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163B1 -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163B1
KR100888163B1 KR1020070121238A KR20070121238A KR100888163B1 KR 100888163 B1 KR100888163 B1 KR 100888163B1 KR 1020070121238 A KR1020070121238 A KR 1020070121238A KR 20070121238 A KR20070121238 A KR 20070121238A KR 100888163 B1 KR100888163 B1 KR 100888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upper plate
horn switch
lower plate
oper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일호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에 구동 에어백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에어백 장착부(11)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3)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15)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되 스프링(16)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10)와, 좌우측에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슬롯(21)이 구비된 수직 이동 가이드편(22)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부(23)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15)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된 전기 접촉 리벳(31)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되며 전선(3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기 접촉 단자(32)로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를 누를 때 통전되는 전기 통전부(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눌러질 때에만 전기 통전부(30)를 통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볼트(15)와 전기 접촉 단자(32) 하부에 구비된 절연체(40)와, 일측은 상부 플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회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피벗핀(51)과 피벗공(52)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터그래프(50)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는 상기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오목홈(18)을 구비한 지지편(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균일한 힘으로 혼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 커버와 주변 부품 간의 과도한 틈새 형성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에어백 커버의 복잡한 외각형상일지라도 조립공차에 의한 비틀거림이나 불균일함을 방지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에어백 커버를 구비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조향휠, 에어백, 커버, 혼 스위치, 팬터그래프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Operating structure of horn switch of steering whe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 에어백 커버의 누름 부위에 상관없이 플레이트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항상 균일한 힘으로 조향휠 혼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위급상황시 차량의 진행중임을 상대방에 알려주어 불의의 교통사고를 알려주기 위한 혼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혼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조향휠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에어백이 내장되는 조향휠의 혼 스위치 경우에는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비교적 사이즈가 얇은 멤브레인 스위치인 플로팅 타입 혼 스위치 구조로설치되는 것으로, 에어백 커버의 내면에 체결핀이 돌설되게 하여 상기 체결핀에 의해 상하 스위치를 상하 플레이트 각각에 직접 설치되게 한다.
종래 플로팅 타입 혼 스위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볼트(3)가 상부 플레이트(1)와 하부 플레이트(2)를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하여 지 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와 하부 플레이트(2)에 구비된 스위치 접점은 에어백 커버를 누를 때 접촉하여 통전이 되면서 혼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혼 스위치 구조는 그의 구성을 위해서는 3개 이상의 고정 볼트(3), 스프링(4), 전기 접촉 볼트(6), 절연체(7) 및 전기 접촉 리벳(8)의 조합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합하여 구성된 혼 스위치 구조를 이용하여 혼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에어백 커버의 가장자리를 누르게 되면 반대편에 있는 고정 볼트(3)가 지지대 역할을 하여 에어백 커버를 기울어지게 만든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커버가 복원되었을 때 주변품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서는 에어백 커버와 주변품 간의 단차를 A(1-cosα)를 확보해야 만이 혼 스위치를 작동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혼 스위치 구조의 각 코너 부분에 모두 고정 볼트(3)와 스프링(4)을 위치시켜야 만이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은 한계를 갖고 있다.
즉, 종래의 멤브레인 방식에서 혼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에어백 커버의 특정 부위를 눌러주었을 때는 스위치 구조에 대한 작동감이 좋지 못하여 플레이트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균일하게 움직이지 않아 항상 균일한 힘으로 조향휠 혼 스위치를 작동시키지 못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에어백 커버의 누름 부위에 상관없이 플레이트 전체가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항상 균일한 힘으로 조향휠 혼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측에 구동 에어백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에어백 장착부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되 스프링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와, 좌우측에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슬롯이 구비된 수직 이동 가이드편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부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된 전기 접촉 리벳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되며 전선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기 접촉 단자로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누를 때 통전되는 전기 통전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눌러질 때에만 전기 통전부를 통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볼트와 전기 접촉 단자 하부에 구비된 절연체와, 일측은 상부 플레이트의 힌지결합부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회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피벗핀과 피벗공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터그래프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힌지결합부는 상기 팬터그래프의 돌출핀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오목홈을 구비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팬터그래프의 돌출핀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이동공을 형성한 이탈방지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터그래프의 피벗핀의 일측에는 피벗공으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는 꼬리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편의 수직 슬롯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헤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에어백 커버의 어느 부위를 누른다 할지라도 균일한 힘으로 혼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 커버와 주변 부품 간의 과도한 틈새 형성을 방지하여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에어백 커버의 복잡한 외각형상일지라도 조립 공차에 의한 비틀거림이나 불균일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에어백 커버를 구비할 수 있게 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가 조향휠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을 구비한 자동차 조향휠의 혼 스위치가 작동될 때 구동 에어백 커버의 누름 부위에 상관없이 플레이트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움직여서 항상 동일한 힘으로 혼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는, 상부 플레이트(10), 하부 플레이트(20), 전기 통전부(30), 절연체(40) 및 팬터그래프(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 구동 에어백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에어백 장착부(11)와, 전후방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는 고정 볼트(15)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20)와 결합되어서 조향휠 허브 코어(미도시)에 고정되되 스프링(16)에 의해 상하이동가능 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 볼트(15)의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20)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 볼트(15)는 하부 플레이트(20)와 절연을 위한 절연체(40)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를 구속하여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볼트(15)에 의해서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가 스프링(16)에 의해 밀려날 때, 특정 높이의 소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는 상기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오목홈(18)을 구비한 지지편(1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음에 기술될 팬터그래프(5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그의 돌출핀(53)이 이탈되지 않으면서 오목홈(18)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고정 볼트(15)에 의해 직접적으로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상부 플레이트(10)와 함께 고정되며 각각의 하단부 접점이 위치하여 전류를 통전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팬터그래프(50)의 중심을 지지하는 피벗핀(51)의 상하 수직이동을 조장하도록 좌우측에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슬롯(21)이 구비된 수직 이동 가이드편(22)과,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전후방으로 슬라이 딩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두 개가 한 쌍이 되는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부(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23)는 상기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이동공(24)을 형성한 이탈방지편(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 통전부(30)는 상부 플레이트(1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된 전기 접촉 리벳(31)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되되 수직 이동가이드편(22)에 다음에 기술될 절연체(40)를 통해서 전선(3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기 접촉 단자(32)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 통전부(30)는 상부 플레이트(10)를 누를 때 통전이 되게 한다.
즉, 상기 조향휠 혼은 상부 플레이트(10)를 누르면 전기 접촉 리벳(31)과 전기 접촉 단자(32)가 접촉이 되어 통전되면서 혼이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는 단지 상부 플레이트(10)가 눌러질 때에만 혼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체(40)는 상부 플레이트(10)가 눌러질 때에만 전기 통전부(30)를 통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볼트(15)와 전기 접촉 단자(32) 하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 접촉 단자(32)의 하부에 구비된 절연체(40)는 그를 수직 이동 가이드편(22)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스냅기능을 한다.
상기 팬터그래프(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피벗핀(51)과 피벗공(52)이 구비되며 다수 개로 구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팬터그래프(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부 플 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팬터그래프(50)의 피벗핀(51)의 일측에는 피벗공(52)과 결합후 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꼬리부(5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편(22)의 수직 슬롯(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헤드부(5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52-2)는 도면에서 비록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수직 슬롯(21)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팬터그래프(50)는 피벗핀(51)에 두 개가 한 쌍으로 하여 결합되되 서로 엇갈리게 결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혼 스위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휠 허브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플레이트(10)가 눌러지게 되어 하부 플레이트(20)와 가까워지게 되면 중간에 위치한 팬터그래프(50)가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를 구속하여 상호 간의 각도를 평행하게 유지시켜 준다.
이때, 상기 피벗 핀(51)의 사각형 형상의 헤드부(51-2)가 하부 플레이트(20)의 수직 슬롯(21)에 물려있으며 그의 움직이는 방향을 각각의 플레이트(10, 20)에 수직하게 이동되도록 구속하게 해준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조향휠 혼이 작동될 때, 에어백 커버의 어떤 부위를 누르더라도 각각의 플레이트(10, 20)들은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이게 되고, 그 결과좌/우측의 스프링(16)이 모두 눌러지게 되어 항상 동일한 힘으로 혼을 작동할 수 있게끔 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가 조향휠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상부 플레이트 11: 에어백 장착부
13: 힌지결합부 15: 고정 볼트
16: 스프링 17: 지지편
20: 하부 플레이트 21: 수직 슬롯
22: 수직 이동가이드편 23: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부
24: 이동공 25: 이탈방지편
30: 전기 통전부 31: 전기 접촉 리벳
32: 전기 접촉 단자 33: 전선
40: 절연체 50: 팬터그래프
51: 피벗핀 53: 돌출핀

Claims (5)

  1. 삭제
  2. 좌우측에 구동 에어백을 장착하여 고정하는 에어백 장착부(11)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힌지결합부(13)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15)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되 스프링(16)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10)와, 좌우측에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수직 슬롯(21)이 구비된 수직 이동 가이드편(22) 및 전후방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이동 가이드부(23)를 구비하여서 고정 볼트(15)에 의해 조향휠 허브 코어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2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된 전기 접촉 리벳(31)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20) 좌우 양측 각각에 결합되며 전선(33)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기 접촉 단자(32)로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를 누를 때 통전되는 전기 통전부(3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0)가 눌러질 때에만 전기 통전부(30)를 통해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 볼트(15)와 전기 접촉 단자(32) 하부에 구비된 절연체(40)와, 일측은 상부 플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회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피벗핀(51)과 피벗공(52)이 구비되는 다수개의 팬터그래프(50)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0)의 힌지결합부(13)는 상기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오목홈(18)을 구비한 지지편(1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부(23)는 상기 팬터그래프(50)의 돌출핀(53)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이동공(24)을 형성한 이탈방지편(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50)의 피벗핀(51)의 일측에는 피벗공(52)으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는 꼬리부(5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직이동 가이드편(22)의 수직 슬롯(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속되는 헤드부(5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5. 삭제
KR1020070121238A 2007-11-27 2007-11-27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KR100888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38A KR100888163B1 (ko) 2007-11-27 2007-11-27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38A KR100888163B1 (ko) 2007-11-27 2007-11-27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163B1 true KR100888163B1 (ko) 2009-03-10

Family

ID=4069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38A KR100888163B1 (ko) 2007-11-27 2007-11-27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9803A (zh) * 2010-12-14 2012-07-04 上海方科汽车部件有限公司 方向盘用浮动喇叭机构
KR101449292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혼 스위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4120B2 (en) 2000-04-07 2003-01-07 Darfon Electronics Corp. Push-button switch
JP3431423B2 (ja) * 1996-10-04 2003-07-28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ホーンスイッチ
US6846995B2 (en) * 2002-08-30 2005-01-25 Takata-Petri Ag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horn
KR20050032216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용 에어백모듈의 센터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1423B2 (ja) * 1996-10-04 2003-07-28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ホーンスイッチ
US6504120B2 (en) 2000-04-07 2003-01-07 Darfon Electronics Corp. Push-button switch
US6846995B2 (en) * 2002-08-30 2005-01-25 Takata-Petri Ag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horn
KR20050032216A (ko) * 2003-10-01 200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용 에어백모듈의 센터링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9803A (zh) * 2010-12-14 2012-07-04 上海方科汽车部件有限公司 方向盘用浮动喇叭机构
KR101449292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혼 스위치 장치
US8998251B2 (en) 2013-06-03 2015-04-07 Hyundai Motor Company Horn switch device for steering whe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694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US6719324B2 (en) Horn contact apparatus and method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CN104867771A (zh) 一种具有良好手感的开关
US20020041087A1 (en) Steering wheel assembly and a switching device thereof
KR100888163B1 (ko) 자동차용 조향휠의 혼 스위치 작동구조
JP2015512240A (ja) セグメント化された集電シューアセンブリ
CN212604810U (zh) 用于方向盘的喇叭系统和方向盘总成
US6485090B1 (en) Motor vehicle roof with adjustable closure element
KR100296525B1 (ko) 스티어링휠
US3329785A (en) Rectangular conductor harness means and attachments
KR20045066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US6846995B2 (en)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horn
JP2001341085A (ja) 移動ロボット
KR101594626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칭 시스템
KR200434677Y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 스위치의 가동 단자 구조
US6544043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chanism for resistive gridded rear drop glass
KR20080093632A (ko) 자동차용 혼 장치
CN210096915U (zh) 一种火车模型车钩与火车模型
JP4319901B2 (ja) 電気接続箱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KR101047568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이동구조
KR100306073B1 (ko) 자동차의경음기스위치구조
KR100587408B1 (ko) 차량의 혼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60897Y1 (ko)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