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070B1 - 악취 탈취제 케이스 - Google Patents

악취 탈취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070B1
KR100882070B1 KR1020080036063A KR20080036063A KR100882070B1 KR 100882070 B1 KR100882070 B1 KR 100882070B1 KR 1020080036063 A KR1020080036063 A KR 1020080036063A KR 20080036063 A KR20080036063 A KR 20080036063A KR 100882070 B1 KR100882070 B1 KR 10088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odor
food waste
c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749A (ko
Inventor
이학섭
Original Assignee
이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섭 filed Critical 이학섭
Priority to KR1020080036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씽크대 및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용기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성분에 대한 탈취율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급 및 설치에 따른 편리함과 탈취제 케이스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취제 조성물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체가 구성되며, 각각의 수납체에는 개폐를 위한 고정핀과 결합공이 형성되고, 양쪽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제 1, 2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2본체는 'V'자 모양의 접힘홈이 형성된 연결편에 의해 접어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차폐되어 삽입된 조성물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탈취제, 케이스, 제올라이트, 악취, 씽크대

Description

악취 탈취제 케이스{Case for Deodoriz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전개해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 2:공간부
3:수납체 4:고정핀
5:결합공 6;통기공
7:접힘홈 8:연결편
9:개구부 10a:제 1본체
10b:제 2본체 11:걸고리
12:걸이공 13:걸편
본 발명은 악취 탈취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의 씽크대 및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지는 용기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성분에 대한 탈취율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취급 및 설치에 따른 편리함과 케이스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는 음식물 조리를 위한 주방설비가 시공되고, 주방설비 중에서도 음식물 조리시 세척 및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씽크대가 구성되며, 씽크대에는 음식물 조리 및 음식물 섭취 후, 잔반을 처리하가 위한 음식물 찌꺼기 받이가 구비되며, 1차적으로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일정기간 모아두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용기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생활쓰레기와 별도로 분리 배출되어 수거되고 있으며, 씽크대의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서 걸러져 수거된 후,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나 봉투에 담겨져 지정된 수거통에 모아진 후, 주기적인 기간을 거쳐 폐기처리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되는 과정이나 수거되어 폐기처리되기까지는 담겨진 상태로 방치되며, 특히, 씽크대의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담겨진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장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변질되어 암모니 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등에 의해 악취가 발생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로 인해 주변이 청결하지 못하고 비위생적이며 특히, 음식점이나 가정집에서 악취로 인한 많은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다.
현재,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화학성분으로 산성의 트리클로로 이소시안산을 이용한 탈취제가 사용되거나 또는, 나프탈렌 성분으로 이루어진 탈취제를 이용하여 음식물 악취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탈취제는 강한 산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체(피부접촉 및 호흡)에 유해한 성분으로 안전하지 못하고 사용상의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폐단을 안고 있으며, 원반형태나 사각형태의 탈취제 케이스가 사용된다.
종래의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탈취제는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탈취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유해한 화학성분이 정화되지 않고 그대도 배수되거나 대기중으로 배출되므로 수질과 대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환경차원에서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향제 또는, 나프탈렌은 암모니아의 분자구조 즉, NH3 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며 암모니아의 분자구조를 변화시켜 냄새를 분해하지 못하므로, 종래의 방향제나 나프탈렌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보다 더 짙은 향을 발생시켜 방향제나 나플탈렌에서 발생되는 냄새로 인해 사용자가 암모니아에 의한 악취를 느낄 수 없도록 하는 간접적인 탈취기능에 지 나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탈취제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보다 더 짙은 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짙은 화학성분의 탈취제로부터 발산되는 짙은 향에 의해 악취를 느낄 수 없도록 하는 간접적이고 일시적인 것으로, 마치 악취가 제거된 듯한 착각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화학성분의 탈취제로 인해 탈취제 케이스에 대한 취급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발생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등의 악취성분을 탈취함에 있어, 악취 탈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취급 및 설치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과정에서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탈취제 케이스에 있어서, 탈취제 조성물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체가 구성되며, 각각의 수납체에는 개폐를 위한 고정핀과 결합공이 형성되고, 양쪽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제 1, 2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2본체는 'V'자 모양의 접힘홈이 형성된 연결편에 의해 접어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차폐되어 삽입된 조성물을 구속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2본체의 수납체는 구(球)형태로 다수개 가 나열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수납체는 상호간에 연결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는 탈취제 조성물이 삽입되는 공간부(2)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체(3)가 구성되며, 각각의 수납체(3)에는 개폐를 위한 고정핀(4)과 결합공(5)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양쪽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기공(6)이 형성된 제 1, 2본체(10a, 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2본체(10a, 10b)는 'V'자 모양의 접힘홈(7)이 형성된 연결편(8)에 의해 접어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가 차폐되어 삽입된 조성물을 구속하도록 구성되며, 제 1본체(10a)의 상단부에는 걸고리(11)와, 걸이공(12)이 관통된 걸편(13)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2본체(10a, 10b)의 수납체(3)는 구(球)형태로 다수개가 나열되어 이루어지며, 각각의 수납체(3)는 상호간에 연결되는 부위에 개구부(9)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은 제올라이트가 주원료로 이루어지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 및 반죽과정, 압축과정, 절단 및 롤링과정, 건조과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혼합기, 압축기, 절단 및 롤링기 및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면표기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전개해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 1, 2본체(10a, 10b)가 일체로 제조되는 것으로, 제 1, 2본체(10a, 10b)는 수납체(3)가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나열되어 다수개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제 1, 2본체(10a, 10b)는 상호간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가운데 부위 일부위에 연결편(8)이 형성되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후, 연결편(8)을 기점으로 접어져 맞대어지며, 측단부에 형성되는 고정핀(4)과 결합공(5)에 의해 맞대어지도록 접어진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편(8)에는 'V'자 모양의 접힘홈(7)이 형성되어 제 1, 2본체(10a, 10b)의 원활한 접힘이 이루어지게 되고, 고정핀(4)이 결합공(5)에 빡빡하게 끼워져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의 제 1, 2본체(10a, 10b)가 맞대어져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 1본체(10a) 또는, 제 2본체(10b)에는 탈취제 조성물이 넣어져 담겨지게 되고, 제 1, 2본체(10a, 10b)가 맞대어져 접어진 상태로 결합되어 내부에 담겨진 탈취제 조성물을 차폐하며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탈취제 조성물이 담겨진 제 1, 2본체(10a, 10b)의 수납체(3)에는 양쪽면에 다수개의 통기공(6)이 방사상으로 관통되어 구성되므로, 내부에 담겨져 구속된 탈취제 조성물은 외부와 밀폐되지 않고, 통기공(6)을 통해 외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2본체(10a, 10b)에 형성되는 수납체(3)는 상호간에 유체나 공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연통되도록 내부에 소정 곡률을 이루도록 개구부(9)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9)에 의해 각각의 수납체(3)에 담겨진 탈취제 조성물이 서로 연계하여 탈취작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 및 탈취제 케이스(1)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탈취함에 있어,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설치되어 있는 씽크대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의 수납체(3)에 탈취제 조성물을 각각 넣고 제 1, 2본체(10a, 10b)를 접어 결합하여 탈취를 위한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탈취제 케이스(1)의 제 1본체(10a) 상단부에 형성된 걸고리(11)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씽크대의 음식물 찌꺼기 받이의 어느 일부위에 걸어 설치하게 되면, 탈취제 케이스(1)가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담겨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탈취제 조성물이 담겨진 탈취제 케이스(1)가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음식물 섭취 후, 설걷이에 의해 발생된 음식물 쓰레기가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담겨지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탈취제 조성물은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담겨지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통기공(6)을 통해 흡입하여 탈취하게 되는 것으로서, 탈취제 케이스(1)에 담겨진 탈취제 조성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즉,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등의 악취 원인이 되는 성분이 주원료로 사용되는 광물질의 나노 기공에 의해 흡착되어 분자구조가 분리되어 악취가 탈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에 사용되는 탈취제 조성물은 주원료인 광물질(제올라이트)는 나노 기공(터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악취의 원인인 암모니아의 분자구조 NH3 중 질소 N을 나노 기공에서 흡착하여 암모니아의 분자구조인 NH3 를 분리하여 탈취하게 되며, 부원료로 사용되는 식물성 섬유제(펄프, 천연 섬유제)는 조성물에 대한 사용기간과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첨가제 중에서 벤토나이트는 각종 병원균에 대한 살균기능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탈취제 케이스(1)는 양쪽면에 탈취를 위한 통기공(6)이 형성된 다수개의 수납체(3)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음식물 찌꺼기 받이의 내부 면적에 대한 점유율 즉, 음식물 찌거기가 담겨진 내부 공간에 대해 탈취를 위해 탈취제 케이스(1)가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도록 넓게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악취 탈취율이 높고 음식물 쓰레기 받이의 내부 면적에 대한 탈취범위를 상,하부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탈취제 조성물이 케이스(1)에 삽입된 상태에서, 씽크대의 음식물 찌꺼기 받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탈취되며, 탈취제 조성물은 음식물 쓰레기 받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가가 공급되 는 과정에서, 함께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케이스(1)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기공(6)을 통해 조금씩 분리되어 이탈되면서 소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탈취율에 대한 시험성적서는 아래 [표1], [표 2], [표3]와 같다.
시간(min) Blank(ppm) 시료(ppm) 탈취율(%)
초기 48 48 0
30 48 3 94
60 48 2 96
90 47 2 96
120 6 1 98
*시험항목 : 황화수소
*적용규격 : KS M 0062 : 2003
*실험조건 : 탈취용기 5ℓ 시료량 :270g
시간(min) Blank(ppm) 시료(ppm) 탈취율(%)
초기 50 50 0
30 50 3 94
60 50 2 96
90 49 1 98
120 48 1 98
*시험항목 : 트리메틸아민
*적용규격 : KS M 0062 : 2003
*실험조건 : 탈취용기 5ℓ 시료량 :270g
시간(min) Blank(ppm) 시료(ppm) 탈취율(%)
초기 54 54 0
30 54 3 94
60 54 2 96
90 53 1 98
120 53 1 98
*시험항목 : 암모니아
*적용규격 : KS M 0062 : 2003
*실험조건 : 탈취용기 5ℓ 시료량 :270g
본 발명은 상기 [표1], [표 2], [표3]에서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 원인인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98%의 탈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탈취제 케이스는 악취제거를 위한 다양한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일반 가정이나 각종 스포츠센타, 찜질방, 대형음식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장소에서, 사용자의 신발을 보관하는 장소, 즉, 락카룸이나 신발장에 설치하여 신발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악취 탈취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받이에서 발생되는 악취 제거와 마찬가지로 락카룸이나 신발장 내부에 설치되어 암모니아 등에 의한 악취를 탈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악취 탈취제 조성물은 탈취제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락카룸이나 신발장 내부에 별도의 부착수단(양면테이프나 걸고리)에 의해 설치되어 신발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거나 또는, 탈취제 케이스를 신발 내부에 넣어 발생되는 악취(신발냄새)를 탈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 케이스를 이용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를 탈취함에 있어, 음식물 찌꺼기 받이의 내부 면적에 대한 점유율 즉, 음식물 찌거기가 담겨진 내부 공간에 대해 탈취를 위해 탈취제 케이스가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이르도록 넓게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악취 탈취율이 높고 음식물 쓰레기 받이의 내부 면적에 대한 탈취범위를 상,하부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부각되고,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급 및 설치에 따른 편리함과 케이스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 제올라이트, 식물성 섬유제, 식품첨가제, 벤토나이트, 천연향신료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탈취제 조성물이 삽입되어 탈취가 이루어지며, 탈취제 조성물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갖는 다수개의 수납체가 구성되며, 각각의 수납체에는 개폐를 위한 고정핀과 결합공이 형성된 탈취제 케이스에 있어서,
    수납체는 다수개가 나열되어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 1, 2본체로 이루어지되, 제 1, 2본체는 'V'자 모양의 접힘홈이 형성된 연결편에 의해 접어져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가 차폐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케이스.
  2. (삭제)
KR1020080036063A 2008-04-18 2008-04-18 악취 탈취제 케이스 KR10088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63A KR100882070B1 (ko) 2008-04-18 2008-04-18 악취 탈취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063A KR100882070B1 (ko) 2008-04-18 2008-04-18 악취 탈취제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359A Division KR100837528B1 (ko) 2007-05-08 2007-05-08 악취 탈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49A KR20080043749A (ko) 2008-05-19
KR100882070B1 true KR100882070B1 (ko) 2009-02-10

Family

ID=3966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063A KR100882070B1 (ko) 2008-04-18 2008-04-18 악취 탈취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22Y1 (ko) * 2006-06-08 2006-09-12 윤옥연 음식물쓰레기통 탈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22Y1 (ko) * 2006-06-08 2006-09-12 윤옥연 음식물쓰레기통 탈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749A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28B1 (ko) 악취 탈취제 조성물
CN101780290A (zh) 一种多功能芳香型矿物空气净化剂的制作方法
US20140030161A1 (en) Apparatus for sanitizing pillows or anything else contained in the apparatus
KR100882070B1 (ko) 악취 탈취제 케이스
KR20030093612A (ko) 액상 항균 소취제 조성물
CN201791118U (zh) 一种用于冰箱冷藏室的二氧化氯异味清除盒
JP2007159811A (ja) 脱臭剤及び脱臭具
KR200340230Y1 (ko) 황토볼을 이용한 흡착탈취제
JP3173749B2 (ja) 靴の中敷
KR20170055285A (ko) 세정비누로 재활용되는 복합탈취기용 탈취재
JP3208912U (ja) 消臭剤
KR200271030Y1 (ko) 참숯 황토 위생 신발장
JPH11319048A (ja) 消臭剤および消臭方法
CN216755018U (zh) 多功能杀菌盒
CN2288940Y (zh) 电子消毒灭菌除臭保鲜容器
KR200433641Y1 (ko) 암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184006Y1 (ko) 가구
KR20130104220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습기제거제
KR19990073088A (ko) 숯을혼합한1회용차(茶)의제조방법
KR20100020548A (ko) 탈취/해충퇴치제의 제조방법
JPS6321058A (ja) メツシユ状に係る収納袋に脱臭紙を内蔵する装置
KR200412943Y1 (ko) 방향제를 구비한 제습용기
JP2000279932A (ja) 厨芥廃棄物の悪臭処理方法及び厨芥廃棄物の悪臭脱臭用フイルターの構造
CN201640644U (zh) 灭菌除臭增香鞋
KR200360067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