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930B1 -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930B1
KR101151930B1 KR1020110002129A KR20110002129A KR101151930B1 KR 101151930 B1 KR101151930 B1 KR 101151930B1 KR 1020110002129 A KR1020110002129 A KR 1020110002129A KR 20110002129 A KR20110002129 A KR 20110002129A KR 101151930 B1 KR101151930 B1 KR 10115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wall
wire
use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동
김종달
Original Assignee
김종달
김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달, 김순동 filed Critical 김종달
Priority to KR102011000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콘센트; 사용자에 의해 벽면으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에 부착되어 상기 콘센트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키는 콘센트 선; 상기 벽면에 내장되며 상기 콘센트 선을 감아 보관하는 릴; 상기 콘센트 선이 통과될 수 있는 선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상기 사용자가 잡아당긴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의해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선 고정 장치; 및 상기 커버에 돌출되며 사용자가 누를 경우 상기 선 고정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는 회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에 따르면, 플러그가 아닌 콘센트 자체를 사용자가 잡아 당겨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 선의 연장이 불가능한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콘센트의 위치로 인해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는, 사용자가 벽면에 돌출된 회수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벽면으로 빨려 들어간 뒤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편리하게 콘센트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으며, 콘센트 선을 벽면 내부에 감아 보관하여 벽면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는, 콘센트 선의 끝 부분에 마찰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콘센트 선을 무리하게 잡아당기지 못하도록 하여 콘센트 선의 단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채로 일정 시간 방치된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AN APPARATUS FOR EXTENDING POWER LINE MOUNTED IN A WALL}
본 발명은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벽면에 내장된 콘센트를 원하는 대로 잡아당겨서 사용함으로써, 플러그 선이 짧은 전자기기에도 용이하게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는 220V의 전기를 공급받아야만 작동한다. 이때 전자기기에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플러그를 벽면 등에 구비된 콘센트에 삽입한 뒤 전자기기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는 콘센트의 경우 벽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연결된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고자 할 시 플러그 선의 길이를 감안하여 전자기기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즉, 전자기기의 플러그 선이 짧을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위치를 콘센트에 근접하도록 변경하거나 또는 콘센트 연장선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불편하며 불필요하게 비용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자기기의 내부에 플러그 선을 감아 보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플러그를 잡아당겨서 벽면의 콘센트에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주로 집안 전체를 돌아다녀야 하는 청소기 용품에 사용되며, 플러그 선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치는 물품에 내장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하나의 물품에 대해서만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이며, 다른 전자기기는 여전히 종래의 단점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즉, 콘센트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 전자기기의 사용범위에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은 현재의 장치들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플러그가 아닌 콘센트 자체를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 선의 연장이 불가능한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콘센트의 위치로 인해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벽면에 돌출된 회수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벽면으로 빨려들어간 뒤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편리하게 콘센트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으며, 콘센트 선을 벽면 내부에 감아 보관하여 벽면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을 수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콘센트 선의 끝 부분에 마찰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콘센트 선을 무리하게 잡아당기지 못하도록 하여 콘센트 선의 단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채로 일정 시간 방치된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벽면으로부터 잡아당겨져서 상기 콘센트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키는 콘센트 선;
상기 벽면에 내장되며 상기 콘센트 선을 감아 보관하는 릴;
상기 콘센트 선이 통과될 수 있는 선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상기 사용자가 잡아당긴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의해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선 고정 장치; 및
상기 커버에 돌출되며 사용자가 누를 경우 상기 선 고정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는 회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릴을 감싸 보호하며 전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 선에는,
잡아당겨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의 상기 선 배출구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 선에는,
상기 콘센트가 연결된 끝단의 반대편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표면에 마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 길이는,
1cm 내지 1m 또는 상기 콘센트 선의 전체 길이에 대한 1 내지 20%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 선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개스킷과의 마찰을 통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스킷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수 버튼을 누를 경우 선 배출구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마찰 부재와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센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및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지 않았음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감지된 경우, 상기 선 고정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는 자동 회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에 따르면, 플러그가 아닌 콘센트 자체를 사용자가 잡아당겨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플러그 선의 연장이 불가능한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콘센트의 위치로 인해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는, 사용자가 벽면에 돌출된 회수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벽면으로 빨려들어간 뒤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벽면에 고정시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편리하게 콘센트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으며, 콘센트 선을 벽면 내부에 감아 보관하여 벽면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는, 콘센트 선의 끝 부분에 마찰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콘센트 선을 무리하게 잡아당기지 못하도록 하여 콘센트 선의 단선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채로 일정 시간 방치된 경우 자동으로 콘센트 선이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콘센트가 불필요하게 노출되어 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10)는, 콘센트(100), 콘센트 선(200), 릴(300), 커버(400), 회수 버튼(500), 선 고정 장치(600), 케이스(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센트(100)는, 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플러그 삽입구(110)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기기(도시하지 않음)는 220V의 전원이 필요하며, 일부 전자기기의 경우에만 110V의 전원으로 구동되므로 본 발명의 콘센트(100)는 220V 플러그에 적합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100)에는 2개의 플러그 삽입구(110) 외에도 접지 설비(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접지 설비의 구성은 일반적인 콘센트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콘센트 선(200)은, 콘센트(100)에 삽입되는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벽면(도 2a의 20)으로부터 잡아당겨져서 콘센트(100)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킨다. 콘센트 선(200)은 콘센트(1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원리에 대하여 이하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10)는, 벽면(20)에 내장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평소에는 외관상으로 일반적인 콘센트(100)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10)의 콘센트(100)를 파지하여 잡아당길 경우, 콘센트(100)에 연결된 콘센트 선(200)이 벽면(20)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당겨져 나오기 때문에 콘센트(100)의 위치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벽면(20)에 내장된 형태로서 벽면(20)의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콘센트(100) 및 콘센트 선(200)이 벽면(2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비교적 짧은 플러그 선을 갖는 전자기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콘센트(100)를 잡아당겨서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전자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콘센트 선(200)에는, 잡아당겨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금을 이용하여 벽면(20)과 콘센트(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일정한 위치에 배치하는데도 참조될 수 있다.
릴(300)은, 벽면(20)에 내장되며 콘센트 선(200)을 감아 보관한다. 바퀴 형태이며 내부에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전 상태로 회전하고자 하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콘센트(100)를 잡아당겨서 콘센트 선(200)을 릴(300)로부터 풀어낼 경우, 릴(300)이 복원력을 갖지 못한다면 콘센트 선(200)은 벽면(20)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사용자는 벽면(20) 내부에 위치한 릴(300)을 다시 회전시켜서 콘센트 선(200)을 감아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릴(300)은 콘센트 선(200)이 모두 감긴 형태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지녀야 하며, 다만 전자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릴(300)이 복원된다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은 선 고정 장치(600)를 이용하여 콘센트 선(200)이 예상치 못하게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를 경우에는 복원력에 의해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자동으로 감길 수 있을 것이다.
커버(400)는, 콘센트 선(200)이 통과될 수 있는 선 배출구(410)가 형성되며, 벽면(20)에 부착되어 릴(3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릴(300)을 이용하여 콘센트 선(200)을 감아 보관하는데, 만약 콘센트 선(200)이 감긴 릴(300)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된다면 벽면(20)의 외관을 훼손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유입되어 내부 구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모두 감겨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외관을 일반적인 콘센트(100)와 유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은 선 배출구(410)를 통해 콘센트 선(200)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릴(300)이 벽면(2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400)를 벽면(20)에 설치함으로써 벽면(2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 고정 장치(600)는, 사용자가 잡아당긴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의해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릴(300)은 콘센트 선(200)을 감는 복원력을 갖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콘센트(100)를 잡아당긴 이후 콘센트 선(200)이 고정되지 않는다면, 콘센트(100)에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삽입시켰을 때 콘센트 선(200)이 감김에 따라 전자기기가 벽면(20)을 향해 움직일 수 있어 문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콘센트 선(200)을 잡아당겼을 경우 잡아당겨진 콘센트 선(200)을 그대로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선 고정 장치(600)는,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를 경우 콘센트 선(200)의 고정을 해제하여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감기도록 한다.
회수 버튼(500)은, 커버(400)에 돌출되며 사용자가 누를 경우 선 고정 장치(600)의 작동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감겨 보관되도록 한다. 선 고정 장치(600)만 구비할 경우 본 발명은 복원력이 없는 릴(300)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콘센트 선(200)의 회수가 매우 불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릴(300) 자체가 복원력을 갖도록 하되, 사용자가 콘센트 선(200)을 잡아당길 경우 선 고정 장치(600)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고,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를 경우 복원력을 통해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수 버튼(500)은 선 고정 장치(6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를 경우 선 고정 장치(600)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 고정 장치(600)는 콘센트 선(200)을 압박함으로써 릴(30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며, 회수 버튼(500)은 선 고정 장치(600)를 회동시켜 콘센트 선(200)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릴(300)의 복원력이 콘센트 선(20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스(700)는, 벽면(20)의 내부에 위치하고 릴(300)을 감싸 보호하며 전면에 커버(400)가 결합된다. 벽면(20)을 파내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 뒤 릴(300)을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이 경우 벽면(20)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분진 등이 릴(300)에 흡입됨에 따라 릴(300)의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고, 콘센트 선(200)에 먼지가 흡착됨에 따라 사용자가 콘센트(100)를 잡아당길 경우 먼지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릴(300)을 감싸 보호하는 케이스(70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700)의 전면에는 선 배출구(410)가 형성된 커버(400)를 결합하여 케이스(700)의 내부 공간을 격리시킴으로써 릴(300) 및 콘센트 선(200)을 분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10)에서, 커버(400)의 선 배출구(410)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420)이 구비될 수 있고, 콘센트 선(200)에는 콘센트(100)가 연결된 끝단의 반대편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표면에 마찰 부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찰 부재(210)는, 사용자가 콘센트 선(200)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개스킷(420)과의 마찰을 통해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콘센트 선(200)을 잡아당길 때 콘센트 선(200)이 어느 정도까지 당겨질 수 있는지에 대해 정확히 감지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콘센트 선(200)이 릴(300)로부터 모두 풀릴 때까지 최대한 당기게 된다. 그러나 이는 콘센트 선(200)의 끝단에 강한 힘을 가하게 되기 때문에 콘센트 선(200)의 단선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콘센트 선(200)의 일정 부분에 마찰 부재(21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콘센트 선(200)을 당기는 도중 마찰 부재(210)와 개스킷(42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지함으로써 콘센트 선(200)을 무리하게 당기지 않도록 하여, 콘센트 선(200)의 단선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일정 부분은 1㎝ 내지 1m 또는 콘센트 선(2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1 내지 20%일 수 있으며, 개스킷(420)에 의해 직경이 결정되는 선 배출구(410)는, 콘센트 선(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되, 마찰 부재(210)가 형성된 콘센트 선(200)의 전체 직경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하여 마찰력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마찰 부재(210)와 개스킷(420)이 밀착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르더라도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다시 감기는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개스킷(420)은 사용자가 회수 버튼(500)을 누를 경우 선 배출구(410)를 확장시켜서 마찰 부재(210)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수 버튼(500)이 눌려지면 선 배출구(410)는 개스킷(420)의 움직임에 따라 확장되어 마찰 부재(210)와의 접촉을 회피함으로써, 콘센트 선(200)이 마찰력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릴(300)에 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스킷(420)은 일반적인 카메라의 조리개와 같은 방식으로, 선 배출구(410)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10)는, 사용자가 콘센트(100)를 벽면(20)으로부터 당겨서 사용한 후 그대로 장시간 방치할 경우 콘센트 선(200)이 자동으로 감겨서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플러그 삽입 감지부(도시하지 않음)와 자동 회수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삽입 감지부는, 콘센트(100)의 전면 또는 플러그 삽입구(110)에 위치하여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콘센트(100)가 당겨진 뒤 그대로 방치되었다고 하여 무조건 이전 상태를 자동으로 복귀시킨다면, 전원을 장시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야 하는 냉장고, 전자레인지, 네트워크 공유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구동할 경우, 콘센트 선(200)이 자동으로 감김에 따라 전자기기가 예상치 못하게 움직이거나 또는 콘센트 선(200)에 불필요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센트 선(200)이 다시 감기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자동 회수 장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100)에 삽입되지 않았음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감지된 경우, 선 고정 장치(600)의 작동을 해제한다. 플러그 삽입 감지부가 플러그 삽입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자동 회수 장치는 플러그가 콘센트(10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된 시간을 측정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선 고정 장치(600)를 회동시켜 콘센트 선(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콘센트 선(200)이 릴(300)에 다시 감기도록 한다.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어 있다면, 콘센트 선(200)이 사용자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고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일정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일 수 있으며, 자동 회수 장치는 일반적인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한 뒤 선 고정 장치(600)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 회수 장치가 선 고정 장치(600)를 제어하는 원리는, 타이머로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것을 확인한 경우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선 고정 장치(60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구현할 수 있는 수준에 불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20: 벽면 100: 콘센트
110: 플러그 삽입구 200: 콘센트 선
210: 마찰 부재 300: 릴
400: 커버 410: 선 배출구
420: 개스킷 500: 회수 버튼
600: 선 고정 장치 700: 케이스

Claims (10)

  1.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삽입구가 형성된 콘센트;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며, 사용자에 의해 벽면으로부터 잡아당겨져서 상기 콘센트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키는 콘센트 선;
    상기 벽면에 내장되며 상기 콘센트 선을 감아 보관하는 릴;
    상기 콘센트 선이 통과될 수 있는 선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
    상기 사용자가 잡아당긴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의해 감기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선 고정 장치; 및
    상기 커버에 돌출되며 사용자가 누를 경우 상기 선 고정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여 자동으로 상기 콘센트 선이 상기 릴에 감겨 보관되도록 하는 회수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선 배출구에는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 선에는 상기 콘센트가 연결된 끝단의 반대편 끝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표면에 마찰 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콘센트 선을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개스킷과의 마찰을 통해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마찰력을 감지하여 콘센트 선을 무리하게 당기지 않도록 하여 콘센트 선의 단선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릴을 감싸 보호하며 전면에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선에는,
    잡아당겨진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길이는,
    1㎝ 내지 1m 또는 상기 콘센트 선의 전체 길이에 대한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회수 버튼을 누를 경우 선 배출구가 확장됨으로써 상기 마찰 부재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의 전면 또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플러그 삽입 감지부; 및
    상기 플러그 삽입 감지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삽입되지 않았음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감지된 경우, 상기 선 고정 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는 자동 회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KR1020110002129A 2011-01-10 2011-01-10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KR101151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29A KR101151930B1 (ko) 2011-01-10 2011-01-10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29A KR101151930B1 (ko) 2011-01-10 2011-01-10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930B1 true KR101151930B1 (ko) 2012-06-01

Family

ID=4668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29A KR101151930B1 (ko) 2011-01-10 2011-01-10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9963A1 (it) * 2019-06-24 2019-09-24 Antonella Grillo Sistema avvolgi-cavo/avvolgi-tubo da incasso
US20220048727A1 (en) * 2021-02-02 2022-02-17 Intradin (Huzhou) Precision Technology Co.,Ltd. Electric win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9963A1 (it) * 2019-06-24 2019-09-24 Antonella Grillo Sistema avvolgi-cavo/avvolgi-tubo da incasso
US20220048727A1 (en) * 2021-02-02 2022-02-17 Intradin (Huzhou) Precision Technology Co.,Ltd. Electric win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878896B2 (en) * 2021-02-02 2024-01-23 Intradin (Huzhou) Precision Technology Co., Ltd. Electric win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254B2 (en) Pipeline inspection device
US9806505B2 (en)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cord reel
TWI544805B (zh) 收線裝置
US11223218B2 (en) Electric window covering and charging system therefor
US20120099256A1 (en) Sensor including retractable power adapter cord
KR101151930B1 (ko) 벽면 내장형 전원선 연장 장치
KR101216318B1 (ko) 이어폰 줄의 감김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케이스
JPH10203735A (ja) 着脱式簡易コードリール
US6471542B1 (en) Power adapter carrying strap
US20170081146A1 (en) Extension Cord Safety System
KR101042267B1 (ko) 이중 콘센트
KR200205460Y1 (ko) 전선의 여장수단을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101454898B1 (ko) 공공주택용 전원콘센트
KR200232251Y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전원콘센트
WO2022040733A1 (en) Retractable lead
KR101479605B1 (ko) 이어독 이어폰
KR101985379B1 (ko) 배전용 내선 보호장치
KR200298225Y1 (ko) 코드 릴
CN211664484U (zh) 一种导线箱
GB2488605A (en) Wall mounted charging device
KR101588623B1 (ko) 벽면 일체형 콘센트 박스
JP3159828U (ja) 延長コードの収納装置
JP2001124670A (ja) 可搬型ガス測定装置
KR20110109597A (ko) 콘센트 장치
JP2005285393A (ja) 埋め込み式伸縮自在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