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035B1 -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035B1
KR100883035B1 KR1020070091803A KR20070091803A KR100883035B1 KR 100883035 B1 KR100883035 B1 KR 100883035B1 KR 1020070091803 A KR1020070091803 A KR 1020070091803A KR 20070091803 A KR20070091803 A KR 20070091803A KR 100883035 B1 KR100883035 B1 KR 10088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b
measuring
raw water
tast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제
황태문
정진홍
정근진
반승현
최근호
백남준
김준한
최희식
오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오투엔비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오투엔비, 엔텍이앤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2-methylisoborneol))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 1 측정부, 제 2 측정부, 연산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제 1 측정부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제 2 측정부는 상기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연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2-MIB 농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연속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현장 적용시 정수처리시스템의 원수 및 최종처리수에 대한 맛,냄새 유발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음용수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Monitoring device of Taste and Odor Matters(2-MIB) in drinking water treatm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처리공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methylisoborneol, 이하 2-MI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와 관련된 맛,냄새 유발 물질은 크게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생물작용에 의한 자연발생적인 것이 일반적이다. 자연발생적 원인에 의한 맛,냄새물질은 대부분 조류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조류에서 유발되는 대표적인 맛,냄새물질은 지오스민(Geosmin)과 2-MIB 등이 있다.
살아있는 조류는 세포 내 저장, 체외분비 및 분해산물 방출 형태로 맛,냄새물질을 발산하며 조류가 죽었을 때는 조류 본체가 분해 되면서 방선균(Actinomycetes)의 영양소로 작용하거나 기타 세균작용에 의해 조류 세포 내에 함유된 물질이 분리,용해된다.
방선균은 섬유성 단세포 세균으로 주로 토양에 서식하며 빗물에 유출되어 원 수를 오염시킨다. 방선균 이외의 박테리아에서도 지오스민(Geosmin)이나 2-MIB와 같은 물질이 방출되며, 곰팡이(Fungi) 역시 지오스민(Geosmin)을 발산한다.
지표수를 이용한 정수처리에 있어서 조류유입은 응집,플록형성의 장해나 침전, 여과장해와 같은 정수처리 문제 및 음용수의 맛,냄새발생, 소독부산물의 생성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조류에 의한 맛,냄새 발생은 조류가 다수 증식하였을 경우에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정수에까지 잔류하는 경우로써, 조류가 많이 발생하는 기간과 조류발생개체수가 많은 갈수기 기간에 발생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조류에 의해 발생되는 주요 맛,냄새물질은 지오스민(Geosmin), 2-MIB(2-methylisoborneol), β-cyclocitral, 3-methyl-1-butanol, TCA(2,3,6- trichloroanisole), IPMP (2-isopropyl-3-methoxy pyrazine), IBMP (2-isobutyl- 3-methoxy pyrazine), Sesquiterpenes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정수처리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물질은 지오스민(Geosmin)과 2-MIB 이며, 일본의 경우 음용수 처리수기준으로 10 ng/L을 설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주관적 판단인 무취. 무미 등으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2-MIB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산화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수처리 방법으로는 잘 산화되지 않으며, 조류 활동이 왕성한 여름철에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맛,냄새 유발물질은 종류에 따라 수 ng/L의 농도에서도 인체의 감각기관을 자극할 수 있다. 2-MIB와 지오스민(Geosmin) 등과 같이 특정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화학적 정량 및 정성분석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및 GC/MS가 이용된다. 맛,냄새 유발 물질은 수중에서 수 ng/L의 극히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다량의 방해물질이 공존하는 까닭에 농축, 정량 및 정성을 할 때 각 물질별로 적합한 분석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맛,냄새 유발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크게 관능법과 기기분석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정수장 운영자가 직접 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속적 측정이 불가능하고, 분석을 위한 전처리가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맛,냄새 유발물질이 다량 유입시 정수처리 장애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 하다.
맛,냄새 유발물질 감시방법 가운데 하나인 관능법은 표준방법(Standard Method)에서는 TON(Threshold Odor Number), FTT(Flavor Threshold Test), FRS(Flavor Rating Scale), Flavor Profile Analysis(FPA) 등을 제시하였고, 일본 상수 시험방법에는 TON만이 시험방법으로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관능법의 경우 일정시료의 양을 플라스크에 넣고 강제적으로 흔든 다음 즉시 냄새를 맡는 방법으로 실험이 비교적 간단하나, 분석자의 주관적인 후각능력에 따라 분석결과가 매우 상이하고,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연속측정이 불가능하다.
기기분석법으로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축방법에 따라 CLSA, Purge & Trap, LLE, SDE, SPE로 나눌 수 있는데, CLSA(Closed-Loop Stripping Analysis)는 맛,냄새 유발물질 분석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ng/L의 농도 분석이 가능하 며, 특히 무극성 물질, 휘발성 유기물, 중간정도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 분석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스트립핑(Stripping) 시간이 2시간 정도 걸리므로 분석시간이 길다는 것이 단점이다.
Purge & Trap은 극성이 없고, 비교적 적은 분자량을 갖는 휘발성 물질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추출시간이 짧은 반면 감도는 CLSA보다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국내에서 수 ng/L까지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LE(Liquid-Liquid Extraction)방법은 휘발성이 적은 물질의 추출에 적합하며, 장치가 간단하고 물질의 추출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SDE(Steam Distillation Extraction)은 LLE의 원리를 개량한 것으로 1966년 Nickerson 등이 식품의 향내 분석에 처음 이용하였다. Mallerialle 등의 보고에 의하면 맛,냄새 유발불질의 분석시 SDE가 CLSA보다 훨씬 감도가 좋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특히, Chlorinated Benzene까지 추출 가능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최근에는 CLSA법과 SDE법을 병행하여 맛,냄새 유발불질을 분석하고 있다.
SPE(Solid Phase Extraction)방법은 검수 중에 2-MIB 및 Geosmin을 고체상태의 Column에 흡착하고,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용출한 검액을 GC/MS를 이용해서 선택이온검출법(SIM) 또는 매스 크로마토그래피(Mass Chromatography)법으로 측정하여 2-MIB 및 지오스민(Geosmin)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의 정량하한치는 0.005 ㎍/L 정도이며 정량 하한값 부근의 측정정밀도 CV가 약 20%이다. 기기분석법 또한 전처리가 복잡하고 및 분석시간이 2시간 정도 걸리므로 연속 측정이 불가능하다. 특히, 먹는물 수질기준으로 관리하는 트리할로메탄(생성능) 및 할로아세틱에시드(생성능)는 지금까지 수작업에 의하여 복잡한 전처리 및 정밀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이유로 장시간의 시간이 걸려 종래의 소독부산물 측정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없다.
즉, 국내의 정수장에서 조류가 다수 증식하였을 경우에 맛,냄새 유발물질은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음용수까지 잔류하는 경우, 기존의 감시방법으로는 연속적으로 맛,냄새 유발물질을 측정할 수 없어서, 맛,냄새 유발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약품투입여부의 결정여부 등 현장 대응이 늦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는 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링 장치는 제 1 측정부, 제 2 측정부, 연산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제 1 측정부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제 2 측정부는 상기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연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계산된 2-MIB 농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연산부는 수학식
Figure 112007065657336-pat00001
k1 = 상관계수(10-0.288)
k2 = 상관계수(0.645) 에 따라 상기 2-MIB 농도를 계산한다.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10㎍/L 이상 및 1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이다.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원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분말활성탄 및 염소의 양을 결정하는 정보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상기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클로로필-a 및 Ph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실 시간으로 2-MIB 농도를 연속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방법이 간단하며, 현장 적용시 정수처리시스템의 원수 및 최종 처리수에 대한 맛,냄새 유발 여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상수원에서의 조류발생 상황을 사전에 관계 기관에 신속하게 전파하여, 조류의 발생 정도에 따라 취,정수장의 정수처리 강화 등 단계적인 대응조치를 할 수 있어 맛,냄새 물질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맛,냄새 물질 발생에 따라 취수장이나 정수장에 장해가 발생하더라도 조류 유입 농도 수준에 따른 분말활성탄 및 염소 등 약품투입 시기 및 투입양을 결정할 수 있어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등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현장 대응이 가능하여, 음용수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처리시스템에 유입하는 상수원수내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의 연결구성도이다.
본 발의 모니터링 장치는 수처리 공정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실시간 분석방법인 형광검출법에 의한 클로로필-a(Chlorophyll-a)와 pH를 동시에 측정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수처리공정 중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의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맛,냄새물질을 유발시키는 조류가 있는 시료를 형광검출기가 구비된 측정실로 연속적으로 유입시킨 후, 형광파장을 조사하여 조류로부터 발산하는 형광의 양, 즉 클로로필-a (Chlorophyll-a)의 연속 측정과 이때 측정실에 유입된 상수원수의 pH를 동시 측정하는 장치 구성을 통하여,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와를 구하는 계산식으로부터 2-MIB의 농도를 계산하고, 2-MIB 농도가 10 ㎍/L 이상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경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분말활성탄 주입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등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맛,냄새 유발물질 지표인자로 2-MIB 물질을 선정한 이유는 국내 정수장 유입원수에서 맛,냄새 유발물질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존의 정수처리공정으로는 2-MIB의 처리가 어려워 분말활성탄 등을 사용하는데, 이 때, 분말활성탄 사용 시기 결정에 대한 의사결정 기법이 없이 운전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약품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와 달리 일본의 경우 2-MIB 농도를 음용수 수질기준 항목으로 법제화시켜 관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맛,냄새 유발물질 지표인자인 2-MI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에서 형광검출법으로 측정한 클로로필-a(Chlorophyll-a)의 연속 측정을 적용하는 것은 맛,냄새 유발물질 원인이 되는 조류의 유입 특성을 반영하기 위 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6)를 포함하는 수처리공정 전체를 설명하면, 먼저 원수가 착수정(1)에 잠시 저장된 후 외부로 흘러나간다. 모니터링 장치(6)는 착수정(1)에서 출력되는 원수를 채수하여 필요한 성분을 측정하고 2-MIB 농도를 계산한다. 나아가 모니터링 장치(6)는 계산된 2-MIB 농도를 근거로하여 외부의 분말활성탄이나 염소 배출장치(7)를 제어하여 착수정으로 분말활성탄이나 염소가 투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원수의 2-MIB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모니터링 장치(6)는 제 1 측정부(11), 제 2 측정부(13), 연산부(15) 및 디스플레이부(17)를 구비한다. 제 1 측정부(11)는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2-MIB의 원인이 되는 조류의 광합성시스템에는 포토시스템(Photosystem) 이 있는데 포토시스템이 빛을 받으면 아주 약하지만 일정한 파장의 광을 방출한다. 이때 방출되는 광에 포함된 형광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클로로필-a의 농도를 측정한다.
또한, 포토시스템(Photosystem)은 빛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외곽안테나(Outer Antenna)와 외곽안테나로부터 빛 에너지를 전달 받는 중심안테나(Core Antenna)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안테나는 조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베타카로틴 클로로필-a 단백질(beta-Carotin-Chlorophyll-a Protein)로 되어 있어 클로로필-a를 측정함으로써 조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제 2 측정부(13)는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국내 정수장에 유입하 는 원수 내에 포함된 조류 및 맛,냄새 유발물질 지표인자인 2-MIB의 유입특성을 분석한 결과, 조류 개체수가 다량 유입시 2-MIB 뿐만 아니라 원수내 pH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예로, 갈수기인 2~4월의 봄철 시기에 수온이 상승하면서 맛,냄새 유발물질의 발생농도가 높게 검출되며, pH 또한 8.0 ~ 9.0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시기의 조류는 규조류인 Cyclotella & Stephnodiscus sp ., Asterionella sp . Aulacoseira sp . 순으로 발생 빈도가 나타났다.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클로로필-a, pH 및 기타 수질인자 등과 맛,냄새 유발물질 지표인자인 2-MIB와의 통계적 요인분석 결과 클로로필-a 및 pH가 2-MIB의 주요 인자로 분석되었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 1 측정부(11)와 제 2 측정부(13)는 클로로필-a 및 pH를 각각 측정한다. 제 1 측정부(11)와 제 2 측정부(13)는 기존의 측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연산부(15)는 제 1 및 제 2 측정부(11, 13)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한다. 즉, 정수처리시스템으로 유입하는 상수 원수 내 형광측정법으로 분석한 클로로필-a의 실시간 농도와 pH 값은 맛,냄새 유발물질 지표인자인 2-MIB 농도로 다음 수학식에 의해서 변환된다.
연산부(15)는 다음 수학식을 연산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Figure 112007065657336-pat00002
여기서, k1 = 상관계수(10-0.288) 이고, k2 = 상관계수(0.645) 이다.
디스플레이부(17)는 계산된 2-MIB 농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모니터링 장 치(6)는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비교부(18) 및 비교부(18)의 출력에 응답하여, 계산된 2-MIB 농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CTRL)를 출력하는 알람부(19)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기준값은 계산된 2-MIB 농도가 10㎍/L 이상 및 1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를 의미한다. 즉, 모니터링 장치(6)는 산출된 2-MIB 유입 농도 등급에 따라 2-MIB 농도가 10 ㎍/L 이상 1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맛,냄새 유발물질에 대한 조기경보를 제공하고, 분말활성탄 투입 시기 및 염소 투입시기 여부를 결정하여, 기존 정수처리공정으로 제거가 되지 않는 맛,냄새 유발물질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
비교부(18)는 연산부(15)에서 출력되는 2-MIB의 농도를 기준값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알람부(19)로 전송한다. 알람부(19)는 비교부(18)의 출력결과에 따라, 2-MIB의 농도가 기준값보다 크면 경보발생 및 제어신호(CTRL)를 발생하고 기준값보다 작으면 계속해서 2-MIB의 농도를 모니터링 하도록 한다.
모니터링 장치(6)는 원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알람부(19)는 원수의 양에 따라 분말활성탄 및 염소의 양을 결정하는 정보를 제어신호(CTRL)에 포함시켜 출력한다. 즉, 인입되는 원수의 양을 유량계(3)로 측정하면 분말활성탄 및 염소를 투입 착수정(1)으로 투입할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2-MIB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20)은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21 단계,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23 단계, 측정된 클로로필-a 및 Ph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하는 25 단계,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27 단계 및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29 및 31 단계를 구비한다.
만일,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 아니면 2-MIB 의 모니터링을 계속한다.(33 단계)
25단계는 앞서 설명된 수학식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2-MIB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20)은 도 1의 모니터링 장치(10)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2-MIB와 클로로필-a의 상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클로로필-a가 맛,냄새 유발물질 인 2-MIB의 감시에 주요한 요인인자로서 나타났다. 따라서, 2-MIB의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클로로필-a를 측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그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소독부산물 감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결과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제까지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서만 받아들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다양한 변형을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권리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처리시스템에 유입하는 상수원수내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의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의 연결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2-MIB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2-MIB와 클로로필-a의 상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 1 측정부 ;
    상기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제 2 측정부;
    상기 제 1 및 제 2 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하는 연산부 ; 및
    상기 계산된 2-MIB 농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수학식
    Figure 112007065657336-pat00003
    k1 = 상관계수(10-0.288)
    k2 = 상관계수(0.645)
    에 따라 상기 2-MIB 농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비교부 ; 및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10㎍/L 이상 및 1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원수의 양에 따라 상기 분말활성탄 및 염소의 양을 결정하는 정보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장치.
  6. 정수처리공정으로 유입하는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인 2-MIB(2- methylisoborneol)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클로로필-a를 형광측정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원수의 pH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측정된 클로로필-a 및 Ph 값에 응답하여 2-MIB 농도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 및
    상기 계산된 2-MIB 농도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를 발생하고 맛,냄새 유발물질 처리를 위한 분말활성탄 및 염소 투입시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2-MIB 모니터링 방법.
KR1020070091803A 2007-09-10 2007-09-10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088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03A KR100883035B1 (ko) 2007-09-10 2007-09-10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03A KR100883035B1 (ko) 2007-09-10 2007-09-10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035B1 true KR100883035B1 (ko) 2009-02-09

Family

ID=4068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03A KR100883035B1 (ko) 2007-09-10 2007-09-10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0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51B1 (ko) * 2011-04-14 2013-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수처리를 위한 실시간 맛냄새 유발물질 감시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5700B1 (ko) 2012-10-22 2013-06-17 유형조 온라인 스파져를 이용한 수중의 맛·냄새 유발물질인 지오스민과 2-mib 실시간 분석장치
KR20150122876A (ko) 2014-04-23 2015-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류-기인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염소-자외선 복합산화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소 주입량과 자외선 강도 가변제어 방법
KR20160148284A (ko) 2015-06-16 2016-1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과산화수소-자외선 공정 및 염소-자외선 공정을 조합한 2단 자외선 고도산화 공정을 이용하는 복합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0499A (ko) * 2017-06-23 2019-01-03 (주) 휴마스 정수장 운전 지원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CN115477341A (zh) * 2021-06-16 2022-12-16 俞海燕 一种过滤装置以及安全养殖系统
JP7379747B1 (ja) 2023-05-17 2023-11-14 環境電子株式会社 微量な毒物・微量な油分・微量なカビ臭を連続測定するハイブリッド水質自動検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786A (ja) * 1990-11-16 1994-09-27 Fuji Electric Co Ltd 水処理プロセスのオゾン注入量制御方法
KR950005419B1 (ko) * 1992-10-07 1995-05-24 주식회사금성사 음용수 정수장치 및 그 제어회로
KR20030051131A (ko) 2001-12-14 2003-06-25 김상길 조류를 이용한 수질감시방법
KR20060052177A (ko) 2004-10-13 2006-05-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엽록소 자동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786A (ja) * 1990-11-16 1994-09-27 Fuji Electric Co Ltd 水処理プロセスのオゾン注入量制御方法
KR950005419B1 (ko) * 1992-10-07 1995-05-24 주식회사금성사 음용수 정수장치 및 그 제어회로
KR20030051131A (ko) 2001-12-14 2003-06-25 김상길 조류를 이용한 수질감시방법
KR20060052177A (ko) 2004-10-13 2006-05-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엽록소 자동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51B1 (ko) * 2011-04-14 2013-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수처리를 위한 실시간 맛냄새 유발물질 감시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5700B1 (ko) 2012-10-22 2013-06-17 유형조 온라인 스파져를 이용한 수중의 맛·냄새 유발물질인 지오스민과 2-mib 실시간 분석장치
KR20150122876A (ko) 2014-04-23 2015-11-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류-기인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염소-자외선 복합산화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소 주입량과 자외선 강도 가변제어 방법
KR20160148284A (ko) 2015-06-16 2016-1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과산화수소-자외선 공정 및 염소-자외선 공정을 조합한 2단 자외선 고도산화 공정을 이용하는 복합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0499A (ko) * 2017-06-23 2019-01-03 (주) 휴마스 정수장 운전 지원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101956555B1 (ko) 2017-06-23 2019-06-24 (주)휴마스 정수장 운전 지원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CN115477341A (zh) * 2021-06-16 2022-12-16 俞海燕 一种过滤装置以及安全养殖系统
JP7379747B1 (ja) 2023-05-17 2023-11-14 環境電子株式会社 微量な毒物・微量な油分・微量なカビ臭を連続測定するハイブリッド水質自動検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035B1 (ko) 정수장 유입원수 내 맛냄새 유발물질(2-mib) 실시간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atson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trace levels of geosmin and MIB in source and drinking water using headspace SPME
Belgiorno et al. Odour impact assessment handbook
Zarra et al. Odour emissions characterization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y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Hua et al. Optical properties of algogenic organic matter within the growth period of Chlorella sp. and predicting their 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Matzke et al. Mixture effects and predictability of combination effects of imidazolium based ionic liquids as well as imidazolium based ionic liquids and cadmium on terrestrial plants (Triticum aestivum) and limnic green algae (Scenedesmus vacuolatus)
Zarra et al. A comparative and critical evaluation of different sampling materials in the measurement of odour concentration by dynamic olfactometry
Nouri et al. Detection of different densities of Ephestia kuehniella pest on white flour at different larvae instar by an electronic nose system
KR101275700B1 (ko) 온라인 스파져를 이용한 수중의 맛·냄새 유발물질인 지오스민과 2-mib 실시간 분석장치
Vestergaard et al. Application of an electronic nose for measurements of boar taint in entire male pigs
CN108051496A (zh) 利用激发态质子转移质谱仪进行水体嗅味物质实时检测的方法
Nassazzi et al. A novel method for extraction, clean-up and analysis of per-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in different plant matrices using LC-MS/MS
CN107179379B (zh) 一种卷烟主流烟气成份感官风格指标的评估方法
Thompson et al. What smells? Developing in‐field methods to characteri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ild mammalian scent cues
Williams et al. Human odour thresholds are tuned to atmospheric chemical lifetimes
Wang et al. A critical review on odor measurement and prediction
Fenner et al.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technology to environmental monitoring of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ctivities
Zhou et al. A new method for evaluating nuisance of odorants by 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and the assessing of masked odors by olfactometry
Zarra et al. Odour emissions characterization for impact prediction in anaerobic-aerobic integrated treatment plants of municipal solid waste
Van den Broeke et al. Use of on-line UV/Vis-spectrometry in the measurement of dissolved ozone and AOC concentration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US20170219537A1 (en) Real-time automatic analysis device for organic contaminant in water
Pathirathna et al. Fast voltammetry of metals at carbon-fiber microelectrodes: towards an online speciation sensor
KR101305993B1 (ko) 유기물 정성, 정량분석을 이용한 bod 측정방법
Labrador et al. Determination of bisulfites in wines with an electronic tongue based on pulse voltammetry
CN106290641A (zh) 一种卷烟清香型的定量预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