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38B1 -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38B1
KR100885138B1 KR20067008433A KR20067008433A KR100885138B1 KR 100885138 B1 KR100885138 B1 KR 100885138B1 KR 20067008433 A KR20067008433 A KR 20067008433A KR 20067008433 A KR20067008433 A KR 20067008433A KR 100885138 B1 KR100885138 B1 KR 10088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ircuit
encoded data
request signal
en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0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023A (ko
Inventor
다츠야 나카자와
아츠시 무라시마
가즈노리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4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회선망과 패킷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지착, 손실에 의한 소리의 끊김을 해소하여 음성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음성통화로서의 짧은 지연을 유지하는 방법과 장치의 제공. 게이트웨이 장치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단위주기로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수의 기대치와, 실제 음성부호화 데이터수를 비교하여, 실제의 음성부호화 데이터수가 기대치를 밑도는 경우, 송출선의 단말에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는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패킷화하여 송신회로 (801) 로부터 패킷망에 송신하고, 또 일정 주기로 패킷망의 수신회로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생성 또는 폐기처리의 선택을 하여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회로망 종단회로 (100) 로부터 회선망에 송출한다.
Figure R1020067008433
부호화 데이터, 게이트웨이, 이종 통신망

Description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게이트웨이 장치{METHOD FOR PROCESSING ENCODED DATA IN INTERCONNECTING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GATEWAY APPARATUS}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선망과 IP 망 등의 패킷망 사이에서의 통신으로 대표되는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에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회선망과 IP (Internet Protocol) 망 등의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여 쌍방향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의 통신망의 데이터 형식에 기초한 제어정보·화상부호화 정보·음성부호화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를 타방의 통신망의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때, 각종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프로토콜만의 변환처리, 또는 필요하다면 다른 부호화 방식에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랜스코더 처리가 실시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는, 음성품질의 유지 외에 짧은 지연시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 요구된다.
도 11 은 종래 게이트웨이 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1 을 참조하면,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회선망을 종단하는 회선망 종단회로 (100) 로부터, 제어정보·화상부호화 정보와 함께 음성부호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임의의 고정된 데이터 길이로 다중화되고, 일정한 주기로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에 공급된다.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는, 제 1 타이머회로 (1000) 에서 관리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처리하는 회로이고, 제 1 타이머회로 (1000) 로부터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받아들이면 회선망으로부터의 다중화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각각으로 분리하기 위한 식별자인 유니크 워드를 검출처리하고, 검출된 유니크 워드를 기초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처리한다.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 분리처리된 제어 데이터, 화상부호화 데이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각 데이터는, 각각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에 공급된다.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는 개개의 종별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하고, 얻어진 각 데이터를 대응하는 패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에 각각 출력한다. 패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는,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로부터 각각 받아들인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서 패킷망에 각각 출력한다.
한편,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제어정보, 화상부호화 정보, 음성부호화 정보를 포함한 각각의 패킷은 대응하는 패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에서 수신되고, 제어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에, 화상부호화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에, 음성부호화 데이터는 음성 데이터 처리 회로 (500) 에 각각 출력된다.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는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과는 역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하여 얻어진 각 데이터를 출력한다.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는 제 1 타이머회로 (1000) 에서 관리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서 처리하는 회로이고, 제 1 타이머회로 (1000) 로부터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받아들이면,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로부터 출력되는 각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망 종단회로 (100) 에 출력한다. 회선망 종단회로 (100) 는,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서 취득한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망에 송출한다.
도 12 는 도 11 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와 패킷망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0) 의 전형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를 참조하면,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서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프로토콜 변환하고,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얻어진 음성패킷 데이터를 패킷망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0) 내의 송신회로 (801) 에 출력한다. 송신회로 (801) 는 패킷 데이터를 패킷망에 송출한다.
한편,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음성패킷은 패킷망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0) 의 수신회로 (802) 에서 수신되고, 수신회로 (802) 내의 버퍼 (도시생략) 에 격납된다.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에 있어서, 제 2 타이머회로 (511) 는 일정한 주기로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처리개시 요구를 출력하는 회로이고,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 터 처리개시 요구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수신회로 (802) 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고,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출력한다.
또,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종래부터 각종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교환기 인터페이스부와 패킷제어부를 구비하고, 전화교환기를 통하여 전화기와 접속되고 IP 망에 접속되어 음성통신을 하는 음성게이트웨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특허문헌 1 참조).
또, 동화상의 부호화·복호화에서의 에러 은폐 기술로서, 부호기측에서 송신한 화상을 전송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복호기측에서 정상 복호할 수 없게 된 블록의 화상 데이터를 정상 복호할 수 있었던 화상 데이터로 치환함으로써 화질 열화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에러 은폐 기술에 있어서, 프레임 상관성을 고려한 효율이 좋은 에러 은폐 제어를 하여 화질의 향상을 꾀하는 기술 등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지연 파동 흡수 기술에 대해서도, 종래부터 각종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송신간격에 비하여 수신간격이 짧아진 경우에, 재생 대기 제어의 기준이 되는 패킷을 다이나믹하게 변경하는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전파 지연 파동을 흡수하면서 수신패킷을 재생처리에 보내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도록 한 음성패킷의 지연 파동 흡수 장치의 구성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특허문헌 3 참조). 또한, 전화망과 접속하는 전화망측 회선 인터페이스회로, IP 망과 접속하는 IP 망측 인터페이스회로, 음성패킷처리회로를 구비하고, 미디어변환 제어장치에 접 속되는 미디어변환장치에 있어서 동일 장치 내에 수용되어 있는 단말 사이의 접속시에 미디어를 변환하지 않고서 접속함으로써 음성열화, 전송 지연을 저감시키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특허문헌 4 참조).
그리고, 네트워크로부터 도래하는 패킷이 지연된 경우에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신장치로서, 네트워크로부터 도래하는 음성패킷이 지연되어, 출력하고자 하는 원음성 데이터가 조립되지 않은 경우, 이 지연음성패킷이 도래할 때까지 조립되지 않은 연속데이터 부분에, 공(空)시간 방지용 부호화음성 데이터를 삽입하는 데이터삽입수단과, 데이터삽입수단이 공시간 방지용 부호화음성 데이터를 삽입한 경우, 조립한 원음성 데이터 중 소정 불연속인 위치에 있는 복수의 미소 데이터 부분을, 데이터삽입수단에 의해 삽입한 부호화음성 데이터에 상당하는 시간분 폐기하는 데이터폐기수단을 구비한 수신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특허문헌 5 참조). 후술하는 특허문헌 5 에는, 언더 런이 생긴 경우, 흡수할 수 없는 지연패킷은 폐기되고, 지연패킷 데이터 대신에 대체 음성 데이터가 기입되고, 폐기된 음성 데이터가 압축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폐기되는 음성 데이터량이 많아져 음성품질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음성품질열화가 적은 음성패킷 수신장치로서, 네트워크로부터 도래하는 패킷을 PCM (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에 복호하여 PCM 데이터를 소정 전송속도로 출력하는 음성패킷수신장치에 있어서, 실시간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패킷 도착시간의 차를 흡수하는 부호화 데이터 버퍼와, 복호화한 PCM 데이터를 폐기하더라도 음성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무음에 가까운 음성레벨인지의 여부를 비교하는 PCM 레벨비교기와, 대체부호화 데이터를 삽입한 경우, PCM 레벨비교기에서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무음에 가까운 레벨의 PMC 데이터를, 삽입한 대체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한 데이터량분, 소정 간격으로 이산적으로 인터리브하기 위한 인터리브 카운터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90550호 (제4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77922호 (제3페이지, 도 1)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85498호 (제4-5페이지, 도 1)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6724호 (제4-5페이지, 도 1)
특허문헌 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24947호 (제2-3페이지, 도 1)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도 11,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게이트웨이 장치에는, 회선망으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뿐만 아니라, 제어 데이터 또는 화상부호화 데이터와 다중화된 데이터의 형식으로 입력되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몇 가지 상황에서 현저한 품질의 열화, 또는 음성지연의 증가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설명한다.
예를 들어, 회선망측의 단말로부터 게이트웨이 장치에 이어지는 전송로 상에서, 다중화 데이터 중의, 특히 유니크 워드에 에러가 삽입되게 된 경우, 도 11 의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의 처리에서 유니크 워드를 검출할 수 없고, 그 결과,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에서는 회선망에서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로부터 적절히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꺼낼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다중화 데이터 분리 회로 (200) 에 의해 분리된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에서는, 원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게 되어, 그 시점에서 타측의 통신망 (즉 패킷망) 에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음성패킷의 패킷망에 대한 송출은, 원래 송출되어야 할 타이밍보다 늦어지게 된다. 이 경우, 패킷망 내에서의 지연 파동도 함께, 송출선의 패킷망측 단말 (도시생략) 에서는 충분히 지연 파동을 흡수할 수 없어, 소리의 끊김 등이 생겨 음질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상기 특허문헌 3, 5 등과 같이 패킷망의 지연 파동을 흡수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12 의 수신회로 (802) 내 또는 수신회로 (802) 와 데이터 처리회로 (500) 사이에, 지연 파동을 흡수하기 위한 파동 흡수용 버퍼를 형성한 경우, 이 버퍼는 양통신망의 단말 사이에서의 음성의 지연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신호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예를 들어 음성통화로서의 짧은 지연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방식의, 상기 제 1 통신망 및 상기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 타방의 통신망 방향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상기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 호화 데이터가 지착 (遲着) 또는 손실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타방의 통신망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처리, 또는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의 폐기처리를 하여, 부호화 데이터의 송출을 실현하는 것이다. 제 1 통신망을 회선망, 제 2 통신망을 패킷망으로 한 본 발명의 하나의 애스펙트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장치는, 회선망과 패킷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여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패킷망측의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회선망측의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에러 은폐 처리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 를 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복호수단과, 상기 제 1 제어수단의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제 1 복호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1 부호화수단, 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생성하거나 또는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및 상기 제 2 복호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2 부호화수단, 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소정 주기당 실제로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주기당 취득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에 관해서 미리 산출된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회선망으로부 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제 1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 중 상기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과잉분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지시를 받아,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판정수단은, 소정 주기마다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패킷 데이터가 수신회로에서 취득 가능한지 아닌지를 조사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가 상기 수신회로에서 얻어진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패킷 데이터가 취득 불가인 경우, 부호화 데이터의 지착 또는 손실이라고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판정수단은,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 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송부선(先)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생성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실행 지시를 받고, 회선망측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하면, 트랜스코더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의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지시를 받아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복호회로와, 상기 제 1 복호회로에서의 복호 데이터와 상기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에서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회선망으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별도의 패킷망측의 부호화 방식에 의해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부호화 회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의하면, 게이트웨이 장치는 트랜스코더 기능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 정회로에서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회로와, 상기 제 2 복호회로에서의 복호 데이터와 상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에서의 에러 은폐 처리용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회선망측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부호화 회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의하면, 회선망과 패킷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은,
(a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b1)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접속선(先)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방법은,
(a2) 회선망과 패킷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b2)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방법은,
(a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b1)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송출선(先)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와,
(c1) 상기 단계 (b1) 에서 처리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d1) 상기 단계 (b1) 에서 생성된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애스펙트에 관련된 방법은,
(a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b2)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와,
(c2) 상기 단계 (b2) 에서 처리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d2) 상기 단계 (b2) 에서 생성된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1) 은,
(a11)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a12)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1) 은,
(b11) 상기 단계 (a12) 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또는 상기 생성요구신호, 또는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만큼만,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12) 상기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지시를 받아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2) 는,
(a21)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 취득 불가의 취 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a22) 상기 단계 (a21) 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단계 (a21) 에서 이미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동시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단계 (a21) 의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방법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b2) 는,
(b21) 상기 단계 (a22) 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단계 (a22) 에서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단계 (a22)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22) 회선망측의 접속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과잉 음성패킷 데이터의 송출을 억제함으로써 송출선에서의 여분의 음성지연을 억제하고, 음성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짧은 지연이 요청되는 음성통화를 실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패킷망으로부터의 수신패킷의 지연 파동 흡수를 위한 버퍼의 양에 관해, 패킷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패킷 내의 부호화 데이터의 수와,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의 주기적인 취득의 양자의 균형이 깨져 버퍼가 고갈되게 된 경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서의 취득 불가의 정보를 기초로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때문에,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다중화처리로 출력하고, 지착 음성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폐기로 함으로써, 음성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음성통화로서의 짧은 지연을 유지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별도의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트랜스코더 기능에 적용한 경우에도 신호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신호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의 처리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의 처리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관련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관련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의 처리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의 처리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관련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에서의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관련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종래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종래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회선망 종단회로
200 :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300 :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400 :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500 :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1 :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2 : 제 1 판정회로
503 : 제 1 선택회로
504 :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5 :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6 : 제 1 복호회로
507 : 제 1 부호화 회로
511 : 제 2 타이머회로
512 :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3 : 제 2 판정회로
514 : 제 2 선택회로
515 :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6 :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7 : 제 2 복호회로
518 : 제 2 부호화 회로
550, 560 :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600 : 패킷망 제어 데이터 종단회로
700 : 패킷망 화상 데이터 종단회로
800 : 패킷망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1 : 송신회로
802 : 수신회로
900 : 데이터 다중화 회로
1000 : 제 1 타이머회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실시의 일 형태에 있어서,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는,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주기로 동작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에서 소정 주기당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와, 그 주기와 음성부호화 방식의 프레임 시간 길이로부터 산출되는, 그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판정처리를 하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선택 또는 폐기처리를 함으로써, 주기마다의 패킷 데이터의 송출수를 일정하게 하여 송출선의 단말에서의 신호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음성통신으로서의 짧은 지연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에 대해서도, 게이트웨이는 패킷망의 지연 파동 등의 영향에 의해 지착 패킷이 발생한 경우, 수신한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 이터를 추출하는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의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적절한 판정처리를 하고, 그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선택 또는 폐기처리를 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회선망으로부터의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와,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부호화 데이터를 처리하고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 (550) 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패킷망에 송신하는 송신회로 (801) 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도 2 를 참조하면,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제 1 판정회로 (502), 제 1 선택회로 (503),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에서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신호에 기초하여 하기 (Ⅰ) 내지 (Ⅲ) 의 제어를 한다.
(Ⅰ)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에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Ⅱ)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한다.
(Ⅲ)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에서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만큼만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는, 제 1 선택회로 (503) 에서의 지시를 받아 패킷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제 1 선택회로 (503) 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 또는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여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도 3 을 참조하면 제 2 타이머회로 (511) 와,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와, 제 2 판정회로 (513) 와, 제 2 선택회로 (514) 와,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타이머회로 (511) 는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고,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수신회로 (802) 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 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출력된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신호에 기초하여 하기 (Ⅰ) 내지 (Ⅲ) 의 제어를 한다.
(Ⅰ)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회선망선(先)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한다.
(Ⅱ)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Ⅲ) 제 2 판정회로 (513) 는, 전회의 판정 결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출력한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 생성요구신호 또는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신호가 생성요구신호일 때에는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지시하고, 받아들인 신호가 폐기요구신호일 때에는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한다.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는, 회선망측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2 선택회로 (514) 또는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에서 생성된 부호화 데이터가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를 통해 회선망에 송출된다.
또, 예를 들어 제 1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다른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트랜스코더 기능을 구비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대해서도,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하여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에는, 회선망과 패킷망간 접속에 사용되는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장치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 에 있어서, 도 11 과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져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게이트웨이 장치는 회선망 종단회로 (100),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제 1 타이머회로 (1000),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패킷망 제어 데이터 종단회로 (6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패킷망 화상 데이터 종단회로 (7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패킷망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도 11 에 나타낸 종래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00) 와 상이하며, 패킷의 삽입 및 폐기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의 입출력의 데이터 형식은, 도 11 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이하에서는 주로 삽입 및 폐기기능을 갖는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11 과 동일 요소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회선망으로부터 회선망 종단회로 (100) 로부터 고정 길이의 음성, 화상, 제어 데이터가 다중화된 다중화 데이터가 송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제 1 타이머회로 (1000) 에서 관리되는 주기에 의해,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에서 다중화 데이터를 제어, 화상,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는 분리한 제어, 화상, 음성 데이터를 각각 제어 데이터회로 (3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 공급한다.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에서는, 각각 받아들인 데이터의 처리를 하고, 처리한 데이터를 대응하는 패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에 출력한다. 패 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는 데이터 처리회로 (300, 400, 500) 로부터 받아들인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패킷망에 송출한다.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일련의 동작이 실시된다.
일방의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패킷망 종단회로 (600, 700, 800) 로 제어정보, 화상부호화 정보, 음성부호화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패킷을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 화상부호화 데이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는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 각각 공급된다.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로,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과는 반대로 변환하는 처리를 하여 처리결과 데이터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공급한다.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서는, 제 1 타이머회로 (1000) 에서 관리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망 종단회로 (100) 에 출력한다. 회선망 종단회로 (100) 는,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로부터 받아들인 다중화 데이터를 회선망에 송출한다.
도 2 및 도 3 은, 도 1 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제 1 판정회로 (502), 제 1 선택회로 (503),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일정한 주기 로 출력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하여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를 주기마다 계상한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 및 음성부호화 방식의 프레임 시간 길이에 의해,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를 미리 산출해 놓은 값을 도시하지 않은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둔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수 (기대치) 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양자의 수가 동수인 경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받은 음성부호화 데이터 전부를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출력한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당해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받은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미리 산출된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 부족수분을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에 의해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취득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한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당해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취득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생성요구신호,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정보에 따라 처리를 전환하여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출력한다.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는, 패킷망측의 송출선의 단말 (도시생략) 에 의해,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 여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출력한다.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송신회로 (801) 에 공급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는,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제 2 타이머회로 (511),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제 2 판정회로 (513),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타이머회로 (511) 는, 일정한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의 재취득 요구신호를 취득한 시점에서 음성패킷을 수신하는 수신회로 (802) 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그 시도가 성공한 경우, 음성 데이터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한편 수신회로 (802) 로부터 음성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취득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회선망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를 선택하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받아들인 데이터가 음성부호화 데이터로서 , 또한 직전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하고, 전회 판정시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가 요구신호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동일하게 그 데이터를 폐기 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하고, 다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 재취득 요구신호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출력하는 제어를 하고,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는 회선망측의 단말에서 음성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 필요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제 1 타이머회로 (1000) 는, 일정 주기마다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는, 제 1 타이머회로 (1000) 에서 관리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처리한다. 즉,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는, 제 1 타이머회로 (1000) 로부터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받아들이면, 회선망 종단회로 (100)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 중에서 유니크 워드의 검출 및 제어 데이터,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의 분리처리를 하여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4 는, 도 2 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서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에 관한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의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 대기상태로 되고 (단계 S1), 대기가 해제되면 (단계 S2),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마다의 취득수를 계상한다 (단계 S3).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와 음성부호화 방식의 프레임 시간 길이로부 터, 미리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 (기대치) 를 산출해 둔다. 그리고, 미리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와 실제의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 양자를 비교한다 (단계 S4).
비교 결과, 양자의 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모두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한다.
또한, 제 1 판정회로 (502) 에 있어서, 주기마다 계상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 (기대치) 를 밑도는 경우,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에서 부족분의 수 (=기대치-실제의 취득수) 만큼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생성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주고받는다 (단계 S6). 주기마다 계상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 다중화 데이터를 적절하게 분리할 수 없었거나 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량의 증가에 수반되어 그 타이밍으로는 음성 데이터의 분리에는 이르지 않았다는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제 1 판정회로 (502) 에 있어서, 주기마다 계상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 (기대치) 를 웃돈 경우, 웃도는 분 (=실제의 취득수-기대치) 의 음성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보낸다 (단계 S7).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경우에 따라 생성요구신호 또는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만이 보내진 경우에는 (단계 S5 의 「부호화 데이터만 취득」의 분기), 그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전부를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출력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생성요구신호가 공급된 경우 (단계 S5 의 「생성요구신호 취득」의 분기),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의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생성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만큼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에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의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에서 생성한 음성 데이터가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공급된다 (단계 S9).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04) 는,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폐기요구신호를 취득한 경우 (단계 S5 의 「폐기요구신호 취득」의 분기),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 중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남은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에 출력한다 (단계 S10).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제 1 선택회로 (503)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패킷 종단회로 (800) 에 출력한다 (단계 S8).
그리고, 상기 일련의 동작의 결과, 패킷 종단회로 (800) 내의 송신회로 (801) 로부터 송출되는 패킷 데이터는 동작주기에 의거한 패킷수만큼 송출하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음성패킷이 패킷망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종단회로 (800) 의 수신회로 (802 ; 도 3 참조) 에 의해 수신되고, 파동을 어느 정도 흡수하기 위한 버퍼에 일정 수 저장된 후,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하였다고 가정한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에서,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에 대해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의 재취득 요구신호를 취득한 시점에서 수신회로 (802) 로부터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한다 (단계 S11∼S13).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있어서, 수신회로 (802) 로부터의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성공한 경우, 취득한 음성 데이터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추출 및 출력한다 (단계 S15).
한편, 수신회로 (802) 로부터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하였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를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 2 판정회로 (513) 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계 S16).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출력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인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단계 S17 의 NO), 패킷망의 지연 파동에 의해, 수신회로 (802) 에서 유지되는 버퍼의 입출력수의 균형이 무너졌는지 또는 패킷망으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여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을 할 수 없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송출선의 통신망 (이 경우 회선망측) 의 단말 (도시생략) 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를 선택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S19).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서 받아들인 데이터가 음성부호화 데이터로서, 직전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이지 않고, 음성부호화 데이터 취득에 성공한 경우 (단계 S17 의 YES),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전회의 판정시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단계 S18 의 YES 분기), 이번에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가 생성요구신호의 출 력 타이밍으로 원래 처리되어야 할 음성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다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서 재취득 요구신호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대하여 출력한다 (단계 S20).
본 실시예에서는, 폐기요구신호와 재취득 요구신호가 교대로 반복되고, 결과적으로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로부터의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상황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제 2 판정회로 (513) 는 회피를 위한 리셋 기능도 갖는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공급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생성요구신호를 취득한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생성요구신호인 경우,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를 선택하고,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에서 생성된 음성부호화 데이터가 데이터 다중화 회로에 출력된다 (단계 S22).
한편, 음성부호화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 제 2 선택회로 (514)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출력하는 처리를 선택한다 (단계 S23).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 (515) 는 회선망측의 송출선의 단말 (도시생략) 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는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일련의 처리 결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그리고 회선망 종단회로 (100) 를 거쳐 송출되는 다중화 데이터는, 음성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적절한 음성지연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동등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선망과 패킷망에서 사용되는 음성부호화 방식이 동일한 경우이다. 본 발명은 회선망과 패킷망에서 사용되는 음성부호화 방식이 상이한 경우에 대해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회선망과 패킷망에서 사용하는 음성부호화 방식이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 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대신에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6,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회선망과 패킷망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이 상이한 경우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는,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제 1 판정회로 (502), 제 1 선택회로 (503),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제 1 복호회로 (506), 제 1 부호화 회로 (507)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받으면,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개수를 계수하고,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를 계상하고, 주기 및 음성부호화 방식에 의해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의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 (기대치, 이 기대치는 미리 산출되어 기억시켜 둔다) 를 비교하여,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기대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 회로 (200)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 전부를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하고,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기대치를 밑도는 경우,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에서 부족한 분량의 수만큼 음성 PCM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생성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하고,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기대치를 웃도는 경우, 웃도는 개수분의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뜻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하는 제어를 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생성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부터 음성 PCM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폐기요구신호를 취득한 경우,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폐기를 하고, 남은 음성부호화 데이터만을 제 1 복호회로 (506) 에 공급한다.
제 1 복호회로 (506) 는, 제 1 선택회로 (503) 로부터 공급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1 부호화 회로 (507) 는, 제 1 복호회로 (506),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부터의 음성 PCM 데이터를 취득하여 별도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한 음 성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제 1 부호화 회로 (507)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패킷 종단회로 (800) 에 출력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는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하여, 제 2 타이머회로 (511),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제 2 판정회로 (513),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제 2 복호회로 (517), 제 2 부호화 회로 (518) 를 구비하고, 트랜스코더 처리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제 2 타이머회로 (511) 는 일정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한다.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의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이면 수신회로 (802) 로부터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음성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성공한 경우 부호화 데이터의 추출 및 출력을 하고, 음성 데이터의 취득이 실패한 경우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를 선택하는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받아들인 데이터가 음성부호화 데이터로서, 직전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전회의 판정시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 터가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원래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그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하고, 다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해 재취득 요구신호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출력하는 제어를 한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를 선택하고,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인 경우 그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복호회로 (517) 에 출력한다.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2 복호회로 (517) 는 제 2 선택회로 (513) 로부터 공급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하여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2 부호화 회로 (518) 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또는 복호회로 (517) 로부터의 음성 PCM 데이터를 취득하고, 송신선측의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얻어진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출력한다.
도 8 은 양통신망에서 취급되는 음성부호화 방식이 상이한 경우의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 도 6 및 도 8 을 참조하여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의 동작을 설명한다.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고,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에 입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도 6 의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의 제 1 판정회로 (502)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받음과 함께 주기마 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를 계상하고 (단계 S31∼S33), 주기 및 음성부호화 방식에 의해,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를 미리 산출해 두고 양자의 수를 비교한다 (단계 S34).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 전부를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한다.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주기당 취득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를 밑도는 경우,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 부족한 분량의 수만큼 음성 PCM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취지를 나타내는 생성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한다 (단계 S36).
제 1 판정회로 (502) 는, 주기마다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를 웃도는 경우, 웃도는 분량의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제 1 선택회로 (503) 에 출력한다 (단계 S37).
제 1 선택회로 (503) 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경우에 따라 생성요구신호, 폐기요구신호를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받아들인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만 취득된 경우 음성부호화 데이터 전부를 제 1 복호회로 (506) 에 출력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생성요구신호를 취득한 경우, 생성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부터 음성 PCM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단계 S39).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1 복호회로 (506) 에 공급한다. 제 1 복호회로 (506) 로부터 출력되는 복호 데이터와 함께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부터의 음성 PCM 데이터가 제 1 부호화 회로 (507) 에 입력된다.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또,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에서의 에러 은폐 처리는, 직전의 음성신호의 복제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대상이 되는 음성부호화 방식에 갖춰져 있는 에러 은폐 처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면 된다.
제 1 선택회로 (503) 는, 제 1 판정회로 (50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받아들인 음성부호화 데이터 중에서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단계 S40), 남은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1 복호회로 (506) 에 공급한다.
제 1 복호회로 (506) 는 제 1 선택회로 (503) 로부터 공급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 1 부호화 회로 (507) 는, 제 1 복호회로 (506),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PCM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음성 PCM 데이터에 대하여 송신선에 대응한 부호화처리를 하여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 S42).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 (501) 는 제 1 부호화 회로 (507) 로부터 출력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그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프로토콜 변환하여 패킷 종단회로 (800) 에 출력한다 (단계 S43).
이들 일련의 동작 결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패킷 종단회로 (800) 내의 송신회로 (801) 로부터 송출되는 패킷 데이터는 동작주기에 의거한 패킷수만큼 송출하는 것이 된다.
도 9 는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 방향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60) 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 타이머회로 (511) 로부터의 일정주기로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의 재취득 요구신호의 취득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는 수신회로 (802) 로부터 적당한 음성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단계 S51∼S53), 음성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부호화 데이터의 추출 및 출력을 하고 (단계 S55), 음성 데이터의 취득이 실패한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의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단계 S56).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들인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를 선택하는 생성요구신 호를 출력한다 (단계 S59).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는 것은 패킷망의 지연 파동등에 의해 수신회로 (802) 로 유지되는 버퍼의 입출력수의 균형이 무너졌는지 또는 패킷망으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하여 적당한 음성 데이터를 취득 할 수 없었다는 판단에 기초하고 있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취득한 데이터가 음성부호화 데이터로서, 직전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 (단계 S57 의 YES 분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한다.
제 2 판정회로 (513) 는, 전회의 판정시에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가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원래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그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제 2 선택회로 (514) 에 출력하고, 다시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하여 재취득 요구신호를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 (512) 에 출력한다 (단계 S60).
그리고, 폐기요구신호와 재취득 요구신호가 교대로 반복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제 2 에러 은폐 처리로 (516) 로부터의 음성 PCM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제 2 부호화 회로 (518) 로부터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사태의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제 2 판정회로 (513) 는 회피를 위한 리셋 기능을 갖는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취득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 또는 생성요구신호, 폐기요구신호를 취득한다. 제 2 선택회로 (514) 는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생성요구신호인 경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를 선택하고, 제 2 판정회로 (513) 로부터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그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제 2 복호회로 (517) 에 출력한다.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 S64).
제 2 복호회로 (517) 는, 제 2 선택회로 (513) 로부터 공급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처리를 하여 음성 PCM 데이터를 출력한다 (단계 S65).
또,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에서의 처리에 대해서는,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 (505) 에서의 처리와 같이 직전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대상이 되는 음성부호화 방식에서 구비하는 에러 은폐 처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 공지된 수법이 사용된다.
제 2 부호화 회로 (518) 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 (516) 또는 복호회로 (517) 로부터의 음성 PCM 데이터를 취득하여 부호화처리를 한 후 (단계 S66), 얻어지는 음성부호화 데이터를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에 출력한다.
이후의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및 회선망 종단회로의 동작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이, 다른 음성부호화 방식에서의 접속에서의 본 발명의 동작설명이다.
또, 상기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의 회로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그 밖의 회로구성으로 동등한 처리를 실현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및 화상의 처리를 구비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성통신만을 취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게이트웨이 장치에서는 도 1 의 구성에서 화상 데이터 처리회로 (400), 패킷망 화상 데이터 종단회로 (700) 를 제거한 것이다.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는, 수신데이터로부터 제어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분리하고, 각 데이터를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560) 에 공급한다. 데이터 다중화 회로 (900) 는 제어 데이터 처리회로 (300), 음성 데이터 처리회로 (550) (560) 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다중한 회선망 종단회로 (100) 에 출력한다.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주기로 동작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처리 (200) 로부터 주기당 실제로 취득된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와, 그 주기 및 음성부호화 방식의 프레임 시간 길이로부터 산출되는 주기당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 (200) 로부터 출력이 기대되는 음성부호화 데이터의 수 (기대치) 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적절한 판정처리를 하고, 판정결과에 기초하여, 선택처리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선택 또는 폐기처리를 함으로써 주기마다에서의 음성패킷 데이터의 송출수를 일정하게 하여 송출선의 단말에서의 음성품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음성통신으로서의 짧은 지연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패킷망으로부터 회선망에 관해서도, 패킷망의 지연 파동의 영향에 의해 지착 패킷이 발생한 경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음성 데이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적절한 판정처리를 하고, 선택처리로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선택 또는 폐기처리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회선망으로부터 패킷망 방향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스코더 기능을 구비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도 신호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짧은 신호의 지연을 유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 장치는, 회선망, 패킷망 사이의 접속에 적용하였을 때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이종 패킷 통신망 사이의 상호접속 등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원리에 준하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라면 실시할 수 있는 각종 변형, 수정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47)

  1. 회선망과 패킷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소정의 주기별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취득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고, 취득 불가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는지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회선망의 송출선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선망과 패킷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패킷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3. 삭제
  4.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에러 은폐 처리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이 회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망이 패킷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에러 은폐 처리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1 제어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복호수단과,
    상기 제 1 제어수단의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제 1 복호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1 부호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이 회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망이 패킷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에러 은폐 처리에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의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제 2 복호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2 부호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소정 주기당 실제로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주기당 취득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에 관해 미리 산출된 기대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수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제 1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 중 상기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과잉분을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지시를 받아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은,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로부터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 (前回) 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판정회로에서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판정회로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판정회로에서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회로와,
    상기 선택회로에서의 에러 은폐 처리 실행의 지시를 받아, 회선망측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수단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수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제 1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제어수단의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지시를 받아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복호수단은, 상기 제 1 제어수단의 상기 제 1 선택회로로 처리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복호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부호화수단은, 상기 제 1 복호회로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와, 상기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1 부호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정수단은,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로부터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에는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복호수단은, 상기 제 2 제어수단의 상기 제 2 선택회로에서 처리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회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부호화수단은, 상기 제 2 복호회로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와, 상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제 2 부호화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3. 삭제
  14.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회선망 종단회로에 출력하는 데 이터 다중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는,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송출선의 단말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 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와,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회선망측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선택회로 및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하여 상기 회선망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5.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부호화 데이터를 처리하여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를 패킷망에 송신하는 송신회로와,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회선망 종단회로에 출력하는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는,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소정 주기마다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상기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제 1 판정회로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에서의 지시를 받아 패킷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와,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송출선의 단말에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추출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와,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회선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선택회로 및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생성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하여 상기 회선망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6.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여,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제 1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 2 부호화 방식의 데이터에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패킷 데이터를 패킷망에 송신하는 송신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소정 주기마다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상기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제 1 판정회로와,
    상기 제 1 판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상기 폐기요구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받아들이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선택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복호회로와,
    상기 제 1 선택회로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나타내는 분만큼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와,
    상기 제 1 복호회로에서의 복호 데이터와, 상기 제 1 에러 은폐 처리회로에서의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받아, 입력한 데이터를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부호화 회로와,
    상기 제 1 부호화 회로에 의해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회로에 출력하는 패킷 데이터 구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7.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여,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별도의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를 받아들여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 1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의 출력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망 종단회로에 출력하는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는,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입력되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부호화 데이터 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회선망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와,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와,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회로와,
    상기 제 2 복호회로에서의 복호 데이터와, 상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에서의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받아, 상기 입력한 데이터를, 접속선의 제 1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부호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호화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하여 상기 회선망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와,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 1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와,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의 출력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회선망 종단회로에 출력하는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는,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와,
    상기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입력된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 또는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신호가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회선망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가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회로에 출력하는 제 2 판정회로와,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만을 받아들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제 2 판정회로로부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 상기 제 2 판정회로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선택회로와,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와,
    상기 제 2 선택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력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복호회로와,
    상기 제 2 복호회로로부터의 복호 데이터와, 상기 제 2 에러 은폐 처리회로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받고, 상기 입력한 데이터를 접속선의 제 1 부호화 방식에 따라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부호화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호화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하여 상기 회선망에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의 처리를 기동하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머회로를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 외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0.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의 처리를 기동하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머회로를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 외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1. 제 15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의 처리를 기동하기 위한 신호와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의 처리를 기동하기 위한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타이머회로를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 외부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2.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8 항, 제 11 항, 제 14 항, 제 15 항, 제 16 항,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음성부호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3. 제 8 항, 제 11 항, 제 15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는 다중화된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4. 제 14 항, 제 15 항, 제 17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는 음성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25. 회선망과 패킷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으로서,
    (a)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소정의 주기별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취득 가능한지 여부를 조사하고, 취득 불가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하는지 판정하는 단계와,
    (d)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회선망의 송출선의 단말에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회선망과 패킷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있어서,
    (a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단계와,
    (b1)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송출선의 단말에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27. 삭제
  28. 제 1 통신망과 제 2 통신망의 이종 통신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으로서,
    (a)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b) 상기 판정 결과, 상기 제 1 통신망 및 제 2 통신망 중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
    (c)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단계 (b) 에서 처리된, 상기 적어도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일방의 통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 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이 회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망이 패킷망으로 이루어지고,
    (a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b1)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에러 은폐 처리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
    (c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단계 (b1) 에서 처리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d1)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망이 회선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통신망이 패킷망으로 이루어지고,
    (a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
    (b2) 상기 판정 결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된 경우에,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는 에러 은폐 처리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지착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제어를 하는 단계;
    (c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단계 (b2) 에서 처리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게이트웨이 장치가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및 상기 복호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1. 제 26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 은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소정 주기당 실제로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와, 상기 주기당 취득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에 관해서 미리 산출된 기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부호화 데이터가 지착 또는 손실되었는지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 은,
    (a11)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a12)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1) 은,
    (b11) 상기 단계 (a12) 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상기 생성요구신호 또는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12) 상기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지시를 받아,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는,
    (c1)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c2) 상기 단계 (c1) 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c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단계 (c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단계 (c1) 에서 이미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단계 (c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단계 (c1) 의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d) 는,
    (d1) 상기 단계 (c2) 로부터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단계 (c2) 로부터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단계 (c2)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 삭제하고 나머지의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d2) 회선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 은,
    (a11)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수신한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a12)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1) 은,
    (b11) 상기 단계 (a12) 에서 출력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또는 상기 생성요구신호 또는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받아들인 경우에는,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12) 상기 단계 (b11) 에서 상기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지시가 출력된 경우,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b13) 상기 단계 (b11) 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14) 상기 복호 데이터와,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받아, 상기 회선망으로부터 받아들인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패킷망측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2) 는,
    (a21) 소정 주기로 처리개시 요구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에,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를 실행하는 단계와,
    (a22) 상기 단계 (a21) 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에러 은폐 처리를 하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또한 직전에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단계 (a21) 에서 이미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단계 (a21)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단계 (a21) 의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2) 는,
    (b21) 상기 단계 (a22) 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단계 (a22) 에서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단계 (a22) 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22) 상기 단계 (b21) 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23)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b24) 상기 복호 데이터와, 상기 에러 은폐 처리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받아,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회선망측의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37.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에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회선망으로부터의 다중화 데이터를 분리하는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받아들여 처리하여, 패킷 데이터를 송신회로를 통해 상기 패킷망에 출력하고,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해 상기 회선망에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는,
    (A1)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의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A2)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은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취득한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와,
    (A3) 상기 단계 (A2) 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 출력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하고,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폐기요구신호를 받아들인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A4) 상기 단계 (A3) 에 의해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는 지시가 출력된 경우,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A5) 상기 단계 (A3) 에 의해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 또는 상기 단계 (A4) 에 의해 출력된 에러 은폐 처리용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회로에 출력하는 단계와,
    (B1) 타이머로부터 소정 주기로 출력되는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를 하는 단계와,
    (B2) 상기 단계 (B1) 의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회선망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부호화 데이터가 출력되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번 판정 직전의 판정 결과,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 출력하는 단계와,
    (B3) 상기 단계 (B2) 에서 부호화 데이터만 출력된 경우 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B2) 에서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부호화 데이터 생성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단계 (B2) 에서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단계와,
    (B4) 회선망측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B5) 상기 단계 (B3) 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 또는 상기 단계 (B4) 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해 상기 회선망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 처리방법.
  38. 삭제
  39.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여,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분리된 제 1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 2 부호화 방식의 데이터에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송신회로를 통해 상기 패킷망에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는,
    (A1)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받아들여 계수하고, 소정 주기당의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로부터 상기 주기당 출력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A2) 비교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와 상기 기대치가 동수인 경우, 상기 다중화 데이터 분리회로에서 받은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생성시키기 위한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취득수가 상기 기대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과잉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한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A3) 상기 단계 (A2) 에서 상기 부호화 데이터만이 출력된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A2) 에서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부족분의 데이터를 작성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단계 (A2) 에서 상기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그 폐기요구신호가 나타내는 수분만큼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A4) 상기 단계 (A3) 에서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호 단계와,
    (A5) 상기 단계 (A3) 에서 출력된 지시에 기초하여,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상기 생성요구신호가 나타내는 분만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A6) 상기 단계 (A4) 에서 생성된 복호 데이터 또는 상기 단계 (A5) 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A7) 상기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송신회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 처리방법.
  40. 회선망과 패킷망 사이를 접속하여, 입력한 부호화 데이터를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를 받아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 1 부호화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해 상기 회선망에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회로는,
    (B1) 타이머회로에서의 처리개시 요구신호, 또는 입력되는 재취득 요구신호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상기 수신회로로부터 패킷 데이터의 취득을 시도하고, 상기 시도가 성공한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 2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된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수신회로에서 패킷 데이터의 취득 시도가 실패한 경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를 하는 단계와,
    (B2) 상기 단계 (B1) 의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회선망의 송출선의 단말에서 에러 은폐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해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출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받고, 또한 직전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가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로부터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전회의 판정 결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가 상기 생성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있고, 이번에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서 받아들인 부호화 데이터가 상기 생성요구신호의 출력 타이밍으로 처리되어야 할 부호화 데이터인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폐기요구신호를 출력하고, 추가로 다시 부호화 데이터를 요구하기 위한 재취득 요구신호를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처리에 출력하는 단계와,
    (B3) 상기 단계 (B2) 에서 부호화 데이터만이 출력된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B2) 에서 생성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에러 은폐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고,
    상기 단계 (B2) 에서 폐기요구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필요한 분만큼 삭제하고, 나머지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4) 상기 단계 (B3) 에서의 지시에 기초하여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5) 상기 단계 (B3) 에서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복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B6) 상기 단계 (B5) 에서의 복호 데이터, 또는 상기 단계 (B4) 의 상기 에러 은폐 처리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를 송신선의 제 1 부호화 방식에 따라서 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부호화 단계와,
    (B7) 상기 제 1 부호화 방식의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다중화 회로를 통하여 상기 회선망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호화 데이터 처리방법.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회선망과 패킷망의 접속을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회선망으로부터 소정 주기당 실제로 취득된 부호화 데이터의 수와, 상기 주기당 취득이 기대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수의 기대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실제로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의 수가 상기 기대치를 밑도는 경우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실제로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의 수가 상기 기대치를 웃도는 경우 취득한 부호화 데이터의 과잉분의 폐기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주기에서의 기대치수분의 부호화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상기 주기마다의 상기 패킷망에 대한 패킷 데이터의 송출수를 일정수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한 후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45. 삭제
  46. 삭제
  47. 패킷망과 회선망의 접속을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소정 주기로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수 없어 지착 패킷이 발생한 경우, 수신한 패킷 데이터로부터 부호화 데이터를 추출할 때 데이터의 취득 불가의 취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부호화 데이터 추출부에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폐기처리를 하여 상기 회선망에 부호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한 후 상기 부호화 데이터의 부호화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재부호화하여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상기 회선망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KR20067008433A 2003-09-30 2004-09-08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KR100885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0532 2003-09-30
JP2003340532 2003-09-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80A Division KR100885139B1 (ko) 2003-09-30 2004-09-08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023A KR20060064023A (ko) 2006-06-12
KR100885138B1 true KR100885138B1 (ko) 2009-02-23

Family

ID=34419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80A KR100885139B1 (ko) 2003-09-30 2004-09-08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KR20067008433A KR100885138B1 (ko) 2003-09-30 2004-09-08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580A KR100885139B1 (ko) 2003-09-30 2004-09-08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96584B2 (ko)
EP (1) EP1679833A4 (ko)
JP (1) JP4400571B2 (ko)
KR (2) KR100885139B1 (ko)
CN (1) CN1886946A (ko)
WO (1) WO2005034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8342A (ja) * 2006-04-13 2007-11-01 Nec Corp メディアストリーム中継装置および方法
FR2899993A1 (fr) * 2006-04-18 2007-10-19 France Telecom Procede de notification d'un defaut de transmission d'un signal audio
JP2009164880A (ja) 2008-01-07 2009-07-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トランスコーダ及び受信機
US10049681B2 (en) * 2015-10-29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bearing signal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whether to decode a primary coding or a redundant coding of the packet
US10049682B2 (en) * 2015-10-29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bearing signaling information indicative of whether to decode a primary coding or a redundant coding of the packet
CN112398682B (zh) * 2020-10-22 2022-11-15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物联网网关配置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0552A (ja) * 1988-02-26 1989-09-04 Nec Corp パケット受信方式
JP2002300274A (ja) *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音声データ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432A (ja) * 1987-12-29 1989-07-11 Nec Corp パケット交換の遅延差吸収方式
JPH04265034A (ja) 1991-02-20 1992-09-21 Fujitsu Ltd Atm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廃棄処理方式
JPH0514456A (ja) 1991-06-27 1993-01-22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電話機の電源制御回路
JPH06152648A (ja) 1992-11-09 1994-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ータ・パケット通信方法
JP3157116B2 (ja) 1996-03-29 2001-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音声符号化伝送システム
JP3083786B2 (ja) 1996-09-30 2000-09-04 株式会社東芝 メモリ更新履歴保存装置およびメモリ更新履歴保存方法
JPH10164134A (ja) * 1996-12-03 1998-06-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システム
JP3923131B2 (ja) 1997-03-31 2007-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の照射野認識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黒化処理方法および装置
US5907822A (en) * 1997-04-04 1999-05-25 Lincom Corporation Loss tolerant speech decoder for telecommunications
JPH10285213A (ja) * 1997-04-07 1998-10-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音圧縮音声パケット送受信装置
JP2000124947A (ja) 1998-10-13 2000-04-28 Oki Electric Ind Co Ltd 音声パケット受信装置及び方法
US7423983B1 (en) 1999-09-20 2008-09-09 Broadcom Corporation Voice and data exchange over a packet based network
US6574218B1 (en) * 1999-05-25 2003-06-03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ly disjoint joint source and channel coding for high-quality real-time multimedia streaming over connection-less networks via circuit-switched interface links
US6744768B2 (en) * 1999-07-14 2004-06-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bining narrowband applications with broadband transport
US6665317B1 (en) 1999-10-29 2003-12-16 Array Telecom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jitter
JP3397191B2 (ja) 1999-12-03 2003-04-14 日本電気株式会社 遅延ゆらぎ吸収装置、遅延ゆらぎ吸収方法
JP2001326724A (ja) 2000-05-16 2001-11-22 Hitachi Ltd メデイア通信システム、メデイア通信方法及びメディア変換システム、メデイア変換方法並びにメデイア変換装置
US6751477B1 (en) * 2000-05-17 2004-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optimizing the fidelity of a speech signal received from a wireless telephony device and transmitted through a packet-switched network
JP2002077922A (ja) 2000-08-30 2002-03-15 Fujitsu Ltd 画像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復号化装置
JP2002171282A (ja) 2000-12-01 2002-06-14 Nec Corp パケット通信におけるパケット到着時の遅延ゆらぎ吸収方法および装置
JP2002185498A (ja) 2000-12-18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パケットの再生待ち合わせ処理方法,音声パケットの伝送遅延ゆらぎ吸収装置
JP3790110B2 (ja) 2001-02-14 2006-06-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における過負荷防御方法及びその装置
US6973024B1 (en) * 2001-02-28 2005-12-06 Utstarcom, Inc. Method for modem element switchover using multicast groups
JP2002290550A (ja) 2001-03-27 2002-10-04 Nec Corp 音声ゲートウェイ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855966B2 (en) * 2001-07-16 2010-1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congestion detection and automatic fallback: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JP3636348B2 (ja) * 2001-09-12 2005-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音声パケット遅延揺らぎ吸収装置及び吸収方法
AU2002239053A1 (en) * 2002-03-25 2003-10-08 Allied-Telesis, K.K. Facsimile-communicable voip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20552A (ja) * 1988-02-26 1989-09-04 Nec Corp パケット受信方式
JP2002300274A (ja) *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音声データ転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96584B2 (en) 2010-09-14
CN1886946A (zh) 2006-12-27
JP4400571B2 (ja) 2010-01-20
EP1679833A4 (en) 2010-06-09
JPWO2005034447A1 (ja) 2006-12-21
US20070136494A1 (en) 2007-06-14
WO2005034447A1 (ja) 2005-04-14
KR100885139B1 (ko) 2009-02-23
KR20080085065A (ko) 2008-09-22
EP1679833A1 (en) 2006-07-12
KR20060064023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251B1 (en) Multiplex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audio jitter absorbing method used therein
CA2046369C (en) High performance digitally multiplexed transmission system
CA230075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rt-up delay in data packet-based network streaming applications
JP2002077233A (ja) リアルタイム情報受信装置
JP4661373B2 (ja) 特定メディアデータの破棄を制御する送信装置及び送信プログラム
EP1845691B1 (en) Media stream relay device and method
JP2671821B2 (ja) データ伝送装置
EP1501228A1 (en) Encoded packet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device thereof, and program
US7039059B2 (en) VoIP gateway device and digital one-link tandem exchange method
KR100885138B1 (ko) 이종 통신망간 접속에 있어서의 부호화 데이터의 처리방법및 게이트웨이 장치
JP3344934B2 (ja) データ受信装置
EP1598990A1 (en) Packet transmission device
US20050195803A1 (en) PCM-base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voice/data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JP2000307637A (ja) マルチメディア端末装置及び網間接続装置
JP3947876B2 (ja) Pcm符号を用いた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050961B2 (ja) パケット型音声通信端末
JP2002152181A (ja)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通信装置
WO2000052859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trames de longueur variabl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ces trames
US6637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voice transmission
JP3669660B2 (ja) 通話システム
CA2279752C (en) Speech transmitting device and speech transmitting method
JP2010028642A (ja) 画像伝送システム
KR100701032B1 (ko)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데이터 전송 조절 시스템과 그 방법
JP404395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パケット転送方法及び装置
JP2008011023A (ja) 音声パケット信号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