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977B1 -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977B1
KR100885977B1 KR1020070067194A KR20070067194A KR100885977B1 KR 100885977 B1 KR100885977 B1 KR 100885977B1 KR 1020070067194 A KR1020070067194 A KR 1020070067194A KR 20070067194 A KR20070067194 A KR 20070067194A KR 100885977 B1 KR100885977 B1 KR 10088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rown
punch
p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79959A (en
Inventor
심국보
정종규
Original Assignee
(주) 정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004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859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광기술 filed Critical (주) 정광기술
Priority to KR102007006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977B1/en
Publication of KR20070079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21D53/261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 및 크라운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로잉공정, 가공공정, 크라운공정으로 이루어진 크라운 형상을 갖는 풀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크라운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lley for a vehicle and a crown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lley having a crown shape consisting of a drawing process, a processing process, a crown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forming the crown.

상기 크라운공정은 가공공정을 마친 풀리를 아이어닝 함과 동시에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크라운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정이고, 상기 크라운 성형장치는 이러한 공정을 가능케 하는 장치이다.The crown process is a process of ironing the pulley after the process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 crow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the crown forming device is a device that enables this process.

풀리, 크라운, 아이어닝 Pulleys, Crowns, Ironing

Description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Crown shaping device for pulley for vehicle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선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vehicl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차 드로잉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Figure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performing a first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차 드로잉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Figure 2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hat has completed the first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차 드로잉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performing a second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차 드로잉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finished the second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차 드로잉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4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performing a third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차 드로잉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finished the third draw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가공공정 중 트리밍 및 피어싱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trimming and piercing in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가공공정 중 CNC선반가공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finished the CNC lathe machin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크라운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Figure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의 크라운공정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Figure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crow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드로잉공정, 111 : 제1차 드로잉공정,110: drawing process, 111: first drawing process,

112 : 제2차 드로잉공정, 113 : 제3차 드로잉공정,112: second drawing process, 113: third drawing process,

120 : 가공공정, 121 :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0: machining process, 121: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2 : CNC선반가공공정, 130 : 크라운공정,122: CNC lathe processing process, 130: crown process,

700 : 풀리, 701 : 돌출부,700: pulley, 701: protrusion,

702 : 크라운, 703 : 경사부,702: crown, 703: inclined portion,

704 : 중공부, 705, 730 : 프레스,704: hollow part, 705, 730: press,

710 : 스페이서, 712, 726 : 스프링,710: spacer, 712, 726: spring,

714 : 상패드, 715 : 상펀치,714: upper pad, 715: upper punch,

716 : 상다이, 717, 721 : 테이퍼,716: Sandai, 717, 721: Taper,

720 : 스트리퍼, 722 : 하펀치,720: stripper, 722: hapunch,

724 : 하패드, 725 : 돌기,724: lower pad, 725: protrusion,

727 : 하패드고정판, 728 : 플레이트,727: lower pad fixing plate, 728: plate,

729 : 쿠션핀.729: cushion pin.

본 발명은 차량엔진의 벨트 구동시 벨트의 장력조절 및 벨트의 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차량용 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라운 형상을 갖는 풀리의 제조방법 및 상기 크라운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ulley that is mounted to prevent tension of the belt and belt loosening during belt driving of a vehicle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ulley having a crown shape and an apparatus for molding the crown.

일반적으로 풀리는 구동벨트시스템에 장착되어 각각의 보기류(파워스티어링, 타이밍벨트, 에어콘, 워터쿨링펌프 등)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부품이다.In general, the pulley is a component that is installed in the drive belt system to smoothly drive each accessory (power steering, timing belt, air conditioner, water cooling pump, etc.).

풀리는 이러한 구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구동벨트의 감싸는 정도를 증대시 키고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목적으로 엔진블록 및 브라켓에 장착된다.The pulley is mounted on the engine block and the bracket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wrapping of the drive belt and maintaining the tension in order to smooth the driving.

이러한 부품은 차량 엔진의 운전조건에 따라 정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These parts must have accurat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of the vehicle engine.

자동차 엔진의 운전조건이 고속 고압인 경우에 회전체에 의한 회전 불균형과 같은 과부하에 의하여 풀리가 변형되지 않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If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engine is high speed and high pressure, the rigidity must be sufficient to prevent the pulley from being deformed by the overload such as the rotational imbalance caused by the rotating body.

따라서 내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풀리는, 용접 이음매가 없는 정밀 드로잉 공정에 의하여 정확한 치수 성형조건을 만족하면서 생산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pulley in which the bearing is mounted inside should be produced while satisfying the exact dimensional shaping condition by the welding seamless precision drawing process.

이러한 풀리를 제조하는 종래의 공정은, 상·하부의 금형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각 과정 사이에 수작업을 필요로 하게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불량률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process of manufacturing such a pulley has to go through various processes using upper and lower molds, which makes the process complicated and requires manual labor between the processes, resulting in low overall productivity and high product defect rate. There was a downsid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번호 제10-0288892호에서는 자동차 엔진 풀리의 드로잉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No. 10-0288892 describes a draw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utomobile engine pulley.

하지만, 위 공보에 게재된 발명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시편의 쇠가지를 평탄화 시키고자 상다이에 별도의 돌기를 원주형으로 형성하였는데, 이는 형상드로잉 또는 각형드로잉 제품에 부분적으로 국부적인 하중 및 미끄럼 저항을 크게 하여 주름억제 및 원자재절감 효과를 요하는 드로잉기법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리를 제작하기 위한 원형드로잉에 이와 같은 원주돌기를 형성하여 드로잉할 경우에는 상기 돌기로 인해 소재에 가해지는 마찰저항이 크게 되므로 소재의 두께를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 다.First, in order to flatten the iron branches of the specimens, a separate protrusion was formed in a columnar shape on the upper die, which increased the partial load and slip resistance of the shape drawing or the angular drawing product, thereby requiring the effect of suppressing wrinkles and reducing raw materials. As it is used in the drawing technique, when forming and drawing such a circumferential protrusion in the circular drawing for manufacturing the pulley, the frictional resistance applied to the material due to the protrusion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and finally the product. This can increase the defective rate.

또한, 상기 상다이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만들기 위해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원주 형태의 돌기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제조상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manufacturing the upper die, not only a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to make the protrusions, but also a manufacturing problem in that the protrusions in the form of cylinders are formed.

둘째, 역드로잉시 유압을 이용하여 소정의 반력을 작용시킨다고 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압의 작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 장치가 필요하고 유압에 의한 오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 등을 하여야 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면에 있어서도 유압장치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바 구조 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Secondly, it is said that a predetermined reaction force is exerted by using hydraulic pressure during reverse drawing, and a separate hydraulic device is required for the a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a lot of cost is required, such as sealing to prevent leakage of oil by hydraulic press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tructure, such as a bar, to be installed in the lifting surface, and also in the manufacturing surface is complicated.

셋째, 아이어닝공정을 한 후에 피어싱공정을 하기 때문에 상기 피어싱공정을 할 때 아이어닝된 풀리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ird, since the piercing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ironing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roned pulley deformation may occur when the piercing process is performed.

넷째, 위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풀리는 외주면이 평평한 풀리로서 이 풀리에 장착되는 벨트의 대응면은 상기 풀리의 외주면과 같이 평평하게 되어 평평한 단일평면접촉을 이루게된다.Fourthly, the pulley manufactured by the above invention is a flat pulley whos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lat, so that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elt mounted on the pulley becomes flat lik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to achieve a flat single flat contact.

따라서, 벨트의 구동시 풀리들의 외주면에서 정확하게 중심이 일치하지 못하고 구동에 따라 풀리에서 벨트가 폭방향으로 요동하여 즉 중심이 연속적으로 변동하여 구동안정성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belt is driven, the center does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s, and the belt is fluctua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that is, the center is continuously changed and thus the driving stability is inferior.

이로 인하여 풀리와 결합되는 벨트의 마모가 클 뿐만 아니라 풀리 내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This causes not only the wear of the belt coupled to the pulley is large, but also shortens the life of the bearing mounted in the pulley.

다섯째, 위 발명은 아이어닝공정만을 하고 상기 기술한 네번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공정 또는 장치가 구비되지 아니하였는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 한 별도의 공정 또는 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때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고 공정이 많아져 작업성 및 생산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정 또는 장치의 실행에 따른 풀리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ifth, the above invention does not have a process or apparatus for only the ironing process and to solve the fourth problem described above, the cos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process or apparatus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processes are increased and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re deteriorated, and a pulley may be deformed due to the execution of a separate process or apparatu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속회전시에 있어서도 구동안정성을 갖는 풀리, 즉 풀리의 외주면에 크라운을 성형하도록 하는 장치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풀리의 아이어닝과 크라운성형을 동시에 수행케 하는 차량용 풀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ironing and crown of the pulley as a device for forming a crow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that is, the driving stability even at high speed rota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lley for a vehicle to perform molding simultaneous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은 금속판재를 드로잉하여 풀리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드로잉공정; 상기 드로잉공정을 마친 풀리의 외경부를 절단하고 중심부를 천공하여 가공하는 가공공정; 상기 가공공정을 마친 풀리를 아이어닝(Ironing)하는 동시에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도록 크라운을 형성하는 크라운공정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wing process of drawing a metal plate to have a shape of a pulley; A processing step of cutting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pulley after the drawing process and drilling the center portion; Ironing the pulley after the processing process (ironing)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in the crown process to form a crown to be convex outward.

상기 드로잉공정은 금속판재를 프레스를 사용하여 컵 형상으로 드로잉하는 제1차 드로잉공정; 상기 제1차 드로잉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제1차 제품의 중심부를 역방향으로 드로잉하는 제2차 드로잉공정; 상기 제2차 드로잉공정에 의하여 생산된 제2차 제품의 돌출부가 상기 제2차 제품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3차 드로잉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awing step may include a first drawing step of drawing a metal sheet into a cup shape using a press; A second drawing process of drawing a central portion of a first product produced by the first drawing process in a reverse direction; And a tertiary drawing process in which the protrusion of the secondary product produced by the secondary drawing proces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ary produc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 치는 프레스에 의해 상하 운동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된 상다이; 상기 상다이의 홀에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상패드; 상기 상패드의 중심을 관통하며 고정 배치되는 상펀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형과, 플레이트 상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중심에 홀이 형성된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퍼의 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배치 되는 하펀치; 상기 하펀치의 중심을 관통하며 쿠션핀에 의해 지지되는 하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형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own shaping device of the vehicl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moved by a press and an upper die having a hole in the center; An upper pad disposed in a hole of the upper die and supported by a spring; A stripper including an upper punch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upper pad and fixedly disposed, and a stripper supported by a spr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plate and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punch disposed in the hole of the stripper and fixedly disposed on the plate; It consists of a lower mold including a lower pa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punch and supported by a cushion pin.

이때, 상기 쿠션핀은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에 의한다.At this time, the cushion pin is by a mechanical press installed pneumatic device.

상기 상다이의 홀의 하부와 상기 스트리퍼의 홀의 상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테이퍼(taper)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패드의 하부에는 중심부를 향해 경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하펀치의 상부에는 상기 상패드의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가 이루어진다.A taper is formed outwardly at a low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upper die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stripper, and an inclination of the upper pad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is inclined of the upper pad. The slope is made to correspond to.

그리고, 상기 하패드의 상부에는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중심공이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형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펀치의 하부와 접하게 된다.In addition, a protrus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ad to insert a center hole of a pierced and trimmed pulley, and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as the upper mold moves downward.

이때,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두께보다 낮고, 상기 상펀치의 지름은 상기 하패드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상펀치와 상기 하패드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두께보다 좁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erced and trimmed pulley, the diameter of the upper pun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ad,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punch and the lower pad is of the pierced and trimmed pulley Narrower than thickn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은 크게 드로잉공정(110), 가공공정(120), 크라운공정(13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pull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wing process 110, a processing process 120, and a crown process 130.

상기 드로잉공정(110)은 금속판재를 프레스를 사용하여 드로잉하여 풀리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제1차 드로잉공정(111), 제2차 드로잉공정(112) 및 제3차 드로잉공정(113)으로 이루어진다.The drawing process 110 is a process of drawing a metal plate using a press to have a shape of a pulley.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and 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Is done.

상기 가공공정(120)은 상기 드로잉공정(110)을 마친 풀리의 외경부를 절단하면서 중심부를 천공하는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과 상기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을 마친 풀리를 CNC선반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측면 가공하는 CNC선반가공공정(122)으로 이루어진다.The machining process 120 cuts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pulley that has completed the drawing process 110 while cutting and piercing the center of the center and a pulley that has completed the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1 to the CNC lathe machine tool. It consists of a CNC lathe processing process 122 for side processing.

이러한 상기 CNC선반가공공정(122)에 의해 트리밍 및 피어싱에 의해 발생하는 쇠가시 등을 제거함으로서, 풀리를 설치하거나 풀리의 작동시 안전하고 정확한 치수를 갖는 풀리를 제작할 수 있다.By removing the metal bar generated by the trimming and piercing by the CNC lathe processing step 122, it is possible to install a pulley or to manufacture a pulley having a safe and accurate dimensions when operating the pulley.

그리고, 상기 크라운공정(130)은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를 아이어닝(Ironing)하는 동시에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을 형성하도록 하는 마무리공정이다.In addition, the crown process 130 is a finishing process for ironing the pulley after the machining process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convex outwardly.

상기 드로잉공정(110)과 상기 크라운공정(130)에는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를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유압장치의 필요 없이 제품(풀리)의 주름을 억제하고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서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e drawing process 110 and the crown process 130 by using a mechanical press installed with a pneumatic device, minimizing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by suppressing the wrinkles of the product (pulley) and having a certain thicknes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hydraulic device can do.

그리고, 상기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을 한 후에 상기 크라운공정(130)에 따른 아이어닝 등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피어싱공정에 의한 풀리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1 and the ironing according to the crown process 130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pulley by the conventional piercing process.

또한, 상기 드로잉공정(110)에는 수용성 드로잉유를 사용함으로써, 드로잉공정(110)을 수행하는 장치와 제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냉각성 및 윤활성 등을 좋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water-soluble drawing oil in the drawing process 1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device performing the drawing process 110 and the product to improve the cooling and lubricity.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차 드로잉공정(111)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차 드로잉공정(111)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2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performing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hat has completed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차 드로잉공정(111)은 금속판재를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205, 230)를 사용하여 컵 형상으로 드로잉하는 공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프레스(205), 스페이서(210), 상패드(214), 스프링(212), 상다이(216) 등으로 이루어진 상형과 하프레스(230), 하펀치(220), 블랭크홀더(222), 플레이트(224), 공기구멍(228), 쿠션핀(226) 등으로 이루어진 하형으로 구성된 장치(금형)에 의해 수행된다.The first drawing step 111 is a step of drawing a metal plate in a cup shape using mechanical presses 205 and 230 provided with a pneumatic device. The upper press 205 and the spacer 210 are shown in FIG. 2. ), Upper pads 214, springs 212, upper dies 216, and the like, and halfless 230, lower punch 220, blank holder 222, plate 224, and air holes 228. ), A lower mold consisting of a cushion pin 226 and the like (mold).

상기 스페이서(210)는 상기 상프레스(205)에 의해 고정 장착되고, 상기 스페이서(210)의 하부에는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상다이(216)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상다이(216)의 홀에는 상기 상패드(214)가 스프링(212)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치된다.The spacer 210 is fixedly mounted by the upper press 205, and an upper die 216 having a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fixedly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pacer 210, and in the hole of the upper die 216. The upper pad 214 is dispos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pring 212.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24)는 상기 하프레스(23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224)의 상부에는 상기 블랭크홀더(222)가 상기 쿠션핀(226)에 의해 지지되면서 배치되며, 상기 블랭크홀더(222)의 중심에는 상기 하펀치(220)가 관통되어 상기 플레이트(224)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late 224 i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lfless 230, and the blank holder 22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224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ushion pin 226. The lower punch 220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older 222 to be fixed to the plate 224.

상기 하펀치(220)는 상기 상다이(216)에 형성된 홀에 인입되고 내부에는 공기구멍(2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컵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다.The lower punch 220 is introduced in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die 216, and an air hole 228 is formed therein, and has a cup shape.

상기 제1차 드로잉공정(111)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원판형 소재의 금속판재를 상기 블랭크홀더(222)에 올려놓는데, 이때 상기 금속판재는 상기 하펀치(220)와 평행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블랭크홀더(222)는 상기 쿠션핀(226)에 의해 쿠션압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First, a metal plate material of a disc-shaped material is placed on the blank holder 222, wherein the metal plate material maintains a parallel line with the lower punch 220, and the blank holder 222 is formed by the cushion pin 226. The cushion is under pressure.

상기 프레스(205, 230)는 최대 150톤의 기계식 프레스로서 상기 프레스(205)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형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다이(216)와 블랭크홀더(222)가 접촉하고 상기 상형이 계속 하강하면 상기 상패드(214)는 상기 하펀치(220)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블랭크홀더(222)는 쿠션핀(226)을 밑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금속판재는 상기 하펀치(220)의 모양을 갖는 제1차 제품(200)으로 만들어진다.The presses 205 and 230 are mechanical presses of up to 150 tons. When the press 205 is operated, the upper die is lowered while the upper die 216 and the blank holder 2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pad 214 is lifted up by the lower punch 220 and the blank holder 222 is lowered by the cushion pin 226 so that the metal sheet has a shape of the primary product having the shape of the lower punch 220. 200).

이때 쿠션핀(226)은 설정된 에어쿠션압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하강하게 되는데, 에어큐션 즉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주름억제 및 일정한 두께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shion pin 226 is lowered while receiving the set air cushion pressure continuously, by using a mechanical press installed air cushion, that is, a pneumatic device can suppress the wrinkles of the product and maintain a constant thickness.

금속판재가 하강하면서 발생된 공기는 상기 하펀치(220)에 형성된 공기구멍(228)에 의해 자동 배출된다.Air generated while the metal sheet is lowered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y the air hole 228 formed in the lower punch 220.

작업이 끝나면 상기 상형은 위로 올라가고 에어쿠션의 힘에 의해 상기 쿠션핀(226)은 상기 블랭크홀더(222)를 위로 올리게되고 이렇게 됨으로써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컵 형상의 제1차 제품(200)이 취출된다.At the end of the work, the upper mold is raised and the cushion pin 226 raises the blank holder 222 by the force of the air cushion, thereby making the cup-shaped primary product as shown in FIG. 200 is taken out.

이때, 상기 제1차 드로잉공정(111)은 드로잉시 상기 제1차 제품(200)의 상부 중심부(202)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성형하도록 함이 제2차 드로잉공정(112)시 역드로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is to make the upper center portion 202 of the primary product 200 to be concave, as shown in Figure 2 (b) when drawing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reverse drawing can be made smoothly.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하펀치(220)의 상부에 공기구멍(228)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This can be achieved by forming a large air hole 228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220.

상기 상다이(216)의 홀 하부에 바깥쪽으로 테이퍼를 형성하거나 또는 곡선을 이루도록 함이 상기 제1차 제품(200)을 상기 하펀치(220)로부터 빼낼 때 용이하다.It is easy to taper or curve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upper die 216 when the primary product 200 is removed from the lower punch 220.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차 드로잉공정(112)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차 드로잉공정(112)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3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performing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hat has completed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차 드로잉공정(112)은 상기 제1차 드로잉공정(111)에 의하여 생산된 제1차 제품(200)의 중심부(202)를 역방향으로 드로잉하는 공정으로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형과 하형에 의해 수행된다.The secondary drawing process 112 is a process of drawing the central portion 202 of the primary product 200 produced by the primary drawing process 111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per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molds as shown.

상형은 상프레스(305), 상기 상프레스(305)에 고정 장착되는 스페이서(310), 상기 스페이서(31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상다이(316), 상기 상다이(316)의 홀에 배치되며 스프링(312)에 의해 지지되는 상패드(314), 상기 상패드(314)를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310)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상펀치(315)로 이루어진다.The upper mold is an upper press 305, a spacer 310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press 305, an upper die 316 fixedly moun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pacer 310, and having a hole at a center thereof, and the upper die 316. The upper pad 314 is disposed in the hole of the) and supported by the spring 312, the upper punch 315 is fixedly mounted to the spacer 310 through the upper pad 314, the air hole formed therein Is done.

그리고 상기 하형은 하프레스(33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플레이트(324), 상기 플레이트(324)의 상부에 배치되며 쿠션핀(326)에 의해 지지되는 블랭크홀더(322), 상기 블랭크홀더(322)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324)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 공기구멍(328)이 형성된 하펀치(320)로 이루어진다.The lower mold includes a plate 324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halfless 330, a blank holder 322 disposed on the plate 324 and supported by the cushion pin 326, and the blank holder 322. The lower punch 320 is fixed to the plate 324 and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plate and has an air hole 328 therein.

상기 하펀치(320)는 상기 상다이(316)에 형성된 홀에 인입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상펀치(3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펀치(315)의 지름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unch 320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the upper die 316, an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punch 315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upper punch 315 may be inserted.

즉, 상기 하펀치(32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홈을 둘러싼 원통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cylindrical protrusions surrounding the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unch 320.

이와 같은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진 제2차 드로잉공정(112)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consisting of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제1차 드로잉공정(111)을 마친 제1차 제품(200)을 상기 블랭크홀더(322)에 올려놓고, 이때 상기 블랭크홀더(322)는 상기 쿠션핀(326)에 의해 쿠션압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First, the first product 200 having completed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is placed on the blank holder 322, wherein the blank holder 322 is under cushion pressure by the cushion pin 326. It is a state.

상기 프레스(305)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형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다이(316)와 블랭크홀더(322)가 접촉하고 상기 상형이 계속 하강하면 상기 상패드(314)는 상기 하펀치(320)에 의해 위로 올라가고 상기 블랭크홀더(322)는 쿠션핀(326)을 밑으로 하강시킨다.When the press 305 is operated, the upper die is lowered while the upper die 316 and the blank holder 3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pper die is continuously lowered, the upper pad 314 is moved upward by the lower punch 320. Go up and the blank holder 322 lowers the cushion pin 326.

이때, 상기 스페이서(31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상펀치(315)가 상기 하펀치(320)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펀치(315)의 하부와 상기 하펀치(320)의 홈이 형성된 하부가 완전히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상기 상패드(315)는 상향 이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1차 제품(200)은 상기 하펀치(320)의 단면 모양을 갖는 제2차 제품(300)으로 만들어진다.In this case, the upper punch 315 fixedly supported by the spacer 3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wer punch 32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315 and the lower hole of the lower punch 320 are formed. When fully contacted, the upper pad 315 is no longer moved upward, so that the primary product 200 is made of the secondary product 300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wer punch 320.

상기 공기구멍(328)과 쿠션핀(326)은 제1차 드로잉공정(111)과 같은 효과를 갖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ir hole 328 and the cushion pin 326 have the same effect as the first drawing process 111,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작업이 끝나면 상기 상형은 위로 올라가고 에어쿠션의 힘에 의해 상기 쿠션핀(326)은 상기 블랭크홀더(322)를 위로 올리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써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돌출부(302)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 제2차 제품(300)이 취출된다.When the work is finished, the upper mold is raised upward and the cushion pin 326 lifts the blank holder 322 by the force of the air cushion, and thus the protrusion 30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The secondary product 300 having the formed shape is taken out.

이때, 상기 상다이(316)의 내경과 하펀치(320)의 외경에 일정한 양의 테이퍼를 줌으로써 뒤에 수행될 크라운공정(130)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gi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aper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die 316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unch 320, the crown process 130 to be performed later can be easily performed.

도 4(a)는 본 발명의 제3차 드로잉공정(113)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3차 드로잉공정(113)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4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duct that has completed 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차 드로잉공정(113)은 상기 제2차 드로잉공정(112)에 의하여 생산된 제2차 제품(300)의 돌출부(302)가 상기 제2차 제품(300)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형상드로잉공정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형과 하형에 의해 수행된다.In 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the protrusion 302 of the second product 300 produced by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roduct 300. As a shape drawing process,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s shown in Fig. 4A are performed.

상기 제3차 드로잉공정(113)에 사용되는 상형 및 하형은 상기 제2차 드로잉공정(112)에 사용된 상형 및 하형과 비교할 때 상패드(414)와 하펀치(420)의 형상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한 바 상기 상패드(414)와 하펀치(4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upper and lower molds used in 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are different from the upper and lower molds used in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except that the upper pad 414 and the lower punch 420 have different shapes. The same ba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pad 414 and the lower punch 420.

그 외에 대해서는 제1차 드로잉공정(111)이나 제2차 드로잉공정(112)을 참조하면 되는바 이하 생략한다.Otherwise, the first drawing step 111 and the second drawing step 112 may be referred to, and will be omitted below.

상기 하펀치(4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상펀치(4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펀치(415)의 지름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center of the lower punch 420 is formed wit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upper punch 415 so that the upper punch 415 can be inserted.

즉, 상기 하펀치(42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홈을 둘러싼 원통형의 돌출부(421)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 cylindrical protrusion 421 surrounding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unch 420.

상기 돌출부(421)는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423)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뒤에 있을 크라운공정(130)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rotrusion 421 forms an inclination 423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crown process 130 to be performed later is easily performed.

또한, 풀리의 내주면(402)에 베어링을 장착하고자 할 때, 상기 풀리의 내주면(420)에 경사(423)가 형성되어 있으면 베어링의 장착에 필요한 작업공간이 넓어져 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bearing is to be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02 of the pulley, when the inclined 423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20 of the pulley, the work space required for mounting the bearing is widened, thereby facilitating the work.

이때, 상기 돌출부(421)는 내주면에 대한 경사(423)가 외주면에 대한 경사보다 더 완만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뒤에 수행될 상기 크라운공정(130)에서 풀리의 외주면(403)에 크라운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크라운이 정확한 치수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421 is preferably such that the inclination 423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be more gentle than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to be performed later in the crown process 130, the crow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403 of the pulley This is to facilitate formation and to ensure that the crown has the correct dimensions.

상기 상패드(414)의 하부에는 상기 하펀치(420)의 돌출부(4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421 of the lower punch 420 is formed below the upper pad 414.

이와 같은 상기 상패드(414)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형과 상기 하펀치(4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3차 드로잉공정(113)은 상기 제2차 드로잉공정(112)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third drawing process 113 including the upper mold including the upper pad 414 and the lower mold including the lower punch 420 is performed like the second drawing process 112.

다만, 상기 상패드(414)와 상기 하펀치(420)에 의해 제3차 제품(400)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01)가 내주면(402)에 대하여 경사(404)를 이루는 형상을 갖게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3B, the protrusion 40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402 by the upper pad 414 and the lower punch 420. It will have a shape to form.

도 5는 본 발명의 가공공정(120) 중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공공정(120) 중 CNC선반가공공정(122)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after the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1 of the machining process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after the CNC lathe machining step 122 of the machining process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공정(110)을 마친 풀리는 외경부(504)가 절단되고, 중심부에는 베어링 및 축이 연결되는데 필요한 크기의 지름을 가지도록 천공되어 중공부(502)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pulley having finished the drawing process 110 is cut out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504, and the hollow portion 502 is formed by drilling a central portion having a diameter necessary to connect the bearing and the shaft. do.

상기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게 할 수 있다.The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1 can be performed using a generally known apparatu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리밍 및 피어싱 공정(121)을 마친 제품의 측면을 CNC선반을 이용하여 가공한다.As shown in FIG. 6, the side surface of the trimming and piercing process 121 is processed using a CNC lathe.

이러한 CNC선반가공공정(122)에 의해 상기 풀리의 측면을 쇠가시없이 매끈하게 가공할 수 있다.By the CNC turning process 122, the side surface of the pulley can be smoothly processed without ironing.

도 7(a)는 본 발명의 크라운공정(130)을 수행하는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크라운공정(130)을 마친 제품의 단면도이다.Figure 7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for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ed product crown process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크라운공정(130)은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600)의 두께 및 크기를 일정한 규격에 맞게 아이어닝(Ironing)하는 동시에 외주면에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Crown, 702)을 형성하는 마무리공정으로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형과 하형으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The crown process 130 irons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ulley 600 that has completed the processing process 120 to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simultaneously forms a crown convex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a finishing process, it is performed by an apparatus composed of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as shown in Fig. 7A.

상형은 상하 운동하는 상프레스(705), 상기 상프레스(705)에 고정 장착되는 스페이서(710), 상기 스페이서(71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며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 상다이(716), 상기 상다이(716)의 홀에 배치되며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되는 상패드(714), 상기 상패드(714)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스페이서(710)에 고정 장착되는 상펀치(7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pper mold includes an upper press 705 that moves up and down, a spacer 710 fixedly mounted to the upper press 705, an upper die 716 fixedly moun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pacer 710, and having a hole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upper upper press 705. An upper pad 714 disposed in a hole of the die 716 and supported by a spring 712, and an upper punch 715 fixedly mounted to the spacer 710 through a center of the upper pad 714. It is done by

하형은 하프레스(73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플레이트(728), 상기 플레이트(728)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하펀치고정판(727), 상기 하펀치고정판(727)에 설치된 스프링(726)에 의해 지지되며 중심에 홀이 형성된 스트리퍼(720), 상기 스트리퍼(720)의 홀에 배치되며 상기 하펀치고정판(727)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728)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하펀치(722), 상기 하펀치(722)의 중심을 관통하며 쿠션핀(729)에 의해 지지되는 하패드(7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ower mold is mounted on a plate 728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halfless 730, a lower punching fixed plate 727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728, and a spring 726 installed on the lower punching fixed plate 727. The lower puncher 722, which is supported by the stripper 720 having a hole in the center, is disposed in the hole of the stripper 720, and is fixed to the upper plate 728 by the lower punching fixing plate 727. And a lower pad 724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punch 722 and supported by the cushion pin 729.

상기 쿠션핀(729)은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705, 730)에 의한다.The cushion pin 729 is by mechanical press (705, 730) is installed pneumatic device.

그리고, 상기 상다이(716)의 홀의 하부와 상기 스트리퍼(720)의 홀의 상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테이퍼(717, 721)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apers 717 and 721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upper die 71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stripper 720.

이는 상기 상형과 하형이 접촉할 때, 풀리의 상부와 하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풀리의 외주면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702)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다.This is a space for forming the crown 702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is convex outward due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ulley wh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다양한 형상의 크라운(702) 풀리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에 알맞은 각도를 갖는 테이퍼(717, 721)가 형성된 상기 상다이(716)와 스트리퍼(720)를 교체 장착함으로서 생산할 수 있다.When the crown 702 pulleys having various shapes are to be manufactured,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having tapers 717 and 721 having appropriate angles may be manufactured by replacing them.

이와 같이 상기 풀리(700)의 외주면에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702)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이드나 플랜지없이 풀리(700)의 회전시 원주의 길이가 긴 쪽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에 의해 벨트가 상기 풀리(7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uch, by forming the crown 702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700, the belt is pulled by the property of moving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when the pulley 700 is rotated without a separate guide or flange. Departure from 700) can be prevented.

이때, 상기 크라운(702)은 상기 풀리(700)의 외주면의 중심부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rown 702 is preferably such that th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700 is formed the longest.

그리고, 상기 상패드(714)의 하부에는 중심부를 향해 경사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펀치(722)의 상부에는 상기 상패드(714)의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가 이루어진다.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d 714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722 is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ad 714.

이는 풀리(700)의 돌출부(701)가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부(703)를 형성하도록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풀리(700)의 두께 및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풀리(700)의 외주면에 일정한 크기의 크라운(702)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allows the protrusion 701 of the pulley 700 to form the inclined portion 703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o keep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ulley 700 constant. This is to form a crown 702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700).

상기 하패드(724)의 상부에는 돌기(72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의 중공부(704)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크라운공정(130)을 수행함에 있어서 풀리(700)의 이탈 및 부정배치로 인한 제품의 불량화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protrusion 72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ad 724, which is a hollow portion 704 of the pulley which has completed the processing process 120, and is inserted in the pull pad in performing the crown process 13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product due to the departure and misalignment of (700).

이때 상기 돌기(725)의 지름은 상기 풀리의 중공부(704)의 지름과 거의 동일하여야 하고, 상기 돌기(725)는 상기 상형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펀치(715)의 하부와 접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725 should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704 of the pulley, the protrusion 725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715 as the upper mold moves downward.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가 일정한 크기 및 두께를 갖도록 하는 아이어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돌기(725)의 높이는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상펀치(715)의 지름은 상기 하패드(724)의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상펀치(715)와 상기 하펀치(722)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의 두께보다 좁아야 한다.In order to perform ironing so that the pulley that has finished the processing process 12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725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ulley that has completed the processing process 120, and the upper punch 715. The diameter of the lower pad 72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punch 722 should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ulley after the processing step 120.

이렇게 함으로써 상형과 하형의 접촉에 의해 상기 가공공정(120)을 마친 풀리는 소성에 의해 정하여진 균일한 두께와 크기를 갖게 된다.In this way, the pulley having finished the processing step 120 by the contact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has a uniform thickness and size determined by firing.

이때, 내경 베어링 공차 및 단차 깊이는 ±0.08, 외경 크라운편측은 0.08이하, 외경진원도는 0.08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ner diameter bearing tolerance and the step depth is ± 0.08, the outer diameter crown one side is preferably 0.08 or less, the outer diameter roundness is preferably 0.08 or less.

이를 위해, 베어링이 삽입될 상기 풀리(700)의 내경은 상기 상펀치(715)와 하펀치(722)를 정밀하게 가공하여 치수를 맞추고, 단차깊이는 상기 상펀치(715)의 길이와 상기 하패드(724)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추어 성형하고, 크라운(702)은 상기 상다이(716)와 스트리퍼(720)에 각각 테이퍼(717, 721)를 주어 성형되도록 한다.To this e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ulley 700 into which the bearing is to be inserted is precisely machined to fit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punch 722, and the step depth is the length of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depth. The length of the pad 724 is precisely shaped and the crown 702 is formed by giving taper 717 and 721 to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respectively.

즉, 풀리(700)의 내경은 상기 상펀치(715)의 지름에 의해 결정되고, 단차깊이는 상기 상펀치(715)와 하패드(724)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고, 두께는 상기 돌기(725)의 높이 및 상기 상펀치(715)와 상기 하펀치(722)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pulley 700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of the upper punch 715, the step depth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pad 724, the thickness is the projection 725 ) And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punch 722.

위와 같은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진 장치에 의해 상기 크라운공정(130)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crown process 130 by the device consisting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as described above is made as follows.

먼저 가공공정(120)을 마친 제품(풀리)을 상기 스트리퍼(720)에 올려놓는데, 이때 상기 풀리의 중공부(704)를 상기 하패드(724)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725)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풀리의 외주면은 상기 스트리퍼(720)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721)에 배치시킨다.First, a product (pulley) having finished the processing process 120 is placed on the stripper 720. At this time, the hollow part 704 of the pulley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rotrusion 725 formed on the lower pad 724.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is disposed on a taper 721 formed on the stripper 720.

상기 프레스(705, 730)는 최대 150톤의 기계식 프레스로서 상기 프레스(705)를 작동시키면 상기 상형이 하강하면서 상기 상펀치(715)의 하부와 상기 하패드(724)의 돌기(725)가 서로 접촉하고, 상기 상패드(714)의 하부와 상기 하펀치(722)의 상부가 풀리를 중간에 두고 인접하게 되며, 상기 상다이(716)와 상기 스트리퍼(720)또한 풀리를 중간에 두고 상호 인접하게 된다.The presses 705 and 730 are mechanical presses of up to 150 tons. When the press 705 is operated, the upper die is lower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715 and the protrusion 725 of the lower pad 724 are mutually incline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d 714 and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722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pulley in the middle, and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are also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pulley in the middle. Done.

즉, 상기 풀리의 돌출부(701)의 경사부(703) 아래쪽에는 상기 하펀치(722)의 경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풀리의 돌출부의 경사부(703) 위쪽에는 상기 상패드(714)의 경사면이 배치된다.That i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unch 722 is disposed below the inclined portion 703 of the protrusion 701 of the pulle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upper pad 714 above the inclined portion 703 of the protrusion of the pulley. Is placed.

상기 상형의 하강이 계속됨에 따라 상기 상패드(714)는 위로 올라가고, 상기 스트리퍼(720)와 상기 하패드(724)는 각각 스프링(726)의 힘과 쿠션핀(729)에 의한 쿠션압력을 받으면서 하강하게 된다.As the lowering of the upper die continues, the upper pad 714 rises, and the stripper 720 and the lower pad 724 receive the force of the spring 726 and the cushion pressure by the cushion pin 729, respectively. Will descend.

상기 상펀치(715)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상펀치(715)와 상기 하패드(724) 사이에는 아이어닝이 일어나고, 상기 하패드(724)의 하강으로 인해 상기 풀리(700) 또한 하강하게되어 상기 하펀치(722)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효과가 일어나 상기 풀리(700)의 내주면이 상기 상펀치(715)의 측면과 상기 하펀치(722)의 측면 사이에서 아이어닝이 일어난다.Ironing occurs between the upper punch 715 and the lower pad 724 due to the lowering of the upper punch 715, and the pulley 700 also lowers due to the lowering of the lower pad 724. The lower punch 722 is relatively rais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700 is ironed between the side of the upper punch 715 and the side of the lower punch 722.

이와 동시에 또는 약간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상다이(716)와 스트리퍼(720)의 접촉에 의해 상기 상다이(716)와 스트리퍼(720)에 형성된 테이퍼(717, 721)에 배치된 상기 풀리(700)의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압력이 가해져 상기 풀리(700) 의 외주면은 상기 테이퍼(717, 721)가 형성된 공간에서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702)이 형성되어진다.At the same time or at some time intervals, the pulley 700 is disposed on the tapers 717 and 721 formed on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by the contact of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700 so that the crown 702 is formed to be convex outward in a space where the taper 717 and 721 are formed.

이때, 상기 상형과 하형이 프레스의 하사점에서 서로 완전히 만나면 상기 상형과 하형 안에 있는 풀리(700)는 모든 치수를 만족하면서 즉 완전히 아이어닝 되면서 동시에 상기 상다이(716)와 상기 스트리퍼(720)에 형성된 테이퍼(717, 721)에 의해 풀리(700)의 외주면에는 정해진 정확한 치수를 갖는 크라운(702)이 성형되어진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and lower molds meet each other completely at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press, the pulley 700 in the upper and lower molds satisfies all dimensions, that is, is fully ironed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die 716 and the stripper 720. The formed taper 717, 721 forms a crown 702 having a predetermined precise dimens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700.

작업이 끝나면 상기 상형은 위로 올라가고 상기 스트리퍼(720)는 스프링(726)에 의해 완성된 풀리(700)를 위로 밀어 올리고 상기 하패드(724)는 쿠션핀(729)에 의해 공기쿠션압력을 받으면서 위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상형과 하형이 원상태로 복귀한 후 크라운(702)이 형성된 풀리(700)를 취출하면 된다.At the end of the work, the upper die is raised and the stripper 720 pushes up the pulley 700 completed by the spring 726, and the lower pad 724 is subjected to air cushion pressure by the cushion pin 729. After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the pulley 700 having the crown 702 is formed may be taken out.

위와 같이, 풀리를 일정한 두께 및 크기로 맞추는 아이어닝과 외주면을 볼록하게 하는 크라운성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아이어닝에 의해 상기 풀리(700)의 내경 베어링 공차 및 단차 깊이를 정확한 치수로 유지하면서 외주면에 일정한 크기의 크라운(702)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한 치수의 풀리(700)를 생산하게 되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crowning to convex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roning to fit the pulley to a constant thickness and size, by maintaining the inner diameter bearing tolerance and step depth of the pulley 700 by the iron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possible to form a crown 702 of a constant size to produce a pulley 700 of the correct dimensions to minimize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또한 하나의 공정으로 두 가지 작업을 함으로써 이에 필요한 금형 또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wo operations in one process, the number of molds or apparatuses required for thi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simplifying the process,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은 CNC선반공정(122)을 제외한 모든 공정을 프레스 공법으로 함으로 써, 제품제작 과정이 간단해지고 수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더욱 정확한 치수를 갖는 풀리를 생산할 수 있어 제3세대 제품공법이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processes except for the CNC lathe process 122 are made by the press method, the production process is simplified, the manual process is reduced, workability is improved, and pulleys having a more accurate dimension can be produced, and thus the third generation product method. This can be called.

본 발명인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 및 크라운 성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pulley and the crown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allowabl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풀리의 제조방법 및 크라운 성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crown molding apparatus of the vehicl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번째,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크라운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가이드나 플랜지없이 풀리의 회전시 원주의 길이가 긴 쪽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에 의해 벨트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by forming a convex crown outward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ulle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belt from moving out due to the property of moving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ce toward the longer side when the pulley rotates without a separate guide or flange have.

이로 인하여 풀리와 결합되는 벨트의 마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 내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can reduce the wear of the belt coupled to the pulley, as well as to extend the life of the bearing mounted in the pulley.

두번째, 트리밍 및 피어싱을 마치고 난 후에 아이어닝을 함으로써 피어싱을 할 때 발생하는 풀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roning after finishing trimming and piercing can prevent deformation of the pulley that occurs when piercing.

세번째, 풀리를 일정한 규격으로 맞추는 아이어닝과 외주면을 볼록하게 하는 크라운성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아이어닝에 의해 상기 풀리의 내경 베어링 공차 및 단차 깊이를 정확한 치수로 유지하면서 외주면에 일정한 크기의 크라운을 형성할 수 있어 정확한 치수의 풀리를 생산하게 되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ironing to match the pulley to a certain standard and the crown forming to convex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by forming the crown of constant siz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inner diameter bearing tolerance and step depth of the pulley by the exact dimens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ulley of the correct dimensions to minimize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또한, 하나의 공정으로 두 가지 작업을 함으로써 이에 필요한 금형 또는 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뿐만 아니라, 아이어닝 후에 별도로 크라운성형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풀리의 치수 변형을 하나의 공정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wo operations in one process can reduce the number of molds or devices required for this process, which can reduce costs, simplify the process,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and separately perform crown molding after ironing. When the dimensional deformation of the pulley that occurs in the case to be performed by one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네번째, 상기 제1차 드로잉공정에서 제1차 제품의 상부중심을 오목하게 성형함으로써, 제2차 드로잉공정시 역드로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Fourth, by forming the upper center of the primary product concave in the primary draw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o smoothly reverse drawing during the secondary drawing process.

다섯번째, 상기 제3차 드로잉공정에서 제2차 제품의 돌출부의 내주면에 대한 경사가 외주면에 대한 경사보다 더 완만하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크라운공정에서 풀리에 크라운을 형성할 때 더욱 쉽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하 대칭을 이루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더욱 정확한 치수를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secondary product in the third drawing process is formed to be more gentle than the inclina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it is more easily formed when forming the crown on the pulley in the crown process. It is possible to achieve symmetry and to have a more accurate dimension.

여섯번째, 드로잉공정에서 수용성 드로잉유를 사용함으로써, 금형 또는 장치와 제품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어, 냉각성 및 윤활성 등을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by using the water-soluble drawing oil in the draw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mold or the device and the produ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ooling and lubricity.

일곱번째, 드로잉공정과 크라운공정에서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유압장치의 설치·사용없이 풀리의 주름억제 및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어 비용의 절감 및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by using a mechanical press equipped with a pneumatic device in the drawing process and the crown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wrinkles and have a certain thickness of pulleys without installing or using a separate hydraulic device, thereby reducing costs and minimizing product defect rate. It has an effect.

여덟번째, CNC선반공정을 제외한 모든 공정을 프레스 공법으로 함으로써, 제 품제작 과정이 간단해지고 수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더욱 정확한 치수를 갖는 풀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Eighth, all processes except the CNC lathe process by the press method,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the manual process is reduced, workability is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 pulley with more accurate dimensions.

아홉번째, 풀리의 크라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다이의 홀의 하부와 스트리퍼의 홀의 상부에 각각 바깥쪽으로 테이퍼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크라운이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Ninth, in the crow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ulley, the taper is formed outward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upper di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of the stripp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rown can be easi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열번째, 풀리의 크라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패드의 하부를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하고 상기 하펀치의 상부에 이에 대응되도록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풀리의 두께 및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 풀리의 외주면에 일정한 크기의 크라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enth, in the crow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ulley, by incl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d toward the center and to form a slo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ulley while maintaining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pulley consta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formed in the crown of a certain size.

열한번째, 풀리의 크라운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패드의 상부에 풀리의 중심공이 삽입되는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아이어닝 및 크라운 형성시에 풀리의 이탈 및 부정배치로 인한 제품의 불량화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Eleventh, in the crown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ulley, by forming a projection for inserting the center hole of the pulle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a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product due to the separation and misalignment of the pulley during ironing and crown 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열두번째, 상기 하패드의 돌기의 높이와 상기 상펀치와 하펀치 사이의 간격을 상기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두께보다 작고 좁게 함으로써 아이어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welfth, the effect of ironing can be obtained by making the height of the projection of the lower pad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punch and the lower punch smaller an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erced and trimmed pulley.

Claims (4)

프레스에 의해 상하 운동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된 상다이; 상기 상다이의 홀에 배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상패드; 상기 상패드의 중심을 관통하며 고정 배치되는 상펀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형과,An upper die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a press and a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 upper pad disposed in a hole of the upper die and supported by a spring; An upper mold including an upper punch that is fixedly disposed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pad, 플레이트 상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중심에 홀이 형성된 스트리퍼; 상기 스트리퍼의 홀에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배치되는 하펀치; 상기 하펀치의 중심을 관통하며 쿠션핀에 의해 지지되는 하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형으로 이루어지되,A stripper supported by a spring at the top of the plate and having a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lower punch disposed in the hole of the stripper and fixedly disposed on the plate; Is made of a lower mold including a lower pa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lower punch and supported by a cushion pin, 상기 상다이의 홀의 하부와 상기 스트리퍼의 홀의 상부에는, 각각 바깥쪽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In the lower part of the hole of the upper die and the upper part of the hole of the stripper, a taper is formed outward, respectively, 상기 상패드의 하부에는 중심부를 향해 경사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펀치의 상부에는 상기 상패드의 경사에 대응되게 경사가 이루어져 있으며,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d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unch is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ad, 상기 상펀치의 지름은 상기 하패드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상펀치와 상기 하펀치 사이의 간격은 상기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두께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The diameter of the upper pun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pad,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punch and the lower punch is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erced and trimmed pulley, the crown forming apparatus for a vehicle pulle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쿠션핀은 공압장치가 설치된 기계식 프레스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The cushion pin is a crown forming apparatus for a vehicle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by a mechanical press installed pneumatic devi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하패드의 상부에는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중심공이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형이 하향이동함에 따라 상기 상펀치의 하부와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d is formed with a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of the pulley pierced and trimmed, the projection is formed in the crown of the vehicle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unch.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피어싱 및 트리밍된 풀리의 두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The height of the projection is a crown forming apparatus for a vehicle pulley, characterized in that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ierced and trimmed pulley.
KR1020070067194A 2007-07-04 2007-07-04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KR100885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94A KR100885977B1 (en) 2007-07-04 2007-07-04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194A KR100885977B1 (en) 2007-07-04 2007-07-04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59A KR20070079959A (en) 2007-08-08
KR100885977B1 true KR100885977B1 (en) 2009-03-03

Family

ID=3860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194A KR100885977B1 (en) 2007-07-04 2007-07-04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9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4486B (en) * 2014-07-21 2017-01-18 福建威而特旋压科技股份有限公司 Technology for machining high-precision metal plate belt wheel
KR102091990B1 (en) * 2018-09-21 2020-03-24 (주)시에스 Manufacturing method of heat exchange case for exhaust gas of vehicle
CN113385573B (en) * 2021-06-17 2022-10-14 上海交通大学 High-precision cylindrical part drawing forming die and application thereof
CN114042807B (en) * 2021-10-28 2024-03-01 福建威而特旋压科技有限公司 High-precision sheet metal belt pulley machining process and belt pulley and machin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35A (en) 1982-07-14 1984-01-24 Aida Eng Ltd Formation of polyvinyl pulley for automobile
KR19990003016A (en) * 1997-06-24 1999-01-15 서상기 Mol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ngine pulley of automobile
KR20000037488A (en) * 2000-04-28 2000-07-05 김명오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forming pulley for water-pu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535A (en) 1982-07-14 1984-01-24 Aida Eng Ltd Formation of polyvinyl pulley for automobile
KR19990003016A (en) * 1997-06-24 1999-01-15 서상기 Mol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ngine pulley of automobile
KR20000037488A (en) * 2000-04-28 2000-07-05 김명오 method of manufacturing a roll-forming pulley for water-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59A (en) 200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977B1 (en) Crown-forming apparatus of pulley for vehicle
US6434991B1 (en) Flow-form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583826B1 (en) Crown making device of pulley for vehicle
CA2482955C (en) Splined clutch hub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1613631B1 (en) Trimming apparatus for drawing manufactured
KR100836889B1 (en) An apparatus for producting guide bearing continuously
JP37939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eaded parts
KR100317645B1 (en) Metal mold of presser
KR100623490B1 (en) Manufacture device of clutch plate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2045304B1 (en) Press apparatus for pulley hub of vehicle
CN208743541U (en) It is a kind of can automatic material returning stamping die
KR20090084295A (en) Crown making device and method of pulley for vehicle
CN106826141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ywheel and associated flywheel
JP461905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ember having tooth profile forming portion
KR100288892B1 (en) Drawing apparatus of automobile engine pulle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11331170U (en) Sheet metal part pressure riveting device
KR102060751B1 (en) Hot forging apparatus of complex clutch gear tooth for automobile
KR960011543B1 (en) Working device for high precision blanking and method therefor
KR101007890B1 (en) Crown making device and method of pulley
KR101024287B1 (en) roughing mold for forging hub
CN112065954A (en) Composite large V multi-wedge plate belt pulley and forming method
KR100916577B1 (en) Crown of pulley making device
JP20063056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evel gear by forging
KR10174393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article from a deep-drawn, progressive single mold
CN213223953U (en) Progressive die for engine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0 Patent application of lawful right holder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24

Effective date: 2010051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02

Effective date: 201005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