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079B1 -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079B1
KR100887079B1 KR1020020053002A KR20020053002A KR100887079B1 KR 100887079 B1 KR100887079 B1 KR 100887079B1 KR 1020020053002 A KR1020020053002 A KR 1020020053002A KR 20020053002 A KR20020053002 A KR 20020053002A KR 100887079 B1 KR100887079 B1 KR 10088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cooling
roll
wate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738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0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10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10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 B21B2027/103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externally cooling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렛을 생산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시 압연롤의 냉각수를 적절히 제어하여 소재의 선후단부에서 일어나는 과냉각 현상을 감소시켜 소재의 전부분에서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도할 뿐만아니라 냉각수 분사 노즐 수의 충분한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롤의 냉각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형이 아닌 소정의 면적을 갖으며 다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수냉자켓을 각 캐리버별로 형성하고, 소재의 위치를 체크하여, 소재의 선후단부가 압연롤에 위치하거나, 소재의 전표면이 압연롤에 위치할 경우, 사용될 캐리버의 수냉자켓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차단하여 압연중 소재의 과냉각을 방지시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R1020020053002
가역식 압연기, 조압연, 수냉자켓, 캐리버, 빌렛

Description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ROLLING MILL COOLING APPARATUS OF REVERSING MILL}
도 1은 가역식 압연설비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 2는 가역식 압연설비에서 압연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역식 압연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가역식 압연공정에서 소재의 통과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5는 가역식 압연공정에서 롤의 냉각수가 소재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역식 압연기에서의 롤 냉각 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역식 압연기의 롤 냉각 장치에서, 압연롤에 부착되는 냉각자켓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압연롤에 본 발명에 의한 롤 냉각 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a,9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역식 압연기의 롤 냉각 장치의 동작 플로우를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소재 2 : 이송롤
3 : 압연롤 4 : 가압장치
6 ~ 10 : 제1~제5센서 61 : 수냉자켓부
62~64 : 제1~제3밸브 65 : 밸브구동부
66 : 제어부 67 : 선택부
본 발명은 빌렛을 생산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롤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의 선후단부가 압연롤의 냉각수에 의해 과냉각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압연롤의 적절한 냉각을 도모할 수 있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렛을 생산하는 빌렛 압연공정은 크게 가열로에서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 소재를 사상압연기에 치입하기 적절한 단면적으로 감소시키는 조압연공정과, 조압연 공정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단면적이 감소된 소재를 최종 목적 크기로 생산하는 사상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두압연공정은 전혀 다른 압연방법을 사용하는데, 조압연공정에서는 박스타입의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다수의 캐리버를 갖는 압연롤을 이용하여 소재를 정/역방향으로 가/역하면서 압연하는 것으로, 이러한 압연기를 가역식 압연기라 한 다.
그리고, 사상압연은 스퀘어 타입의 캐리버를 가진 압연롤을 이용하는 비가역식 압연방법을 사용한다.
이중 가역식 압연방법에서는 소재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반복적으로 압연롤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압연롤이 고온으로 가열된 소재의 전도열에 의해 열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연롤의 상부에서 하부로 냉각수를 흘려준다.
도 1은 가역식 압연공정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하부롤로 이루어진 압연롤(3)의 전후에 소재를 정방향/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롤(2)이 설치되고, 상기 압연롤(3)의 전후에 소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내지 제5 센서들(6~10)이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가역식 압연기의 상부압연롤(3a)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롤의 길이방향을 따라 노즐파이프(21)를 소정 간격을 유지한 채 부착하고, 상기 노즐파이프(21)에는 압연롤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분사노즐(2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 노즐(22)을 통해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분사되어 롤을 냉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각방법은 노즐파이프(21)의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충분한 수의 노즐 형성이 어렵고, 그에 따라 냉각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서 분사된 냉각수는 상부 압연롤(3a)의 표면을 타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면서 소재와도 접촉되는데, 종래에는 냉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가역식 압연방법으로 소재의 선후단부가 과냉각될 수 있으며, 이렇게 과냉각된 부분은 사상압연과정에서 연신율을 차이로 인해 터짐과 같은 흠을 발생시키고, 소재의 선단부의 과냉각은 압하저항을 증가시켜 사상압연기로의 원할한 치입을 방해하여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연롤(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다수의 캐리버(#1~#6)를 구비하며, 소재(1)를 제1캐리버(#1)에서 제6캐리버(#6)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가역압연을 실시하여 원하는 크기로 감소시키게 된다.
도 4는 가역식 압연공정의 일예를 보인 것으로서, 최종제품이 120각 또는 160각 빌릿을 생산하기 위한 가로와 세로의 폭이 190mm 또는 210mm인 중간소재(1)를 생산하는 경우에 주로 이용되는 7 패스(pass) 공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7패스공정은 소재(1)를 먼저 제2캐리버(#2)의 정방향, 역방향으로 2회 패스시키고, 그 다음 사이드가이드(41)로 소재(1)를 다음 캐리버(제3캐리버(#3))로 이동시킨 후, 제3캐리버(#3)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2회패스시키고, 마찬가지로 그 다음의 제4캐리버(#4)에서 정방향, 역방향으로 2회 패스시킨 후, 마지막으로, 제5캐리버(#5)를 정방향으로 1회 패스시켜 목표하는 크기로 압연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7회의 패스에 약 150초 정도가 소요되며, 이중 캐리버 간의 이동 및 소재 틸팅에 총 15초가 소요되므로, 1 패스당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약 19초 정도가 걸린다.
그런데, 19초동안의 1회패스과정에서, 소재(1)를 캐리버의 중심까지 이동시 킨 후, 상부롤을 하강시키는데 약 13초 정도가 소요되며, 이 동안 소재(1)는 정지상태에 있게 되며, 나머지 6초 동안 소재(1)가 롤 사이를 통과한다.
보통 압연되는 소재(1)의 총 길이는 대략 6500~6600mm이며, 이중 선단부는 약 2%를 차지한다. 그런데, 상기에 의하여, 소재(1)의 전체 면적중 2% 부분에 롤 냉각수의 68%가 집중적으로 낙하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재(1)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다른 부분에 비해 과냉각되며(대략 40도차), 이는 사상압연과정에서 연신율의 차이에 의해 소재(1)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터지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또한, 소재(1)의 단부가 과냉각되면, 후공정의 사상압연기에 치입시 압하저항이 증가되어, 원할한 치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생산성을 하락시킨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가열로에서의 소재(1)의 추출온도를 상승시키면, 가열로 원료 원단위 증가에 의해 생산원가가 상승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빌렛을 생산하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시 압연롤의 냉각수를 적절히 제어하여 소재의 선후단부에서 일어나는 과냉각 현상을 감소시켜 소재의 전부분에서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도할 뿐만아니라 냉각수 분사 노즐 수의 충분한 확보를 가능하게 하여 롤의 냉각 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다수의 박스타입 캐리버를 갖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롤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의 전후 소정 위치에서 소재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2소재 감지 센서와,
상기 압연롤의 각각의 캐리버에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수냉자켓과, 서로 인접하지 않은 수냉자켓으로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냉각수라인를 포함하는 수냉자켓부;
상기 수냉자켓부의 다수 냉각수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차단시키는 다수의 전동밸브;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구동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공정을 체크하여 소재가 압연롤을 통과시 해당 캐리버로의 냉각수분사가 정지되도록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롤 냉각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역식 압연기에서의 롤 냉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압연롤(3)의 전후 소정 위치에서 소재(1)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제2,5센서(7,10)와, 압연롤(3)의 캐리버들 각각에 대응하며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수냉자켓(611)과 인접하지 않은 수냉자켓으로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냉각수라인(616)으로 이루어진 수냉자켓부(61)와, 상기 수냉자켓부(61)의 다수의 냉각수라인(616)에 각각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차단시키는 다수의 전동밸브(62~64)와,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62~64)를 온/오프동작하는 밸브구동부(65)와, 선택된 동작모드(제어모드 또는 정지모드)에 따라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공정을 체크하여 소재(1)가 압연롤을 통과하는 중, 또는 소재(1)의 선/후단부 통과시 해당 캐리버로의 냉각수분사가 정지되도록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62~64)를 제어하는 제어부(66)와, 상기 제어부(66)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67)로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의 롤 냉각 장치는 다수개의 센서들(6~10) 중에서 압연롤(3)의 전방(입측)과 후방(출측)에 위치된 두개의 센서, 즉 제2 및 제5센서(7,10)를 이용하여 소재(1)의 위치를 감지해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롤 냉각 장치는 압연롤(3)의 입측에 위치된 제2 센서(7)를 통해서는 정방향 압연시 소재(1)의 선단부를 감지하고, 압연롤(3)의 출측에 위치된 제5센서(10)를 통해서는 역방향 압연시 소재(1)의 선단부를 감지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2 및 제5 센서(7,10)는 소재감지 센서로도 불리어 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센서(7)는 제1 소재감지 센서로, 제5 센서(10)는 제2 소재감지 센서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실시예로써 제2, 5 센서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롤 냉각 장치에서, 수냉자켓부(61)를 상세하게 보인 도면으로서, 각 캐리버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다수의 분사노즐이 하방으로 형성된 노즐부과 상기 노즐부의 양단에 연결되어 고정홈을 갖는 고정날개를 갖는 수냉자켓(611)을 다수개 고정대(617)에 볼트(614)로 고정시키고, 소정의 냉각수 라인(616)를 인접하지 않은 수냉자켓(611)들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냉자켓부(61)를 다수의 캐리버(#1~#6)를 갖는 상부압연롤(3a)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하나의 수냉자켓(611)이 하나의 캐리버에 대응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수냉자켓(611)은 대응되는 캐리버의 폭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으며, 그 전 면적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분사노즐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에 비하여 분사되는 냉각수량이 더 많아지고, 그 만큼 단위시간당 냉각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냉각장치에서 제어모드의 동작을 보인 플로우챠트이고, 도 9b는 정지모드의 경우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며, 도 9c는 상기 도 9a, 9b의 플로우챠트에서, 동작1~동작7에 대한 전동밸브제어상태를 설명하는 동작표이다.
이하, 상기 도 9a ~ 도 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전단의 가열로에서 추출된 소재(1)가 조압연 공정으로 이송되면, 이송된 소재를 사이드가이드(41)를 통해 가역식 압연스케쥴에 따른 해당 캐리버, 예를 들어 7패스 공정인 경우 제2캐리버(#2)로 안내한다. 이후, 압연방법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에 따라서 처리가 달라진다(905).
먼저, 정방향이라면 소재(1)가 압연롤(3)에 근접하면, 제2센서(7)가 온되고, 제5센서(10)는 오프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정방향 압연시, 소재(1)의 접근으로, 제2센서(7)는 온되고, 제5센서(10)는 오프되면(906), 도 9c의 동작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연에 사용되는 캐리버를 확인하여 해당 캐리버에 대응되는 수냉자켓(61)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전동밸브(62~64)를 전폐시켜 롤이 통과할 캐리버로의 냉각수 분사를 차단한다(907).
예를 들어, 사용캐리버가 #1,#5 라면, 제1전동밸브(62)가 전폐되고, 사용캐리버가 #2,#4일 경우에는 제2전동밸브(63)가 전폐되고, 사용캐리버가 #3,#5 일 경우에는 제3전동밸브(64)가 전폐된다.
상기와 같은 냉각수 차단후, 소재(1)는 조압연 스케쥴에 따라 대응하는 캐리버로 안내되어, 그 중심에 정지되고, 그 다음 상부롤(3a)이 압하하여 설정량만큼 소재(1)를 가압하면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소재를 압연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롤의 회전에 의해 압연된 소재(1)의 선단부가 이동하여 제5센서(10)도 온되면, 즉 제2센서(7)와 제5센서(10)가 모두 온되면(908), 도 9c의 동작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캐리버에 대응되는 전동밸브를 약 30%정도 오픈시킨다(909).
상기에 의하여, 소정량의 냉각수가 수냉자켓부(61)를 통해 해당 캐리버로 분사된다.
상기 분사된 냉각수는 소재(1)에 의해 가열된 롤을 냉각시키면서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소재(1)는 빠른 속도로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롤을 냉각시킨 냉각수에 의해 영향을 비교적 덜 받게 된다.
그리고, 소재(1)의 후단부가 제2센서(7)의 설치위치를 패스하여, 제2센서(7)가 오프되면, 즉, 제2센서(7)는 오프되고, 제5센서(10)만 온되면, 해당 캐리버에 대응하는 전동밸브(62~64)를 전폐시킨다(911). 상기에 의해 소재(1)의 후단부가 압연롤을 통과하는 동안 냉각수의 분사는 차단된다.
이렇게 냉각수가 분사되지 않는 동안 소재(1)의 후단부까지 압연롤(3)을 통 과하면, 하나의 정방향 패스가 완료된다.
따라서, 조압연 공정스케쥴을 체크하여 최종패스인지여부를 판단하고(912), 최종 패스가 아니라면, 다음 패스에 대한 냉각수제어를 위해 초기의 단계(902)로 되돌아가, 다음 패스에서 사용되는 캐리버와, 구동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체크한다(902~905).
이때, 정방향이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과정(906~912)이 이루어진다.
반대로, 역방향 구동인 경우, 소재(1)는 정방향 구동과는 반대로, 제5센서(10)쪽에서 제2센서(7)쪽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이 경우, 정방향의 경우와는 반대로 제5센서(10)가 온상태이고, 제2센서(7)가 오프상태이면(913), 소재(1)의 선단부 과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캐리버와 관련된 전동밸브(62~63)를 전폐시킨다(914).
상기에 의해 냉각수의 분사가 정지된 상태에서, 소재(1)의 선단부가 압연롤(3)의 중심에 정지한 후, 상부롤(3a)의 소정치 하강하여 소재(1)를 가압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1)의 선단부가 제2센서(7)의 위치까지 진행하여, 제2센서(7)가 온되면, 즉, 제2센서(7) 및 제5센서(10)가 온상태이면(915), 사용중인 캐리버에 대응하는 전동밸브(62~64)의 일부분(예를 들어, 30%)을 오픈시킨다. 이에, 해당 캐리버에는 소정량의 냉각수가 분사되어, 압연되는 소재(1)의 전도열에 의해 가열된 롤을 냉각시킨다(916).
그 다음, 소재(1)의 후단부가 압연롤에 근접하면서 제5센서(10)가 오프되면, 즉, 제2센서(7)는 온되고 제5센서(10)는 오프된다면(917), 다시 소재 단부의 과냉각방지를 위해 상기 일부분 오픈된 전동밸브를 전폐시킨다(918).
따라서, 소재(1)의 단부가 압연롤을 통과하는 동안 냉각수는 차단된다.
이상의 센서의 온/오프상태만 반대일뿐 정방향 구동시의 냉각수제어가 거의 동일하며, 역방향 구동시에는 상기에 더하여, 압연후 소재가 캐리버를 완전히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919)가 더 포함된다.
정방향구동시에는, 패스후 동일한 캐리버에서 역방향구동이 진행되지만, 역방향구동시에는, 패스완료후 캐리버 변경을 위해 소재(1)를 캐리버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후 사이드가이드(41)를 통해 다음 캐리버로 안내하는 과정이 들어간다.
상기 과정(919)은 이를 감지하기 위한 단계로서, 예를 들어, 압연롤(3)에 근접설치된 제2,5센서(7,10)가 모두 오프되는 경우, 소재 이탈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재(1)가 해당 캐리버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소재(1)가 다음 캐리버로 이동되는 동안 해당 전동밸브(62~64)를 100% 전개, 즉 완전히 오픈시켜 가열된 압연롤(3)를 급속냉각시킨다.
상기 과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캐리버외에 다른 캐리버에 대응되는 전동밸브들은 모두 100% 오픈되어 있어, 압연롤(3)의 사용외 부분에 대한 냉각을 수행한다.
모든 패스가 완료되는 동안 상기의 과정은 반복되어 일어나고, 단계(912)에서 조압연 스케쥴중 최종 패스라면, 단계(921)에서 제2,5센서(7,10)가 모두 오프될때, 모든 전동밸브의 100% 전개시켜 압연작업중 가열된 압연롤(3)을 충분히 냉각시킨다.
정지(shut)모드는 소재의 압연중에는 해당 캐리버로의 냉각수 공급을 차단하는 모드로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드의 경우와 제어과정은 유사하면, 단지, 소재(1)가 압연롤(3)을 통과하는 동안, 즉 제2,5센서(7,10)중 하나라도 온되어 있는 동안은 사용되는 캐리버에 연결된 냉각수라인의 전동밸브(62~64)를 전폐시켜(926~931, 933~938), 롤의 냉각수에 의해 소재(1)가 영향받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킨다. 이때, 다른 전동밸브는 모두 전개되어, 사용중인 캐리버외에 나머지 부분에는 냉각수가 분사된다. 그리고, 소재(1)가 캐리버를 완전히 이탈하는 경우, 즉, 제2,5센서(7,10)가 모두 오프상태인 경우, 상기 전동밸브(62~64)를 전개시켜, 소재(1)와의 접촉으로 가열된 롤을 급속히 냉각시킨다(939~94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소재가 압연롤을 통과하는 동안은 해당 캐리버로의 냉각수 분사를 정지시켜, 롤 냉각수에 의해 소재의 냉각을 방지하여, 후공정인 사상압연공정에서 연신율 차이에 의해 소재에 터짐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소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가 통과하는 동안은 냉각수의 분사를 정지시키고, 소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를 제외한 중앙부분이 롤을 통과하는 동안은 소량의 냉각수만이 분사되도록 하여, 소재 선후단부에서 발생하는 과냉각현상을 방지하여, 소재의 전표면에 있어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사상압연에서 연신율 차이에 의한 터짐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캐리버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수냉자켓을 구성하여, 냉각효율을 증가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박스타입 캐리버를 갖는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롤 냉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의 전후 소정 위치에서 소재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제1 및 2소재감지 센서와,
    상기 압연롤의 각각의 캐리버에 선택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수냉자켓과, 서로 인접하지 않은 수냉자켓으로 각각 냉각수를 공급하는 다수의 냉각수라인를 포함하는 수냉자켓부;
    상기 수냉자켓부의 다수 냉각수라인에 각각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차단시키는 다수의 전동밸브;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구동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가역식 압연기의 압연공정을 체크하여 소재가 압연롤을 통과시 또는 소재 선후단부 통과시 해당 캐리버로의 냉각수분사가 정지되도록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동작모드가 정지모드인 경우, 다수의 전동밸브 모두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2 소재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이 온되면 사용되는 캐리버로의 냉각수 분사를 정지되도록 해당 전동밸브를 전폐시키고, 상기 제1,제2 소재감지 센서가 모두 오프되면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 모두를 완전히 오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모드가 제어모드인 경우, 다수의 전동밸브 모두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소재감지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이 온되면 사용될 캐리버로의 냉각수 분사가 정지되도록 해당 전동밸브를 전폐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소재감지 센서가 모두 온되면 전폐된 전동밸브의 일부분을 오픈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소재감지 센서가 모두 오프되면 상기 다수의 전동밸브 모두를 완전히 오픈시켜 급속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KR1020020053002A 2002-09-03 2002-09-03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KR10088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002A KR100887079B1 (ko) 2002-09-03 2002-09-03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002A KR100887079B1 (ko) 2002-09-03 2002-09-03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738A KR20040020738A (ko) 2004-03-09
KR100887079B1 true KR100887079B1 (ko) 2009-03-04

Family

ID=3732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002A KR100887079B1 (ko) 2002-09-03 2002-09-03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83B1 (ko) * 2011-03-29 2013-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왕복 가속 냉각이 가능한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94B1 (ko) * 2006-06-26 2010-07-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기의 냉각수용 파이프 밴딩 방지장치
KR101035510B1 (ko) * 2008-10-28 2011-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설비용 가이드롤러 냉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021A (ja) * 1998-03-10 1999-09-21 Toshiba Corp 圧延材冷却装置
KR200218361Y1 (ko) * 2000-11-10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후판 압연롤 냉각수 자동분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021A (ja) * 1998-03-10 1999-09-21 Toshiba Corp 圧延材冷却装置
KR200218361Y1 (ko) * 2000-11-10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후판 압연롤 냉각수 자동분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183B1 (ko) * 2011-03-29 2013-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왕복 가속 냉각이 가능한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738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8007056B4 (de) Schneidflüssigkeitszufuhrvor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EP1943033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brammen, dünnbrammen, profilen oder dergleichen
CA2625062C (e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hot strip
DE2453008C2 (de) Vorrichtung zum Kühlen eines endlosen Gießbandes einer Stranggießmaschine
WO200902704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metallbandes durch giesswalzen
DE60004223T2 (de) Integrierte anlage zur herstellung von walzgut
KR100887079B1 (ko) 가역식 압연기에 있어서 압연롤 냉각 장치
CA1174460A (en) Continuous gold rolling and annealing apparatus for steel strip
EP0268350B1 (en) Improved scarfing nozzles
JP6816772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KR20040046126A (ko) 열연강판의 폭방향 균일냉각시스템
KR950009142B1 (ko) 열간 압연 금속 스트립 또는 시이트의 폭 변동 방지 방법
CA11333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steel strips to effect continuous annealing
JP7352080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3219654B2 (ja) 圧延用ロールの熱変形防止装置
KR100930515B1 (ko) 에지히터 보호장치
JP7261885B2 (ja) 金属素材の冷却装置
JPS6221413A (ja) 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冷却装置
JP3783568B2 (ja) 金属板の圧延・冷却装置および方法
AT525563B1 (de) Trockengiessen in einer giess-walz-verbundanlage
JP4333406B2 (ja) 熱延金属ストリップ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235523Y2 (ko)
KR100946072B1 (ko) 소둔로의 스트립 냉각 장치
KR101747033B1 (ko) 소재냉각장치
JPH08300019A (ja) 熱間仕上圧延機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