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939B1 -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939B1
KR100887939B1 KR1020080064524A KR20080064524A KR100887939B1 KR 100887939 B1 KR100887939 B1 KR 100887939B1 KR 1020080064524 A KR1020080064524 A KR 1020080064524A KR 20080064524 A KR20080064524 A KR 20080064524A KR 100887939 B1 KR100887939 B1 KR 10088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pe member
pipe
marine structure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재훈
강석중
Original Assignee
아쿠아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이엔지(주) filed Critical 아쿠아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080064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E03B3/3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of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면과 육상을 연결하여 해저의 심해수를 육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도서지역에 상수도를 보내기 위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연결함과 동시에 침수시키는 긴막대 형상의 웨이트를 개선시켜,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1구형의 웨이트 및 2구형의 웨이트를 구성함으로서,
해상구조물인 파이프 부재의 연결과 동시에 침수역할을 병행할 수 있어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강한 조류에서도 뒤틀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해저면에서 안전하게 해양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양구조물, 파이프 부재, 웨이트

Description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THE SUBMERSING WEIGHT AND METHOD FOR USING IT}
본 발명은 해저면과 육상을 연결하여 해저의 심해수를 육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도서지역에 상수도를 보내기 위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연결함과 동시에 침수시키는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루어진 1구형의 웨이트 및 2구형의 웨이트의 구조를 가지는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 등과 같은 분야에서는 저온이면서 청정상태이고, 영양물질이 다량 함유된 심해수를 공급받아 활용하였다.
이러한 심해수는 특성상 연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양에 존재하므로, 이를 활용하게 위해서는 심해수를 해안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저로부터 육상 또는 해안선에 인접한 연안으로 취수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의 심해수 취수방식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 부재를 연안으로부 터 취수원인 해저면까지 침수시키고, 이를 일일이 모두 연결하여 취수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심해수 취수방식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부재를 일일이 연결하여야 하므로 설치작업의 난이도가 높고, 파이프 부재가 바닥이 고르지 못한 해저면에 위치하므로 파손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파이프 부재를 해저면에 매설하여 취수하는 방법도 모색되어 있으나, 이 방식은 파이프 부재의 설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 및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10-0692362호에서는 해저면과 육상을 연결하여 해저의 심해수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파이프 부재; 상기 복수의 파이프 부재가 삽입되는 파이프 홀더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부재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하부에 웨이트 홀더가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 파이프 부재의 중심으로 유지하게 위해 중량체로 형성되어 상기 웨이트홀더에 삽입되는 웨이트; 상기 파이프 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해수를 가압하는 펌핑 수단;으로 구성된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방법이 제시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는 설치시, 고정 브라켓의 파이프 홀더에 결합되고, 고정 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된 웨이트 홀더에 웨이트를 삽입시켜 결합시킨 후, 해저면에 침수시키기 때문에, 고정 브라켓과 웨이트를 따로 구성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한 조류 및 풍랑으로 인해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이 설치 지역을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해상구조물인 파이프 부재의 연결과 동시에 침수역할을 병행할 수 있어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강한 조류에서도 뒤틀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해저면에서 안전하게 해양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는
해저면과 육상을 연결하여 해저의 심해수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해저면으로 침수시키는 웨이트(100)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100)는 직사각형상의 몸체(110)가 형성되고, 그 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파이프 부재(2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원통형의 제1관통공(120)이 형성되며, 그 제1관통공(120)의 측면 일측에 이웃하는 길이방향의 다른 웨이트가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제2관통공이 짝을 이루며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 구조물의 설치방법은,
파이프 부재에 웨이트를 결합시키는 단계와(S100),
웨이트의 제2관통공으로 로프를 삽입시키는 단계와(S200),
웨이트의 돌출부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볼트결합되는 단계(S300)와,
웨이트에 복수의 파이프 부재와 웨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의 파이프 부재의 양단을 밀봉시키는 단계(S400)와,
웨이트에 파이프 부재와 웨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수원에 위치하는 일단을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하는 단계(S500)와,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한 파이프 부재 및 웨이트를 해수면에서 해저면으로 침하시키는 단계(S600)와,
파이프 부재의 침하가 완료되면, 침하된 파이프 부재의 일단을 펌핑 수단에 연결하고, 타단은 사용처에 연결시키는 단계(S7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상구조물인 파이프 부재의 연결과 동시에 침수역할을 병행할 수 있어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치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강한 조류에서도 뒤틀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해저면에서 안전하게 해양구조물을 지지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110), 제1관통공(120), 제2관통공(130), 돌출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앙을 기준으로 파이프 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원통형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파이프 부재(2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원통형의 제1관통공(120)이 형성되며, 그 제1관통공(120)의 측면 일측에 이웃하는 길이방향의 다른 웨이트가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제2관통공이 짝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몸체는 양측에 돌출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금형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고 20 ~ 40℃에서 5 ~ 18시간 동안 성형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은 시멘트 10 ~ 15wt%, 비중(specific gravity) 2.92, 분말도(blaine, ㎠/g) 4,000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2 ~ 10wt%, 비중 2.63, 직경 8mm 이하의 자갈 35 ~ 45wt%, 모래 30 ~ 40wt%, 물 5 ~ 8wt%, 혼화제 0.02 ~ 1wt%의 배합으로 조성된 것이다.
상기 시멘트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하며, 그 사용량이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해수에 의한 화학적 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시멘트는 전체 혼합량에 대해 10 ~ 15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시멘트의 일정량을 치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해수에 대한 내구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2wt%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수에 의한 화학적 작용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전체 혼합량에 대해 2 ~ 10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갈은 35wt%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45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자갈은 전체 혼합량에 대해 35 ~ 45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래는 30wt% 미만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4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모래는 전체 혼합량에 대해 30 ~ 40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은 5wt% 미만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자체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8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양생 시간이 장시간 소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물은 전체 혼합량에 대해 5 ~ 8w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화제는 시멘트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고 강도에 영향 없이 공기 연행 효과만으로 시공연도를 좋게 하는 것으로 0.02 ~ 1wt%의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성형온도 및 시간은 20 ~ 40℃에서 5 ~ 18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20℃, 5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양생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40℃, 18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성형온도 및 시간은 20 ~ 40℃에서 5 ~ 18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제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자면, 시멘트 15㎏, 고로슬래그 분말 10㎏, 자갈 35㎏, 모래 31㎏, 물 8㎏, 혼화제 1㎏의 혼합물을 안경형상의 금형틀에 주입하고, 25℃에서 15시간 동안 양생하여 완성한다.
상기 제1관통공(1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파이프 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다.
이는 파이프 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삼각형상의 걸림편(125)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처럼, 관통공 내부에 삼각형상의 걸림편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이유는 강한 조류 및 풍량으로 인해 파이프 부재가 관통공 외부로 이탈되어 이웃하는 다른 웨이트쪽으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관통공에 결합된 파이프 부재(20)의 양측면으로 고압으로 열융착된 돌기(25)가 형성되어 웨이트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2관통공(130)은 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삽입홈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는 부력 파이프가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파이프 부재가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140)는 몸체의 양측면 일측에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볼트(40) 결합되어 강한 조류 및 풍랑에도 웨이트가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나사홈(141)이 형성되고, 몸체의 양측면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210), 제1관통공(220), 제2관통공(230), 돌출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중심에 파이프 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원통형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제1관통공의 측면방향으로 이웃하는 길이방향의 웨이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돌출부가 짝을 이루며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몸체는 안경형상의 금형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고 20 ~ 40℃에서 5 ~ 18시간 동안 성형하며,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은 시멘트 10 ~ 15wt%, 비중(specific gravity) 2.92, 분말도(blaine, ㎠/g) 4,000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2 ~ 10wt%, 비중 2.63, 직경 8mm 이하의 자갈 35 ~ 45wt%, 모래 30 ~ 40wt%, 물 5 ~ 8wt%, 혼화제 0.02 ~ 1wt%의 배합으로 조성된 것이다.
상기 제1관통공(2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몸체의 중심에 파이프 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다.
이는 파이프 부재가 접촉되는 부위에 고무나 HDPE 재질로 이루어진 삼각형상의 걸림편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처럼, 관통공 내부에 삼각형상의 걸림편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이유는 강한 조류 및 풍량으로 인해 파이프 부재가 관통공 외부로 이탈되어 이웃하는 다른 웨이트쪽으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관통공(230)은 몸체(110)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삽입홈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는 부력 파이프가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파이프 부재가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240)는 관통공의 좌·우측 외곽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서로 연결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는 부력 파이프가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파이프 부재가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부재(20)는 웨이트가 결합된 부위의 양측면으로 고압으로 열융착된 돌기(25)가 형성되어 웨이트를 고정시킨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300)는 해양 구조물 중 하나인 PE 브라켓(200a,200b)과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E 브라켓(200a,200b) 하단부에 사각 블럭 형상의 웨이트(30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PE 브라켓(200a, 200b)은 해양 구조물인 파이프 부재를 연결하는 연 결용 파이프 커플링으로서, 중앙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통공(210a,210b)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 하단쪽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다른 PE 브라켓과 연결되어 해양 구조물이 강한 조류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삽입공(220a,220b)이 형성된다.
그리고, PE 브라켓은 PE (Polyethylene)수지 이외에도 PP (Polypropylene), PA (Polyamide), PPA(Polyphethal Amide), PC (Polycarbonate), PBT (Polybuthylene Terephathalate), PPE (Polyphemylene Ether)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가 있다.
상기 웨이트(300)는 사각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PE 브라켓이 결합되어 연결되고,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삽입홈(310)이 짝을 이루며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310)은 로프 또는 PP(폴리프로필렌) 파이프가 삽입되어 부력 파이프가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파이프 부재가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웨이트(300)는 양측면 일측으로, 나사홈(321)이 형성된 돌출부(320)가 구성되어,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웨이트(300)가 볼트(40) 결합되어 강한 조류 및 풍랑에도 웨이트가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PE 브라켓과 웨이트의 결합은 볼트결합되거나, 또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웨이트 양생시, PE 브라켓을 웨이트의 정위치에 놓고, 동시에 양 생시키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예로, 길이방향의 파이프 부재 길이가 500m라 할 때 10km 연결시, 20개가 연결되고, 파이프 부재 사이사이에 5~20m 간격으로 콘크리트 웨이트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먼저, 파이프 부재에 웨이트를 결합한다(S100).
이는 파이프 부재에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웨이트가 5~20m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에 파이프 부재를 통과시켜, 웨이트와 파이프 부재를 결합시킨다. 파이프 부재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 부재의 수만큼 각각의 웨이트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웨이트에 의해서 파이프 부재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변화가 없도록 한다.
즉,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조류 등에 의해서 복수의 파이프 부재가 꼬이거나 얽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웨이트는 5~20m 간격을 두고 파이프 부재에 결합된다.
여기서, 파이프 부재의 열융착된 돌기로 웨이트를 고정시킨다.
이는 길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다른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 고정단계에서는 파이프 부재에 웨이트가 결합된 부위의 양측면으로 고압으로 열융착된 돌기가 형성 시켜 웨이트를 고정시킨다.
이처럼, 웨이트가 열융착된 돌기로 고정시키는 이유는 강한 조류 및 풍량으로 인해 파이프 부재가 관통공 외부로 이탈되어 이웃하는 다른 웨이트쪽으로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이프 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HDPE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그 비중이 해수와 비슷한 0.96인 파이프부재의 내부에 해수가 채워지고, 그 하부에 웨이트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저면에 가라앉을 수 있고 무게중심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웨이트의 제2관통공으로 로프를 삽입시킨다(S200).
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웨이트를 연결되도록 로프가 삽입된다.
여기서, 로프는 부력 파이프가 해저면에 배치되었을 때,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파이프 부재가 외력에 대하여 충분한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웨이트의 돌출부로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볼트결합된다(S300).
이는 가로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복수개로 볼트결합되어 연결됨으로서, 설치장소와 환경에 따라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확장시켜 설치된다.
다음으로, 웨이트에 복수의 파이프 부재와 웨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의 파이프 부재의 양단을 밀봉시키는 파이프 부재 밀봉한다(S400).
상기의 파이프 부재를 해부면에서 부유된 상태로 설치장소로 이동되도록 파이프 부재를 양단을 밀봉시킨다. 파이프 부재는 그 내부가 해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중공을 구조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양단 또는 해저면 측에 위치할 단부에 캡을 이용하여 밀봉시키면, 하나의 부유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해수면에서 이동시키기가 용이하다. 파이프 부재는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지금까지의 작업이 육상에 진행되기 때문에, 파이프 부재의 내부는 해수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해수면에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부재는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웨이트의 비중이 높기 하지만, 밀봉된 파이프 부재의 부력에 의해서 해수면에 부유할 수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웨이트에 파이프 부재와 웨이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취수원에 위치하는 일단을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한다(S500). 상기 파이프 부재, 웨이트 및 웨이트는 단부가 밀봉된 파이프 부재에 의해서 부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가라앉지 않고 해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이때, 해저면에 위치할 파이프 부재의 단부를 선박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취수원으로 견인한다. 파이프 부재, 웨이트 및 웨이트가 부유된 상태에서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하면 용이하게 파이프 부재가 서로 수 Km 떨어진 취수원과 사용처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도면에서는 연안과 취수원의 거리가 가깝게 도시 되었으나, 실제 적용되는 현장에서는 HDPE 재질의 파이프 부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수 Km로 연결된 파이프 부재를 선박이 견인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박을 이용하여 견인한 파이프 부재 및 웨이트를 해수면에서 해저면으로 침하시킨다(S600).
캡에 의해 단부가 밀폐된 파이프 부재에서 캡을 제거하여 파이프 부재를 개방시키면, 파이프 부재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어 해저면으로 침하한다. 파이프 부재를 이루는 HDPE가 해수보다 약간낮은 비중을 갖고 있고, 하부에 웨이트가 위치한 상태에서 파이프 부재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면 해수보다 비중이 무거워지므로 자연적으로 해저면에 닿을때까지 침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파이프 부재의 침하가 완료되면, 침하된 파이프 부재의 일단을 펌핑 수단에 연결하고, 타단은 사용처에 연결시킨다(S700).
이는 해저면에 위치하는 파이프 부재의 단부는 서포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스트레이너가 결합시킨다. 그리고 파이프 부재의 중간 또는 반대편 단부는 펌핑 수단에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심해수를 육상에서 취수하기 위한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이 설치되거나, 또는 도서지역에 상수도를 보내기 위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연결함과 동시에 침수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이용한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 설치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구형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이용한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 설치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가 사각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윗단에 중앙으로 두개의 관통홀이 뚫린 PE 브라켓(200a)이 콘크리트 양생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가 사각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윗단에 중앙으로 한개의 관통홀이 뚫린 PE 브라켓(200b)이 콘크리트 양생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10 : 몸체 120 : 제1관통공
130 : 제2관통공 140 : 돌출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해저면과 육상을 연결하여 해저의 심해수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심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을 해저면으로 침수시키는 웨이트(3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300)는 사각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윗단에 중앙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통홀이 뚫린 PE 브라켓(200a,200b)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웨이트 양생시, PE 브라켓(200a,200b)을 웨이트의 정위치에 놓고, 동시에 양생시켜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가 중공의 구조를 갖는 삽입홈(310)이 짝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300)는 몸체의 양측면 일측에 가로방향으로 이웃하는 웨이트가 볼트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 돌출부(320)가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돌출부(320)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금형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주입하고 20 ~ 40℃에서 5 ~ 18시간 동안 성형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혼합물은 시멘트 10 ~ 15wt%,
    비중(specific gravity) 2.92, 분말도(blaine, ㎠/g) 4,000의 고로슬래그 미분말 2 ~ 10wt%,
    비중 2.63, 직경 8mm 이하의 자갈 35 ~ 45wt%,
    모래 30 ~ 40wt%, 물 5 ~ 8wt%, 혼화제 0.02 ~ 1wt%의 배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64524A 2008-07-03 2008-07-03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088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524A KR100887939B1 (ko) 2008-07-03 2008-07-03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524A KR100887939B1 (ko) 2008-07-03 2008-07-03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676A Division KR20100004842A (ko) 2009-01-28 2009-01-28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20090006684A Division KR20100004843A (ko) 2009-01-28 2009-01-28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939B1 true KR100887939B1 (ko) 2009-03-12

Family

ID=4069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524A KR100887939B1 (ko) 2008-07-03 2008-07-03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93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82B1 (ko) * 2010-12-16 2011-09-30 박용주 해저 관로 시스템
KR101394228B1 (ko) * 2013-09-26 2014-05-14 에스에이치개발 주식회사 해수취수장치
KR101479468B1 (ko) * 2013-04-15 2015-0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심층수 취수관용 보강블록
US20160375662A1 (en) * 2015-06-29 2016-12-29 Mbi Group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yered tile and a product obtained with said method
KR101751676B1 (ko) * 2016-07-08 2017-06-30 대한민국 해류 관측기의 해저면 계류장치
CN114458831A (zh) * 2021-12-28 2022-05-10 中基基础工程有限公司 保证hdpe管道下沉及运行稳定的配重装置、组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962A (ja) * 1999-07-21 2001-02-06 Taisei Corp 水底パイプの敷設方法
KR100692362B1 (ko) * 2006-01-25 2007-03-12 한국해양연구원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836598B1 (ko) * 2007-06-04 2008-06-10 (주)한동알앤씨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962A (ja) * 1999-07-21 2001-02-06 Taisei Corp 水底パイプの敷設方法
KR100692362B1 (ko) * 2006-01-25 2007-03-12 한국해양연구원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836598B1 (ko) * 2007-06-04 2008-06-10 (주)한동알앤씨 폐 콘크리트를 활용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82B1 (ko) * 2010-12-16 2011-09-30 박용주 해저 관로 시스템
KR101479468B1 (ko) * 2013-04-15 2015-0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심층수 취수관용 보강블록
KR101394228B1 (ko) * 2013-09-26 2014-05-14 에스에이치개발 주식회사 해수취수장치
US20160375662A1 (en) * 2015-06-29 2016-12-29 Mbi Group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yered tile and a product obtained with said method
US10737985B2 (en) * 2015-06-29 2020-08-11 Mbi Group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yered tile and a product obtained with said method
KR101751676B1 (ko) * 2016-07-08 2017-06-30 대한민국 해류 관측기의 해저면 계류장치
CN114458831A (zh) * 2021-12-28 2022-05-10 中基基础工程有限公司 保证hdpe管道下沉及运行稳定的配重装置、组装方法
CN114458831B (zh) * 2021-12-28 2024-05-17 中基基础工程有限公司 保证hdpe管道下沉及运行稳定的配重装置、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939B1 (ko)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JP2000506573A (ja) アイス複合物本体
KR101106876B1 (ko)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탁방지장치
US20110013987A1 (en) Guide apparatus for inducing downward flow of surface water
KR100924495B1 (ko) 해양심층수 취수유닛 설치방법
CN104776292A (zh) 一种海底管线浮球式柔性冲刷防护装置
CN207040565U (zh) 一种筒桩式浮鱼礁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100004842A (ko)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100004843A (ko) 해양 구조물 침수용 웨이트 및 이를 통한 해수 취수용 해양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0903742B1 (ko) 다층 구조의 인공식물섬
CN204512795U (zh) 一种海底管线浮球式柔性冲刷防护装置
KR101119197B1 (ko)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893382B1 (ko) 오션 인공어초
CN204616755U (zh) 一种浮动式筒形附着基
KR101477769B1 (ko) 부유성 경량혼합토를 이용한 인공식물섬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262796B1 (ko) 인공 어초를 이용한 해양 목장의 조성방법
CN204443640U (zh) 带防荡板的多箱串联的串式浮力柱柔性生态环保型网箱
JP6866777B2 (ja) アサリ漁場
KR101917495B1 (ko) 지그재그 수평 부침식 전복용 가두리
CN109588154A (zh) 一种用于种植深水区域沉水植物的悬浮网
JP5346157B2 (ja) 溶存態ケイ酸補給ブロック
JP3713433B2 (ja) 水質浄化浮遊体
KR20050032066A (ko) 부설선 없이 심해 파이트라인 부설방법
CN203313890U (zh) 一种钢筋混凝土船形礁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