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730B1 -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 Google Patents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730B1
KR100888730B1 KR1020070004009A KR20070004009A KR100888730B1 KR 100888730 B1 KR100888730 B1 KR 100888730B1 KR 1020070004009 A KR1020070004009 A KR 1020070004009A KR 20070004009 A KR20070004009 A KR 20070004009A KR 100888730 B1 KR100888730 B1 KR 10088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link
node
information
based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503A (ko
Inventor
황덕동
김응선
김영두
안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730B1/ko
Priority to US11/859,925 priority patent/US8199693B2/en
Publication of KR2008006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are generated based on a path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두절(outage) 상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채널정보로부터 소스 노드의 전력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전력레벨을 소스와 릴레이로 피드백(Feedback, 되먹임)하는 단계로 되어있다. 또한 피드백 정보의 량에 따라 각각 무한, 유한 피드백의 경우에 대한 전력레벨 결정방식 및 피드백이 전혀 없을 경우 장기 통계치에 따른 전력결정 방법도 포함한다. 가장 현실성이 높은 유한 피드백의 경우, 목적지 노드는 획득한 채널정보로부터 특정 양자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양자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릴레이, 채널 상태 정보, DF(Decode-Forward)

Description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DECODE-FORWARD RELAYING SYSTEM}
도 1은 소스 노드, 목적지 노드, 릴레이가 포함된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1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2
를 각각 축으로 한 송신 신호 전력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3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4
를 각각 축으로 한 양자화 영역(quantization region)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5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6
를 각각 축으로 한 양자화 영역(quantization region)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각 상태별 통신 두절 확률(outage probability)이 감소한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소스 노드 120: 릴레이
130: 목적지 노드
본 발명은 릴레이 기반 시스템(Relay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세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릴레이 기반 시스템은, 릴레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간의 협력을 통해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릴레이 방식은, AF(Amplify-and-Forward)와, DF(Decode-and-Forward)로 나뉘어 진다. 상기 AF는, 릴레이가 수신 신호를 재전송하기 위해 증폭하는 방식이며, 한편, 상기 DF는, 릴레이가 수신 신호를 완전히 디코딩하고, 이를 다시 인코딩 하여 릴레이 전송을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AF 릴레이 방식은, 릴레이 측에서의 디코딩 과정 없이 재전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릴레이가 수신할 때 받은 노이즈(noise)가 재전송되는 과정에서도 증폭이 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DF 릴레이 방식은, 디코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인코딩 하여 송신하는 신호에도 오류가 전파(error propagation)되는 특징이 있다. 다만, 상기 AF 릴레이 방식, DF 릴레이 방식 등을 통한 협력 다이버시티(cooperative diversity) 기술은, 제한된 주파수 스펙트럼 및 복잡한 시공간 등의 다양한 무선 환경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율, 서비스의 향상된 품질, 그리고 높은 네트워크 용량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협력 다이버시티 기술을 사용하는 릴레이 기반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최근에 이르러서, 논의되고 있는 설정이다. 특히, DF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통신에 대한 처리 기술 및 실험 데이터가 미비한 상황이다.
즉, 종래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주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소스 노드나, 릴레이 측에서 전송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링크 신뢰도(reliability) 및 처리율(throughput)이 기대치 보다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송신 전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효율성이 악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DF 릴레이 방식에서, 이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현재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채널정보를 정확히 판단하고, 이에 따라 송신 전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 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가 속하는 특정 양자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양자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상기 양자화 영역은 채널 정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가 없는 경우, 기보유하고 있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 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7
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8
값을
Figure 112007003504070-pat00009
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0
를 계산하는 단계(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1
: 소스 노드 측의 송신 신호 전력, P : 소스 노드 및 릴레이 측의 토탈(total) 송신 신호 전력,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2
: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3
: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4
: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롱텀 배리언스는, 각 링크별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신호가 변동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무한 피드백 케이스의 경우,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 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일 수 있으며,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5
’에 의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6
를 계산하는 단계(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7
: 순간 전력값(instanteous power),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8
: 상기 제1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19
: 상기 제2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0
: 상기 제3 링크의 채널 게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가 속하는 특정 양자화 영역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특정 양자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만, 상기 양자화 영역은 채널 정보들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정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영역일 수도 있 다.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결정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가 없는 경우, 기보유하고 있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계산부는,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1
’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2
값을,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3
’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4
를 계산(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5
: 소스 노드 측의 송신 신호 전력, P: 소스 노드 및 릴레이 측의 토탈(total) 송신 신호 전력,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6
: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7
: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8
: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할 수 있다.
상기 롱텀 배리언스는, 각 링크별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신호가 변동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무한 피드백 케이스의 경우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일 수 있다.
상기 계산부는,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29
’에 의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0
를 계산(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1
: 순간 전력값(instanteous power),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2
: 상기 제1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3
: 상기 제2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4
: 상기 제3 링크의 채널 게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양자화된 영역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링크 신뢰도(reliability) 및 처리율(throughput)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 및 상기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소스 노드, 목적지 노드, 릴레이가 포함된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시그널 모델(signal model), 노드간 채널 게인(channel gain)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은, 소스 노드(110), 릴레이(120), 그리고 목적지 노드(1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DF 프로토콜에서, 상기 소스 노드(110)는, 제1타임 슬롯 동안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5
의 전력으로, 상기 목적지 노드(130)를 향해, 전송 정보를 송출한다. 다만, 상기 DF 프로토콜이란 용어는, 전술한 DF 릴레이 방식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소스 노드(110)의 송출을 엿듣는다(overhearing). 상기 릴레이(120) 측에서, 상기 송출되는 전송 정보의 디코딩에 성공한 경우, 상기 릴레이(120)는, 제2타임 슬롯 동안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6
의 전력으로, 상기 전송 정보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상기 소스 노드(110) 및 상기 릴레이(120) 측에서 전송한 전송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사이의 거리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7
, 상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릴레이(120) 사이의 거리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8
, 상기 릴레이(12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사이의 거리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39
라고 할 때, 채널 게인(channel gain)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0
(i=0,1,2)
한편, 상기 릴레이(120) 및 상기 목적지 노드(130)의 애디티브(additive) 노이즈의 전력은 1로 가정하도록 하겠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신호 전력 제어 스킴(scheme)에 있어서는, 피드백 정보가 무한인지, 유한인지, 또는 없음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른 방법으로 전력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신호 전력 제어 스킴은, 통신 두절 상태 확률을 최소화 하는데, 이 통신 두절 상태는 수학식 2와 같이 머츄얼 인포메이션(mutual information)을 기반으로 결정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1
그리고, 상기 목적지 노드(130) 측에서는, 통신 두절 상태를 피하거나, 적어도 최소화 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신호의 송신 전력값의 범위를, 상기 구별된 상태별로, 개별적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 링크 신뢰도 및 처리율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구체적으로 송신 전력값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채널 상태 정보(CSI)의 피드백 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1: 무한 피드백(infinite feedback)>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3
를 각각 축으로 한 송신 신호 전력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무한 피드백 상태에서, 소스 노드 측에서 전송 가능한 신호의 최적의 송신 전력값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F 프로토콜에서,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를 연결하는 채널 게인이 소스 노드와 릴레이를 연결하는 채널 게인 보다 작은 경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4
), 릴레이 스킴(scheme)의 실익이 있다.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 소스 노드는, 릴레이 스킴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목적지 노드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전체 전송 정보는, 소스 노드로부터 릴레이 링크로의 전송 정보와, 릴레이 측에서 소스 노드의 목적지 노드 링크를 중계할 때의 전송 정보 중 최소값(minimum)을 의미한다.
전체 전력(total power)(P)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5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6
의 합일 때(즉, P=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7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8
), 상기 min의 후자값은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07003504070-pat00049
이를 보다 더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0
인 경우의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1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2
는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3
인 경우의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4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5
는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2의 두번째 케이스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6
이기 때문에,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7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8
Figure 112007003504070-pat00059
의 값과 상관없이 교차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 두절(outage) 현상은 전송 정보(mutual information)가 특정 비율값(R) 이하로 감소하는 이벤트일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 두절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한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0
이고, 순간 전력값(instantaneous power)(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1
)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2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3
의 합이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수학식 4이 성립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4
한편,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5
인 경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6
의 최대값은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7
와 P값이 같을 때 얻어진다. 왜냐하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8
값이 증가함에 따라, 두 라인 모두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69
의 최대값은 두 라인이 만날 때 얻어진다. 즉,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0
인 경우의 최대 전송 정보 값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다.
[수학식 5]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1
다만, 상기 수학식 5의 값은,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2
인 경우에 얻어지는 바,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3
값은, 피드백 정보가 무한(infinite)이라는 이상적(ideal) 상태에서 얻어 지는 최적의(optimal) 송신 전력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목적지 노드(130) 측에서 무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릴레이(120)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12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채널 정보로, 예를 들어, 채널 게인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제1 채널 정보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4
,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5
, 상기 제3 채널 정보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6
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7
식에 의해, 최적의(optimal) 송신 신호 전력(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8
)를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에 대한 정보를, 소스 노드(110)측 또는 릴레이(120)측에 전송하고, 따라서 상기 소스 노드(110) 또는 릴레이(120)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대응하는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실시예 2: 유한 피드백(finite feedbac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79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0
를 각각 축으로 한 양자화 영역(quantization region)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1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2
를 각각 축으로 한 양자화 영역(quantization region)의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소스 노드 측에서 전송 가능한 신호의 최적의 송신 전력값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3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할 때, y축을 임의의 정수 개로 양자화(quantization) 한다. 다만,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4
인 경우는 릴레이가 필요없는 경우이고, 반대인 경우는 릴레이를 통하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전술한 도 3을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빗금친 영역의 범위를 반복적으로(iteratively) 양자화 한다. 나아가, 상기 양자화된 각 영역에 대한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5
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각 영역별로 다른 송신 전력을 할당한다. 다만,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6
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수학식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아래의 수학식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해당 수학식의 계수(coefficient) 또는 변수(variables)의 일부 수정 또는 치환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을 따르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유한 피드백 상태인 경우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7
이 고정된 경우와,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8
이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89
’ 공식을 만족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는데, 두 가지 모두 비슷한 결과를 도출하므로, 당해 명세서 상에서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0
이 고정된 경우를 고려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1
’ 인 경우, 유한 피드백 상태로서, 1비트의 피드백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채널에 따라 해당 피드백 정보에 할당되는 비트 수를 더 크게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2
’ 를 만족하는 직선 윗 부분은, 협력 다이버시티가 없는 경우,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3
파라미터(parameter)의 분할 영역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4
는, 채널 세기(strength)의 레벨에 따라,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5
영역들로 양자화된다. 이 때, i 번째 영역의 소스 노드의 전력은 다음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수학식 6]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6
단, 여기서 상기 R은 전송 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2번째 영역부터 L번째 영역에 대한 통신 두절 상태를 제거할 수가 있다. 왜냐하면,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7
인 경우, R 데이터값에 이르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8
보다 작은 전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한편, 1번째 영역에서는 송신 전력의 관계가 다음 수학식 7과 같다.
[수학식 7]
Figure 112007003504070-pat00099
다음으로, 수학식 2의 하단 수식을 보면, ‘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0
’ 인 범위로 한정할 때,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1
에서, ‘min’ 연산자(operator)를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2
의 셋트로 이루어진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3
면으로 나눌 수 있다(단, i>j 인 경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4
). 한편,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5
에 대해서도, ‘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6
’의 식이 성립한다. 그리고, 인접한 영역부터 가장 먼 영역까지, 순서대로 넘버링할 때, ‘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7
’의 식이 성립한다.
따라서,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2번째 영역부터 L번째 영역까지 통신 두절 상태(outage)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증명하면 다음과 같다.
i번째 영역의 임의의 점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8
은,
Figure 112007003504070-pat00109
의 직선 위에 위치한다(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0
). 상기 직선 위에서, 통신 두절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1
식이 요구되며, 이 때,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2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3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L번째부터 1번째까지의 영역과 송신 전력 레벨을 구하기 위해,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4
방정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릴레이의 송신 전력이 소스 노드의 송신 전력에 비례하는 경우, 공간 파라미터(parameter space)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5
의 조건 하에서 분할하고, 전술한 단계들을 반복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P는 토탈(total) 송신 전력을 의미하고,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6
는 양자화된 영역(region) 중, i번째 영역의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즉,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7
로 이루어진 그래프의 영역을 일정한 관계에 따라 양자화 하고, 상기 양자화된 영역 각각에 다른 송신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송신 전력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의 일예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8
의 식을 이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동일한 전력만을 할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다.
다시 정리하여 설명하면, 목적지 노드(130) 측에서 유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파일럿 신호(pilot signal)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 기 소스 노드(110)와 상기 릴레이(120)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120)와 상기 목적지 노드(130)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채널 정보로, 예를 들어, 채널 게인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제1 채널 정보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119
,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0
, ,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1
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목적지 노드(130)는,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3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 현재 통신 상태가 도 4에 도시된 양자화 영역 중, 어떤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특정 양자화 영역에 속한다고 판단된 경우, 각 양자화 영역에 맵핑되어 있는 송신 전력값을 불러와서,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값을 결정한다.
한편, 상기 목적지 노드(130)가 상기 결정된 송신 신호 전력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소스 노드(110) 또는 상기 릴레이(120) 측에 전송하면, 상기 소스 노드(110) 또는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전송받은 송신 신호 전력값에 따라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 3: CSI 없음(NO CSI)>
토탈 송신 전력(P)은,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2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3
의 합이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4
), 이 때,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5
이고,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6
이고,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7
는 0 이상, 1이하의 범위를 가진다. 피드백 없음 상태에서, 통신 두절 확률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8
값을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통신 두절 상황이 발생하는 이벤트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29
와, 그리고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0
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최적화된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8]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1
다만,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2
를 만족하고, 특히 상기 근사값으로 수렴하는 경우는, SNR이 높은 값을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3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4
를 상기 수학식 8에 대입하면, 최적의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5
에 대한 방정식이 다음 수학식 9와 같이 성립한다.
[수학식 9]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6
상기 수학식 9에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7
값을 구함으로써, 피드백 없음 상태에서, 통신 두절(outage) 확률을 최소화 하는 송신 전력을 정확하게 계산해 낼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일특징이다. 다만,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8
값은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각 링크별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신호가 변동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피드백이 없는 경우, 기보유하고 있는 장기 통계치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139
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전력값을 계산함에 일특징이 있다.
다만,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0
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를 의미하고,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1
는 소스 노드와 릴레이 간인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를 의미하고, 그리고 상기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2
는 릴레이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스 노드(110)는, 상기 획득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3
값을 수학식 9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4
값을 구하고, 상기 구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5
값을 다시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6
에 대입하여 상기 소스 노드(110) 또는 상기 릴레이(130) 측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한다.
도 5는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각각에 대한 통신 두절 확률(outage probability)이 감소한 그래프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특정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송신 전력으로 제어 하는 경우, 얻어지는 결과 데이터(통신 두절 확률(outage probability))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 피드백 상태(이상적인 피드백)(500)와, 피드백 없음 상태(특히, 도 5에서는 “Equal Power Distribution” 그래프를 의미)(530)가 대비된다. 1비트의 피드백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는, 협력 다이버시티를 시그널링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릴레이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참고로, 도 5 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가 이루어 질 경우의 무한 피드백 상태(500), 유한 피드백 상태(510,520), 피드백 없음 상태(530)만의 데이터를 도시하였으나, 종래 데이터에 비하여, 통신 두절 확률이 현저히 감소함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에서, 피드백의 정보량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바, 피드백의 정보량이 무한인 경우, 유한인 경우, 또는 없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송신 전력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한 피드백 상태에서, 통신 가능 영역을 양자화하여, 양자화된 영역별로 차별화된 전력을 할당하는 바, 송신 전력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통신 두절 확률을 최소화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통신의 링크 신뢰도(link reliability), 처리율(throughput) 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등의 소스 노드의 배터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18)

  1.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가 속하는 특정 양자화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양자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 영역은 채널 정보들을 적어도 1 이상의 정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가 없는 경우, 기보유하고 있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7
    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8
    값을,
    Figure 112007003504070-pat00149
    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0
    를 계산하는 단계(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1
    : 소스 노드 측의 송신 신호 전력, P: 소스 노드 및 릴레이 측의 토탈(total) 송신 신호 전력,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2
    :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3
    :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4
    :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롱텀 배리언스는,
    각 링크별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신호가 변동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정보
    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7.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상기 단계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5
    에 의해,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6
    를 계산하는 단계(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7
    : 순간 전력값(instanteous power),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8
    : 상기 제1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159
    : 상기 제2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0
    : 상기 제3 링크의 채널 게인)
    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0.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가 속하는 특정 양자화 영역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특정 양자화 영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 영역은 채널 정보들을 적어도 1 이상의 정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3.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가 없는 경우, 기보유하고 있는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long term variance)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
    상기 독출한 롱텀 배리언스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1
    에 의해 구해진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2
    값을,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3
    에 대입하여,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4
    를 계산하는 것(단,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5
    : 소스 노드 측의 송신 신호 전력, P: 소스 노드 및 릴레이 측의 토탈(total) 송신 신호 전력,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6
    : 제1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7
    : 제2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Figure 112007003504070-pat00168
    : 제3 링크의 롱텀 배리언스)
    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롱텀 배리언스는,
    각 링크별로, 일정한 주기에 따라 신호가 변동되는 정도를 표시하는 정보
    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6. DF(Decode-Forward)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이용하여, 상기 소스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1 링크의 제1 채널 정보, 상기 소스 노드와 릴레이 노드 간인 제2 링크의 제2 채널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노드와 상기 목적지 노드 간인 제3 링크의 제3 채널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신호 전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송신 신호 전력의 정보를 상기 목적지 노드에서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릴레이 노드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링크 각각의 채널 게인(channel g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Figure 112008063647873-pat00169
    에 의해,
    Figure 112008063647873-pat00170
    를 계산하는 것(단,
    Figure 112008063647873-pat00171
    : 순간 전력값(instanteous power),
    Figure 112008063647873-pat00172
    : 상기 제1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8063647873-pat00173
    : 상기 제2 링크의 채널 게인,
    Figure 112008063647873-pat00174
    : 상기 제3 링크의 채널 게인)
    을 특징으로 하는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1020070004009A 2007-01-12 2007-01-12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KR10088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09A KR100888730B1 (ko) 2007-01-12 2007-01-12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US11/859,925 US8199693B2 (en) 2007-01-12 2007-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in a decode-and-forward re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09A KR100888730B1 (ko) 2007-01-12 2007-01-12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03A KR20080066503A (ko) 2008-07-16
KR100888730B1 true KR100888730B1 (ko) 2009-03-17

Family

ID=3961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009A KR100888730B1 (ko) 2007-01-12 2007-01-12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99693B2 (ko)
KR (1) KR100888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6933B2 (en) * 2008-05-23 2016-01-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multi-pa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distributed MAC
BRPI0925342B1 (pt) * 2009-04-28 2020-12-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de comunicação de sinal cooperativa, dispositivo, rede de comunicaçã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US20100304751A1 (en) * 2009-06-01 2010-1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coordinated multipoint reception operation
US8934353B2 (en) * 2009-10-08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caling transmit power of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FR2959895B1 (fr) * 2010-05-07 2012-08-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eseau cooperatif a strategie de demande de retransmission adaptative
KR101388701B1 (ko) * 2012-10-26 201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엘티이-어드밴스드 기반 단말간 직접 통신의 최적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CN104093210B (zh) * 2014-07-25 2018-03-27 哈尔滨工业大学 针对总功率受限的双跳全双工df中继系统最优功率分配方法
CN107454604B (zh) * 2017-08-22 2020-12-04 哈尔滨工程大学 认知中继网络的量子化学反应优化多中继选择方法
CN110944377B (zh) * 2019-10-22 2024-02-02 浙江理工大学 基于信道统计信息的网络编码协议功率的分配方法及系统
KR102261004B1 (ko) 2020-06-23 2021-06-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이중 복호 후 전달 릴레이
CN112020118B (zh) * 2020-09-02 2022-02-15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超多跳低时延的无线自组网通信方法
CN112738864B (zh) * 2020-12-29 2022-05-27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多中继优化增量选择的混合译码放大转发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23A (ko) 2004-01-02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전력을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133708A1 (en) 2005-12-09 2007-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antennas
KR20070062635A (ko)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한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5494A (en) * 1988-04-20 1989-05-30 Amp Incorporated Automatic level control system for broadband cable systems
US5697053A (en) * 1994-07-28 1997-12-0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power control and cell site selection
US7161926B2 (en) 2001-07-03 2007-01-09 Sensoria Corporation Low-latency multi-hop ad hoc wireless network
KR100463526B1 (ko) * 2002-01-04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전력 할당 방법
EP1719301A1 (en) * 2004-02-19 2006-11-08 Rockwell Collins Inc. Link adaption for mobile ad hoc and mesh networks
KR20050098203A (ko) 2004-04-06 2005-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Gps정보를 이용한 무선 환경 및 모바일 애드혹환경에서 피어 투 피어 방식에 의한 정보 및 파일 검색 방법
KR100627328B1 (ko) 2004-05-12 2006-09-25 전자부품연구원 센서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적 데이터 병합 방법
US20070054642A1 (en) * 2004-07-26 2007-03-08 Manish Bhardwaj Automatic gain control (AGC) for multichannel/wideband communications system
JP4680008B2 (ja) * 2004-08-31 2011-05-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通信ノード及び通信方法
WO2006038163A1 (en) 2004-10-01 2006-04-13 Nortel Networks Limited Segmentation and clustering in a sensor network
US7684337B2 (en) * 2006-01-17 2010-03-2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 cooperative relay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1823A (ko) 2004-01-02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공통전력제어채널의 전력을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133708A1 (en) 2005-12-09 2007-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transmission power in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antennas
KR20070062635A (ko) 2005-12-13 2007-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99693B2 (en) 2012-06-12
US20080170512A1 (en) 2008-07-17
KR20080066503A (ko)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730B1 (ko) Df 릴레이 기반 시스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그장치
CN102687444B (zh) 用于选择小区的调制和编码方案的方法
US79294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transmission rate in multi-hop relay system
JP5110028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リレー装置及びソース装置
US2005025580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ower control with finite rate feedback for cooperative relay networks
Adam et al. Adaptive relay selection in cooperative wireless networks
JP2007174664A (ja) マルチホップ通信システム、通信信号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通信装置及び基地局
JP517629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基地局、宛先装置及び中間装置
KR20070080265A (ko)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회적 패킷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KR20080065343A (ko) 다중 안테나 중계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을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1978739A (zh) 中继传输系统、基站、中继站及方法
KR20100048935A (ko)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6352888A (ja) 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基地局、宛先装置及び中間装置
KR20110100916A (ko) 레이트 스플리팅 기법을 사용하는 멀티셀 통신 시스템 및 상기 멀티셀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전송 프레임
KR20090119038A (ko) 멀티 캐스트 및 방송 서비스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KR101399794B1 (ko) 양방향 중계 채널에서 Physical Network Coding을 위한 제한된 피드백 방법 및 장치
Dai et al. Cross-layer design for combining cooperative diversity with truncated ARQ in ad-hoc wireless networks
US2011024961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eventing traffic from being relayed concentratively onto a specific node
KR101231912B1 (ko) 빔 포밍 벡터의 반복적 갱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송신기
US85147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scheduling in a multi-hop cellular system
CN115884343B (zh) 基于定向多波束天线的高机动自组网动态功率分配方法
Pham et al. Efficient forwarding protocol for dual-hop relaying wireless networks
CN102891736B (zh) 一种应用于空天信息网络的异构链路帧长自适应方法
Alves et al. Throughput performance of parallel and repetition coding in incremental decode-and-forward relaying
Dashti et al. Up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AF and DF relay-assisted networks with limited rate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