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868B1 -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868B1
KR100886868B1 KR1020070069005A KR20070069005A KR100886868B1 KR 100886868 B1 KR100886868 B1 KR 100886868B1 KR 1020070069005 A KR1020070069005 A KR 1020070069005A KR 20070069005 A KR20070069005 A KR 20070069005A KR 100886868 B1 KR100886868 B1 KR 10088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roduct
rod
roll film
packaging machin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달
Original Assignee
정지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달 filed Critical 정지달
Priority to KR102007006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rking or coding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23Packaging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65B41/16Feeding webs from roll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한약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액상제품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보빈(50)에 권취된 롤필름(51)을 사용하여 액상제품을 포장하되, 포장완료된 포장팩(14)의 전면과 후면의 인쇄위치가 서로 어긋남 없이 일정하게 자동 생산되므로, 각각의 포장팩(14)마다 포장에 대한 동일성이 유지될 수 있어서, 포장생산능율이 향상되도록 한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면과 후면내용이 각각 인쇄된 2개의 롤필름(51)을 합지하여 봉합하는 과정에서 전면과 후면의 인쇄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봉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포장팩(14)은 물론 내용물까지 폐기처분하게 됨으로써,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포장팩, 봉합, 인쇄위치

Description

액상제품 자동포장기{Auto packing machine for liquid product}
본 발명은 액상의 한약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액상제품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개의 보빈(50)에 권취된 롤필름(51)을 사용하여 액상제품을 포장하되, 포장완료된 포장팩(14)의 전면과 후면의 인쇄위치가 서로 어긋남 없이 일정하게 자동 생산되므로, 각각의 포장팩(14)마다 포장에 대한 동일성이 유지될 수 있어서, 포장생산능율이 향상되도록 한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이다.
종래의 액상제품 자동포장기는 통상 2개의 보빈(50)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해당하는 롤필름(51)을 권취한 후 합지하는 과정에서 측면봉합롤러(22), 압착롤러(23), 상하봉합롤러(24) 및 절단롤러(25)로 구성된 봉합장치(20)를 통해 4면이 봉합된 장방형 형태의 포장팩(14)을 생산한다.
그러나, 전면과 후면내용이 각각 인쇄된 2개의 롤필름(51)을 합지하여 봉합하는 과정에서 전면과 후면내용의 인쇄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봉합되는 문제점이 발 생되어 포장팩(14)은 물론 내용물까지 폐기처분하게 됨으로써,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액상제품 포장시 포장팩(14)의 전면과 후면의 인쇄 내용이 한쌍을 이루는 형태로 동일하게 자동 생산될 수 있도록, 전.후면의 인쇄내용이 모두 일측에 인쇄된 광폭의 롤필름(51)을 1개 구비하고, 이를 1개의 보빈(50)에 거치한 후, 공급과정에서 분할가이드(40)를 통해 광폭의 롤필름(51)이 반으로 접지되고, 필요에 따라 칼날(46)을 사용하여 롤필름(51)의 중앙을 공급방향을 따라 절개하여 포장완료된 포장팩(14)의 전.후면 인쇄위치가 어긋남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액상제품 자동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은 하부에 봉합장치(20)가 설치된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설치대(30)의 상부에는 1개의 보빈(50)이 제1설치봉(32)을 통해 설치되고, 제1설치봉(32)의 직하방에는 공급되는 롤필름(51)에 인장을 부여하기 위한 한쌍의 인장봉(33)이 설치되며, 인장봉(33)을 지지하는 설치대(30)에 설치된 제3설치봉(35)에는 제3설치봉(3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리브(43)가 끼워지며 이 슬리브(43)의 정면에 정면부가 상광하협이고, 측면부가 상협하광 형상인 분할가이드(40)가 설치되되, 롤필름(51)의 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제1접지유인구(41)가 분할가이드(4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측면부에는 제2접지유인구(42)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이다.
또한, 인장봉(33)과 제3설치봉(35) 사이에는 제2설치봉(34)을 통해 칼날(46)이 더 장착되고, 분할가이드(40)의 직하방에는 합지가이드(52)가 더 설치되며, 또한 분할가이드(40)의 후방에는 제3설치봉(35)을 따라 분할가이드(4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슬리브(43)와 조임구(44)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이다.
본 발명으로 인해, 포장완료된 포장팩(14)의 전.후면 인쇄위치가 어긋남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포장팩(14)의 전체 생산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의 분리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액상의 한약재를 비롯하여 과즙, 칡즙 등의 액상제품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하부에 도시한 도면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본체(10)부분이고, 도 1의 상부에 도시한 도면은 본 발명의 특징부에 해당하는 것이다.
먼저, 본체(10)의 상부에는 미리 준비된 액상제품을 담아두는 저장탱크(11)가 설치되고, 본체(10)의 외주면 측부에는 자동포장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12) 가 장착되며, 본체(10)의 중앙에는 저장탱크(11)의 액상제품을 포장팩(14) 안으로 공급하는 공급밸브(13)가 설치되고, 공급밸브(13)의 직하방에는 공급되는 롤필름(51)의 측면과 상.하부를 봉합하는 봉합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봉합장치(20)는 종래에도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개략적인 구성 및 작동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상제품 자동포장기는 통상 2개의 보빈(50)에 각각 전면과 후면에 해당하는 롤필름(51)이 권취된다.
권취된 2개의 롤필름(51)은 각각 안내축(21)을 통해 인장상태를 유지한 채 연속 공급되고, 가열방식의 측면봉합롤러(22)를 통과하면서 측면이 봉합되며, 이후 압착롤러(23)를 통해 봉합부위가 압착됨과 동시에 포장팩(14)은 하방으로 계속 공급된다.
연속 공급되는 포장팩(14)은 가열방식의 상하봉합롤러(24)를 통과하면서 상.하부면이 봉합되고, 절단롤러(25)에 의해 포장팩(14)의 상.하부면의 중간부위가 절단된다. 이러한 일련의 봉합 연속 공정에서 액상제품의 투입은 측면의 봉합이 완료되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면과 후면이 인쇄된 2개의 롤필름(51)이 권취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전면과 후면이 일면에 동시에 인쇄된 1개의 광폭 롤필름(51)이 사용되는 것으로, 포장완료된 포장팩(14)의 전.후면 인쇄위치가 어긋남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즉, 도 3a에서와 같이 한쌍의 설치대(30)의 상부에는 힌지(31)방식의 제1설치봉(32)이 설치되고, 이 제1설치봉(32)에는 광폭의 롤필름(51)을 권취하기 위한 1개의 보빈(50)이 설치된다. 제1설치봉(32)의 직하방에는 공급되는 롤필름(51)에 인장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쌍의 인장봉(33)이 설치되며 롤필름(51)은 인장봉(33)에서 "S"자로 권취되면서 팽팽한 인장상태를 유지한 채 공급된다. 또한, 도 3a에서와 같이 일측 설치대(30)의 인장봉(33) 설치위치에 감지센서(53)가 설치되므로 "S"자로 권취된 롤필름(51)의 공급여부가 감지되는 것이다.
한편, 인장봉(33)의 직하방에는 제2설치봉(34)에 칼날(46)이 설치되어 공급되는 롤필름(51)의 중앙을 공급방향을 따라 절개하도록 한다. 또한, 제2설치봉(34)의 직하방에는 제3설치봉(35)을 통해 롤필름(51)을 전면인쇄부와 후면인쇄부로 분할시키는 분할가이드(40)가 설치되되, 도 3a의 원내확대도 및 도 3b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분할가이드(40)의 후방에 슬리브(43)와 조임구(44)가 설치되어 슬리브(43)가 제3설치봉(35)에 외삽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분할가이드(40)의 위치가 제3설치봉(35)을 따라 좌우로 조절되게 한다.
상기 분할가이드(40)의 정면부는 상광하협의 구조이고, 측면부는 상협하광의 구조로서, 정면부의 상부에는 공급되는 롤필름(51)의 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제1접지유인구(41)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측면부에도 롤필름(51)의 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제2접지유인구(42)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며, 분할가이드(40)의 상부에는 칼날(46) 절개시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구멍(45)이 형성된다.
또한, 제4설치봉(36)이 분할가이드(40) 하방에 설치되어 분할가이드(40)의 후면을 지지해줌으로써, 분할가이드(40)의 전면을 지지하는 제2설치봉(34)과 함께 분할가이드(40)가 제3설치봉(35)을 중심으로 역회전 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하, 도 4,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필름(51) 분할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공급되는 광폭의 롤필름(51)의 중앙부를 칼날(46)로 절개하는 구성이고, 도 5는 공급되는 롤필름(51)의 중앙부를 절개하지 않고 접지하는 구성이다.
먼저, 도 4의 좌측도면과 같이 보빈(50)에 권취된 롤필름(51)은 한쌍의 인장봉(33)에서 "S"자로 권취되면서 팽팽한 인장상태를 유지한 채 분할가이드(40)로 공급된다. 공급된 롤필름(51)은 도 4의 우측도면과 같이 분할가이드(40)의 제1접지유인구(41)와 제2접유인구내로 유도되면서 정면부가 상광하협이고, 측면부가 상협하광 형태인 분할가이드(40)의 형상을 따라 분할된다.
아울러, 롤필름(51)의 유입 초반부에는 제2설치봉(34)에 고정 설치된 칼날(46)에 의해 롤필름(51)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중앙부위가 절개됨으로써, 결국 롤필름(51)은 절개부(54)가 형성된 2개의 롤필름(51)으로 분할되며, 이후 도 4의 우측도면과 같이 분할가이드(40)의 직하방에 설치된 합지가이드(52)와 종래의 안내축(21)을 통해 인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양측으로 나뉘어 봉합장치(20)내로 공급된다. 봉합장치(20)내로 공급된 롤필름(51)은 전술한 종래의 봉합단계를 거쳐 낱개의 포장팩(14)으로 생산되는 것이다.
도 5는 공급되는 롤필름(51)의 중앙부를 절개하지 않고 접지하는 구성으로서, 도 4로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동일구성을 갖는다. 단지, 도 4의 구성으로부터 칼날(46) 구성을 배제한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 이 분할가이드(40)의 형상을 따라 하방으로 공급되는 광폭의 롤필름(51)은 절개부(54)가 없는 상태로 반으로 접지되고, 종래 인장축의 도움없이 합지가이드(52)를 통해 종래의 봉합장치(20)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후 봉합장치(20)내로 공급된 롤필름(51)은 전술한 종래의 봉합단계를 거쳐 낱개의 포장팩(14)으로 생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의 봉합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
도 3b는 제3설치봉에 슬리브가 끼워지고 이 슬리브에 분할가이드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 3a의 A - A'선 단면도
도 4,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필름 분할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의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저장탱크
12 : 콘트롤박스
13 : 공급밸브
14 : 포장팩
20 : 봉합장치
21 : 안내축
22 : 측면봉합롤러
23 : 압착롤러
24 : 상하봉합롤러
25 : 절단롤러
30 : 설치대
31 : 힌지
32 : 제1설치봉
33 : 인장봉
34 : 제2설치봉
35 : 제3설치봉
36 : 제4설치봉
40 : 분할가이드
41 : 제1접지유인구
42 : 제2접지유인구
43 : 슬리브
44 : 조임구
45 : 구멍
46 : 칼날
50 : 보빈
51 : 롤필름
52 : 합지가이드
53 : 감지센서
54 : 절개부

Claims (4)

  1. 하부에 봉합장치(20)가 설치된 액상제품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설치대(30)의 상부에는 1개의 보빈(50)이 제1설치봉(32)을 통해 설치되고, 제1설치봉(32)의 직하방에는 공급되는 롤필름(51)에 인장을 부여하기 위한 한쌍의 인장봉(33)이 설치되며, 인장봉(33)을 지지하는 설치대(30)에 설치된 제3설치봉(35)에는 제3설치봉(3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리브(43)가 끼워지며 이 슬리브(43)의 정면에 정면부가 상광하협이고, 측면부가 상협하광 형상인 분할가이드(40)가 부착되되, 롤필름(51)의 접지를 유도하기 위한 제1접지유인구(41)가 분할가이드(4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측면부에는 제2접지유인구(42)가 수직방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장봉(33)과 제3설치봉(35) 사이에는 제2설치봉(34)을 통해 칼날(4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분할가이드(40)의 직하방에는 합지가이드(5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슬리브(43)에 조임구(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KR1020070069005A 2007-07-10 2007-07-10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KR10088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05A KR100886868B1 (ko) 2007-07-10 2007-07-10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005A KR100886868B1 (ko) 2007-07-10 2007-07-10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68B1 true KR100886868B1 (ko) 2009-03-04

Family

ID=4069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005A KR100886868B1 (ko) 2007-07-10 2007-07-10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21B1 (ko) 2013-05-31 2014-11-13 임종용 음료 자동주입 포장설비
KR20200015961A (ko) 2018-08-06 2020-02-14 박병주 2열 3면 씰링구조를 갖는 간헐식 포장장치
KR102443256B1 (ko) 2022-02-23 2022-09-16 (주)에프엘씨엔피 식품농축액 자동포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0833A (ja) * 1995-12-13 1996-09-10 Komatsu Ltd ラミネートフイルムで形成される密封包装体の連続製造方法
JPH08282635A (ja) * 1995-04-13 1996-10-29 Topatsuku:Kk 自動包装機のシール間隔自動調整装置
KR200319721Y1 (ko) 2003-04-08 2003-07-16 박준학 식품 포장기의 필름 포장지 자동 이송장치
KR20050078890A (ko) * 2004-02-03 2005-08-08 전성훈 파우치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635A (ja) * 1995-04-13 1996-10-29 Topatsuku:Kk 自動包装機のシール間隔自動調整装置
JPH08230833A (ja) * 1995-12-13 1996-09-10 Komatsu Ltd ラミネートフイルムで形成される密封包装体の連続製造方法
KR200319721Y1 (ko) 2003-04-08 2003-07-16 박준학 식품 포장기의 필름 포장지 자동 이송장치
KR20050078890A (ko) * 2004-02-03 2005-08-08 전성훈 파우치 포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421B1 (ko) 2013-05-31 2014-11-13 임종용 음료 자동주입 포장설비
KR20200015961A (ko) 2018-08-06 2020-02-14 박병주 2열 3면 씰링구조를 갖는 간헐식 포장장치
KR102443256B1 (ko) 2022-02-23 2022-09-16 (주)에프엘씨엔피 식품농축액 자동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9653A (en) Pouch machine for making maximum volume pouch
US6217497B1 (en) Stand-up apparatus for producing flexible pouches
US8579780B2 (en) Plastic bag making apparatus
US9725194B2 (en) Folding assembly of a continuous sheet of packaging material, in particular paper, applicable to automatic packaging machines and a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comprising such a folding assembly
US2008021645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allet units of fresh perishables in modified atmosphere-containing bags
KR100886868B1 (ko) 액상제품 자동포장기
RU2011150184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единицы груза пленкой
US9505189B2 (en) Apparatus for forming a plurality of flexible pouches from a continuous web of film
KR20110003637A (ko) 파우치 필름의 가이드 장치
JP4953493B2 (ja) 缶又はその他の廃棄処分可能飲料容器を熱収縮性フィルムにより包装するためのプラント
US20140208918A1 (en) Tear line forming mechanism for pop-up tissue paper package film
AU2017261120B2 (en) Flow wrapper apparatus with forming tube
JP5266505B2 (ja) 縦型複数列充填包装装置
KR102350431B1 (ko) 포장기계시스템의 사이드 실링장치
US3908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ckages
JP2010285181A (ja) 胴巻き包装機
JP5266506B2 (ja) 縦型複数列充填包装装置
CN219361587U (zh) 一种折料装置及酒精棉片四边封包装机
KR200408258Y1 (ko) 한약 포장기
KR101471812B1 (ko) 꽃다발 또는 화분 포장대의 제조장치
JP3060994U (ja) 自動包装機用製袋ガイド装置
CN208715660U (zh) 打标封口机
JP2011201546A (ja) 個包装機
JP2005289498A (ja)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におけるノッチ装置
KR100729902B1 (ko) 한약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