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997B1 -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997B1
KR100885997B1 KR1020080071055A KR20080071055A KR100885997B1 KR 100885997 B1 KR100885997 B1 KR 100885997B1 KR 1020080071055 A KR1020080071055 A KR 1020080071055A KR 20080071055 A KR20080071055 A KR 20080071055A KR 100885997 B1 KR100885997 B1 KR 10088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inet
water
measuring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섭
Original Assignee
(주)한국스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스카다 filed Critical (주)한국스카다
Priority to KR1020080071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3Constructional details using sliding mechanisms for accessing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25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류수의 오염도 및 배출량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인출형으로 배치하여 공사,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의하면; 발전소 또는 산업용 플랜트 등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 및 배출량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들, 즉 수조부, 채수부, 콘트롤부, 분석부가 팩키지 타입(PACKAGE TYPE)으로 구성되면서 이들을 각각의 캐비닛에 서랍식 즉 인출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공사,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소 설치공사비를 월등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유닛들 전면에 마련된 손잡이를 통해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충격으로부터 각각의 구성 유닛들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 캐비닛, 서랍식, 인출, 손잡이, 슬라이드레일

Description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TELEMETERING SYSTEM OF THE QUALITY OF WATER}
본 발명은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 또는 산업용 플랜트 등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 및 배출량 등을 실시간으로 원격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하수 및 폐수종말처리시설과 폐수배출사업장에는 의무적으로 방류구에 부착된 연속자동측정기를 수질 원격관제센터에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방류수의 오염상태를 24시간 상시 감시하는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Telemetering system)을 적용하여 수질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은 수질측정센서, 데이터로거, 자동채수장치, 통신(전용회선)장치, 전원공급장치, 수중펌프를 포함한 배관설비, 저류조, 냉난방장치 등을 구비하며, 이들은 통상 콘테이너박스로 이루어진 측정소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서 현장에 설치되는 자료수집장치는 하수종말처리시설(폐수종말처리시설 또는 배수배출사업장 등)에서 배출되는 방류수를 취수하여 다종의 센서들로 수질 상태 및 유량을 소정시간 간격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기초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평균자료를 산출하여 중앙 관제서버에 송신한다. 이때, 수질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면 자동채수기를 통해 수집한 후 관리자가 정밀 분석을 하게 된다. 그리고 관제서버는 평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폐수 배출을 규제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한다. 이러한 종래 수질 원격감시 시스템에서는 자동채수장치에서 채집된 시료에서 수소이온농도(pH)와,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과,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부유물질(SS)과, 총 질수(TN)와, 총 인(TP)을 다종의 센서들을 통해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수질 원격 감시 시스템은 분할형, 즉 채집된 시료에서 수질의 상태 및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다종의 센서 및 각종 분석기들이 개별의 캐비닛에 각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기들의 고장이나 내용연한이 다되어 교체시 해당되는 센서 및 기기 등(PANEL, CONTROL, 분석, 시약 등)을 전부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수질 원격 감시 시스템의 COD 자동측정기, BOD 자동측정기, T/N 자동측정기, T/P 자동측정기들은 각 기기별로 크기가 상이하므로 측정소에 설치가 끝나면 외관이 미려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상당한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소 또는 산업용 플랜트 등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 및 배출량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팩키지 타입(PACKAGE TYPE)으로 구성하면서 캐비닛에 인출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공사,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소 설치공사비를 월등하게 줄일 수 있는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수 처리설비를 통해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상기 폐수 처리설비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은; 상기 폐수 처리설비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것에서 샘플링펌프를 통해 시료를 채수하여 일시 저장하는 저류수조와, 상기 저류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일부 여과하여 일시 저장하는 여과수조로 구획된 저류/여과수조가 제1캐비닛에 내장된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제1캐비닛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캐비닛 내부에 상기 샘플링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과, 상기 저류/여과수조에 저장된 시료를 일부 샘플링 채취하기 위한 자동 샘플러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채수부와; 상기 채수부의 제2캐비닛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드레일을 통해 내부가 칸칸이 나뉘어진 제3캐비 닛과, 서랍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데이터로거 유닛과,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과, 유량측정기 유닛과, UPS 배터리 유닛을 갖춘 콘트롤부(300)와; 상기 콘트롤부의 제3캐비닛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드레일을 통해 내부가 칸칸이 나누어진 제4캐비닛과, 서랍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을 갖춘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콘트롤부의 상기 데이터로거 유닛과, 상기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과, 상기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과, 상기 총 인(TP) 측정기 유닛과, 상기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과, 상기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과, 상기 유량측정기 유닛과, 상기 UPS 배터리 유닛의 전면부 양측에는 각각 콘트롤부측 손잡이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분석부의 상기 생물학적/화적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과, 상기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과, 상기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의 전면부 양측에는 각각 분석부측 손잡이가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의하면; 발전소 또는 산업용 플랜트 등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 및 배출량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요소들, 즉 수조부, 채수부, 콘트롤부, 분석부가 팩키지 타입(PACKAGE TYPE)으로 구성되면서 이들을 캐비닛에 서랍식 즉 인출 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공사, 설치, 운영 및 유지보수 등을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측정소 설치공사비를 월등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유닛들이 캐비닛에서 슬라이드레일을 통해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이들의 애퓨터 서비스 및 유지보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유닛들 전면에 마련된 손잡이를 통해 인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외부충격으로부터 각각의 구성유닛들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배치구조 및 계통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배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은 폐수 처리설비를 통해 처 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소(C) 내부에 배치되며 배관라인을 통해 시료를 채취하여 일시 저장하기 위한 수조부(100)와, 이 수조부(100)의 이웃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전원관리 및 채수를 위한 채수부(200)와, 이 채수부(200)의 이웃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종 측정기 유닛들이 배치되는 콘트롤부(300)와, 이 콘트롤부(300)의 이웃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각종 분석을 위한 전처리 유닛들이 배치되는 분석부(400)를 갖추고 있다.
즉,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은 폐수 처리설비(미도시)에서 처리되어 방류구(10)를 통해 배출되는 것에서 샘플링펌프(20)를 통해 시료를 채취하여 일시 저장하는 저류수조와, 이 저류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일부 여과하여 일시 저장하는 여과수조로 구획된 저류/여과수조(120)를 갖춘 수조부(100)와; 샘플링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220)과, 저류/여과수조(120)에 저장된 시료를 일부 샘플링 채취하기 위한 자동 샘플러(2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채수부(200)와; 데이터로거 유닛(320)과,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을 갖춘 콘트롤부(300)와;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430)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44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분석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데이터로거 유닛(320)은 폐수 처리설비에서 처리된 현장 의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을 통해 중앙감시실로 보내는 것은 물론이며, 환경 관제센터측으로 송출하여 폐수 처리설비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조부(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 처리설비에서 처리된 방류수가 배출되는 방류구(10)에서 샘플링펌프(20)를 통해 시료를 채취하여 일시 저장하며 저장된 폐수를 일부 여과하여 일시 저장하도록 구획된 저류/여과수조(120)와, 이 저류/여과수조(120)가 내장되는 함체상의 제1캐비닛(1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샘플링펌프(20)는 오염물질 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곳, 즉 방류구(10)에 설치하여 측정 시료를 채취하기 한 것이다. 그리고 저류/여과수조(120)는 시료를 분석부(400)로 보내기 전에 일단 채류시켜 수압이나 유량, 부유물질 분리 제거 등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는 시료의 오염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130)(140)가 배치된다. 또한, 샘플링펌프(20)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구동시켜 수질오염 측정을 위한 시료를 일시 보관 후 배출 폐기할 수 있도록 통해 제어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감시실을 통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채수부(200)는 수조부(100)의 제1캐비닛(1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함체 형태의 제2캐비닛(210)과, 이 제2캐비닛(210)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샘플링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220)과, 저류/여과수조(120)에 저장된 시료를 일부 샘플링 채취하기 위한 자동 샘플러(230)를 갖추고 있다. 채수부(200)의 자동 샘플러(230)는 데이터로거(320)를 통해 자동 제어된다.
또한, 콘트롤부(3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수부(200)의 제2 캐비닛(2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함체상의 제3캐비닛(310)과, 이 제3캐비닛(3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데이터로거 유닛(320)과,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과, UPS & AVR 유닛(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콘트롤부(300)는 수조부(100)에 채취된 시료를 자동으로 연속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각각의 구성유닛 적용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은 유리박막의 양측에 서로 다른 2종의 용액을 놓으면 양쪽 용액의 수소이온농도(pH) 차에 비례한 기전력이 유리박막의 양면에서 발생하는 것을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에서 pH값을 측정할 수 있는 유리 전극법, 또는 안티몬의 표면에 생성되어 있는 산화물은 용액에 담그면 산화물이 용애되어 수산화물로 되는데 용액의 수소이온농도(pH)에 따라서 안티몬 수산화물의 전리평형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한 안티몬 전극법을 통해 pH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BOD/COD 측정기 유닛(330)에서 BOD 측정기는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의 유기물 대사과정을 통하여 외부의 전지수용체를 환원하게 되는데 이 때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전류값과 수질의 BOD값은 비례관계를 나타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에서 BOD를 측정하는 미생물 연료전지법, 또는 반응기에서 유기물과 반응하는 동안 일정하게 용존산소를 소모하도록 측정 샘플과 수도수의 희석배율을 연속적으로 조절 공급하며 희석배율은 측정샘플의 농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그 배율로 BOD 값을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산소전극법 등을 적용하여 BOD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BOD/COD 측정기 유닛(330)에서 COD 측정기는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과망간산칼륨방법, 복합재료전극을 이용한 전기화학법과, 반응기에서 과산화수소가 OH라디칼을 생성하여 신속한 산화반응이 이루어져 연속적으로 COD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과산화수소법과, 오존이 용존된 수도수의 반응기에서 유기물과 반응하여 일정하게 오존을 소모하도록 시료샘플과 수도수의 희석배율을 연속적으로 조절 공급하여 COD값을 측정할 수 있는 오존산화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은 시료용액에 광원을 주사하여 산란되는 광신호의 비율이 시료중의 입자 농도에 따라 비례하는 것을 이용한 광산란법과, 또는 미리 무게를 단 유리섬유 여지를 여과기에 부착하여 시료를 여과시킨 다음 여지의 무게차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을 구하는 중량검출법(유리섬유여지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은 시료 중 질소화합물을 질산이온으로 산화시킨 다음 산성에서 자외부 흡광도를 측정하여 질소를 정량하는 자외선 흡광광도법, 또는 시료 중 질소화합물을 질산이온으로 산화시킨 다음 질산이온을 다시 카드뮴-구리환원칼럼을 통과시켜 아질산 이온으로 환원시켜서 이질산성 질소의 질소를 구하여 질소로 환원하는 카드뮴 구리 환원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은 시료중의 인 화합물을 인산염으로 산화시킨 다음 인산염을 아스코르빈산 환원 흡광도법으로 정량하는 흡광광도법, 또는 시료에 몰리브덴 시약을 비롯한 환원시약을 넣어 시료의 농도에 따라 발색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기 유닛들로 구성된 콘트롤부(300)에서는 채취된 시료에서 pH값, BOD값, COD값, 부유물질(SS)값, 총 질소(TN)값, 총 인(TP)값을 자동으로 연속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값들은 데이터로거 유닛(320)측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로거(320)에서는 콘트롤부(300)에서 측정된 수질오염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수집 분석된 수질오염 데이터 값들이 배출허용기준 값 초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부(300)를 이루는 측정기 유닛들은 함체상의 제3캐비닛(310)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상의 제3캐비닛(310)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칸칸이 슬라이드레일(311)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부(300)의 데이터로거 유닛(320)과,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들은 제3캐비닛(310)의 슬라이드레일(311)들을 통해 앞면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정기 유닛들은 각각의 시료 공급라인(미도시)과 플랙시블 튜브(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각 측정기 유닛들의 인출을 여유있게 허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콘트롤부(300)를 이루는 각각의 측정기 유닛들은 제3캐비닛(310)에 팩키지 타입으로 구성 배치되면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서랍형태의 콘트롤부(300)의 데이터로거 유닛(320)과, 생물학적/화학 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의 전면부 양측에는 콘트롤부측 손잡이(312)가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콘트롤부측 손잡이(312)를 통해 각각의 측정 유닛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은 하나의 서랍식 유닛 본체(360)에 내장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4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부(300)의 제3캐비닛(3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함체상의 제4캐비닛(410)과, 이 제4캐비닛(4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저류/여과수조(120)에 저장된 시료를 전처리 하여 콘트롤부(300)측의 BOD/COD 측정유닛(330)으로 보내는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430)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440)과, 증류수 저장을 위한 증류수 저장고(450)를 갖추고 있다.
또한, 분석부(400)를 이루는 전처리 유닛들은 함체상의 제4캐비닛(410)에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상의 제4캐비닛(410)에는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칸칸이 슬라이드레일(411)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석부(400)의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430)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440) 등은 제4캐비닛(410)의 슬라이드레일(411)들 을 통해 앞면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서랍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전처리 유닛들은 각각의 시료 공급라인(미도시)과 플랙시블 튜브(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각 전처리 유닛들의 인출을 여유있게 허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분석부(400)를 이루는 각각의 전처리 유닛들은 제4캐비닛(410)에 팩키지 타입으로 구성 배치되면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서랍 형태로 이루어진 분석부(400)의 생물학적/화적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430)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440)의 전면부 양측에는 분석부측 손잡이(412)가 각각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석부측 손잡이(412)를 통해 각각의 전처리 유닛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환경 관제센터의 중앙서버와 지역서버인 중앙감시실이 접속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기본적인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중앙감시실에서 제어되는 오토 샘플러(230)는 1일 2시간 간격으로 단일 시료를 자동 채취, 보관 및 폐기하도록 설정되며, 오토 샘플러(230)에서 시료가 채취되면 수질오염 분석부(400) 및 콘트롤부(300)에서는 수질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로거 유닛(3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지역서버인 중앙감시실에서는 데이터로거 유닛(320)에서 수집하여 분석된 수질오염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미도시)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며, 플랜트 현장의 측정된 수질오염 데이터 값이 배출허용기준 값보다 초과하면 경고발생부(미도시)를 구동시키며 설비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플랜트 현장의 폐수 처리설비를 제어한다. 또한, 중앙감시실에서는 플랜트 현장에서 측정된 수질오염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환경 관제센터로 전송함으로써, 여기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근거로 중앙감시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제어는 환경 관제센터와 중앙감시실이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반복 실행됨으로써, 환경 관제센터에서는 원격으로 지역서버인 중앙감시실과 폐수 처리설비의 상기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작동 중에 분석부(400)의 분석 및 전처리 유닛 및 콘트롤부(300)의 측정기 유닛들의 고장이나 내용연한이 다되어 교체할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캐비닛(310)(410)에서 인출하여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이러한 것은 각각의 분석/전처리기 및 측정기 유닛들이 서랍형태로 구성되면서 각 캐비닛(310)(410)에 슬라이드레일(311)(411)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유닛들만 인출하여 조정 및 고장에 대해 수리가 가능하며, 구성 자체가 간편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제작비가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이 설치되는 측정소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보인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콘트롤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분석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수조부 110..제1캐비닛
120..저류.여과수조 200..채수부
210..제2캐비닛 300..콘트롤부
310..제3캐비닛 311..슬라이드레일
312..콘트롤부측 손잡이 400..분석부
410..제4캐비닛 411..슬라이드레일
412..분석부측 손잡이

Claims (2)

  1. 폐수 처리설비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것에서 샘플링펌프(20)를 통해 시료를 채수하여 일시 저장하는 저류수조와, 상기 저류수조에 저장된 폐수를 일부 여과하여 일시 저장하는 여과수조로 구획된 저류/여과수조(120)가 제1캐비닛(110)에 내장된 수조부(100)와; 상기 수조부(100)의 제1캐비닛(1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캐비닛(210) 내부에 상기 샘플링펌프(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분전반(220)과, 상기 저류/여과수조(120)에 저장된 시료를 일부 샘플링 채취하기 위한 자동 샘플러(2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채수부(200)와; 폐수 처리설비를 통해 처리되어 배출되는 방류수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상기 폐수 처리설비를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로거 유닛(320)과,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을 갖춘 콘트롤부(300)와;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을 위한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총 질소 측정을 위한 TN 전처리 유닛(430)과, 총 인 측정을 위한 TP 전처리 유닛(440)을 갖춘 분석부(400)를 구비한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300)는 상기 채수부(200)의 제2캐비닛(2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드레일(311)을 통해 내부가 칸칸이 나뉘어진 제3캐비닛(310)을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부(300)의 데이터로거 유닛(320)과, 생물학적/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기(BOD/COD) 유닛(330)과, 총 질소(TN) 측정기 유닛(340)과, 총 인(TP) 측정기 유닛(350)과, 수소이온농도(pH) 측정기 유닛(361)과, 부유물질(SS) 측정기 유닛(362)과, 유량측정기 유닛(363)과, UPS 배터리 유닛(370)은 전면부 양측에 각각 손잡이(312)가 돌출되게 마련된 서랍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캐비닛(310)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311)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분석부(400)는 상기 콘트롤부(300)의 제3캐비닛(310) 일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드레일(411)을 통해 내부가 칸칸이 나뉘어진 제4캐비닛(410)을 구비하고;
    상기 분석부(400)의 BOD/COD 전처리 유닛(420)과, TN 전처리 유닛(430)과, TP 전처리 유닛(440)은 전면부 양측에 각각 손잡이(412)가 돌출되게 마련된 서랍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캐비닛(410)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레일(411)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2. 삭제
KR1020080071055A 2008-07-22 2008-07-22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KR10088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55A KR100885997B1 (ko) 2008-07-22 2008-07-22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55A KR100885997B1 (ko) 2008-07-22 2008-07-22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997B1 true KR100885997B1 (ko) 2009-02-26

Family

ID=4068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055A KR100885997B1 (ko) 2008-07-22 2008-07-22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983A2 (en) * 2010-03-25 2011-09-29 Molex Incorporated Biochemical oxygen demand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KR20180002217U (ko) * 2017-01-11 2018-07-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장기보관용 샘플 박스
KR20200106283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웰스프링익스팬드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전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25Y1 (ko) * 1999-11-01 2000-04-15 주식회사포스콘 제어시스템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KR20030066073A (ko) *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에코아이티이십일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725Y1 (ko) * 1999-11-01 2000-04-15 주식회사포스콘 제어시스템용 컨트롤러 장착구조
KR20030066073A (ko) * 2002-02-04 2003-08-09 주식회사 에코아이티이십일 부유물질 농도 분석기와 소프트웨어 센서기술을 이용한수처리시설 방류수 유기물질농도 예측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9983A2 (en) * 2010-03-25 2011-09-29 Molex Incorporated Biochemical oxygen demand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WO2011119983A3 (en) * 2010-03-25 2012-02-23 Molex Incorporated Biochemical oxygen demand automatic measurement device
KR20180002217U (ko) * 2017-01-11 2018-07-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장기보관용 샘플 박스
KR200488374Y1 (ko) * 2017-01-11 2019-01-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장기보관용 샘플 박스
KR20200106283A (ko) * 2019-03-04 2020-09-14 주식회사 웰스프링익스팬드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전처리장치
KR102337740B1 (ko) * 2019-03-04 2021-12-14 주식회사 웰스프링익스팬드 수질 원격감시시스템의 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981B1 (ko) 스마트 하폐수 처리 운영시스템
CN108706649B (zh) 污水处理数据采集传输系统
CN101598719B (zh) 废水流量、氨氮浓度及氨氮总量水质在线联测仪
CN210604376U (zh) 一种多参数水质监测装置
CN112567242B (zh) 用于在饮用水分配网络中连续自动在线地监测水质和颗粒采样的移动系统
KR100885997B1 (ko) 인출형 수질 원격감시시스템
CN111612678B (zh) 污水管理云平台的实现方法
CN102298067B (zh) 一种cod全自动在线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216979053U (zh) 一种微型地表水环境监测站
KR101912239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실시간 기술 진단 평가가 가능한 여과수 처리 시설의 기술 진단 시스템
KR20030041652A (ko) 하.폐수처리설비의 제어 장치
CN113292200A (zh) 污水处理过程中的在线多参数水质自动快速检测装置
CN117049709B (zh) 一种监测与诊断一体化联动污水处理系统和方法
CN214750211U (zh) 一种水质自动监测系统
CN210037783U (zh) 一种免维护的污染物排放水水质在线监测设备
JP2014004550A (ja) 水処理設備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水処理システム
CN210198443U (zh) 一种窨井安全监测系统
CN111707632A (zh) 一种在线总磷、氨氮、cod水质自动监测装置
CN216387006U (zh) 一种微型水质自动监测站
CN112129708B (zh) 一种多功能自主检测巡检机器人系统
CN219831056U (zh) 一种污水在线监测装置
CN201716289U (zh) 一种污水水质自动监测设备
CN216387003U (zh) 一种重力流排水管下沉式水质自动监测设备
CN217156496U (zh) 一种具备交替采水装置的微型水站
KR102022351B1 (ko) 부유물질량 측정을 통한 bod 예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