편심로울러(40) 등이 임의적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ccentric roller 40 is pushed back to a point where the trip plate 70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n 74 can be caught by the locking pin 74, when the eccentric 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returns. The fixing plate 20 and the eccentric roller 40, etc. do not flow arbitraril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제동판(50) 및 편심로울러(40)를 통해 로 프(100)를 가압하여 제어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제동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깁 모듈로 이루어진 상기 로프제동판(50)이 움직이면서 상기 편심로울러(40)가 제동 시에 회전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vator car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braking in a state in which the rope 100 is press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rope braking plate 50 and the eccentric roller 40, as illustrated in FIGS. 6A to 6C. As the rope braking plate 50 made of the sliding gib module moves, the eccentric roller 4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rotated during braking.

이에 따라, 상기 편심로울러(40)는 로프(100)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복귀장치(90)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까지 복귀할 수가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eccentric roller 40 is abl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device 90 while falling off the rope 100.

즉,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로프(100)의 제동상태에서, 상기 로프(100)가 제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됨과 동시에 별도의 복잡한 복귀장치가 없이도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귀될 수가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is in the braking state of the rope 100, the rope 10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raking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return device .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dified embodiments differen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will fall within the claims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를 편심로울러를 매개로 구성함에 따라, 장치의 크기를 기존의 1/3 크기로 줄여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s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for preventing an accident such as speeding of the elevator car or opening and closing car through the eccentric roller, the size of the device is 1/3 of the existing size Therefore, the size and weight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는 상승과속이나 개문발차 등의 이상동작 시에만 작동됨과 아울러 제동 후에는 별도의 복귀수단이 없이도 자동으로 복귀 되는 구조이므로, 보다 우수한 성능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operates only during abnormal operation such as speeding or opening and closing, and after the braking structure is automatically returned without a separate return mea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etter performance device Will also be.

Claims (3)

엘리베이터 카의 과속이나 개문발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권상기의 메인시브에 권취된 로프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In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rope wound on the main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so as to prevent the speeding of the elevator car 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사각틀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       A pair of side frames each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pe braking device of the elevator;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전단부 측에 설치되는 고정판과;       A fixed plate install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상기 고정판의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ㆍ후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이동판과;       A moving plate which is installed at a rear of the fixed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elective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상기 고정판 및 이동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을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압축스프링과;       A compression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moving plate to press and move the moving plate; 상기 이동판의 이동 시에 자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동되면서 로프를 가압하되, 그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베어링 및 브라켓트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 측에는 한 쌍의 스톱퍼가 형성된 편심로울러와;        Pressing the rope while being selectively rotated by its own weight when the moving plate is move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ir of side frames via bearings and brackets, and a pair of stoppers are formed at both ends. Come with eccentricity; 슬라이딩 깁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의 후단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편심로울러와 함께 로프를 가압하되, 상기 슬라이딩 깁 모듈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편심로울러가 180°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스톱퍼 및 걸림턱을 매개로 정지됨에 따라 최대 제동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로프제동판과;       Composed of a sliding gib module,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to press the rope together with the eccentric roller, but both ends of the sliding gib module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the eccentric roller 180 ° A rope braking plate for exerting maximum braking force as it is stopped through the stopper and the locking step in a rotated state; 상기 편심로울러의 양단에 각각 편심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된 편심로울러를 자동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장치와;       A return devic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eccentric roller in an eccentric state and automatically returning the rotated eccentric roller; 상기 편심로울러의 상측에 설치되어 이상신호의 검출여부에 따라 그 축이 선택적으로 전진하는 솔레노이드 및;       A solenoid mounted on an upper side of the eccentric roller to selectively move its axis according to whether an abnormal signal is detected;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축의 이동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판을 단속 및 해제하는 트립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제동장치.       And a trip plate for interrupting and releasing the moving plate according to whether the solenoid shaft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above the moving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45935A 2007-05-11 2007-05-11 Rope brake for elevator KR1008892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35A KR100889280B1 (en) 2007-05-11 2007-05-11 Rope brak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935A KR100889280B1 (en) 2007-05-11 2007-05-11 Rope brak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3A KR20080099973A (en) 2008-11-14
KR100889280B1 true KR100889280B1 (en) 2009-03-19

Family

ID=4028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935A KR100889280B1 (en) 2007-05-11 2007-05-11 Rope brak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2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024B1 (en) * 2010-08-17 2011-01-26 배후근 Rope brake
CN110407058A (en) * 2019-08-26 2019-11-05 巨龙电梯有限公司 A kind of novel rope brake mounting device
KR102341994B1 (en) 2021-08-30 2021-12-21 김정록 Apparatus for braking sheave for elevator
KR102341995B1 (en) 2021-08-30 2021-12-21 김정록 Apparatus for braking sheave for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54A (en) * 1993-01-19 1994-08-30 Otis Elevator Co Safety device for rising type elevator
KR100506789B1 (en) * 2005-04-26 2005-08-09 덕 규 김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100643526B1 (en) * 2005-10-07 2006-11-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Sliding gib structure of cam type safety gear for elevator
KR20070004277A (en) * 2005-07-04 2007-01-09 (주)제이앤디 A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554A (en) * 1993-01-19 1994-08-30 Otis Elevator Co Safety device for rising type elevator
KR100506789B1 (en) * 2005-04-26 2005-08-09 덕 규 김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20070004277A (en) * 2005-07-04 2007-01-09 (주)제이앤디 A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KR100643526B1 (en) * 2005-10-07 2006-11-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Sliding gib structure of cam type safety gear fo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73A (en)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1144C (en) Device for actuating and resetting a safety gear
EP2112116B1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
US8550217B2 (en) Elevator
DE112012006231T5 (en) winder
CN111483901B (en) Elevator safety device
CN106553948B (en) Braking system for a hoisted structure and method of controlling braking of a hoisted structure
JP4601682B2 (en) Elevator equipment
CN105000446A (en) Device for preventing elevator car from moving accidentally
SK279137B6 (en) Activator of a catching device of the lift safety system
US20180111789A1 (en) Method for avoiding unwanted safety gear tripping in an elevator system, controller adapted to perform such a method, governor brake and elevator system each having such a controller
KR100889280B1 (en) Rope brake for elevator
EP1568643A1 (en) Brake system for elevator
EP3328772B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KR101267004B1 (en) Emrgency stop device having the breaking apparatus
JP2004224492A (en) Elevator device
JP2006341953A (en)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US20070170409A1 (en) Emergency brake of elevator
KR100643526B1 (en) Sliding gib structure of cam type safety gear for elevator
JP2626408B2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KR200386599Y1 (en) Elevator type Interactive emergency stop apparatus
JP5040667B2 (en) Elevator car rescue device
US11884515B2 (en) Clamp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JP6954411B1 (en) elevator
CN211393451U (en) Novel self-tightening brake
CN110171760B (en) Speed regulator straining device, speed regulator device and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