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4309B1 -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4309B1
KR100884309B1 KR1020080053040A KR20080053040A KR100884309B1 KR 100884309 B1 KR100884309 B1 KR 100884309B1 KR 1020080053040 A KR1020080053040 A KR 1020080053040A KR 20080053040 A KR20080053040 A KR 20080053040A KR 100884309 B1 KR100884309 B1 KR 10088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unit
partition
main bod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선
Original Assignee
홍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선 filed Critical 홍순선
Priority to KR1020080053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로 구성되는 레일부; (2) 상기 레일부 상에 위치하며, 레일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하는 본체부; 및 (3)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하는 구획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에 따르면, 침대에 설치된 공간 구획 분리부를 상황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침대 상에서 아동이나 유아와 성인이 함께 취침하는 경우와 같이 어떠한 경우에도 동반 취침자에 맞도록 침대 공간 구획의 손쉬운 조절이 가능해지며, 사용 후의 구획 분리부 조작의 용이성, 및 보관 시 미관상의 흠을 제거할 수 있다.
침대, 공간 분리, 칸막이

Description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AN APPARATUS FOR DIVIDING SPACE OF A BED WITH A SEPARATE BAR}
본 발명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침대에 설치된 공간 구획 분리부를 상황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반 취침자에 맞도록 침대 공간 구획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위해 사용하는 가구의 일종으로서, 종래에는 서양의 주거 문화에서 필수품의 하나였으나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주거 공간이 서구화됨에 따라 침대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침대를 사용할 경우, 취침자의 나쁜 수면 패턴 및 수면 전 몸의 부산한 움직임에 의해 동반 취침자가 숙면을 방해받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영유아와 함께 취침하는 경우, 잠결에 자신도 모르게 몸을 움직임으로서 골절을 입히거나, 영유아의 호흡을 곤란하게 하는 등 생명에 지장을 주는 재해가 발생할 수 있어 큰 문제가 된다.
이에 종래 본인의 특허인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가 대한민국 등록 특허 번호 제10-0793441호에 개시된바,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침대(100)에 있어서,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 중앙으로 고정구를 돌출 형성한 고정부(101)와, 상기 고정부의 고정구에 절첩힌지를 구비한 지지축을 형성한 지지부(102)와, 상기 지지부(102)의 절첩힌지에 칸막이가 상하로 절첩되도록 결합 형성한 칸막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침대(100)의 하부 중앙으로 돌출형태의 고정부(101)의 고정구를 형성하고 고정구의 중앙으로 통공형태의 고정공을 형성한 상태로 고정구에 삽입되는 축 형태의 지지축을 고정공에 삽입하여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시킨다. 이렇게 체결수단으로 지지축을 고정부(10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된 절첩힌지에 칸막이가 구비된 칸막이축을 힌지고정구로 고정하여 힌지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침대(100)의 하부 중앙에 칸막이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복귀스프링이 구비된 절첩힌지를 중심으로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작은 힘으로 원활하게 상부로 회전시켜 고정부(101)로 칸막이부(103)를 회전하여 침대의 중앙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 취침자와 동침자를 분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는 동침자 간의 체형의 차이를 간과한 형태였으며, 따라서 동침자가 바뀌는 경우에는 일일이 칸막이의 위치를 다시 이용하여 조립하여야 한다는 점과 사용 후의 칸막이부를 수동 방식에 의해 위, 아래로 조작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상의 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칸 막이부가 상하 방향으로만 동작이 가능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세워놓은 형태가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침대에 설치된 공간 구획 분리부를 상황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반 취침자에 맞도록 침대 공간 구획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는,
(1)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로 구성되는 레일부;
(2) 상기 레일부 상에 위치하며, 레일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하는 본체부; 및
(3)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하는 구획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4) 상기 본체부와 상기 구획 분리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회전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구획 분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부는, 상기 본체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레일부에 위치한 집게 고정부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 고정부의 특정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집게부를 벌리도록 조절할 수 있는 집게조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분리부는,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고정 동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분리부는, 완충 기능을 하는 쿠션 또는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획 분리부는, 구획 분리대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에 따르면, 침대에 설치된 공간 구획 분리부를 상황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침대 상에서 아동이나 유아와 성인이 함께 취침하는 경우와 같이 어떠한 경우에도 동반 취침자에 맞도록 침대 공간 구획의 손쉬운 조절이 가능해지며, 사용 후의 구획 분리부 조작의 용이성, 및 보관 시 미관상의 흠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200)는,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212)로 구성되는 레일부(210), 레일부(210) 상에 위치하며, 레일(212)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하는 본체부(220), 및 본체부(220)에 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하는 구획 분리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는, 본체부(220)와 구획 분리부(230)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회전축(도 5의 도면부호 242 참조)을 가짐으로써 구획 분리부(2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210)는,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212)로 구성되어 구획 분리부(230)가 부착된 본체부(220)가 레일(212)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2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210)는, 상기 본체부(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 고정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20)는, 레일부(210) 상에 위치하며, 레일(212)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부(220)는, 레일부(210)에 위치한 집게 고정부(214)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집게부(도 5의 도면부호 222 참조) 및 상기 집게 고정부(214)의 특정 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집게부를 벌리도록 조절할 수 있 는 집게조정부(22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0)에 집게조정부(224)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고정 버튼의 메커니즘이나 고정 버튼의 위치가 도 5에 도시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획 분리부(230)는, 본체부(220)에 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획 분리부(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분리축(232)과 구획 분리대(234)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부(240)가 추가된 경우, 본체부(220)가 아닌 회전부(2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구획 분리부(230)는,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고정 동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도 5의 도면부호 23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획 분리부(230)는, 완충 기능을 하는 쿠션 또는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 또는 장식물은 구획 분리부(230)의 구획 분리대(23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구획 분리대(234)의 일측으로 향기가 발생되는 발향부를 부가하여 취침에 용이한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구획 분리대(234)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관 시에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구획 분리부(230)는 쐐기형태로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침대 상부는 고정 돌기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야 한다. 고정 돌기 및 고정홈은 설치된 구획 분리대(234)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240)는 본체부(220)와 구획 분리부(230)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회전축(도 5의 도면부호 242 참조)을 가짐으로써 구획 분리부(23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회전부(240)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 구획 분리 장치의 사용 후에 침대의 후단부 쪽으로 붙여둠으로써 기존에 사용 후 상기 장치를 공중에 세워둠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미관상 또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공간 활용 면에서도 이점을 갖게 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200)는, 본체부(220)에 형성된 집게조정부(224)를 누르면 본체부(220)를 집게 고정부(214)에 고정시키고 있던 집게부(도 5의 도면부호 222 참조)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220)의 이동이 가능해져 본체부(220)가 바닥판(216)에 설치된 레일부(212)와 집게 고정부(214) 위를 미끄러져 갈 수 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이르러 누르고 있던 집게조정부(224)를 놓으면 집게부(222)의 간격이 다시 좁혀지게 되고, 사용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의 집게 고정부(214) 부분에 집게부가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본체부(210) 및 회전부(240)에 연결된 구획 분리부(23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취침자와 동침자 간의 체형의 차이가 있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일일이 장치를 재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레일 위에서 구획 분리부(230) 위치를 재조정함으로써 편리하게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200)는 레일(212)을 따라 좌우로 동작이 가능한 본체부(220)와 본체부(220)의 상부에 회전부(240)가 위치한 형태가 된다. 여기서, 회전부(240)를 누를 경우, 본체부(220) 및 회전부(240)의 특정 위치에 상하로 파인 홈을 따라 회전부(240)에 연 결된 구획 분리축(232)과 함께 회전부(240)가 본체부(220) 속으로 들어가 돌출된 부분을 줄일 뿐만 아니라 침대 매트리스에 상기 장치를 밀착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본체부와 회전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는 본체부(220)와 회전부(240)의 연결 부위에 회전부(240)에 부속된 회전축(242)을 가짐으로써 침대의 후단부에서 레일(212)을 따라 좌우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고정되는 본체부(220)와 달리 원하는 각도만큼 360도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24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200)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본체부(220)에 형성된 집게조정부(224)를 누르면 본체부(220)를 집게 고정부(214)에 고정시키고 있던 집게부(222)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본체부(220)의 이동이 가능해져 본체부(220)가 바닥판(216)에 설치된 레일부(212)와 집게 고정부(214) 위를 미끄러져 갈 수 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 이르러 누르고 있던 집게조정부(224)를 놓으면 집게부(222)의 간격이 다시 좁혀지게 되고, 사용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의 집게 고정부(214) 부분에 집게부가 고정되어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본체부(210) 및 회전부(240)에 연결된 구획 분리부(23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부(240)는 그 내부로 연결된 구획 분리축(232)에 복귀스프링(236)을 형성하여 구획 분리대(234)를 내림과 동시에 잠김 상태가 되고, 이를 다시 한 번 더 누름으로써 잠김 상태가 해제되어 올라가는 구조, 즉, 동작 시에 복귀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구획 분리대(234)를 용이하게 상하로 움직이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복귀스프링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잠김과 해제가 가능하게 작동되기 위해서는, 회전부(240)의 복귀스프링(236)이 걸쇠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복귀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원터치 방식의 복귀 구조는 매우 일반적이므로 당업자라면 그 상세한 기재가 없더라도 충분히 그 구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설명 및 도면 표시를 생략하였다.
삭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구획 분리 장치는 기본적으로 침대 상의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나, 공간의 구획 분리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의 본체부와 회전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210 : 레일부
212 : 레일
214 : 집게 고정부
216 : 바닥판
220 : 본체부
222 : 집게부
224 : 집게조정부
230 : 구획 분리부
232 : 구획 분리축
234 : 구획 분리대
236 : 복귀스프링
240 : 회전부
242 : 회전축

Claims (7)

  1. (1) 침대의 머리판이 위치한 선단부와 대향되는 후단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로 구성되는 레일부;
    (2) 상기 레일부 상에 위치하며, 레일을 따라 침대 후단부 좌우로 이동하는 본체부; 및
    (3)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침대 공간의 구획을 분리하는 구획 분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4) 상기 본체부와 상기 구획 분리부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에 회전축을 가짐으로써 상기 구획 분리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바닥판 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본체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 고정부가 레일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집게 고정부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공간 구획 분리 장치를 고정하도록 하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가 상기 집게 고정부의 특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집게부의 간격을 벌리거나 좁힐 수 있도록 하는 집게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분리부는,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이나 고정 동작이 용이할 수 있도록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분리부는, 완충 기능을 하는 쿠션 또는 장식 기능을 하는 장식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분리부는, 구획 분리대가 적어도 한 번 이상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KR1020080053040A 2008-06-05 2008-06-05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KR10088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40A KR100884309B1 (ko) 2008-06-05 2008-06-05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40A KR100884309B1 (ko) 2008-06-05 2008-06-05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309B1 true KR100884309B1 (ko) 2009-02-18

Family

ID=4068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040A KR100884309B1 (ko) 2008-06-05 2008-06-05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3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65U (ko) * 1990-05-12 1992-01-27
US7082634B1 (en) 2002-11-25 2006-08-01 Terence Hinds Dividable mattress
KR100793441B1 (ko) 2006-06-23 2008-01-11 홍순선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165U (ko) * 1990-05-12 1992-01-27
US7082634B1 (en) 2002-11-25 2006-08-01 Terence Hinds Dividable mattress
KR100793441B1 (ko) 2006-06-23 2008-01-11 홍순선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360775 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68907A (ja)
KR100884309B1 (ko) 침대 공간 구획 분리 장치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CN108001309A (zh) 一种提篮
WO2014108097A1 (zh) 一种装在椅背上带凹陷头枕的睡眠支架
US20120255389A1 (en) Multi-functional mobile laptop desk
CN209547587U (zh) 一种婴幼儿用床
KR101476267B1 (ko) 환자용 안전난간
CN109172252A (zh) 一种儿科牙齿检查躺椅
TWI233412B (en) Seat of child-care instrument
CN208988228U (zh) 一种午睡睡垫
CN108283397A (zh) 一种家用双面卡座沙发
JP4835166B2 (ja) ペアベッド装置
CN208229087U (zh) 一种儿童头部检测固定保护装置
CN209463709U (zh) 一种床头靠背倾角可调的床
KR100793441B1 (ko) 칸막이가 구비된 침대
CN105963822A (zh) 一种婴幼儿输液座椅
CN2819955Y (zh) 儿童用台座一体椅
KR200399440Y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
JP3214656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支持機構部
CN109733261A (zh) 车用座椅颈托
JP4994439B2 (ja) 椅子
KR200463914Y1 (ko) 독서대 기능을 갖는 침대
JP4475491B2 (ja) 椅子
CN101808606B (zh) 椅式按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