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130Y1 -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 Google Patents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130Y1
KR200423130Y1 KR2020060009949U KR20060009949U KR200423130Y1 KR 200423130 Y1 KR200423130 Y1 KR 200423130Y1 KR 2020060009949 U KR2020060009949 U KR 2020060009949U KR 20060009949 U KR20060009949 U KR 20060009949U KR 200423130 Y1 KR200423130 Y1 KR 200423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mixing
mixing device
powder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현
Original Assignee
임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현 filed Critical 임성현
Priority to KR2020060009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1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음료 완제품(우유, 두유, 쥬스 등) 용기에 가루음식(선식, 미숫가루, 청국장가루 등)을 혼합할 수 있는 장치(11)를 내장함으로써 따로 혼합용기를 가지고 다니는 불편함 없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고 간편하게 가루음식을 음료에 혼합하여 섭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에는 음료에 가루음식을 혼합하여 섭취할 때에는 혼합용 용기를 따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가정에서의 사용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바쁜 상황이나 외부에서 활동 중에 가루음식을 섭취할 때에는 불편함이 상당하다. 이러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은 음료 완제품 용기에 음료와 가루음식을 혼합할 수 있는 혼합장치(11)를 내장한 음료제품을 고안함으로 없어지고, 언제 어디서든 혼합용기를 휴대할 필요없이 혼합장치(11)가 내장된 음료제품에 가루음식을 넣어 흔들어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고 용기를 세척할 필요 없이 분리수거함에 넣으면 되므로 뒤처리도 깔끔하고 편해진다.
음료, 가루음식, 용기, 혼합장치, 마개

Description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 A Bottle with A Shaker }
도 1은 혼합용 장치(11)를 내장한 상태의 음료제품 단면도
도 2는 혼합용 장치(11)의 단면도
도 3은 혼합용 장치(11)를 위에서 본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 :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장치 (음료용기에서 분리시킬 수 있음)
12 : 혼합장치를 음료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내부돌기
13 : 음료용기 마개
14 : 음료용기
15 : 음료용기에 채워진 음료의 양
21 : 혼합장치를 음료용기에서 분리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로 뚜껑이 닫힌 상태로 음료용기를 흔들시 마개와 접촉하여 혼합장치가 움직이지 않게 하기 위한 부분
22 : 혼합장치를 음료용기의 내부돌기에 올려놓는 부분
31 : 혼합장치의 손잡이 부분 (= 21)
32 : 음료용기의 내부돌기에 혼합장치를 올려놓는 부분 (= 22)
33 : 혼합장치에서 음료와 가루음식을 혼합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
34 : 유체막 형성 방지 장치로 혼합장치에 용기내부 음료의 유체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
본 고안은 음료제품(우유, 두유, 쥬스 등) 용기에 담겨있는 음료에 직접 가루음식(선식, 미숫가루, 청국장가루 등)을 혼합할 수 있는 장치를 음료용기 내부에 부착해서 바쁜 상황 및 외부에서의 활동 시 음료와 가루음식을 손쉽게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기존에 음료와 가루음식을 혼합하는데 사용하는 용기는 휴대하기 불편하고 그 용기에 음료와 가루음식을 함께 넣고 흔들어 혼합하여 섭취한 후 기름기 있는 용기를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바쁜 생활을 하면서 음료와 가루음식의 섭취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휴대가 불편하고 외부활동시 음료와 가루음식 섭취에 번거롭고 기름기 있는 용기를 세척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우유, 두유, 쥬스 등)을 이 용하면 번거로운 단점들을 해소하여 혼합용기를 별도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고 음료를 섭취한 후 분리수거함에 넣으면 되므로 혼합용기를 세척해야할 필요가 없어 뒤처리도 편하며, 언제 어디서든 음료와 가루음식을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대 사회는 건강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어 웰빙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러 종류의 가루음식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혼합용기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여러 상황에서 이용함에 있어 불편한 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섭취에 불편한 점들은 혼합장치를 내장한 음료제품용 용기를 이용한 음료제품을 즉석에서 이용하면 해결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장치(11)가 음료용기(14)의 내부돌기(12)에 올려지고 음료(15)가 채워져 마개(13)를 닫은 모습이다. 음료(15)의 양은 음료용기의 내부돌기(12)를 넘지 말아야 하고 용기내부의 돌기(12)의 모양은 용기바닥에서 용기상부의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모양이어야 한다. 용기내부의 돌기에 올려진 혼합장치(11)는 혼합장치의 손잡이(21) 부분을 잡고 음료용기(14)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이 완료된 후 섭취할 때 장애물이 될 수 있는 혼합장치(11)를 음료용기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2의 혼합장치의 손잡이(21) 부분의 역할은 혼합장치(11)를 음료용기(14) 에서 분리시키는 역할도 있지만, 마개(13)가 닫혀진 상태에서 음료와 가루음식을 혼할할 목적으로 음료용기(14)를 마구 흔들시 혼합장치(11)가 음료용기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가능성을 마개(13)와 손잡이(21) 부분의 접촉을 이용하여 최소화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료제품을 만들 시에 마개(13)와 손잡이(21) 사이에 최소한의 공간이 있게 만들고 손잡이(21) 윗 부분을 넓게 만들어야 개봉 전에 음료제품 마개부분에 손상이 가지 않을 것이다. 음료용기의 내부돌기(12)에 혼합장치(11)를 올려놓을 부분(22)의 모양은 혼합장치의 혼합역할 부분(33) 보다 상하로 일정부분 높고 낮게 만들어 용기내부돌기(12)와 혼합장치(11) 사이에 유체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1의 음료제품의 모양에서 음료(15) 윗부분의 공간은 가루음식의 양이 티스푼으로 2 - 3개 정도의 양이 알맞게 채워져 혼합이 가능할 정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 3은 혼합장치의 세부모양인데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여러 가지 모양 중 하나이다. 도 3의 핵심장치는 혼합장치가 음료가 채워진 용기 내부에 있는 관계로 혹시 일어날 수 있는 혼합장치에의 유체막 형성을 방지하는 장치(34)에 있다. 유체막 형성 방지 장치(34)는 음료와 가루음식의 혼합에도 도움이 된다. 손잡이(31) 부분은 상단부분을 그림과 같이 뾰족하지않게 만들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완제품 용기로 만들어진 제품을 구매하면 언제 어디서든 가루음식을 빠르고 간편하게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고 뒤처리도 세척해야 하는 불편없이 분리수거함에 넣어주면 된다. 그러므로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음료제품(우유, 두유, 쥬스 등) 용기의 상단부에 공간을 확보해서 혼합장치(11)를 내장하여 가루음식(선식, 미숫가루, 청국장가루 등)을 넣어 흔들어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는 음료제품용기를 고안한 것으로, 음료용기(14) 내부에 혼합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12)을 만들어 혼합장치(11)를 내장한 음료완제품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혼합장치를 음료용기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손잡이(21)부분과 용기내부에 유체가 있어 혼합장치 자체에 유체막이 형성될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막 형성 방지 장치(34)가 고안된 혼합장치(11)를 내장한 음료완제품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혼합장치의 상단부는 음료완제품 상태에서 개봉 전 음료제품의 마개부분 장치에 상처를 주지 말아야 하기 때문에 뾰족하지않게 만들어야 하는 손잡이(21)가 혼합장치(11)에 형성된 혼합장치(11)를 내장한 음료완제품용 용기.
KR2020060009949U 2006-04-13 2006-04-13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KR200423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949U KR200423130Y1 (ko) 2006-04-13 2006-04-13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949U KR200423130Y1 (ko) 2006-04-13 2006-04-13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130Y1 true KR200423130Y1 (ko) 2006-08-03

Family

ID=4177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949U KR200423130Y1 (ko) 2006-04-13 2006-04-13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1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15B1 (ko) 2007-07-12 2009-02-12 전현숙 휴대용 교반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15B1 (ko) 2007-07-12 2009-02-12 전현숙 휴대용 교반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62582A1 (en) Portable Dual Cap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7371004B1 (en) Travel mug configured to blend food and method thereof
US7441944B2 (en) Drinking extension for blender container
US20150283037A1 (en) Bottle with internal mixer
US20140260117A1 (en) Storage and Mixing Container
US8438993B2 (en) Portable, multi-access container
US7437990B2 (en)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US20170007076A1 (en) Egg cracker, egg separator and/or egg mixer
US6471390B1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stirring a beverage
HK1078449A1 (en) Blender and mugs
US20120080441A1 (en) Drinking contaier with cooling reservoir
WO2016027052A1 (en) A shaker bottle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KR200423130Y1 (ko) 혼합장치가 내장된 음료제품용 용기
GB2521895A (en) Drinking vessel
US20050023237A1 (en) Detachable plastic bottle and bottle holder for consumers and healthcare
US9902537B2 (en) Multipurpose bottle c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100126957A1 (en) Attachable mixing device
JPWO2017142024A1 (ja) 混合容器
KR200420621Y1 (ko) 혼합장치가 내부 고정설치된 음료제품용 용기
US20220250782A1 (en) 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150076104A1 (en) Accessory and spill-proof cap for bottled beverage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CN210748564U (zh) 一种多功能饮液食品容器
US20120103997A1 (en) Multi-functional baby training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