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441B1 - 수목 보호 지지대 - Google Patents

수목 보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441B1
KR100888441B1 KR1020080032342A KR20080032342A KR100888441B1 KR 100888441 B1 KR100888441 B1 KR 100888441B1 KR 1020080032342 A KR1020080032342 A KR 1020080032342A KR 20080032342 A KR20080032342 A KR 20080032342A KR 100888441 B1 KR100888441 B1 KR 10088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leg
frames
suppor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준빈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투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투엠
Priority to KR102008003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수목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21~23)과, 상기 프레임(21~23)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 1스프링(25)으로 구성된 지지부재(2)와; 상기 프레임(21~23)들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고, 중간에 완충부재(S)가 형성된 다수의 다리부재(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수목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다리부재에 형성된 완충부재에 의해 재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보호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수목, 보호, 지지, 프레임, 완충

Description

수목 보호 지지대{TREE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과 형상이 상이한 수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경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충격흡수가 능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목 보호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 보호 지지대는 태풍과 같은 외력에 의해 수목이 옆으로 쓰러지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의 둘레에 부착하여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수목 보호 지지대는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위하여 다양한 색상과 모양 및 재질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목 보호 지지대는 상부에는 수목의 둘레에 지지되는 지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단에 설치되며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다리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외력에 의해 수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지지부재의 일측에 힘이 가해질 경우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반대쪽의 다리부재가 들리게 되어 결국 수목과 함께 전복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부재에 완충장치를 부가하더라도 수목이 기울어질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완충장치가 수용할 수 있는 힘보다 클 경우에도 역시 전복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목의 둘레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분할시키고, 이들 분할된 지지부재들이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수목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다리부재에도 완충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완충능력을 넘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재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목 보호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수목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 1스프링으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들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고, 중간에 완충부재가 형성된 다수의 다리부재로 이루어진 수목 보호 지지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수목의 몸통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지지편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편부재는 수목의 몸통에 밀착되는 지지편과, 일단이 상기 지지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레임에 고정된 제 2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일측에는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와 홈에는 체결볼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부다리와, 상기 상부다리로부터 이격된 하부다리와, 상기 상부다리 및 하부다리의 외부에 끼워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실린더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에는 스프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목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상호 탄력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수목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또한 다리부재에 형성된 완충부재에 의해 재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보호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A)는, 수목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21~23)과, 상기 프레임(21~23)들을 상 호 연결하는 제 1스프링(25)으로 구성된 지지부재(2)와, 상기 프레임(21~23)들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고, 중간에 완충부재(S)가 형성된 다수의 다리부재(4)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21~23)은 호형으로 형성되며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수개가 연결되어 원형의 지지부재(2)가 형성된다.
상기한 지지부재(2)의 형상은 원형외에도 다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 1 내지 제 3프레임(21~23)이 원형으로 배열된 것으로, 제 1 내지 제 3프레임(21~23)들은 제 1스프링(2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제 1스프링(25)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그 양단부는 프레임(21~23)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제 1스프링(25)의 양단부에 결합부재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일 예로는 제 1스프링(25)의 양단부에 볼스토퍼가 장착되고, 상기 볼스토퍼가 프레임(21~23)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볼스토퍼는 내부에 매립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일부만 외부로 돌출된 볼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 략토록 한다.
상기 프레임(21~23)들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21)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지지부재(2)를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지지부재(2)의 체결부를 분리한 상태에서 수목의 둘레에 설치한 후 체결부를 결합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일측 프레임의 측단에 형성된 홈(210)과, 상기 홈(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211)과, 타측 프레임의 측단에 형성된 돌기(21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돌기(213)가 홈(210)에 끼워져 결합된 후 상기 통공(211)에 볼트(215)를 체결시킴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부재(4)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S)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S)는 상기 제 1 내지 제 3프레임(21~23)의 하부에 연결된 상부다리(42)와, 상기 상부다리(42)로부터 이격된 하부다리(44)와, 상기 상부다리(42) 및 하부다리(44)의 외부에 끼워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실린더통(46)으로 구성된다.
즉, 상부다리(42)의 상단은 프레임(21~23)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거나 또는 절첩이 용이하도록 힌지결합된다.
하부다리(44)는 상부다리(42)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체이며, 끝단에 첨예한 선단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부다리(42)와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실린더통(46)은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체로써, 상부 내측은 상부다리(42)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 내측은 하부다리(44)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실린더통(46)과 상,하부다리(42,44)가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부다리(42,44)의 외주에 오링(49)이 끼워진다.
상기 실린더통(46)에 끼워진 상,하부다리(42,44)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도록 하여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도 1의 확대도를 참조해보면, 실린더통(46)과 상,하부다리(42,44)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린더통(46)의 양단 개구부에는 통공(211)을 갖는 환턱(463)이 형성되고, 상부다리(42)의 하단 외주 및 하부다리(44)의 상단 외주에는 상기 환턱(463)에 지지되는 환턱(422,44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링(49)은 상,하부다리(42,44)의 외주에 끼워지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턱(422,442)에 지지되도록 끼워진다.
한편, 상기 상,하부다리(42,44)의 이격된 공간부에는 스프링(48)을 삽입하여 완충기능이 더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하부다리(42,44)가 이격된 공간에 충진된 공기에 의해 완충력이 발휘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링(49)이 노후되면 기밀성이 상실되어 공기에 의한 완충력이 발휘될 수 없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스프링(48)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21~23)의 내측면에는 수목의 몸통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지지편부재(6)가 더 설치된다.
상기 지지편부재(6)는 수목의 몸통 단면이 대개 원형이므로 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지지편(62)과, 일단이 상기 지지편(62)에 고정되고 타단이 프레임(21~23)에 고정된 제 2스프링(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스프링(64)은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지지편(62)이 뒤틀리지 않도록 복수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편부재(6)가 이루는 직경은 수목의 직경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 2스프링(64)은 길이를 상이하게 하여 미리 제작된다.
따라서, 길이가 짧은 제 2스프링(64)을 사용할 경우 지지편부재(6)가 이루는 직경이 커지게 될 것이며, 반대로 길이가 긴 제 22스프링(64)을 사용할 경우 지지편부재(6)가 이루는 직경은 작아지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내지 제 3프레임(21~23)을 원형으로 배열한 후 각 프레임들의 단부에 제 1스프링(25)을 결합시켜 대략 원형이 되도록 지지부재(2)를 조립한다.
이때, 체결부가 형성된 프레임(21)은 아직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둔다.
한편, 각 프레임(21~23)의 하부에는 상부다리(42)를 고정결합시키거나 또는 힌지결합시킨다.
이후, 지지부재(2)를 벌려서 수목의 둘레에 배치한 후 체결부를 결합시키고 지지편부재(6)가 접촉되도록 한다.
즉, 수목의 둘레를 사전에 측정하고, 이에 적합한 직경을 갖도록 지지편부재(6)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후, 각 프레임(21~23)의 하부에 결합된 상부다리(42)의 하부에 실린더통(46)을 결합하고, 하부다리(44)를 끼워 결합하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밀성을 갖도록 오링(49)을 삽입하여 완충부재(S)를 형성한다.
물론, 실린더통(46)의 내부에 스프링(48)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하부다리(44)의 하단에 형성된 선단부를 지면에 박아 고정시킨다.
따라서, 이렇게 조립 및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은, 강풍에 의해 수목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수목의 둘레에 접촉된 해당 지지편부재(6)의 제 2스프링(64)이 일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며 해당 지지편부재(6)만 눌리게 된다.
또한, 외력이 더욱 강하게 수목에 가해질 경우 해당 지지편부재(6)에 연결된 다리부재(4)의 완충부재(S)가 작동하게 된다.
즉, 해당 완충부재(S)의 하부다리(44)가 가압되면서 이차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며, 그 반작용으로 선단부가 더욱 깊이 땅속에 박히게 되므로 고정력은 증가되는 것이다.
따라서, 2단계의 완충작용에 의해 지지편부재(6) 및 다리부재(4)가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목의 기울어지는 충격력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있고, 특히 종래보다 더 커진 기울기도 수용할 수 있어 수목의 전복은 물론 보호 지지대(A)의 전복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보호 지지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지지부재 4 : 다리부재
6 : 지지편부재 21~23 : 제 1 내지 제 3프레임
25 : 제 1스프링 42 : 상부다리
44 : 하부다리 46 : 실린더통
48 : 스프링 49 : 오링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목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다수의 프레임(21~23)과, 상기 프레임(21~23)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 1스프링(25)으로 구성된 지지부재(2);
    상기 지지부재(2)의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21~23)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21~23)들의 하부에 상단이 연결되며 하단이 지면에 지지되고, 중간에 완충부재(S)가 형성된 다수의 다리부재(4);
    상기 프레임(21~23)의 내측면에는 수목의 몸통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지지편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부재(6)는, 수목의 몸통에 밀착되는 지지편(62)과, 일단이 상기 지지편(62)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21~23)에 고정된 제 2스프링(64)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일측 프레임의 측단에 형성된 홈(210)과, 상기 홈(21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211)과, 타측 프레임의 측단에 형성된 돌기(21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돌기(213)가 홈(210)에 끼워져 결합된 후 상기 통공(211)에 볼트(215)를 체결시킴으로써 결합되는 수목 보호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S)는,
    상기 제 1 내지 제 3프레임(21~23)의 하부에 연결된 상부다리(42)와,
    상기 상부다리(42)로부터 이격된 하부다리(44)와,
    상기 상부다리(42) 및 하부다리(44)의 외부에 끼워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실린더통(46)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통(46)은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을 갖는 관체로써, 상부 내측은 상부다리(42)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 내측은 하부다리(44)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다리(42,44)의 외주에 오링(49)이 끼워져 기밀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통(46)에 끼워진 상,하부다리(42,44)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압축가스가 충진되도록 하여 완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다리(42,44)의 이격된 공간부에는 스프링(48)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9. 삭제
KR1020080032342A 2008-04-07 2008-04-07 수목 보호 지지대 KR10088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42A KR100888441B1 (ko) 2008-04-07 2008-04-07 수목 보호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342A KR100888441B1 (ko) 2008-04-07 2008-04-07 수목 보호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441B1 true KR100888441B1 (ko) 2009-03-11

Family

ID=4069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342A KR100888441B1 (ko) 2008-04-07 2008-04-07 수목 보호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441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54B1 (ko) * 2011-08-22 2013-11-2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목 지지장치
KR101602707B1 (ko) * 2014-11-18 2016-03-11 김철우 수목 지지용 체결장치
RU2587256C1 (ru) * 2015-03-03 2016-06-20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Дегтярев Опора для молодых деревьев
CN106069584A (zh) * 2016-08-26 2016-11-09 河南绿普森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杜仲树木支撑装置
CN106069578A (zh) * 2016-05-26 2016-11-09 林之铠 一种能自动松环的树木抗风支架
CN107258463A (zh) * 2017-07-03 2017-10-20 翟广科 一种护树架
CN108575541A (zh) * 2018-04-24 2018-09-28 芜湖天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种植树苗的扶持架的夹紧固定装置
CN108718897A (zh) * 2018-04-09 2018-11-02 淮北达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苗木种植用扶正装置
KR102082332B1 (ko) * 2019-10-21 2020-02-27 박동록 다목적 지지대
CN110924259A (zh) * 2019-12-06 2020-03-27 安徽微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橡胶护树板
KR20200108994A (ko) * 2019-03-12 2020-09-22 육근석 수목 지지장치
KR102169621B1 (ko) * 2020-05-13 2020-10-23 허병갑 충격 보호 기능이 구비된 수목 보호대
KR102265472B1 (ko) * 2021-03-16 2021-06-1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CN114097508A (zh) * 2021-12-23 2022-03-01 薛文 一种园林绿化用树木保温防冻结构
CN115039632A (zh) * 2022-07-12 2022-09-13 徐州中矿地科岩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地质灾害的生态环境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980U (ko) * 1987-11-18 1989-07-07 김주찬 수목지지구
KR900006094U (ko) * 1988-09-20 1990-04-02 김주찬 수목 지지구
KR930000035U (ko) * 1991-06-19 1993-01-20 오중천 나무 지지대
KR200229324Y1 (ko) * 2001-02-07 2001-07-03 박덕봉 수목 지지대
KR200367898Y1 (ko) * 2004-08-06 2004-11-17 김인찬 수목지지대
KR100778074B1 (ko) *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980U (ko) * 1987-11-18 1989-07-07 김주찬 수목지지구
KR900006094U (ko) * 1988-09-20 1990-04-02 김주찬 수목 지지구
KR930000035U (ko) * 1991-06-19 1993-01-20 오중천 나무 지지대
KR200229324Y1 (ko) * 2001-02-07 2001-07-03 박덕봉 수목 지지대
KR200367898Y1 (ko) * 2004-08-06 2004-11-17 김인찬 수목지지대
KR100778074B1 (ko) * 2006-07-18 2007-11-29 (주) 삼육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54B1 (ko) * 2011-08-22 2013-11-2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목 지지장치
KR101602707B1 (ko) * 2014-11-18 2016-03-11 김철우 수목 지지용 체결장치
RU2587256C1 (ru) * 2015-03-03 2016-06-20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Дегтярев Опора для молодых деревьев
CN106069578A (zh) * 2016-05-26 2016-11-09 林之铠 一种能自动松环的树木抗风支架
CN106069584A (zh) * 2016-08-26 2016-11-09 河南绿普森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杜仲树木支撑装置
CN107258463A (zh) * 2017-07-03 2017-10-20 翟广科 一种护树架
CN108718897A (zh) * 2018-04-09 2018-11-02 淮北达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苗木种植用扶正装置
CN108575541A (zh) * 2018-04-24 2018-09-28 芜湖天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种植树苗的扶持架的夹紧固定装置
CN108575541B (zh) * 2018-04-24 2020-06-16 芜湖天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种植树苗的扶持架的夹紧固定装置
KR20200108994A (ko) * 2019-03-12 2020-09-22 육근석 수목 지지장치
KR102328811B1 (ko) * 2019-03-12 2021-11-22 주식회사 알피온 수목 지지장치
KR102082332B1 (ko) * 2019-10-21 2020-02-27 박동록 다목적 지지대
CN110924259A (zh) * 2019-12-06 2020-03-27 安徽微威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橡胶护树板
KR102169621B1 (ko) * 2020-05-13 2020-10-23 허병갑 충격 보호 기능이 구비된 수목 보호대
KR102265472B1 (ko) * 2021-03-16 2021-06-1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CN114097508A (zh) * 2021-12-23 2022-03-01 薛文 一种园林绿化用树木保温防冻结构
CN115039632A (zh) * 2022-07-12 2022-09-13 徐州中矿地科岩土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地质灾害的生态环境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5039632B (zh) * 2022-07-12 2023-09-26 中矿地科技术研究院(江苏)有限公司 一种用于地质灾害的生态环境治理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441B1 (ko) 수목 보호 지지대
KR101003930B1 (ko) 수목 보호 지지대
KR100986012B1 (ko) 공압식 수목 보호 지지대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CN107839626A (zh) 用于车辆的减震组件、油箱泵及发动机下护板组件
KR101106713B1 (ko) 헬리콥터용 완충장치
KR101823565B1 (ko) 진동 완충 기능을 가진 조명등
KR20070076037A (ko) 진동흡수기능을 구비하는 배관 서포트장치
US6318750B1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troller
KR101487421B1 (ko) 선박용 파이프 서포터
KR101414783B1 (ko) 내진형 가로등
CN204095936U (zh) 悬置支座和车辆
CN209977149U (zh) 一种采煤机用减震装置
JP2010133184A (ja) 背負い式作業機
KR100859801B1 (ko) 벽면 지지암이 구비된 사다리
TW200505733A (en) Bicycle suspension assembly
JP3134479U (ja) 緩衝材付ハンマー
KR20050012886A (ko) 완충기능이 구비되는 헤머
CN108730395B (zh) 具有仿生听骨链结构的减震器
CN217232838U (zh) 一种土建工程用安全防护装置
CN217496529U (zh) 减震脚架和无人机
CN111379813A (zh) 一种改进型防断裂减震器
CN212011816U (zh) 一种防潮减震的户外配电柜
KR101074326B1 (ko) 구조물의 다방향 충격흡수장치
KR200324911Y1 (ko) 가구용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