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73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73B1
KR100888073B1 KR1020080092175A KR20080092175A KR100888073B1 KR 100888073 B1 KR100888073 B1 KR 100888073B1 KR 1020080092175 A KR1020080092175 A KR 1020080092175A KR 20080092175 A KR20080092175 A KR 20080092175A KR 100888073 B1 KR100888073 B1 KR 10088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ltrasonic
winding
wir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성도엔지니어링기술사/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80092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6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waves, fields or rays, e.g. sound waves, microwaves, electric waves, magnetic fields, light 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0)의 전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기구의 전선(C)이 권취되는 권취부재(300)와, 권취부재(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 및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500) 및 해충퇴치를 위한 초음파발생장치(600)가 보강된 구조로서, 전기구의 전선(C) 길이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부재(300)에 전선(C)을 감은 뒤 케이스(100)에 내설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미관을 좋게 하면서도, 해충퇴치기능을 갖춘 초음파발생장치(600)가 보강되어 전기구로의 전원공급원 역할뿐 아니라 공간이 활용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 Outlet of an Apartment House }
본 발명은 내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구로 전원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다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벽체내에 매설되어진 전선의 말단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을 각 전기구로 공급하기 위해 실내 곳곳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콘센트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벽체 중 임의의 장소에 매설되므로, 이에 전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해서 전기구는 충분한 길이의 전선을 갖춘다. 만약, 전선의 길이가 짧다면, 통상적으로 멀티탭과 같은 연장기구를 사용해야하므로 대부분의 전기구는 일정길이 이상의 전선을 구비한다.
그런데, 때에 따라서는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와 해당 전기구의 위치가 가까워서 해당 전기구 전선의 길이가 불필요하게 긴 경우도 있다. 이렇게, 전기구의 전선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면, 전선이 바닥에 늘어져서 미관상 좋지 않을 뿐 만 아니라, 늘어진 전선에 발이 걸려서 넘어질 수 있는 등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케이블 타이, 케이블 홀더 또는 몰딩 등과 같은 별도의 전선정리용 보조수단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보조수단은 구입에 따른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소모성이므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한 즉시 사용하기 위해선 미리 준비해서 보관해 놓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게다가, 이렇게 전선정리용 보조수단으로 전선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전선을 원 형상으로 수차례 감아 보조수단으로 고정하는데 사람이 직접 감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보조수단을 이용하여 전선을 감아 놓더라도 감겨진 상태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므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기온의 상승으로 인해 사철 구분없이 실내에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출몰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 모기향 등 별도의 해충퇴치수단을 내선연결장치에 연결하여 작동시켰다. 그런데, 이러한 해충퇴치수단은 전선을 포함하므로 이 또한 바닥에 배치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모품이어서 사용 후에는 재구입을 해야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해충퇴치수단을 필요한 요소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시간, 인력, 설치공간 등이 별도로 요구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보조수단 없이도 자동으로 전기구의 전선 길이 조절도 가능하고 미관도 해치지 않으면서 해충퇴치기능도 구비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삽입홈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걸림턱을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고, 걸림턱에 걸려 이탈방지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권취부와, 둘레면에 전선걸이홈이 형성되고 권취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계부와, 회전중심에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면서도 회전가능하게 맞물리는 걸림홈을 갖춘 권취부재와; 구동축을 구비하고, 케이스에 내설되어, 권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와 상기 케이스에 노출설치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12KHz ~ 17KHz 대역의 초음파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생성유닛과, 케이스에 설치되어 초음파생성유닛으로부터의 초음파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초음파를 외부로 출력하는 초음파출력유닛과, 케이스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초음파생성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구비한 초음파발생장치가 보강된 구조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구의 전선 길이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취부재에 전선을 감은 뒤 케이스에 내설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미관을 좋게 하면서도, 해충퇴치기능을 갖춘 초음파발생장치가 보강되어 전기구로의 전원공급원 역할뿐 아니라 공간활용의 효과도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인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초음파발생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케이스(100), 접속단자(200), 권취부재(300), 구동모터(400), 제1스위치(500) 및 초음파발생장치(6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벽체에 내설되는 통상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용 케이스로서, 전면(f)에 플러그(P)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홈(110)과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삽입홈(110)에는 플러그단자(미도시) 삽입되는 단자삽입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20)는 원 형상이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121)에는 전선인출구(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는 구동모터(4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안착부(130)가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200)는 벽체(W)에 내설된 전선(미도시)의 말단에 설치된 통상의 전원공급단자로서, 단자삽입구(111)에 전기구의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면 접속되도록 케이스(100)에 내설된다.
상기 권취부재(300)는 회전판(310), 권취부(320), 경계부(330) 및 걸림홈(340)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실패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310)은 케이스(100)의 개구부(120)에 설치되고, 개구부(120)의 걸림턱(121)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121)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진 원형상의 판이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320)는 회전판(310)의 전방에서 직경축소되어 개구부(120)를 관통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돌출된 권취부(320)의 둘레면을 따라 전선(C)이 권취된다. 상기 경계부(330)는 권취부(320)에 권취된 전선(C)이 전방으로 이탈되어 풀리지 않도록, 권취부(320) 전면의 직경이 확대되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구동모터(400)에 의해 권취부재(300)가 회동되기 때문에 단순히 권취부(320)에 전선(C)을 걸쳐놓으면, 권취부재(300)가 회전되면서 전선(C)은 감기지 않고 권취부(320)의 둘레만 겉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계부(330)는 둘레면에 전선(C)을 통과시켜 걸 수 있도록 전선걸이홈(331)을 갖춘다. 상기 걸림홈(340)은 권취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부(b)를 1개 이상 구비하고서 회전판(310) 및 권취부(320)를 관통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권취부재(300)의 회전중심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400)는 구동축(410)을 구비하고서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통상의 모터로서, 접속단자(200)에 접속된 전선(미도시)으로부터 전류를 유도하여 정류하거나 상용전지 등의 공지된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전방에 구동축(410)이 배치되도록 안착부(130)에 안착되어 케이스(100)에 내설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410)에는 걸림홈(340)의 돌부(b)에 대응되는 요부(a)가 구동축(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호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00)의 구동축(410)에 권취부재(300)의 걸림홈(340)이 맞물려서 결합되면, 권취부재(300)가 구동축(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도, 구동축(410)이 회전되면 권취부재(300)도 이에 연동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스위치(500)는 통상의 토글스위치로서, 케이스(100)에 제1버튼(510)이 노출설치되어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버 튼(510)이 상방으로 배치되면 구동모터(4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버튼(510)이 중앙에 배치되면 구동모터(400)의 작동이 중지되며, 제1버튼(510)이 하방에 배치되면 구동모터(4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부가적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f)에 사용상 편의를 위해 구동모터(400)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s)가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발생장치(600)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해충 퇴치에 효과적인 특정 주파수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초음파생성유닛(610), 초음파출력유닛(620) 및 제2스위치(630)로 구성되어 케이스(100)에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생성유닛(610)은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모기 등의 해충 등이 기피하는 12KHz ~ 17KHz 대역의 초음파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소정 주파수를 발진하는 주파수 발진부(미도시)와, 발진된 소정 주파수를 초음파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시켜 변환된 초음파신호를 초음파출력유닛(620)으로 출력하는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이는 공지되어 공연실시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초음파출력유닛(620)은 초음파생성유닛(610)으로부터의 초음파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초음파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케이스(100)에 노출설치되는 스피커이다. 상기 제2스위치(630)는 통상의 푸쉬버튼스위치로서 조작가능하게 제2버튼(631)이 케이스(100)에 노출설치되어, 초음파생성유닛(610) 및 초음파출력유닛(620)의 작동을 온/오프 제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2스위치(630)가 오프 상태이면 초음파생성유닛(610) 및 초음파출력유닛(62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고,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외부로 초음 파가 출력되므로, 필요에 따라 초음파발생장치(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00)는 제1부재(710)와 제2부재(720)를 구비하고서, 케이스(100)에 조작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작을 통해 권취부재(3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710)는 케이스(100)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노출설치되어 조작되는 손잡이부(711)와, 손잡이부(711)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걸림판(71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720)는 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부재(710)의 걸림판(712)에 맞닿아 개구부(120)에 완전히 삽입된 권취부재(300)의 회전판(310)을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의 작용을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미사용시, 상기 권취부재(300)가 케이스(100)에 내삽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스토퍼(7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500)의 제1버튼(510)이 중앙에 배치되어 구동모터(400)는 작동대기상태로 설정되고, 제2스위치(630) 역시 오프 상태로 배치되어 초음파발생장치(600) 또한 작동대기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사용시, 접속될 전기구의 전선(C)의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11)를 회전시켜 스토퍼(700)에 의한 권취부재(300)의 고정을 해제한 뒤, 권취부재(30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한다.
그리고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걸이홈(331)에 전기구 전선(C)이 배치되도록 플러그(P) 측 전선(C)을 걸어통과시킨 뒤, 제1버튼(510)을 상방으로 배치하여 구동모터(40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권취부재(300)가 회전되면서 전기구 전선(C)이 권취부(320) 둘레를 감게 되어 길이가 줄어들며, 적정길이로 줄어들면 제1버튼(510)을 중앙에 배치하여 구동모터(400)로의 전원공급을 중지한 뒤, 플러그삽입홈(110)에 플러그(P)를 삽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상기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에 접속되어진 전기구의 전선(C)이 불필요하게 길은 경우, 보조수단 없이도, 권취부(320)에 전선(C)을 감아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 어, 미관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전선(C)의 길이가 줄어들면, 걸려서 넘어질 위험성도 줄어들어 안전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는, 상기 전선걸이홈(331)이 형성된 권취부재(300)가 구동모터(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전선(C)을 권취부(320)에 일일이 감거나 풀을 필요 없어 편리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재(300)에 전선(C)이 감겨진 상태에서 전기구 측 전선(C)을 전선인출구(121a)에 배치한 뒤, 권취부재(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외부로 감겨진 전선(C)이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전기구의 접속을 중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500) 의 제1버튼(510)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구동모터(4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권취부(320)에 감겨진 전선(C)이 풀어지면, 제1버튼(510)을 중앙에 배치하여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그리고서, 상기 전선걸이홈(331)으로부터 전선(C)을 분리시킨 뒤 플러그(P)를 잡아뺀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300)를 케이스(100)에 내삽되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킨 뒤, 손잡이부(711)를 회전시켜 권취부재(300)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해충을 퇴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초음파발생장치(600)의 제2스위치(63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면 초음파생성유닛(610) 및 초음파출력유닛(620)으로 전원이 공급되면서, 해충이 기피하는 일정주파수대의 초음파가 외부로 출력되어 해충을 퇴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기향 등 해충퇴치를 위한 별도용품 없이도, 케이스(100)에 설치된 제2스위치(630)만 온/오프 조작하면 되므로,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면서도, 해충퇴치수단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시간, 인력 또한 요구되지 않으므로, 해충 퇴치가 편리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초음파발생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부재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0:케이스, 110:플러그삽입홈, 111:단자삽입구,
120:개구부, 121:걸림턱, 121a:전선인출구,
130:안착부, 200:접속단자, 300:권취부재, 310:회전판,
320:권취부, 330:경계부, 331:전선걸이홈, 340:걸림홈,
400:구동모터, 410:회전축, 500:제1스위치,
510:제1버튼, 600:초음파발생장치, 610:초음파생성유닛,
620:초음파출력유닛, 630:제2스위치, 631:제2버튼,
700:스토퍼, 710:제1부재, 711:손잡이부, 712:걸림판,
720:제2부재, C:전선, P:플러그,
W:벽체, a:요부, b:돌부, f:전면, s:표시부.

Claims (1)

  1. 플러그삽입홈(110)을 갖추고서 벽체에 설치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내설되는 접속단자(2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걸림턱(121)을 갖는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고, 걸림턱(121)에 걸려 이탈방지되는 회전판(310)과, 회전판(3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권취부(320)와, 둘레면에 전선걸이홈(331)이 형성되고 권취부(32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선(C)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계부(330)와, 회전중심에 형성되고 구동모터(400)의 구동축(410)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홈(340)을 갖춘 권취부재(300)와;
    구동축(410)을 구비하고,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권취부재(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노출설치되어, 구동모터(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500)와,
    상기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12KHz ~ 17KHz 대역의 초음파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생성유닛(610)과,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초음파생성유닛(610)으로부터의 초음파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초음파를 외부로 출력하는 초음파출력유닛(620)과, 케이스(100)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초음파생성유닛(6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630)를 구비한 초음파발생장치(600)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KR1020080092175A 2008-09-19 2008-09-19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KR10088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75A KR100888073B1 (ko) 2008-09-19 2008-09-19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75A KR100888073B1 (ko) 2008-09-19 2008-09-19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073B1 true KR100888073B1 (ko) 2009-03-12

Family

ID=4069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75A KR100888073B1 (ko) 2008-09-19 2008-09-19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30B1 (ko) * 2021-05-26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KR102363427B1 (ko) * 2021-05-25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01A (ja) * 2000-06-20 2002-01-09 Motohide Arayama 屋根材割り付けシステム
KR200342746Y1 (ko) 2003-11-14 2004-02-18 박석규 전선권취구
KR100863291B1 (ko) 2008-08-29 2008-10-16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501A (ja) * 2000-06-20 2002-01-09 Motohide Arayama 屋根材割り付けシステム
KR200342746Y1 (ko) 2003-11-14 2004-02-18 박석규 전선권취구
KR100863291B1 (ko) 2008-08-29 2008-10-16 (주)삼삼이엔지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27B1 (ko) * 2021-05-25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지중배전라인 분기가 용이한 기능성 향상 연결 커넥터
KR102363430B1 (ko) * 2021-05-26 2022-02-16 주식회사 동경엔지니어링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842A (en) In-wall retractable vacuum cleaning hose access and storage device
US5236371A (en) Wall-mounted electrical power supply
EP0938444B1 (en) Reel
US8544623B1 (en) Cord organizing system for hair shears
FR3041987A3 (fr) Volet roulant electrique a economie d'energie
KR100888073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내선연결장치
JP2017095953A (ja) 電動スクリーン装置
JPH10203735A (ja) 着脱式簡易コードリール
KR101310351B1 (ko) 대기 전력 소모 차단용 플러그
FR2497660A1 (fr) Tampon chauffant comportant un vibreur
KR200401346Y1 (ko) 휴대용 전선릴
KR100861571B1 (ko) 공동주택의 분배전을 위한 통전스위치
KR10086329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구 제어형 콘센트
KR101151930B1 (ko)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KR20080052776A (ko) 출몰식 전선연장기구
KR100972450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 제어함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200232251Y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전원콘센트
KR100759522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배전 선로용 연결기구
KR20090000234U (ko) 가전기기의 전선 권취장치
KR200354976Y1 (ko) 화장지 케이스
KR100878205B1 (ko) 플러그가 일체로 형성된 전선권취장치
KR200294023Y1 (ko) 멀티 탭
KR200378772Y1 (ko)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 박스
JP2005272104A (ja) コード巻取り装置をそなえた電気機器及び該電気機器のコードを巻き取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