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031B1 -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031B1
KR100882031B1 KR1020070058315A KR20070058315A KR100882031B1 KR 100882031 B1 KR100882031 B1 KR 100882031B1 KR 1020070058315 A KR1020070058315 A KR 1020070058315A KR 20070058315 A KR20070058315 A KR 20070058315A KR 100882031 B1 KR100882031 B1 KR 100882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outlet
unit
turntable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040A (ko
Inventor
권영원
Original Assignee
권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원 filed Critical 권영원
Priority to KR102007005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031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32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fixed tipping installations
    • B65G67/34Apparatus for tipping wagons or mine cars
    • B65G67/36Apparatus for tipping wagons or mine cars endwise
    • B65G67/38Apparatus for tipping wagons or mine cars endwise comprising a turn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5Ther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은, 얼음을 수용하며, 얼음을 출입 가능하게 일측 및 타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테이블본체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수용된 얼음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갖는 임펠러와; 상기 각 구획부가 상기 유출구와 순차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얼음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TURN TABLE FOR SUPPLYING THE FIXED QUANTITY OF ICE & ICE SUPPL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음공급장치 및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의 레이아웃,
도 2는 도 1의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의 개략도,
도 3는 도 2의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얼음공급장치 110 :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120 : 테이블본체 121 : 유입구
123 : 배출구 125 : 코팅층
130 : 임펠러 131 : 구획부
140 : 구동부 141 : 구동모터
143 : 회전축 150 : 배출조절부재
151 : 조절판 153 : 승강조절부재
160 : 배출센서 161 : 배출레버
165 : 얼음높이센서
170 : 자동반출저빙고 180 : 얼음수용부
181 : 이송부 183 : 수용부위치센서
185 : 수용부스토퍼 190 : 제어부
본 발명은,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 공급 구조를 개선한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음공급장치는 얼음을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외부로 반출시키며, 다양한 제조공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닭고기와 같은 육가공품을 제조하는 공정, 염료 또는 안료 제조공정 등에서 필요시 자동으로 얼음을 공급해 준다. 특히 육가공품의 경우 출하시 포장 직전에 얼음을 투입하는데 있어, 얼음공급장치는 자동으로 얼음을 투입함으로써, 기존의 인력에 의한 투입이나 반자동 투입 방식에 비해 노동력의 절감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량의 얼음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얼음을 신속하게 공급하며, 얼음의 흡착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량의 얼음을 자동 투입할 수 있는 얼음정량공 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속하게 정량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얼음의 공급과정에서 흡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에 있어서, 얼음을 수용하며, 얼음을 출입 가능하게 일측 및 타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테이블본체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수용된 얼음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갖는 임펠러와; 상기 각 구획부가 상기 유출구와 순차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용 턴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각 구획부가 일치하는지를 감지하는 배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 사이의 얼음유로 상에서 얼음과 접촉 가능한 면은 코팅 처리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테이블본체에 결합된 배출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얼음투입장치에 있어서, 얼음정량투입 턴테이블과; 상기 유출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수용 부와; 상기 얼음수용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은 상기 얼음수용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투입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100)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은 테이블본체(120)와, 임펠러(130)와,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은 배출센서(160), 얼음높이센서(165)를 더 포함한다.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은 배출조절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얼음공급장치(100)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과, 얼음수용부(180)와, 이송부(181)를 포함한다. 얼음공급장치(100)는 자동반출저빙고(170)와, 제어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본체(120)는 얼음을 수용하며, 얼음이 유입되는 유입구(121)와, 얼음이 배출되어 얼음수용부(180)로 공급되는 배출구(123)를 포함한다. 테이블본체(120)는 식용 얼음을 사용하는 경우나 육가공과 같은 공정에 얼음이 사용되는 경우 위생 등을 고려하여 스테인레스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21)는 자동반출저빙고(170)에서 테이블본체(120)와 연통되도록 테이블본체(1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유입구(121)는 저장고(170)에서 테이블본체(120)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에, 저장고(170)에서 테이블본체(120)로 원활하게 얼음이 공급될 수 있으며 얼음이 흡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구(123)는 얼음이 자중에 의해 얼음수용부(18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자동반출저빙고(17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23)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또는 힌지 형식의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출구(123)는 구획부(131)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배출구(123)의 상측 및 구획부(131)의 상측에 얼음조절부재(150)를 포함한다. 이에, 구획부(131)와 얼음조절부재(150) 사이에 수용된 정량의 얼음을 신속하게 얼음수용부(180)로 공급할 수 있다.
코팅층(125)은 테이블본체(120)의 내부에 얼음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코팅층(125)은 일실시예로 테프론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얼음이 접촉되어 접촉되는 금속 면에서 얼음이 흡착되어 얼음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구획부(131)를 통해 배출되는 얼음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의 내부에서 얼음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흡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임펠러(130)는 구동부(140)와 결합되며 테이블본체(120)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유입구(121)에서 배출구(123)로 이송한다. 임펠러(130)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131)를 갖는다. 임펠러(130)의 외경은 테이블본체(120)의 내경과 약간의 공차를 갖도록 마련된다.
구획부(131)는 테이블본체(120)의 내부에 수용된 얼음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부(131)는 일실시예로 다섯 개의 반달형 원호를 갖도록 형성되어 테이블본체(120)의 내경과 사이를 다섯 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획부(131)는 배출조절부재(15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131)는, 예를 들면 파쇄 내지 분쇄된 얼음의 크기 변화 등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크기로 마련되어 배출조절부재(150)와 구획부(131)에 의해 수용된 정량의 얼음을 배출구(123)를 통해 얼음수용부(180)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정량의 얼음이 배출구(123)를 통해 자동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얼음수용부(180)로 공급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임펠러(130)와 결합되어 임펠러(130)를 구동시킨다. 구동부(14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1)에 결합되어 임펠러(130)와 결합하여 임펠러(1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43)을 포함한다. 구동부(140)는 배출구(123)와 임펠러(130)의 구획부(131)가 일치하도록 순차적으로 임펠러(130)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141)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미도시된 모터와 모터와 결합되어 속도를 변환하는 미도시된 감속기를 포함한다. 구동모터(141)는 필요에 따라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로 마련된 기어드모터(Geared Motor) 등 공지의 수단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회전축(143)은 테이블본체(120)의 하단부 외부로 노출되어 배출센서(16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배출조절부재(150)는 테이블본체(120)의 상측에 결합되어 구획부(131)의 상단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배출조절부재(150)는 조절판(151)과 조절판(151)을 구획부(131)에 대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조절부재(153)를 포함한다. 승강조절부재(153)는 일실시예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나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배출조절부재(150)를 조절할 수 있어 테이블본체(120)에서 배출되는 얼음의 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테이블본체(120)의 하부판과, 임펠러(130)의 구획부(131)와 테이블본체(120)의 원통형 측면판과, 구획부(131) 상부의 배출조절부재(1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저장된 얼음이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되는 얼음의 량을 조절하는 것은 상부의 배출조절부재(150)를 승강시켜 저장된 얼음의 높이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얼음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배출조절부재(150)는 구획부(1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 얼음을 얼음수용부(180)로 정량을 공급할 수 있다.
배출센서(160)는 회전축(143)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각 구획부(131)가 배출구(123)와 일치하는지를 감지한다. 배출센서(160)는 일실시예로 다섯 개의 구획부(131)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회전축(143)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배출레버(161)를 감지한다. 이에, 배출센서(160)는 배출레버(161)를 감지하여 제어부(190)에 전달하면 제어부(190)는 구동부(140)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자동반출저빙고(170)는 제빙된 후 탈빙되어 소정 크기로 파쇄 내지 분쇄된 얼음을 수용한다. 자동반출저빙고(170)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로 얼음을 공급하는 얼음이송스크류(177)와 얼음이송스크류(177)로 얼음을 반출하는 캐터필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반출저빙고(170)는 덩어리진 얼음을 파쇄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파쇄기(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쇄기(173)는 얼음을 파쇄 내지 분쇄하는 이외에도 얼음을 위에서 아래로 얼음이송스크류(177)로 얼음을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자동반출저빙고(170)는 얼음이 저장된 양을 파 악할 수 있는 레벨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
얼음수용부(180)는 이송부(181)에 지지되어 이송된다. 얼음수용부(180)는 예를 들면 박스를 포함하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된 얼음 수용 수단을 포함한다.
이송부(181)는 테이블본체(12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얼음수용부(180)를 이송한다. 이송부(181)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에서 박스와 같은 얼음수용부(180)에 얼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송한다. 이송부(181)는 일실시예로 벨트 컨베이어를 포함하나 다양한 공지의 이송 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부위치센서(183)는 얼음수용부(180)가 테이블본체(120)의 배출구(123) 직하방향에 위치했는지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본체(120)의 배출구(123)와 이송부(181)의 이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면 테이블본체(120)의 배출구(123)의 직하방향에 얼음수용부(180)가 각각 위치했는지를 검출하고 검출한 결과를 제어부(190)에 전달한다.
수용부스토퍼(185)는 이송부(181) 상의 얼음수용부(180)가 테이블본체(120)의 배출구(123) 직하방향에 위치하도록 얼음수용부(180)를 지지한다. 즉, 수용부스토퍼(185)는 이송부(181) 상의 얼음수용부(180)가 이송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과정에서 얼음이 수용되지 않은 얼음수용부(180)의 이송을 저지시킨다. 수용부스토퍼(185)는 실린더에 판상의 저지판(미도시)이 부착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얼음수용부(180)의 이송을 저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자동반출저빙고(170)의 레벨센서(175), 배출센서(160), 테이블본체(120)의 얼음 높이를 감지하는 얼음높이센서(165), 수용부위치센서(183) 등 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저장고(170), 구동부(140), 이송부(181) 등의 구동여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반출저빙고(170)의 앞쪽에 마련된 얼음이송스크류(177)가 작동하며, 다음으로 파쇄기(173)가 작동하고 마지막으로 캐터필러(171)가 구동하면서 얼음을 반출시킨다. 자동반출저빙고(170)의 바닥은 캐터필러(171)로 구성되어 선입선출(先入先出)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얼음의 저빙과 반출에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캐터필러(171)와 파쇄기(173)를 거쳐 얼음이송스크류(177)로 이송된 얼음은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의 유입구(121)로 공급되며, 유입구(121)측의 구획부(131)에 순차적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테이블본체(120)에 결합된 얼음높이센서(165)와 연동되어 캐터필러(171) 파쇄기(173) 얼음이송스크류(177) 등이 작동되도록 제어부(190)에서 제어한다.
이송부(181)가 구동되어 얼음수용부(180)가 배출구(123) 하측에 위치하면 수용부스토퍼(185)가 얼음수용부(180)를 작동시켜 얼음수용부(180)가 이송되지 못하게 지지한다. 수용부위치센서(183)가 배출구 하측에 얼음수용부(180)가 위치했다는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90)에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구동부(140)가 임펠러(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구획부(1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구획부(131)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배출구(123)에 구획부(131)가 위치하는 배출위치에서 배출센서(160)가 감지하면 구동부(140)가 정지한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부(131)와, 테이블본체(120)의 원통형 측면판과, 배출조절부재(150) 사이에 형성된 공간(도 3 내지 도 5의 공간 "A" 참조)에 수용된 일정량의 얼음이 얼음수용부(180)로 배출된다. 이에, 정량의 얼음이 순차적으로 배출구(123)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얼음수용부(180)의 상단과 배출구(123)의 하단은 얼음이 배출구(123)에서 배출되어 얼음수용부(180)를 벗어나지 않고 얼음수용부(180)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배출구(123)에서 얼음수용부(180) 사이에 얼음이 균일하게 얼음수용부(180)에 수용되도록 마련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131)의 얼음이 얼음수용부(180)로 배출되면 이송부(181)가 작동하여 얼음수용부(180)를 이송하고 얼음을 공급받을 얼음수용부(180)가 배출구(123) 하부로 이송되어 전술된 작동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얼음을 자동으로 매수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제빙용 턴테이블(110)을 이송부(181)의 이송방향으로 배치한 경우를 가정한다. 하나에 10 수(首) 내지 20 수(首) 분량의 닭을 얼음수용부(180)에 수용하여 이송부(181)를 따라 이송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빙용 턴테이블(110)를 이용하는 경우 시간당 약 14,400 수 분량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100)에 관하여 이송부(181) 상측에 두 개의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만 배치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110)이 이송부(181) 상측에 하나, 세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량의 얼음을 자동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신속하게 정량의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얼음의 공급과정에서 흡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에 있어서,
    얼음을 수용하며, 얼음을 출입 가능하게 일측 및 타측에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테이블본체와;
    상기 테이블본체에 수용된 얼음을 복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갖는 임펠러와;
    상기 각 구획부가 상기 유출구와 순차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획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테이블본체에 결합된 배출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각 구획부가 일치하는지를 감지하는 배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 사이의 얼음유로 상에서 얼음과 접촉 가능한 면은 코팅 처리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4. 삭제
  5. 얼음공급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과;
    상기 유출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출구에서 배출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얼음수용부와;
    상기 얼음수용부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은 상기 얼음수용부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공급장치.
KR1020070058315A 2007-06-14 2007-06-14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KR100882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15A KR100882031B1 (ko) 2007-06-14 2007-06-14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315A KR100882031B1 (ko) 2007-06-14 2007-06-14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040A KR20080110040A (ko) 2008-12-18
KR100882031B1 true KR100882031B1 (ko) 2009-02-09

Family

ID=4036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315A KR100882031B1 (ko) 2007-06-14 2007-06-14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0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28A (en) 1979-06-18 1981-01-14 Kyoei Zoki Kk Ice conveyor
JPS57115154A (en) 1980-12-30 1982-07-17 Asia Purotein:Kk Continuous slurry feeder
JPS60112533A (ja) 1983-11-19 1985-06-19 Takeshi Hayashi 送氷装置
KR19980072019A (ko) * 1998-07-14 1998-10-26 오순웅 제면기의 정량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28A (en) 1979-06-18 1981-01-14 Kyoei Zoki Kk Ice conveyor
JPS57115154A (en) 1980-12-30 1982-07-17 Asia Purotein:Kk Continuous slurry feeder
JPS60112533A (ja) 1983-11-19 1985-06-19 Takeshi Hayashi 送氷装置
KR19980072019A (ko) * 1998-07-14 1998-10-26 오순웅 제면기의 정량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040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5758B2 (ja) 粒状体選別装置
WO201211224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automated discharge of treated sewage sludge to trucks
CN2878285Y (zh) 上料机
US4306649A (en) Rotary feeder mechanism for fruit juice extracting apparatus
EA019438B1 (ru)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KR100882031B1 (ko) 얼음정량공급 턴테이블 및 이를 갖는 얼음공급장치
KR20140078647A (ko) 압축성 물질의 운반 및 이송 장치
US2321838A (en) Coffee bin
JP3847256B2 (ja) 粒状ドライアイスの分配供給装置
CN216062831U (zh) 物料混合装置
EP0028115B1 (en) Feed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free-flowing material to a container
JPH01197231A (ja) サイロに対する材料の搬入/搬出装置
US4020958A (en) Bulk material container loading and system
CN211225386U (zh) 餐盒投放装置
KR20140133091A (ko) 버섯 탈병장치
RU2007107613A (ru) 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нточной агломерационной машины
KR101625119B1 (ko) 폐타이어 정량 공급장치
JP2004263932A (ja) 食品通箱内への自動氷投入装置
JPH09118435A (ja) コンテナ用積込み装置
KR20200131040A (ko) 식품 이송기, 식품 분배 장치 및 식품 분배 방법
JPH11278637A (ja) 粒状物の搬送・分配装置
JP3783086B2 (ja) 粒状ドライアイスの分配供給装置
CN218662435U (zh) 一种方便食品调料包定量下料装置
KR102486842B1 (ko) 2중스크류 공급부를 포함하는 식품 이송 공급시스템
JP2004001993A (ja) 粒状ドライアイスの分配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