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499B1 -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499B1
KR100883499B1 KR1020020047105A KR20020047105A KR100883499B1 KR 100883499 B1 KR100883499 B1 KR 100883499B1 KR 1020020047105 A KR1020020047105 A KR 1020020047105A KR 20020047105 A KR20020047105 A KR 20020047105A KR 100883499 B1 KR100883499 B1 KR 10088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er
control valve
electric
control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3954A (ko
Inventor
임춘봉
김정홍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4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3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w Control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련로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밸브의 개도조절용 전공포지셔너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오작동되어서 발생되는 가스분사노즐의 침식 및 용탕의 유출로 인한 사고 및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제어를 위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함유량을 검출하는 수분검출센서(202); 상기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할 때 전동변(205,205')의 전원차단 및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동변(205,205');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차단시에 전공포지셔너(10)에 비상용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진기(208);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209); 및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 검출시에 압력스위치(209)에 의하여 작동되어 전공포지셔너(10)에 의하여 콘트롤밸브(100)에 공급되는 압력변환된 공기를 차단하는 전동변(204)을 포함한다.
정련로, 콘트롤밸브, 전공포지셔너, 수분, 용탕, 비상제어

Description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Emergency Control Device for regulating the control valve feeding the gases to smelting furnace}
도 1은 종래 정련로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콘트롤밸브와 전공포지셔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제어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제어장치의 상세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상세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제어장치의 정상작동상태도,
도 7은 충진기 압력저하시의 비상제어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공포지셔너 11: 조절계
12: 유량검출기 13: 정련로
14: 노즐내관 15: 노즐외관
16: 내화벽 18: 압축공기원
19: 필터 100: 콘트롤밸브
101: 다이아프램 102: 스프링
103: 개도지시계 104: 스핀들
105: 바디 200: 비상제어장치
201: 취부필터 202: 수분검출센서
204: 전동변 205,205': 전동변
206: (운전실)경보장치 208: 충진기
209: 압력스위치 210: 접점
211,211',211",211'": 커플러 213: 전원공급단자
214: 출력단자 300: 제어부
301,302: 릴레이 303: 가변저항기
304: 증폭기 305: 신호반전기
306: 증폭기 308: 트랜지스터
309: 릴레이 310: 정전압부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제철공정에 사용되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련로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밸브의 개도조절용 전공포지셔너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오작동되어서 발생되는 가스분사노즐의 침식 및 용탕의 유출로 인한 사고 및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정련로(13)와 정련로(13)에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노즐내,외관(14,15)과, 노즐에 공급되는 유량을 검출하고 제어하기 위한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실선은 유체가 통과하는 파이프, 점선(내외관은 제외)은 전기신호의 통로인 전선을 의미한다.
스테인레스 제철공정에 사용되는 정련로(13)에서는 하부에 취부되어 있는 내, 외관(14,15)으로 구성된 노즐을 통하여 특정가스를 취입하여 용강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상기의 생산과정에서 정련로(13) 내에 담겨진 용탕을 교반하기 위하여 산소와 불활성 가스인 질소 또는 아르곤이 노즐내관(14)을 통하여 취입되고, 용탕에 의한 노즐내관(14)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 또는 아르곤 및 압축공기가 노즐외관(15)을 통하여 취입된다. 취입된 가스들에 의하여 산화와 환원탈류 단계를 거쳐 용강제품이 생산된다.
정련로(13)에 공급되는 가스공급량의 조절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수행된다. 가스가 통과되는 배관에서 유량검출기(12)를 통하여 검출된 유량은 그에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된 후에 조절계(11)로 입력된다. 조절계(11)에서는 유량측정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조절계(11)에 설정된 설정치만큼 유량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유량공급량 제어신호를 전공포지셔너(10)로 입력한다. 상기 전공포지셔너(10)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공기압으로 변환하여 콘트롤밸브(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출력하여 콘트롤밸브(100)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콘트롤밸브(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공포지셔너(10)에는 별도의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있으며, 이것이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콘트롤밸브(100)의 개도가 제어되어 유량의 이동량이 변동하게 되면, 이에 따라서 노즐내관(14)과 노즐외관(15)을 통하여 취입되는 가스량이 변동된다. 노즐내관(14)과 노즐외관(15)은 독립적으로 유량이 제어된다.
상기의 전공포지셔너(10)와 콘트롤 밸브(100)의 동작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공포지셔너(10)는 조절계(11)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4~20mA의 범위에서 변경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콘트롤밸브(100) 동작신호를 이에 상응하는 공기압으로 변환한다. 다시말하여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4~6kg/cm2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조절계(1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1.2~2.0kg/cm2의 압력으로 변환하여 콘트롤밸브(100)로 출력하게 된다. 콘트롤밸브(100)는 콘트롤 밸브 동작용 공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이아프램(101)과 상기 다이아프램(101)과 연결된 스프링(102)의 인장 및 수축작용을 통하여 상기의 다이아프램(101)에 연결된 스핀들(104)의 상,하 운동으로 0~100%에 해당하는 개도를 1.2~2.0kg/cm2의 압력으로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개도의 표시는 콘트롤밸브(100)에 설치된 개도지시계(103)를 통하여 확인한다.
상기와 같은 전공변환을 통한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조절을 위해서 압축공기원(18)과 상기 압축공기원(18)의 수분 및 분진을 걸르는 필터(19)가 전공포지셔 너(10)의 전단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압축공기원(18)은 대기중의 공기를 압축하여 제공하는데 이 때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과 먼지(분진)도 같이 포함된다. 이렇게 포함된 수분이 먼지와 수분을 여과하는 필터(19)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전공포지셔너(10)로 침투되면 미세한 노즐로 구성된 전공포지셔너(10)의 공기통로가 막혀서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전공포지셔너(10)의 동작은 정지하게 되고 콘트롤밸브(100)의 동작도 동시에 정지된다. 또한 압축공기원(18)의 압축기가 우발적으로 고장이 발생하여 공기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역시 콘트롤밸브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콘트롤밸브(100)의 동작이 멈추게 되면 작동상황에 따라서 콘트롤밸브(100)의 개도가 완전히 닫혀서 유량이 차단되거나 열려서 설정치 이상으로 유량이 공급된다. 따라서 콘트롤밸브(100)가 완전히 닫힐 경우 정련로(13)의 노즐 내,외관(14,15)으로 공급되던 가스가 차단됨으로 인해 정련로(13) 안에 담겨져 있던 용탕에 의해 상기의 노즐 내,외관(14,15)이 침식되고, 노즐이 침식되어 없어지면서 노즐이 취부되었던 홀(hole)을 통하여 용탕이 유출되어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트롤밸브(100)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설정치보다 많은 가스의 유량이 공급되게 됨으로 인해 부가가치가 높은 스테인레스강의 품질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노즐침식으로 인하여 용탕이 유출되면 정련로(13)의 내화벽(16)까지 침식시키게 되는데 이것을 가정하여 정련로(13)의 내열성을 높이기 때문에 제작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련로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제어하는 콘트롤밸브의 개도조절용 전공포지셔너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오작동되어 정련로에 구비된 가스분사노즐의 침식 및 용탕의 유출로 인한 품질저하와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가가치가 높은 스테인레스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여 소비자의 불만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는, 콘트롤밸브의 개도제어를 위하여 전공포지셔너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함유량을 검출하는 수분검출센서; 상기 수분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할 때 전동변의 전원차단 및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전공포지셔너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동변; 전공포지셔너로 공급되는 공기차단시에 전공포지셔너에 비상용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진기; 상기 충진기의 압력하한치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 및 상기 충진기의 압력하한치 검출시에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작동되어 전공포지셔너에 의하여 콘트롤밸브에 공급되는 압력변환된 공기를 차단하는 전동변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가 설치된 가스공급부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로서, 종래 전공포지셔너(10)와, 상기 전공포지셔너(10)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원(18)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비상제어장치(200)가 삽설되어 있다.
상기 비상제어장치(200)는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하면 작동되어서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조정을 위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수분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한다. 이 때 유량검출에 따른 조정신호를 출력하는 조절계(12)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는 종래와 같이 연결된다. 비상제어장치(200)는 또한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스탠드형으로 취부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비상제어장치(200)가 설치됨에 따라서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전공포지셔너(10)에서 직접 콘트롤밸브(100)로 공급되지 않고 본 발명의 비상제어장치(200)를 통하여 공급된다.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공기가 공급되는 파이프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전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상제어장치(200)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비상제어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제어를 위하 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함유량을 검출하는 수분검출센서(202); 상기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할 때 전동변(205,205')의 전원차단 및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동변(205,205');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차단시에 전공포지셔너(10)에 비상용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진기(208);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209); 및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 검출시에 압력스위치(209)에 의하여 작동되어 전공포지셔너(10)에 의하여 콘트롤밸브(100)에 공급되는 압력변환된 공기를 차단하는 전동변(204)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검출센서(202)는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함유량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검출된 수분함유량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변환기가 내장되어 있다. 아나로그변환된 검출신호는 제어부(300)로 입력된다.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실선으로 표시됨)는 커플러(211)에 의하여 비상제어장치(200)에 연결된다. 커플러(211)는 파이프들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수분검출센서(202)는 취부필터(20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취부필터(201)를 경유하여 압축된 공기가 전동변(205)에 공급된다. 상기 전동변(205)은 또다른 전동변(205')과 직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필터(19)가 삽설되어 있다. 상기 필터(19)는 수분 및 먼지제거용이다. 상기 전동변(205,205')들 은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콘트롤밸브(100)를 작동시키도록 전동포지셔너(1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기공급원이다. 공급되는 공기압은 4~6kg/cm2이다.
후단에 연결된 전동변(205')의 타단은 파이프를 통하여 커플러(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파이프의 중간에는 충진기(208)와 연통되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변(205')은 커플러(211')와 충진기(208)의 양자와 연통된다. 상기 커플러(211')는 종래와 같은 공기공급방식으로 파이프를 통하여 전공포지셔너(10)에 연결된다.
도면을 다시 참고하면, 상기 전공포지셔너(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직접 콘트롤밸브(100)로 공급되지 않고 비상제어장치(200)의 커플러(211")로 공급되었다가 또다른 전동변(204)과 파이프로 연결된 커플러(211'")를 통하여 콘트롤밸브(100)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수분의 농도를 상시 검지하는 것으로서, 검출된 수분함량치를 수분상한치와 비교하여 수분함량치가 미리 설정된 수분상한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전동변(205,205')의 전원차단 및 운전실 경보장치(206)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전동변(205,205')에는 전원공급단자(213)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이 공급되며, 경보장치(206)로의 제어신호는 출력단자(214)를 통하여 송출된다.
제어부(3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전동변(205,205')이 온/오프 작동되며, 전동변(205,205')이 오프되면 충진기(208)에 압축되어 있는 청정공기에 의하 여 제어를 계속하게 된다. 전동변(205,205')이 차단되는 경우에 충진기(208)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공기는 그것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커플러(211')를 통하여 전공포지셔너(10)에 공급되어서 적당한 압력으로 전환된 후에 토출된다. 토출된 압축공기는 커플러(211")를 통하여 전동변(204)를 통과하여 커플러(211'")를 통하여 콘트롤밸브(100)에 공급되어서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때 전공포지셔너(10)는 종래와 같이 조절계(11)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압력을 변경시킨다.
충진기(208)에 저장되어 있던 청정압축공기의 압력이 저하되면, 저하되는 압력상태를 압력스위치(209)에서 검출한다. 만일 검출되는 압력치가 설정하한치에 도달하면 스위치(209)가 작동되어 전동변(204)이 차단되면서 현재까지의 제어상태를 유지한다. 미설명부호 210은 접점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상제어장치(200)의 제어부(300)의 일실시예의 상세회로도이다. 상시 폐쇄접점상태를 가지며 전원공급단자(2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전동변(205,205')에 공급하는 릴레이(301)와, 상시 개방접점상태를 가지며 경보장치(206)에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릴레이(302)와, 상기 전원공급단자(2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310)와,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가 (-)단자에 연결되고 수분상한치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기(303)가 (+)단자에 연결되는 증폭기(304)와, 상기 증폭기(3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기 위한 신호반전기(305)와, 상기 신호반전기(3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306)와, 상기 증폭기(3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308)와, 상기 트랜지스터(308)의 컬렉터에 연결되며 수분함량치가 수분상한치보다 큰 경우에 작동되어서 상기 릴레이(301,302)의 접점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30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300)의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에 상응하는 아날로그신호는 증폭기(304)의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다. 수분함유량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증폭기(304)에서는 가변저항기(303)를 통하여 설정되며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수분상한치와 비교한다. 비교결과, 수분상한치보다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높으면 (-)의 값이 증폭기(304)에서 출력된다. 출력된 (-)의 값은 신호반전기(305)에 의하여 (+)신호값으로 반전된 후에 증폭기(306)에 입력된다. 증폭기(306)에서 증폭된 후에 출력값은 트랜지스터(308)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308)에는 전동변(205,205')의 전원공급제어용 릴레이(309)가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08)의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되면 릴레이(309)가 작동되어서 릴레이(301,302)의 접점상태를 변경한다. 상기 릴레이(301)는 항시 폐쇄접점상태에서 개방접점상태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서 전동변(205,205')이 유로차단상태(오프)로 절환된다. 또한 릴레이(302)는 항시 개방 접점상태에서 폐쇄 접점상태로 변경되며, 전원접속 단자(213)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면서 출력단자(214)를 통하여 경보장치(206)에 연결되어 수분함유량이 상한치를 초과함을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정전압부(310)는 직류전원(+15V, +5V등)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와 같은 비상제어장치(2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정상상태 및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한 경우에 충진기 압력저하시의 작동상태이다.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는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이,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커플러(211), 취부필터(201), 전동변(205), 필터(19), 전동변(205')을 통하여 공급된다. 전동변(205')의 타단부는 외부로 연결되는 커플러(211')에 연결되어서 전공포지셔너(10)로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전공포지셔너(10)에서 압축공기의 압력이 변경되며, 압력이 변경된 공기는 다시 커플러(211")를 통하여 전동변(204), 커플러(211'")를 경유하여 콘트롤 밸브(100)로 취입된다. 상기 전공포지셔너(10)는 종래와 같이 조절계(12)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서 작동된다. 상기에서 전동변(204,205,205')들은 모두 유체이동통로가 열려서(온작동) 압축된 공기가 통과한다.
상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상태에서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설정된 수분상한치를 초과하면 제어부(300)에서는 전동변(205,205')을 오프작동시켜서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한다. 이렇게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충진기(208)에 압축, 저장되어 있던 공기가 커플러(211')를 통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된다. 이 때 공급되는 공기압력은 압축공기원(18)으로부터 공급되던 공기압과 비슷하다. 또한 전동변(204)은 차단되지 않는다.
커플러(211')를 통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된 공기는 전공포지셔너(10)에 의하여 압력이 변경된 후에 다시 커플러(211")로 유입되어서 전동변(204), 커플 러(211'")를 통과하여 콘트롤밸브(100)로 입력된다.
충진기(208)로부터 전공포지셔너(10)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지만 새로운 압축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충진기(208)의 공기압은 저하된다. 압력스위치(209)는 충진기(208)의 공기압을 검지하였다가 설정된 압력하한치에 도달하면 전동변(204)을 작동시켜서 공기이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진기(208)에 충진된 압축공기는 하부측에 약간 남은 상태가 되면서 콘트롤밸브(100)의 제어상태는 현재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유지시간동안에 보수반이 출동하여 압축공기원(18)의 하자를 수리함으로서 콘트롤밸브(100)를 신속하게 재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련로에 공급되는 가스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밸브 조절용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콘트롤밸브의 오동작으로 인한 가스분사노즐의 침식 및 용탕의 유출로 인한 품질저하와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가가치가 높은 스테인레스강의 품질저하를 방지하여 소비자의 불만사항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노즐내관(14)과 노즐외관(15)을 가진 노즐을 통하여 정련로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콘트롤밸브(100)가 구비된 정련로(13)에 있어서,
    콘트롤밸브(100)의 개도제어를 위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함유량을 검출하는 수분검출센서(202); 상기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검출된 수분함유량이 수분상한치를 초과할 때 전동변(205,205')의 전원차단 및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전동변(205,205'); 전공포지셔너(10)로 공급되는 공기차단시에 전공포지셔너(10)에 비상용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충진기(208);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스위치(209); 및 상기 충진기(208)의 압력하한치 검출시에 압력스위치(209)에 의하여 작동되어 전공포지셔너(10)에 의하여 콘트롤밸브(100)에 공급되는 압력변환된 공기를 차단하는 전동변(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가, 상시 폐쇄접점상태를 가지며 전원공급단자(2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전동변(205,205')에 공급하는 릴레이(301)와, 상시 개방접점상태를 가지며 경보장치(206)에 경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릴레이(302)와, 상기 전 원공급단자(2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전압부(310)와, 수분검출센서(202)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가 (-)단자에 연결되고 수분상한치를 설정하기 위한 가변저항기(303)가 (+)단자에 연결되는 증폭기(304)와, 상기 증폭기(3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극성을 반전시키기 위한 신호반전기(305)와, 상기 신호반전기(3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306)와, 상기 증폭기(3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트랜지스터(308)와, 상기 트랜지스터(308)의 컬렉터에 연결되며 수분함량치가 수분상한치보다 큰 경우에 작동되어서 상기 릴레이(301,302)의 접점을 절환하기 위한 릴레이(3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검출센서(202)가 취부필터(201)에 의하여 비상제어장치내부에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변(205,205') 사이에 수분 및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9)가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KR1020020047105A 2002-08-09 2002-08-09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KR10088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05A KR100883499B1 (ko) 2002-08-09 2002-08-09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105A KR100883499B1 (ko) 2002-08-09 2002-08-09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54A KR20040013954A (ko) 2004-02-14
KR100883499B1 true KR100883499B1 (ko) 2009-02-16

Family

ID=3732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105A KR100883499B1 (ko) 2002-08-09 2002-08-09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06B1 (ko) * 2008-06-30 2011-02-17 (주)태린 테레프탈산 제조 공정의 금속막 필터링 방법
KR101017246B1 (ko) * 2008-10-28 2011-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진공 탈가스 설비의 밸브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608320B (zh) * 2022-02-16 2023-11-21 江苏省福达特种钢有限公司 一种用于大截面高速钢生产工艺的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734A (en) * 1979-06-11 1980-12-22 Hitachi Ltd Emergency door opening apparatus
KR970014710U (ko) * 1995-09-14 1997-04-28 가열로의 최초점화시 착화실험장치
KR19980067170U (ko) * 1997-05-23 1998-12-05 김종진 에어배관 내의 수분검출을 통한 에어공급 자동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734A (en) * 1979-06-11 1980-12-22 Hitachi Ltd Emergency door opening apparatus
KR970014710U (ko) * 1995-09-14 1997-04-28 가열로의 최초점화시 착화실험장치
KR19980067170U (ko) * 1997-05-23 1998-12-05 김종진 에어배관 내의 수분검출을 통한 에어공급 자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954A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27B1 (ko) 석유화학 집진 설비의 에어 펄싱 제어장치
KR100883499B1 (ko) 정련로에 가스를 공급하는 콘트롤밸브의 비상제어장치
EP3564442B1 (en) Monitoring system for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for foreign substance removal device
JPS5980520A (ja) 流体軸受装置
CN109396609A (zh) 一种电焊机电流控制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161182B (zh) 一种油箱生产工艺及充气装置
KR20110039980A (ko) 용접용 캐리지의 냉각 장치
US202200320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a Desired Level of Oxygen in a Refuge
CN214208768U (zh) 一种智能气体终端
JP4637069B2 (ja) 減圧装置
KR100403311B1 (ko) 브라운 가스 역화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149264B1 (ko) 전기로용 전극봉의 승하강 구동 제어 장치
JPH10175073A (ja) プラズマアーク利用機器
JPH05200561A (ja) ウエルドボルト確認装置
JPH11104824A (ja) 溶接時における金属管に対する不活性ガス注入制御装 置
KR100825624B1 (ko) 고로 송풍기 자동분송제어방법
KR200182662Y1 (ko) 자동가스밸브의 개도 유지 장치
KR100205218B1 (ko) 반도체 제조 장비의 밸브 사전 검색 장치
CN211680473U (zh) 用于焊接设备中的气路控制单元
KR100470728B1 (ko) 가스누출 차단기의 안전장치
US3746326A (en) Flame cutting torch control
JP3340634B2 (ja) 電流制御式減圧弁の携帯型検査装置
KR100435450B1 (ko) 액체산소펌프의 자동예냉 제어장치
CN114777022A (zh) 压力调节装置、电气设备气体密度诊断及控制系统和方法
KR200282928Y1 (ko) 배가스 분석실의 적정 산소농도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