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015B1 - 휴대용 교반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교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015B1
KR100883015B1 KR1020070070225A KR20070070225A KR100883015B1 KR 100883015 B1 KR100883015 B1 KR 100883015B1 KR 1020070070225 A KR1020070070225 A KR 1020070070225A KR 20070070225 A KR20070070225 A KR 20070070225A KR 100883015 B1 KR100883015 B1 KR 10088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upport
container
support mean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56A (ko
Inventor
전현숙
Original Assignee
전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숙 filed Critical 전현숙
Priority to KR102007007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용기 내부에 담겨진 용질과 용매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는,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에 의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교반수단(10)과;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며, 상기 교반수단(10)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교반수단(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재질의 연결부재(3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에 의하면, 야외에서도 냉커피와 같은 음료의 혼합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교반, 음료, 혼합, 용기

Description

휴대용 교반기구 {Portable agit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의 상세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하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패트병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부 및 하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교반수단 12. 교반부연결고리
20. 지지수단 22. 통기공
24. 지지부연결고리 30. 연결부재
32. 연결단부 40. 용기
본 발명은 휴대용 교반기구에 관한 것으로, 용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용 기 내부에 담겨진 용질과 용매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를 타서 음용하기 위해서는 물(용매)에 커피(용질)나 설탕(용질) 등을 넣은 후, 스푼으로 저어 커피와 설탕 등이 물에 잘 녹도록 한다. 그리고, 선식 등과 같이 물(용매)에 어떤 물질을 혼합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통상 이러한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뜨거운 물에 커피를 타는 경우에는 커피가 물에 잘 녹으나, 찬물에 커피를 타는 경우에는 커피(용질) 등이 물에 잘 녹지 않는다. 특히, 여름에 야외에서 찬물을 이용하여 냉커피를 타려고 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야외에서는 스푼과 같은 도구의 준비도 어려우며, 냉장고와 같은 전기용품도 구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차가운 커피를 만드는 경우에는 재질의 혼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한 교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트병과 같은 일반 음료 용기에 간단히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휴대용 교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는,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에 의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 는 교반수단과;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며, 상기 교반수단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교반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교반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수단과 연결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수량이 구비되며, 다수 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수단의 저면과 상기 교반수단의 상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수단의 저면과 상기 교반수단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지지부연결고리 및 교반부연결고리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연결고리는, 상기 지지수단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공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원판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입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인장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지부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에 의하면, 야외에서도 차가운 음료의 혼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교반기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수단의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는,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에 의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교반수단(10)과, 상기 교반수단(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수단(10)은 패트병(생수나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병)과 같은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물과 같은 용매 속에서 유동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교반수단(10)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교반수단(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반수단(10) 각각의 직경(외경)은, 패트병과 같은 음료수병의 입구(주둥이) 직경(내경) 보다는 작은 크기(약 20mm 이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교반수단(10)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첫째 이유는, 음료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교반수단(10)이 하나의 사각기둥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다수의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면 교반 능률이 보다 향상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10)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두번째 이유는, 상기 교반수단(10)이 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패트병과 같은 음료 용기는 중앙부가 입구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좁은 입구를 통과하기 용이하도록 교반수단(10)의 직경이 작도록 하는 대신 다수개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반수단(10)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반수단(10)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각기둥 형상 외에 원기둥(가는 환봉)이나 삼각기둥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가 돌출되거나 홈 등이 형성되어 음료의 혼합이 보다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교반수단(10) 상면에는 교반부연결고리(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교반부연결고리(12)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하단)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가진다. 물론, 상기 교반부연결고리(12)는 '∩'형상 외에 '?'와 같은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수단(20)은, 패트병과 같은 용기의 상단에 걸어지며, 상기 교반수단(10)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이 상기 연결부재(3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원판으로 이 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수단(20)에는 소정 크기의 통기공(22)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 외에 지지수단(2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통기공(22)은 상기 지지수단(20)의 상하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수단(20)은 패트병과 같은 용기의 상단에 놓여져, 용기의 입구를 차폐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통기공(22)을 통해 용기의 내외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상기 지지수단(20)에 통기공(22)을 형성하는 것은, 용기 내부에서의 음료(용매와 용질) 혼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판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수단(20)의 직경(외경)은 패트병과 같은 용기의 입구(주둥이) 직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적어도 일반 패트병의 입구의 내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20)의 직경(외경) 크기가 용기의 형상에 따라서는 용기의 입구 크기와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즉, 용기의 입구가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이 용기의 입구 상단에 걸쳐질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수단(20)의 직경(외경) 크기가 용기의 입구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지지수단(20)이 용기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정도로 직경이 작아서는 안 된다.
상기 지지수단(20)의 저면에는 지지부연결고리(24)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 연결고리(24)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단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가진다. 물론, 이러한 지지부연결고리(24)가 갈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는, 상기 지지수단(2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재(30)의 하중 지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교반수단(10)과 대응되는 수량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다수의 교반수단(10)을 각각 상기 지지수단(20)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므로, 상기 교반수단(10)의 갯수와 동일한 수량이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수량은 상기 교반수단(10)과 같이 3개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인장스프링 외에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결단부(3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부(32)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와 교반부연결고리(12)에 각각 걸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에는 상기 3개의 연결부재(30) 상단이 모두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연결부재(30) 하단은 상기 3개의 교반수단(10) 상단에 각각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부(32)는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와 교반부연결고리(12)에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30)는 3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각 연결부재(30)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연결부재(30)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교반수단(10)의 위치도 상하로 서로 상이하게 되어 음료의 혼합이 보다 잘 일어날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상기 교반수단(10)과 지지수단(20) 그리고 연결부재(30)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30)를 상기 교반수단(10)과 지지수단(20)에 각각 연결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3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단부(32)를 상기 교반부연결고리(12)와 지지부연결고리(24)에 각각 끼운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교반기구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때의 상태는 도 1과 같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수단(10)을 패트병과 같은 용기 내부에 넣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기(40)의 마개(42)를 개방하고 용매(물)와 용질(커피 등)을 용기(40) 내부에 넣은 후, 상기 교반수단(10)을 상기 용기(40)의 입구를 통해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교반수단(10)은 하나씩 상기 용기(4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교반수단(10)이 상기 용기(40) 내부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지지수단(20)이 상기 용기(40)의 입구 상단에 놓여진다. 즉, 상기 지지수단(20)의 직경은 상기 용기(40)의 입구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용기(40)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용 기(40) 입구를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용기(40)의 마개(42)를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용기(40)를 흔든다. 이처럼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용 교반기구가 설치된 패트병을 흔들면, 용기(40) 내부에서 상기 다수의 교반수단(10)이 유동하게 되고, 이러한 다수의 교반수단(10)이 물(용매)속을 휘저어면서, 용매(커피 등)가 물에 잘 혼합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에서는 상기 마개(42)를 체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패트병을 흔들어 음료를 혼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마개(42)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료의 혼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용기(40) 내부에 교반수단(10)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마개(42)를 체결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수단(20)이 상기 용기(40)의 입구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지지수단(20)의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용기(40)를 흔들면, 용기(40) 내부의 음료가 혼합된다.
물론, 이때 상기 지지수단(20)의 통기공(22)을 통해 음료의 누설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 통기공(22)을 차폐하면, 음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교반기구를 패트병과 같은 용기에 설치한 다음, 흔드는 동작에 의해 용기 내부의 음료가 혼합되므로, 냉커피나 선식 등과 같은 혼합음료의 제조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수단(20)이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지지수단(20)이 원판 이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교반수단(10)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와 도 5b에는 상기 지지수단(20)의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a에는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0)은,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지지부(50)와, 상기 중앙지지부(50)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리브(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지지부(50)의 저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지지부연결고리(24)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52)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리브(52)의 단부는 용기 입구에 접촉하여 걸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교반기구에 의하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교반수단과, 이러한 교반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지지수단과 교반수단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 재질의 연결부재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 및 장착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수단이 패트병과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음료 용기의 입구와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패트병에 음료를 넣은 다음 본 발명을 설치하면, 음료의 혼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 설치를 위한 특별한 용기가 불필요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는 다수의 교반수단이 용기 내부에 삽입되어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용질과 용매의 혼합이 원할하게 일어나므로, 냉커피나 선식음료 등을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에 의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교반수단(10)과;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며, 상기 교반수단(10)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교반수단(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지지수단(20)의 저면과 상기 교반수단(10)의 상단에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수단(20)의 저면과 상기 교반수단(10)의 상단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양단이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지지부연결고리(24) 및 교반부연결고리(12)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는, 상기 지지수단(20)의 중앙부 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단(2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통기공(22)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은,
    원판으로 이루어져, 용기의 입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6. 용기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동에 의해 용매와 용질의 혼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교반수단(10)과;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며, 상기 교반수단(10)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교반수단(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과 교반수단(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인장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지지부연결고리(24)가 형성되는 중앙지지부(50)와;
    상기 중앙지지부(50)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용기의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리브(5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교반기구.
KR1020070070225A 2007-07-12 2007-07-12 휴대용 교반기구 KR10088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25A KR100883015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용 교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225A KR100883015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용 교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56A KR20090006656A (ko) 2009-01-15
KR100883015B1 true KR100883015B1 (ko) 2009-02-12

Family

ID=4048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225A KR100883015B1 (ko) 2007-07-12 2007-07-12 휴대용 교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80B1 (ko) * 2011-07-14 2012-01-30 구정오 밀폐용기 패킹
US9949592B2 (en) * 2014-04-09 2018-04-24 Anastasia B. Dayton Agitatio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331A (ja) * 1999-07-05 2001-01-23 Yoshiyuki Sakoma 攪拌装置
JP2005028344A (ja) 2003-07-11 2005-02-03 Tomiyoshi Okihiro 家庭用生ゴミ処理装置
KR200420621Y1 (ko) 2006-04-26 2006-07-04 임성현 혼합장치가 내부 고정설치된 음료제품용 용기
KR200423130Y1 (ko) 2006-04-13 2006-08-03 임성현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331A (ja) * 1999-07-05 2001-01-23 Yoshiyuki Sakoma 攪拌装置
JP2005028344A (ja) 2003-07-11 2005-02-03 Tomiyoshi Okihiro 家庭用生ゴミ処理装置
KR200423130Y1 (ko) 2006-04-13 2006-08-03 임성현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KR200420621Y1 (ko) 2006-04-26 2006-07-04 임성현 혼합장치가 내부 고정설치된 음료제품용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56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6509A1 (en) Magnetic mixing apparatus
CA2713641C (en) Pitcher with infuser
US7217028B2 (en) Off-axis goblet for food mixer
US7543978B2 (en) Wine whisk with bottle stopper
JP4980378B2 (ja) 液体エアレータ装置
JP2012509099A (ja) デカント、ろ過、混合および曝気のための内部セルを有する飲料用グラス
CN107105944A (zh) 磁力驱动的混合和饮用吸管
TW200539835A (en) Adapter for a blender pitcher
US20040047231A1 (en) Mixing structures
WO2016027052A1 (en) A shaker bottle
KR20130050291A (ko) 음식물 혼합 기계용 컵 보유 조립체
US20160235252A1 (en) Blender disk
KR100883015B1 (ko) 휴대용 교반기구
US20140082914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US10835082B2 (en) Mixing vessel
US20080302718A1 (en) Removable retention screen for drinking vessel
US20200122104A1 (en) Magnetic Stir Bar Catching Means
JP4458534B2 (ja) 蓋体付き容器
CN208344795U (zh) 一种饮料瓶
US20210106179A1 (en) Strainer, infuser and whisk-enclosed bottle system
US6799613B2 (en) Devices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particularly café au lait
KR101074736B1 (ko) 혼합기능을 갖는 용기
KR200471247Y1 (ko) 혼합주 제조기
US20080110932A1 (en) Method of visually enhancing inverted bottle water cooler
US20220396397A1 (en) Mixing bottle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