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880B1 -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880B1
KR100886880B1 KR1020080061725A KR20080061725A KR100886880B1 KR 100886880 B1 KR100886880 B1 KR 100886880B1 KR 1020080061725 A KR1020080061725 A KR 1020080061725A KR 20080061725 A KR20080061725 A KR 20080061725A KR 100886880 B1 KR100886880 B1 KR 10088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injection
injection tube
hardener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6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소파구조물을 제조함으로써,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포대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상의 소파구조물을 축조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도록 한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와; 상기 포대의 소정의 위치에 경화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을 통해 가압 주입으로 충전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은 자연사면이 1:2 정도의 경사를 이루는 위치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포대를 상호 엇갈리게 적층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다수 개가 적층된 포대의 소정의 위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주입관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주입관을 통해 슬럼프 12∼15㎝ 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펌프카의 소정의 압송압력에 의해서 포대(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주입하는 단계(Ⅲ)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토목섬유, 소파구조물

Description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The wave dissipation structure for which a Geosynthetics was used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본 발명은 토목섬유(Geosynthetics)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구조물은 육각 사주, 테트라포트, sea lock 등으로 대개 육상의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시공위치로 운반한 후, 이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은 육상에서 가깝고 항 내에 진입하는 파의 특성이 비교적 큰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해안 및 낙도의 경우에는 소파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소파구조물의 제작장이 용이하지 않고, 콘크리트 배합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아서, 별도로 육상에서 소파구조물을 제작한 후, 이를 운반한 후 시공하므로, 소파구조물의 해상운반비 및 운반수수료가 계상되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소파구조물 설치 비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파구조물에 대하여 프리캐스트 방식이 아닌 현장충전 콘크리트방식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경제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 대안으로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개발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소파구조물을 제조함으로써,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포대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상의 소파구조물을 축조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하도록 한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와; 상기 포대의 소정의 위치에 경화제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을 통해 가압 주입으로 충전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화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은 자연사면이 1:2 정도의 경사를 이루는 위치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포대를 상호 엇갈리게 적층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다수 개가 적층된 포대의 소정의 위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주입관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주입관을 통해 슬럼프 12∼15㎝ 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를 펌프카의 소정의 압송압력에 의해서 포대(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주입하는 단계(Ⅲ)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소파구조물을 제조함으로써,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포대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상의 소파구조물을 축조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은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10)와; 상기 포대(10)의 소정의 위치에 경화제(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주입관(20)과; 상기 주입관(20)을 통해 가압 주입으로 충전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화제(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대(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2)는 파력을 감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이 방파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은 자연사면 또는 인공사면이 1:2 정도의 경사를 이루는 위치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포대(10)를 상호 엇갈리게 적층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다수 개가 적층된 포대(10)의 소정의 위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주입관(20)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주입관(20)을 통해 슬럼프 12∼15㎝ 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30)를 펌프카의 소정의 압송압력에 의해서 포대(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주입하는 단계(Ⅲ)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경화제 주입단계(Ⅲ)는 다수개의 적층된 포대(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가압 주입으로 충전하되, 맨 하부에 위치된 포대(1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 상기 주입관(20)을 꺾어서 묶고, 다시 그 상부에 위치된 포대(2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 상기 주입관(30)을 꺾어서 묶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다수개의 적층된 포대(1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충전한다.
특히 자연사면이 1:2 정도의 경사로 정지된 경우에 사용재료로는 주로 직포, 폐 플라스틱, 토목섬유 등을 거푸집으로 활용하여 적층식 소파구조물(S)을 구축한다.
또한, 상기 포대(10)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30)의 충전을 위하여 주입관(20)을 이용하여 슬럼프 12∼15㎝ 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30)를 펌프카의 압송압력에 의하여 포대(10) 내로 주입한다.
상기 포대(10)는 사면에 기준되는 위치를 잡아서 전체적인 적층 소파구조물(S)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인력으로 펌프카 등을 이용하여 포대(10)에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적정량을 주입한 후, 주입관(20)을 묶어서 각단별로 콘크리트 충전을 마무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은 소파구조물(S)을 토목섬유 및 폐플라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천편일률적인 소파구조물(S)의 형상에서 탈피하여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개선하며, 현장자유형상의 소파구조물(S)을 축조할 경우에 경제적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이 방파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대 12: 지지부
20: 주입관 30: 경화제
S: 소파구조물

Claims (5)

  1. 삭제
  2.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포대(10)와; 상기 포대(10)의 소정의 위치에 경화제(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주입관(20)과; 상기 주입관(20)을 통해 가압 주입으로 충전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경화제(30)로 구성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포대(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3. 자연사면 또는 인공사면에 토목섬유 또는 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체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부(12)가 교호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포대(10)를 상호 엇갈리게 적층 설치하는 단계(Ⅰ);
    상기 다수 개가 적층된 포대(10)의 소정의 위치를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주입관(20)을 설치하는 단계(Ⅱ);
    상기 주입관(20)을 통해 슬럼프 12∼15㎝ 정도의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이루어진 경화제(30)를 펌프카의 소정의 압송압력에 의해서 포대(1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주입하는 단계(Ⅲ)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주입단계(Ⅲ)는 다수개의 적층된 포대(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가압 주입으로 충전하되, 맨 하부에 위치된 포대(1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 상기 주입관(20)을 꺾어서 묶고, 다시 그 상부에 위치된 포대(2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주입하여 충전시킨 후, 상기 주입관(30)을 꺾어서 묶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여 다수개의 적층된 포대(10)에 주입관(20)을 통해 경화제(30)를 충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사면 또는 인공사면은 1:2 정도의 경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시공방법.
KR1020080061725A 2008-06-27 2008-06-27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25A KR100886880B1 (ko) 2008-06-27 2008-06-27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25A KR100886880B1 (ko) 2008-06-27 2008-06-27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80B1 true KR100886880B1 (ko) 2009-03-04

Family

ID=4069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725A KR100886880B1 (ko) 2008-06-27 2008-06-27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839B1 (ko) * 2019-12-04 2020-07-28 박서진 대형마대를 이용한 현장 타설형 콘크리트블록을 활용한 호안공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408A (ko) * 1996-02-08 1999-11-25 피. 에이치. 반 데르 보름 길이방향의 가요성 용기
KR20020024136A (ko) * 2002-01-28 2002-03-29 신은철 해안침식방지용 구조물과 그 구조물의 제방축조시공방법
KR100778321B1 (ko) 2006-06-27 2007-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수수단이 설치된 지오튜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408A (ko) * 1996-02-08 1999-11-25 피. 에이치. 반 데르 보름 길이방향의 가요성 용기
KR20020024136A (ko) * 2002-01-28 2002-03-29 신은철 해안침식방지용 구조물과 그 구조물의 제방축조시공방법
KR100778321B1 (ko) 2006-06-27 2007-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수수단이 설치된 지오튜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839B1 (ko) * 2019-12-04 2020-07-28 박서진 대형마대를 이용한 현장 타설형 콘크리트블록을 활용한 호안공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33B1 (ko) 식생토낭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인 옹벽의시공방법 및 그 설치구조
CN201158826Y (zh) 土工格栅加筋挡土墙
CN210482200U (zh) 高陡河道岸坡生态护岸结构
KR100350625B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CN207959260U (zh) 具有变形缓冲区的加筋土挡墙
KR100752152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886880B1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소파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424202B (zh) 临海路基防浪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11655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CN206521949U (zh) 框架模块式塑料土工格栅加筋土防护结构
KR100920688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구조
KR101074267B1 (ko) 마대를 이용한 가변 일체형 옹벽
KR100647071B1 (ko) 옹벽용 블록 시공방법
KR100614907B1 (ko) 옹벽축조 부재 및 그 축조방법
CN207062983U (zh) 一种预制框架式挡土墙
KR101149038B1 (ko) 수평지오그리드와 수직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시공방법
KR100976277B1 (ko)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JP3458174B2 (ja) 補強土擁壁の構築方法
KR100689662B1 (ko) 하천의 녹지화용 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4867A (ko) 폐콘크리트 및 폐석회석을 이용한 복합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N212294737U (zh) 一种快速施工路堑挡墙
JP7022428B2 (ja) 土留工法
JPH05306523A (ja) 盛土工法
KR20100059380A (ko) 돌망태 무근 콘크리트 옹벽성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