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922B1 -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922B1
KR100887922B1 KR1020080071911A KR20080071911A KR100887922B1 KR 100887922 B1 KR100887922 B1 KR 100887922B1 KR 1020080071911 A KR1020080071911 A KR 1020080071911A KR 20080071911 A KR20080071911 A KR 20080071911A KR 100887922 B1 KR100887922 B1 KR 100887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purification
du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동
Original Assignee
박이동
(주)옥천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이동, (주)옥천환경 filed Critical 박이동
Priority to KR1020080071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다중시설, 대형 건물 등에 시설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순환공급되는 정화용수가 분무되어 오염물질이 자연적으로 포집되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순환구성에 의한 연속 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양호한 상태의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공기공급용 덕트(2)에 공기정화부(1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양측에 덕트결합부(1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상부의 용수분사노즐(16)에서 정화용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에 설치된 용수분사노즐(16)로 정화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용수공급장치(31)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공기흐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터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덕트, 공기정화, 정화용수, 정수탱크

Description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AIR CLEANING SYSTEM OF DUCT CONNETING TYPE}
본 발명은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다중시설, 대형 건물 등에 시설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순환공급되는 정화용수가 분무되어 오염물질이 자연적으로 포집되도록 하여, 친환경적이면서 순환구성에 의한 연속 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양호한 상태의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이나 지하상가와 같은 시설물은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다중시설이 마련된 시설물 내부의 생활공간으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시설이 시설된다.
이에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기 위한 대형 송풍기가 마련되고, 이러한 송풍기와 연결되어 시설물 내부의 각 부분의 실내다중시설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공급용 덕트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처럼 송풍기 및 단순한 구조의 덕트에 의한 공기공급 구조는, 외부 에 황사와 같이 공기에 분진이 많이 포함되어 있거나, 일시에 오염된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오염공기를 차단할 수 있는 부재가 전무한 형편이다. 따라서 실내에서 생활하는 이용자들은 오염된 공기를 그대로 들이마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기관지 질환 및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고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근래에는 특히 여름철 냉방을 위하여 중앙 냉방을 하거나, 또는 겨울철 중앙난방의 경우에도, 배관의 곳곳에 기생하는 세균에 의하여 시설물 전체의 실내다중시설의 사용공간에 퍼지기 때문에, 이러한 세균의 번식에 의한 질병의 감염을 방지하기가 곤란한 지경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다중시설, 대형 건물 등에 시설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실내의 사용자에게 신선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특히 단순히 건식필터에 의하지 아니하고, 순환공급되는 정화용수가 분무되어 오염물질이 자연적으로 포집되도록 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순환구성에 의한 연속 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양호한 상태의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은, 공기공급용 덕트(2)에 공기정화부(1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양측에 덕트결합부(1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상부의 용수분사노즐(16)에서 정화용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에 설치된 용수분사노즐(16)로 정화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용수공급장치(31)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공기흐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터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공기정화부(15) 몸체의 내측 양면 측으로는 망목의 흐름방지 망(17)(17')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 저면 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흐름방지판(18)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의 공기 배출 측으로 수분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패널(19)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는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저부에 고인 오염수가 배수관(32)을 통하여 정수탱크(33)에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33)에서 정수된 정화수가 용수펌프(34)의 작동으로 용수공급파이프(342)를 통하여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수탱크(33)는 오염수가 집수되는 집수영역(331), 숯이 적층되어 있는 숯정수영역(332), 맥반석이 적층되어 있는 맥반석정수영역(333), 저부에 타공망과 부직포가 마련되어 있는 용수영역(334)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33)는 흡입파이프(341)에 의하여 용수펌프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32)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351)가 결합된 바람방지부재(35)가 상기 배수관(32)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부에는 상기 바람방지부재(35)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모터(36)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의 정화수가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용수펌프(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화제어부(23)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덕트결합부(11)(11')에는 각각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가 구비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결합부(11')에는 수분감지센서(S03)가 구비되고, 상기 용수펌프(34)와 상기 용수분사노즐(16) 사이의 용수공급파이프(342)에는 유속감지센서(S04)가 구비되며, 상기 정화제어부(23)는 상기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 상기 수분감지센서(S03), 상기 유속감지센서(S04)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은 실내다중시설, 대형 건물 등에 시설되는 덕트에 결합되어, 실내의 사용자에게 신선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특히 단순히 건식필터에 의하지 아니하고, 순환공급되는 정화용수가 분무되어 오염물질이 자연적으로 포집되도록 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면서 순환구성에 의한 연속 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양호한 상태의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가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정화용수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흐름방지망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흐름방지판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에 대한 정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A)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용 덕트(2)에 공기정화부(1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양측에 덕트결합부(1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상부의 용수분사노즐(16)에서 정화용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에 설치된 용수분사노즐(16)로 정화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용수공급장치(31)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공기정화부(15)는 공기흐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터널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일반 시설물에 설치되는 덕트(2)는 외부의 공기를 시설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미도시됨)로부터 공기가 흐르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송풍기는 시설물 전체로 골고루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강한 송풍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덕트(2) 및 송풍기(미도시됨)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시설물로는 대형건물, 일반건물, 지하상가, 공항 또는 철도와 같은 대형 대합실 등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시설물 내부에 영화관, PC방, 노래방, 회의실, 식당, 사무실 등이 설치된 실내다중시설 등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이러한 시설물들은 사람들이 생활하거나 작업하게 되는 공간이 외부와 원거리에 이격되어 수많은 격벽에 막혀있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덕트(2)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를 계속해서 공급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덕트를 이용한다 하여도 외부의 공기가 오염되었거나 분진이 많은 경우에는 이러한 오염공기를 깨끗하게 정화시킨 후 공급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향기를 부가하고 신선함을 부가하기 위하여 산소와 같은 투입부가요소를 더 공급하는 등, 사용자들에 공급되는 공기가 더욱 유익한 상태로 공급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A)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부(15)와, 이러한 공기정화부(15)에서 물에 의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화용수공급장치(31) 및 정화제어부(23) 등으로 하여 공기정화시스템(A)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정화부(15)의 외형상을 보면, 도 1, 도 3 및 도 4 등에서와 같이 공기흐름에 대해 공기가 인입되는 전방 및 공기가 정화되어 배출되는 후방으로 하 여 살펴보면, 공기정화부(15)의 전방 및 후방으로 덕트결합부(11)(11')가 각각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덕트결합부(11)(11')는 일반 덕트(2)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양측의 덕트결합부(11)(11') 사이에 공기정화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정화부(15) 내부의 상측에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용수분사노즐(16)이 마련되고, 이러한 용수분사노즐(16)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공기정화부(15)의 바닥으로 물에 의해 포집되어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의 정화 공기만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정화부(15)는 덕트(2)와 근사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덕트결합부(11)(11')에 비하여, 확관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하측으로 확관된 영역으로는 오염수가 집수되기 위한 집수영역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확관되어 덕트결합부(11)(11')와 이어지는 부분은 대체로 15 ~ 75 도 정도의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확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을 수 있다.
이에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는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저부에 고인 오염수가 배수관(32)을 통하여 정수탱크(33)에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정수탱크(33)에서 정수된 정화수가 용수펌프(34)의 작동으로 용수공급파이프(342)를 통하여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수탱크(33)는 오염수가 집수되는 집수영역(331), 숯이 적층되어 있는 숯정수영역(332), 맥반석이 적층되어 있는 맥반석정수영역(333), 저부에 타공망과 부직포 등이 마련되어 있는 용수영역(334) 등으로 되는 다수의 정수영역으로 나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숯정수영역(332)의 숯은 다공이 형성되어 있어 오염분진의 흡착성능이 탁월한 것이다. 또한 맥반석정수영역(333)의 맥반석은 주성분이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 그리고 소량의 산화제2철이 함유된 것으로, 화강섬록반암에 속하는 것이다. 석영과 장석이 섞여있어 맥반석이라 부르며, 여과제, 소염제로 이용되고, 1 ㎤ 당 3 ~ 15 만개의 구멍을 이루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 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 성능이 탁월하고,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특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염수는 집수영역(331)에서 커다란 형태로 뭉쳐진 찌꺼기는 대부분 침전이 되고, 숯정수영역(332) 및 맥반석정수영역(333)을 통과하면서 미세한 오염물질이 포집되어 정수되는 것이다.
이후 용수영역(334)에서 양호한 상태로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정수된 정화용수는 흡입파이프(341)에 의하여 용수펌프(34)로 공급되는 것으로, 흡입파이프(341)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용수펌프(34)의 작동을 방해할 물질을 제거하고, 용수분사노즐(16)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수펌프(34)에 의하여 공급되는 정화용수는, 투입조(343)에 의하여 향기로운 성분 등의 투입요소인 약품이 더 첨가되어, 정화된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로부터 향기로운 향내음이 나도록 하여 더욱 상쾌함을 느끼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정수탱크(33)의 일측으로는 용수공급부를 부가하여 부족한 정화용수가 채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정수탱크(33)의 저부에는 모여진 오염물질을 배수하기 위한 오염물배수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용수공급부 및 오염물배수부재는 단순히 배관과 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정화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센서 및 작동액츄에이터를 구성하여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즉 정수탱크(33)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데이터에 의하여, 모자라는 경우에는 정화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하여 부족한 용수가 더 보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염물질이 쌓여지는 정도에 따라 오염물질의 적층 정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정수탱크(33)의 전체 무게를 측정하거나 또는 공급-순환되는 정화수에 대비되는 정수탱크의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바닥에 오염물질이 쌓여지는 것이기 때문에 이때에는 오염물질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시설물의 송풍기(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덕트(2)와 연결되는 덕트결합부(11) - 공기정화부(15) - 덕트결합부(11')를 따라 흐르는 과정 중에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정화되는 것이다.
또한 정수탱크(33)의 물은 용수펌프(34)의 작동에 의하여 용수공급파이프(342) - 용수분사노즐(16)에서 분사된 후,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포집한 후, 공기정화부(15)의 저부로 떨어져, 공기정화부(15) 저부 - 배수관(32) - 정수탱크(33) 의 집수영역(331) - 숯정수영역(332) - 맥반석정수영역(333) - 용수영역(334)으로 흐르게 되는 것으로, 결국 용수영역(334)의 물은 다시 용수펌프(34)의 작동으로 공기정화부(15) 측으로 순환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정화용수의 순환흐름 중에, 덕트(2)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신선하고 깨끗하며 상쾌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탁월한 장점을 가진 것이다.
이처럼 정화용수의 순환흐름 및 공기의 흐름 과정 중에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으로, 덕트(2)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송풍기(미도시됨)에 의한 강한 공기압의 흐름으로 흐르기 때문에 정화용수가 제대로 오염물질을 포집하지 못하고 덕트(2)를 따라 배출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특히 길이가 긴 터널형태로 형성되는 공기정화부(15)의 벽면에 물방울이 부착되고 오염물질을 제대로 포집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부(15) 몸체의 내측 양면 측으로는 망목이 형성된 흐름방지망(17)(17')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 저면 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흐름방지판(18)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의 공기 배출 측으로 수분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패널(19)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방지망(17)(17'), 흐름방지판(18) 및 방습패널(19) 등은 수분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테인레스재질 또는 부식방지 도료가 도포된 금속부재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또 다른 실시로 은과 같은 살균 특성이 있는 성분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정화되는 공기 중의 오염균이 살균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양측의 흐름방지망(17)(17') 및 흐름방지판(18)에 의하여 분사된 물방울은 평평한 면이 아닌 흐름방지망(17)(17') 및 흐름방지판(18)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더욱 용이하게 포집하게 되는 것이다. 즉 흐름방지망(17)(17')은 수많은 망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을 흐트러트리면서 또한 분사된 물방울이 연속해서 각 망목 사이의 공기 중에서 분산되어 흐르도록 하여, 공기와 물방울의 접촉시간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방울은 바로 공기정화부(15)의 양측벽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고, 흐름방지망(17)(17')의 수많은 망목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되어 공기 중에 많은 시간 동안 떠있게 되고, 이러는 중에 작은 물방울이 오염물질을 더욱 많이 포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저부의 흐름방지판(18)에 의해서도 많은 수의 구멍에 의하여 물방울이 공기 중에 머무르게 되면서, 각 구멍 사이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결국 물방울에 오염물질이 더욱 많이 포집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공기정화부(15)의 바닥에 연결된 배수관(32)으로 오염수가 고인 후 흘러야 하기 때문에, 판체에 구멍을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공기정화부(15)의 바닥에도 망목의 방지망을 설치하거나 또는 양측에 방지판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공기정화부(15)에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물방울에 포집되어 바닥에 고인 후 다시 정수탱크(33)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이에 공기정화부(15) 상부에 구비된 용수분사노즐(16)은 도 1에서와 같이, 공기가 공급되 는 측으로는 작은 물방울이 안개형태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안개분무노즐(161)로 구비되도록 하고, 반대로 공기가 배출되는 측으로는 커다란 물방울, 특히 물줄기 형태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물줄기노즐(162)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중간 크기의 물방울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중간노즐이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처음에는 물이 안개형태로 분무되는 것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수분을 잘 머금어 바닥으로 쉽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커다란 물방울 또는 물줄기로 분사되는 경우에는 미세한 오염물질도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공기정화부(15)의 저부는 배수관(32)으로 오염수가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대체로 1 ~ 5 도 정도의 기울기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공기정화부(15)의 전체 크기, 형태 및 공기와 용수의 공급정도에 알맞게 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습패널(19)은 다수의 겹으로 되는 망체, 부직포, 다공판체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빠른 건조와 함께 습기방출방지를 위하여 전열선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배출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향하여 꺽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도 1 및 도 3에서는 직선면으로 하여 형성됨을 보이고 있으나,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공기정화시스템(A)은 송풍기(미도시됨)에 의하여 강한 압력의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공기정화부(15) 저부와 연결되는 배수관(32)에는 오염수만 흘러야 하나, 강한 압력의 공기가 일부 오염수와 함께 정수탱크(33)로 공급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정수탱크(33)로 공기가 공급되면 정수탱크(33)에서 물이 끓듯이 부글부글되는 현상이 일어나 정수탱크(33) 구조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집수영역(331)에서 오염물질이 침전되지 못하고 숯정수영역(332) 및 맥반석정수영역(333)에서 정수되지 못하고 재순환될 우려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공기정화부(15)와 정화용수공급장치(31) 사이의 배수관(32) 내부에는 이러한 공기는 공급되지 않도록 하면서, 오염수만 흐르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바람방지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배수관(32)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351)가 결합된 바람방지부재(35)가 상기 배수관(32)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부에는 상기 바람장지부재(35)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모터(36)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감속모터(36)의 작동으로 바람방지부재(35)의 다수의 날개(351)는 회전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오염수만 흐를뿐 공기는 흐르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도 7에서와 같이 바람방지부재(35)를 다수 개 마련하여, 공기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감속모터(36)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바람방지부재(35)들은 서로 기어박스(352)에 의하여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A)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 작동은 각 부분에 센서가 마련되고, 이러한 센서들의 입력데이터에 의하여 정화제어부(23)가 작동되도록 프로그래밍된 경우를 예로 한 것이다. 따라서 많은 수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지 용수펌프(34)를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감속모터(36)도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공기정화시스템(A)에 다수의 센서가 구비되고, 이러한 센서들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정화제어부(23)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의 정화수가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용수펌프(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화제어부(23)가 구비되는 것이고, 도 1에서와 같이, 양측의 상기 덕트결합부(11)(11')에는 각각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가 구비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결합부(11')에는 수분감지센서(S03)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펌프(34)와 상기 용수분사노즐(16) 사이의 용수공급파이프(342)에는 유속감지센서(S04)가 구비되며, 상기 정화제어부(23)는 상기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 상기 수분감지센서(S03), 상기 유속감지센서(S04)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정수탱크(33)에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수탱크(33)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가 마련될 수도 있으며, 용수펌프(34) 및 감속모터(36) 부근에도 과열감지센서, 공기흐름센서, 회전감지센서 등이 마련되어 각 모터의 원활한 작동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입력데이터가 정상인 경우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상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고, 과열되거나 흐름 또는 회전이 멈추는 경우에는 이상작동의 비상신호가 발신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하여 정화제어부(23)에서는 각 센서들로부터 초기 데이터값을 입력받는 준비단계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각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값이 정상인 경우에는 정상작동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이후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우선 정화작동을 위하여 정수탱크(33)의 수위가 정상인 상태에서 용수펌프(34)를 작동하여, 용수분사노즐(16)로부터 정화용수가 분사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에 용수공급파이프(342)에 설치된 유속감지센서(S04)에 의하여 용수분사노즐(16) 측으로 정화용수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후 시설물의 송풍기(미도시됨)를 작동시켜, 덕트(2) 및 공기가 정화되는 공기정화부(15) 내부를 통하여 공기가 흐르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공기정화부(15)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여 정상작동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정화부(15)를 흐르는 공기에 대하여, 정화용수공급장치(31)에 의하여 공급되어 분사되는 정화용수는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다시 정수탱크(33)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정수된 정화용수는 용수펌프(34)에 의하여 순환작동되는 중에 공기가 깨끗하게 정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방습패널(19)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된 것이고, 이처럼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는 수분감지센서(S03)에 의하여 그 정도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A)에 의하여, 사용자는 더욱 신선하고 깨끗하며 상쾌한 공기를 제공받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정화용수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부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흐름방지망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흐름방지판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방지부재에 대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공기정화시스템 2 : 덕트
11, 11' : 덕트결합부 15 : 공기정화부
16 : 용수분사노즐 17, 17' : 흐름방지망
18 : 흐름방지판 19 : 방습패널
23 : 정화제어부 31 : 정화용수공급장치
32 : 배수관 33 : 정수탱크
34 : 용수펌프 35 : 바람방지부재
36 : 감속모터

Claims (5)

  1. 공기공급용 덕트(2)에 공기정화부(1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양측에 덕트결합부(11)(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상부의 용수분사노즐(16)에서 정화용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공기정화부(15)에 설치된 용수분사노즐(16)로 정화용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용수공급장치(31)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는 공기흐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터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는 상기 공기정화부(15)의 저부에 고인 오염수가 배수관(32)을 통하여 정수탱크(33)에 공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33)에서 정수된 정화수가 용수펌프(34)의 작동으로 용수공급파이프(342)를 통하여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수탱크(33)는 오염수가 집수되는 집수영역(331), 숯이 적층되어 있는 숯정수영역(332), 맥반석이 적층되어 있는 맥반석정수영역(333), 저부에 타공망과 부직포가 마련되어 있는 용수영역(334)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33)는 흡입파이프(341)에 의하여 용수펌프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내부에는 다수의 날개(351)가 결합된 바람방지부재(35)가 상기 배수관(32)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32)의 외부에는 상기 바람방지부재(35)가 회전되도록 하는 감속모터(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15) 몸체의 내측 양면 측으로는 망목의 흐름방지망(17)(17')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 저면 측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흐름방지판(18)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정화부(15)의 공기 배출 측으로 수분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패널(19)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용수공급장치(31)의 정화수가 상기 용수분사노즐(16)로 공급되도록 용수펌프(3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화제어부(23)가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덕트결합부(11)(11')에는 각각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가 구비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덕트결합부(11')에는 수분감지센서(S03)가 구비되고,
    상기 용수펌프(34)와 상기 용수분사노즐(16) 사이의 용수공급파이프(342)에는 유속감지센서(S04)가 구비되며,
    상기 정화제어부(23)는 상기 공기흐름감지센서(S01)(S02), 상기 수분감지센서(S03), 상기 유속감지센서(S04)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수신받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0080071911A 2008-07-23 2008-07-23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0887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11A KR100887922B1 (ko) 2008-07-23 2008-07-23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11A KR100887922B1 (ko) 2008-07-23 2008-07-23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922B1 true KR100887922B1 (ko) 2009-03-12

Family

ID=406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11A KR100887922B1 (ko) 2008-07-23 2008-07-23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9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10B1 (ko) * 2011-05-13 2011-12-12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다공성내통을 이용한 기체정화장치 및 덕트 시스템
KR101298376B1 (ko)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20180001535U (ko) * 2016-11-16 2018-05-25 이태욱 덕트형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20114380A (ko) * 2021-02-08 2022-08-17 진 정 공기 유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25A (ja) * 1993-09-28 1995-04-11 Sanki Eng Co Ltd 水噴霧式空気浄化装置
KR20030064456A (ko) * 2002-01-28 2003-08-02 김용곤 대기오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KR100841030B1 (ko) * 2007-12-20 2008-06-24 박이동 공기세척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125A (ja) * 1993-09-28 1995-04-11 Sanki Eng Co Ltd 水噴霧式空気浄化装置
KR20030064456A (ko) * 2002-01-28 2003-08-02 김용곤 대기오염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염공기의 정화방법
KR100841030B1 (ko) * 2007-12-20 2008-06-24 박이동 공기세척정화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910B1 (ko) * 2011-05-13 2011-12-12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바이오테크놀로지 다공성내통을 이용한 기체정화장치 및 덕트 시스템
KR101298376B1 (ko) 2013-01-11 2013-08-20 (주)엠비티 덕트 설치형 탈취장치
KR20180001535U (ko) * 2016-11-16 2018-05-25 이태욱 덕트형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KR200487390Y1 (ko) 2016-11-16 2018-09-10 이태욱 덕트형 공기 접촉식 약액 탈취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20114380A (ko) * 2021-02-08 2022-08-17 진 정 공기 유도시스템
KR102544216B1 (ko) * 2021-02-08 2023-06-16 정진 공기 유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922B1 (ko) 덕트 결합형 공기정화시스템
US9937456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JP2013504343A (ja) トイレを消毒・脱臭する方法と装置
KR102033486B1 (ko) 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연기 배출 시스템
KR102121466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194452B1 (ko) 다기능성의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시스템
KR100786782B1 (ko) 지하철역사 공기정화시스템
KR20180038091A (ko) 공기정화 버스 쉘터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KR100841030B1 (ko) 공기세척정화장치
JP6466155B2 (ja) 住宅
JP3755010B2 (ja) 空気清浄化装置
KR20100130293A (ko) 진공청소기
KR102054398B1 (ko) 염분수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 시스템
KR101111489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1698318B1 (ko) 공기정화용 가습기
KR101667951B1 (ko) 다목적 공기정화장치
KR102129080B1 (ko) 실내공기 청정 환기장치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0204723Y1 (ko) 공기방울 물용해방식의 공기정화기
JP2005106363A (ja) 加湿機能付き水フィルター形空気清浄機
CN107198931A (zh) 一种基于细水雾的室内空气净化装置
KR20120002881U (ko) 활성탄 필터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정화장치
KR101474981B1 (ko) 워터링 에어필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